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기 애착외상이 성인기 해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조절 곤란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윤정숙,김영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insecur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adult dissociation.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436 adult men and women using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Revised (ECR-R), the Difficulties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and the Dissociative Experience Scale (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dult dissociation were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variables were significant. Second, attachment anxie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adult dissociation.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and emotional dysregulation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effects of childhood attachment trauma 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adult dissociation differ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insecurity dimensions, showing that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insecurity dimensions are need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 애착외상이 성인기 해리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형검증을 위해 온라인으로 성인 남녀 43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아동기 외상경험 척도(CTQ), 불안정 성인애착 척도(ECR-R),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 해리척도(DES)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아동기 애착외상은 성인 애착불안, 정서조절곤란, 성인기 해리와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성인 애착불안도 정서조절곤란, 성인기 해리와 각각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정서조절곤란 역시 성인기 해리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아동기 애착외상과 성인 애착회피 간 관계, 성인 애착회피와 성인기 해리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아동기 애착외상이 성인기 해리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애착불안과 정서조절곤란 경로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애착회피와 정서조절곤란 경로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아동기 애착외상의 영향이 불안정 성인애착의 하위차원에 따라 정서조절곤란, 성인기 해리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의 하위 차원에 따른 차별화 된 개입방략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형 성인애착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성인애착 연구 경험에 관한 초점집단면접

        이지민 ( Lee Ji Min ),한혜림 ( Han Hye Rim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성인애착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성인애착을 연구해 온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에 대한 정의와 개념,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성인애착 척도의 한계점, 한국형 성인애착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고려할 점에 대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초점집단면접에 참여자 7명과 개별 참여자 4명이다. 초점집단면접 참여자는 성인애착으로 학위를 받았거나 준비하고 있는 석사 졸업생, 박사 수료생, 박사 졸업생 등 연구자 7명이었다. 연구결과: 초점집단면접 분석결과 2영역에서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성인애착의 정의 및 개념에서는 기존 성인애착 정의 유지, 성인애착 정의에 대한 명확성, 문화적 고려에 대한 필요성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성인애착 척도의 문제점에서는 측정대상에 대한 문제, 문항에 대한 문제(문항의 모호함, 매끄럽지 않는 번역, 역문항), 범주와 차원에 대한 문제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형 성인애착 척도 개발을 위해서 실제로 성인애착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성인애착 척도에 대해 실제적 평가를 했다는 점과 성인애착 척도에 있어 문화적 특성에 대한 고려를 했다는 점에서 성인애착척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adult attachment and identify difficulties in using of adult attachment measur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of adult attachment researchers. Method: Seven adult attachment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four professors who conducted adult attachment studies were interviewed. Results: The interview analysis identified 8 categories and 2 domains. Regarding the domain of definition and concept of adult attachment, keeping the existing definition of adult attachment,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adult attachment, and consideration of cultural context were suggested. Second, in regard to the domain of difficulties in measurement, the issues of objects, research questions (ambiguity of questions, mistranslation, inversed questions), and level of category vs. dimension were identified.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a Korean adult attachment measurement would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adult psychosoci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 반추와 정서 억제를 중심으로

        김병직,오경자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maladaptive affect regulation(particularly brooding which is a type of rumination and emotion suppression) contributes as a mediator between attachment dimensions(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depression. 200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complete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ECRS), Ruminative Response Scale(RRS),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ERQ),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CES-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showed that (1) brood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achment anxiety and depression and (2)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depression was not mediated by emotion sup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200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의 성인 애착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 조절 양식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 방정식 모델 기법을 사용하였다. 성인 애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성인 애착 척도 (ECRS)는 성인 애착 불안과 성인 애착 회피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 연구 에서는 그 두 차원을 각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정서 조절 양식을 측정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성인 애착 특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반추와 정서 억제 변 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애착 불안과 반추, 우울 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 으며, 성인 애착 불안은 사전에 설정한 가설대로 반추라는 정서 조절 양식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성인 애착 회피의 경우 성인 애착 회피와 정서 억제, 우울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나, 예상과는 달리 성인 애착 회피가 정서 억제를 매개로 하여 우 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 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세정 ( Sejung Kim ),채영란 ( Youngran Ch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공감능력은 유아와의 상호작용과 교육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성인애착, 교사효능감, 공감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16명이었으며, ‘성인애착’, ‘교사효능감’, ‘공감능력’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공감능력 간에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에서는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의 일반효능감 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과 개인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애착의 하위영역인 회피애착이 일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성인애착이 공감능력과 하위영역인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으며,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안정적인 성인애착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Adult attachment,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great influence on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achment,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abilit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tachment on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ab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6 teachers in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in G city. ‘Adult Attachment’,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were used to collect research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achment,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ability,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general attachment efficacy and adult attachment. Second, adult attachment affects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and affection attachment, which is a sub-domain of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be a factor affecting general efficacy. Also, it was found that adult attachment affects empathy ability and sub-domain, which is emotional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dult attac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ability. In order to improve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suggested that stable adult attachment is importa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을 위한 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조사

        문연경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유아음악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 보다 유익한 교사의 태도 개선에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유아음악 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의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유아음악 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유아음악 교사의 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유아음악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애착 전체가 높을수록 교사의 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정형 애착을 보인 교사들이 교사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음악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음악교사의 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악교육에서도 유아음악교사의 성인애착유형과 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유아음악교사들에게 교육 지도방법과 더불어 교육을 하는 교사의 정신적 태토를 순화하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purposes to figure out how the adult attachment and efficacy of infant music teachers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o propose directions on attitude improvement of teachers for the better on the education site based on this. ‘Hypothesis 1. The adult attachment of the infant music teacher may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efficacy of the teachers. Hypothesis 2. The adult attachment of the infant music teacher may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s. Hypothesis 3. The efficacy of the infant music teachers may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refore, the study results were; first of all, the adult attachment of the infant music teacher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efficacy of the teacher. That is, as the entire adult attachment gets high, the efficacy of teacher appears low. This means that the teachers with stable attachment has higher teachers’ efficacy. Second, the adult attachment of the infant music teachers appeared to have no meaningful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rd, the efficacy of infant music teachers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at is, as the higher teacher efficacy is shown, the level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higher. Therefore, the types of adult attachment and efficacy of infant music teacher from the music education may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s, so it seems that the education on the teaching method and the psychological attitude purification of teachers to the infant music teachers is important.

      • KCI등재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성인애착, 반려동물애착의 군집유형에 따른 애착강도, 애도의 차이

        임혜선(Hye Sun Lim),홍혜영(Hye Young Hong)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성인애착, 반려동물애착에 따른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애착강도, 애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 410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반려인의 성인애착과 반려동물애착에 따라 ‘불안정성인애착-반려동물불안애착군집’(N=175), ‘안정성인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72), ‘성인회피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81), ‘성인불안애착-불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82)이 도출되었다.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군집에 따라 애착강도, 애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불안정성인애착-반려동물불안애착군집’은 다른 군집에 비해 애착강도와 애도가 가장 높았고,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슬픔/비애, 죄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성인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애착강도가 다른 군집에 비해 높았으며,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슬픔/비애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회피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평균수준의 애착강도를 보였으며, 애도는 다른 군집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불안애착-불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애착강도와 애도가 가장 낮았으며,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분노/트라우마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인간관계와 반려동물관계의 애착양상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애도상담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e current study is to classify the cluster groups in adult with the loss of their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ir adult attachment and companion animals attachment,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ccording to each cluster group. For the goal, survey responses from a total of 410 adults were used to conduct cluster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adult attachment and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the following 4 groups such as;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175), ‘Secur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72), ‘Avoidanc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81), and ‘Anxious adult attachment-In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82) were derive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OV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depend on clusters.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the highest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nd grief and guilt were high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Secur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a higher attachment strength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grief was high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Avoidanc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an average attachment strength, mourning wa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xious adult attachment-In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the lowest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nd anger/trauma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These finding results are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human relationships among adult who have lost their companion animals and the attachment aspect of the companion animal relationship in an integrated way, and preparing the essential data for the intervention of grief counsel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민하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6 No.1

        타인과 긴밀한 정서적 유대감을 가지려는 인간 성향인 애착은 내적작동모델로 기능하면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어머니의 성인애착은 자녀와의 상호작용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만족도 역시 긍정적 심리 요인으로 기능하면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애착인 성인애착이, 그리고 삶의 질을 반영하는 삶의 만족도가 양육행동 중 애정적 양육행동에 더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거부적 양육행동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통해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정적 또는 거부적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는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대한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내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331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하였으며 SPSS PC(15.0 version)프로그램의 단순 및 표준적 중회귀분석을 통해 유의수준 .05미만에서 자료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은 성인애착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은 성인애착이 낮을 때, 삶의 만족도가 낮을 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설명력은 성인애착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 역시 삶의 만족도보다 성인애착에 의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애정적 또는 거부적 양육행동에 있어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삶의 만족도보다 더 영향력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외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는 애정적 양육행동보다 거부적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힘이 더 크다는 것이다. 이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을 높이기보다 거부적 양육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에 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

        박희정(Hee Jung Park),박재우(Jae Woo Park) 한국심리치료학회 2023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 성인애착의 관계를 확인하고,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39세의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가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의 내부 일치도(Cronbach's a)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변수 간의 모형 적합도와 인과구조를 확인하였고, 팬텀변수를 이용하여 각 매개변수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집단 확증요인분석과 다집단 경로분석을 통해 남녀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은 성인애착불안과 성인애착회피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성인애착불안과 성인애착회피는 각각 양의 상관관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아동기의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애착불안과 성인애착회피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기의 정서적 피학대경험, 성인애착 및 젠더 감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기의 정서적 피학대 경험이 젠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성인의 애착불안은 젠더 감수성을 감소시켰고 성인의 애착회피는 젠더 감수성을 높이는 매개변수임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젠더 감수성 관련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를 상담할 때 내담자의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성인 애착유형을 탐색하는 것이 도움이 됨을 증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gender sensitivity, and adult attach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gender sensitivity. Therefor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ender sensitivity, and that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of adult attach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gender sensitiv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verify this, a total of 300 adults aged 20 to 39, 150 males and 150 females, were survey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the collected data followed a normal distribution. In addition,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ternal agreement (Cronbach’s a)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inally,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confirm the model fit and the causal structure between variables, and the indirect effect of each parameter was confirmed using a phantom variable. In addition,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path analysis were verified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gender sensitiv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Third,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were positively and negatively correlated, respectively. Fourth, it was found that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gender sensitiv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dult attachment and gender sensitivit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did not affect gender sensitivity, and it was proved that adult attachment anxiety decreased gender sensitivity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was a mediator that increased gender sensitivity.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ove that it is helpful to explore the client's child/adolescent abuse experiences and adult attachment types when counseling clients complaining of gender issues.

      •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취약성과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김은혜,장문선,조현춘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4 가족과 상담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 수치심경향성, 자기불일치, 내현적 자기애, 사회불안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리고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남 여 총 435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애착, 수치심경향성, 자기불일치, 내현적 자기애, 사회불안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성인애착, 사회불안과의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특히 수치심경향성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수치심경향성과 자기불일치, 내현적 자기애는 애 착회피보다 애착불안과 더 관련이 있고, 사회불안은 애착불안보다 애착회피와 더 관련이 있었다. 둘째, 성 인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관계에서 애착불안과 회피는 모두 내현적 자기애를 직접경로로 유의하게 설명 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인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관계에서 수치심경향성과 자기불일치의 부분 매개효과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애착회피와 사회불안의 직접경로만 유 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애착불안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완전 매개효과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고, 애착회피는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부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및 치료 장면에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내현적 자기애자들의 성인애착을 살펴 봄과 동시에 유년기애착의 문제를 가정하도록 하여 초기에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도록 이끌어 치료의 시기 와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차지연,김정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social anxiety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and mediating variable such as self-compassion. A total of 352 Korean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follow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Social Interactive Anxiety Scale (SIAS), Social Phobia Scale (SPS), and Korean Self-Compassion Scale (K-SCS). Only 334 students (121 males, 213 females) were chosen for data analysis. SPSS 18.0 and Mplus 6.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for performing the analysis. Additionally, bootstr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significanc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anxiety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Second, self-compass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ird,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본 연구는 불안정한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자기자비 및 사회불안(상호작용 불안, 수행 불안)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애착이론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불안정한 성인애착을 예측변인으로, 자기자비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남녀 352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경험검사(ECR-R),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 공포증 척도(SPS), 한국판 자기자비심 척도(K-SCS)를 활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3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18.0과 Mplus 6.0(Muthen & Muthen, 2012)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은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자기자비는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유의미하게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성인들을 위한 심리적 개입으로써 자기자비의 유용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