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간 상호인식 변화의 원인 분석과 전망

        김동찬 한중사회과학학회 202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0 No.3

        This paper confirmed and analysed the trend of change in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THAAD conflict, which served as a major inflection point for mutual understanding for 30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With this process, this paper tried to prove that external variables such as international system and U.S.-China relations, factors inherent in bilateral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and factors at the domestic level of Korea and China have influenced formation and change in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China. However, comprehensively evaluating the current situation, external variables, variables inherent in the Korea-China bilateral relationship, and variables at the domestic level are likely to negatively affect mutual perceptions of Korea-China. First,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s expected to continue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external variable is likely to act in a direction that generally have a negative effect on mutual perceptions of Korea-China. Second, two factors that will negatively affect mutual perceptions are also being raised in terms of bilateral relations. One factor is the fact that complementary industrial structure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now turning competitive. Another factor is the gap between South Korea’s expectations for China’s role and China’s expected diplomatic behavior in 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ird, the fact that mutual perceptions is worse among young people in both Korea and China will negatively affect future mutual percep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At this point, it is not considered easy in reality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mutual percep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be greatly improved. Therefore, efforts to manage the occurrence of situations in which mutual percep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orsens in the future are needed first. In addition, both countries should focus their efforts on preventing unreasonable choices due to deteriorated mutual perceptions in the important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본 논문은 한중 수교 후 30년 동안 한중 상호인식에 중대한 변곡점으로 작용한 동북공정이슈와 사드 갈등을 시간적 분기점으로 설정하고, 활용 가능한 여론조사 결과들을 토대로각 시기별 한중 상호인식의 변화 추세를 확인한 후 이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한중 상호인식 형성과 변화에는 국제 체제적 차원과 미중 관계라는 외부적 변수, 한중 양자관계 차원에 내재하는 요인들, 한국과 중국 국내 차원의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현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보면, 외부적 변수, 한중 양자 관계에 내재하는 변수, 국내 차원의 변수 모두 한중 상호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첫째, 미중 전략적경쟁은 향후 상당 기간 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이 외부적 변수는 한중 상호인식에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한중 간 상호보완적 산업구조가 이제는 상호 경쟁적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과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한국의 중국에 대한 기대와 예상되는 중국의 외교 행위 사이의 간극 등 양자관계 차원에서도 상호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요인들이 제기되고 있다. 셋째, 한중 양국 모두 청년층에서상호 인식이 더 나쁘다는 점도 미래의 한중 상호인식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현 시점에서 양국 간 상호인식이 대폭 개선될 계기를 마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향후 한중 상호인식이 더 악화되는 상황 발생을 관리해 나가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양국 모두 중요한 외교정책 결정 과정에서 악화된 상호인식으로 인해 비합리적 선택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노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키에르케고어의 『사랑의 역사』에서드러난 상호주체성(intersubjectivity)”의기독교 사회윤리학적 의미

        장호광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4 No.-

        오늘날 한국사회를 냉철하게 들여다보면 소통과 배려의 부재, 승자독식과 약육강식, 과도한 경쟁의식,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인 극단적 대립현상(우파와좌파), 그리고 있는 자들의 슈퍼 갑질 등으로 인해 불거진 편 가르기와 심각한양극화 현상이 뒤덮고 있다. 자아와 타자의 관계를 상생과 공존 그리고 상호 인정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증오하고 무시하는 적대적인 관계로 치닫고 있는안타까운 현실과 마주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쓰여 진 본고의 목적은 제목에서 잘 드러나 있듯이, 키에르케고어의 대표적 작품인『사랑의 역사』에서 드러난 상호 주체적 사상을 소개하여 극단적인 양극화 현상으로 인해 불거진 한국 사회문제를 해소할 대안을 암시적으로제시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1장 “서론”에서는 전술한 현 한국사회의 상황에서키에르케고어의 상호주체성을 소개해야 할 문제의식과 당위성을 제시해 보았다. 2장 “상호주체성의 인식가능성”에서는 키에르케고어가 말하는 사랑은 단순히 인간의 내적 상태나 감정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시적 현상(행위)으로 표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상호주체성에는 인식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음을 드러내려 했다. 그 인식가능성은 “이웃의 개념인식”과 “나-너의 관계”, “인간 상호 간에드러난 상이성”, “이웃됨의 인식” 그리고 “타자에 대한 이중적 인식”에서 보다 자세히 소개된다. 그리고 3장 “사랑의 상호 주체적 작용”에서 키에르케고어의 상호주체성은 사랑하는 자와 사랑받는 자, 즉 자아와 타자 간에 변화를 이끌어내는상호적 작용에서 보다 명확하게 드러남이 서술된다. 이런 사랑의 작용이 “사랑의빚”과 “사랑의 덕을 세움”으로 구분하여 소개된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키에르케고어의 사랑의 역사는 일방적으로 맞추어진 ‘발신인-수신인’ 간의 소통의 의미를지닌 단순한 전달행위가 아니라 주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 소통의 사건임이부각된다. 자아와 타자 사이에 상생과 공존 그리고 상호간 인정을 지향하는 키에르케고어의 상호주체성이 오늘날 일그러진 한국사회를 추스르고 정립시킬 새로운 대안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본고가 마무리 된다. The current Korean society is filled with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the winner-take-it-all and weak-to-the-wall mindset, the excessive sense of rivalry,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extreme confrontation(the right and the left) and the splitting and extreme polarization caused by the power harassment of the haves. Namely, the Korean society is faced with the sad reality that moves towards the hostile relationship of hatred and ignorance between self and others rather than it forms the relationships of coexistence and mutual recognitio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troduce the intersubjectivity of Works of Love of Kierkegaard, and implicitly to suggest the solutions to address the issues of the Korean society caused by this extreme polariz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of Kierkegaard in the recent Korean society. This paper argues that intersubjectivity is not limited to the internal state or human emotions but needs to be expressed as tangible phenomena(behaviors). Also, this paper develops that the intersubjectivity of Kierkegaard is more clearly revealed in the interactive actions that create changes between the lover and the loved, in other words, self and others. This action of Love is introduced as “debt of love” and “virtue of love”. Lastly, this paper emphasizes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agents rather than just a simple delivery ac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one-sided fixed ‘sender-receiver.’ It concludes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of Kierkegaard which searches for coexistence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self and others will contribute to the present Korean society as a new alternative to straighten the recent perversions of it.

      • KCI등재

        상사-부하의 일가치 일치성, 상사-부하가 상호인식하는 LMX의 질이 부하의 정서적 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라윤정,서용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4 No.4

        LMX를 부하관점에서만 바라보던 대부분의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부하 양자가 인식하는 LMX를 중심으로 상사-부하의 일가치 일치성이 상호인식LMX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상호인식 LMX가 부하의 정서적 몰입을 거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더불어, 상사-부하의 상호인식LMX의 형성과 조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문화와 상사의 LMX차별화의 교차수준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다양한 기업의 직원들에게 설문하였고, 최종적으로 19개 기업, 60 팀, 266쌍의 리더-구성원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상사-부하의 일가치 일치성은 상호인식하는 LMX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관계는 성과지향 조직문화가 낮을 때 더 강화되었다. 또한, 상사-부하의 일가치 일치성은 상호인식 LMX와 정서적 몰입의 순차매개를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상호인식LMX가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상사기반 LMX차별화의 교차수준 상호작용효과는 90%신뢰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호인식LMX를 중심으로 선행 변인으로서 상사-부하의 일가치 일치성의 영향과 이와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를 연결하는 상호인식LMX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층분석을 통해 조직문화가 상호인식 LMX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상사의LMX차별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부하의 정서적 몰입을 낮추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매개효과

        문정희,송승민,한정이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보육교사가 전문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았고,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졌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어떻게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인식 수준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이윤선 한국생애학회 2023 생애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질 높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위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303명의 보육교사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를 산출하였고,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문성 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아탄력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도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즉 보육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았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ego-resilience, and child interaction in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how the former two affect the latter. A total of 303 childcare teachers from nurse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 of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ego-resili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Results showed that both expertise awareness and ego-resili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Furthermor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ego-resilience positively affecte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

        김연수,이시자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0 teacher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old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K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all cases among the teacher’s happiness,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um path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technology, self-awareness, and ecological understanding,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happiness of the teach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favorable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to enhance the happiness of teachers, and to strenghten the teacher education to upgrad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인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설문지(최영옥, 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 설문지(김시연, 2014), 전문성 발달 자기평가 설문지(백은주⋅조부경, 2004)를 배부하고 그 가운데 300명의 자료가 SPSS 23.0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전문성인식의 세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의 하위 영역 간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의미 있는 정도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나아가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부분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전문성인식의 세 하위 영역 가운데 지식과 기술발달, 생태학적 발달 그리고 자기이해 발달의 순서로 부분 매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전문성 인식에 의해 매개되어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문성인식 가운데 교육과정을 계획, 수행, 평가하며 유아 및 학부모와 상호작용 하는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발달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인식을 증진하려는 방안 마련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상호작용적 미디어를 통한 정치인의 이미지 형성-정치인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송인덕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상호작용성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미디어의 기술적 측면과 이용자 인식의 주관적 측면 간의 관계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객관적 상호작용성과 이용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한 상호작용성의 효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의 제한점을 일부 극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미디어 시스템의 상호작용적 기술이 초래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그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정치인에 대한 이미지 또는 태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기술의 수준을 달리하는 3개의 정치인 웹사이트를 자극물로 제시하는 집단 간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인 웹사이트에 포함된 상호작용적 기술들, 즉 웹사이트의 객관적 상호작용성 수준은 이용자들이 정치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있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웹사이트의 상호작용적 기술들은 이용자의 상호작용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고, 이러한 주관적 경험은 다시 정치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그 정치인에 대한 호의적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사실이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되었다. 이는 웹사이트의 객관적 상호작용성은 이미지나 태도 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이용자의 상호작용성 인식을 통해 그 효과가 매개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해 주는 결과이다.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effects of interactivity, the present study conceptually defines interactivity as being resi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s interactive technologies and users' perceptions of them. And, this study intends to overcome some of the limitations in the previous research by measuring the effects of objective interactivity against the effects of users' perceived interactiv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not only the effects caused by interactive technologies of media system in the context of political communication but also the effects of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which may be influenced by the content delivered through the media system, on the formation of politician's image or attitudes toward the politicia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between-group experiment was conducted by utilizing three versions of stimulus websites designed to have different levels of technological interactiv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ve technologies included in the politician’s Website have not directly affected formation of positive images of the politician. However, interactive technologies on the Website have led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to the positive direction, then users’ subjective experiences have resulted in positive evaluations and finally favorable images of the politicia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objective interactivity of Websites on image building or attitude formation may be mediated through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mediation process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사회과의 글로벌인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구성

        장혜정(Jang, Hye Jeo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2 글로벌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인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구성의 준거를 제안하고, 이 준거에 터하여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글로벌인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구성에 대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세계화 시대에 이성적이고, 참여적인 세계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사회과 교육목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글로벌인식의 함양이라 할 수 있다. 글로벌인식의 함양이란 아동이 전지구적 관점으로 세계를 보고,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며, 각 지역의 문화 및 가치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문화의 상호 비교, 이를 통한 문화와 가치의 보편성에 대한 인식, 타문화의 관점에서 자기문화 조망, 문화간 상호작용을 통한 세계문화의 개념 형성, 타문화를 수용하는 태도, 전통 및 자기 문화에 대한 태도 등이 포함된다. 둘째, 글로벌인식 함양과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종합하여 내용 구성 준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ⅰ) 지역·국가·세계 내용과 과거·현재·미래 내용의 균형을 통해 시공간 인식의 폭을 넓혀 주어야 한다. ⅱ) 문화 다양성, 문화간 상호작용, 문화 상대주의, 전통문화의 보전과 재발견 등 문화간 이해를 촉진시켜야 한다. ⅲ) 통합사회과를 지향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ⅳ) 인간과 자연, 자신과 타인의 상호관련성과 상호의존성의 이해를 돕는 내용이어야 한다. ⅴ) 학생의 생활과 밀접하고, 흥미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셋째, 글로벌인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구성의 예로서 세계문화유산을 소재로 하여 웹사이트 형태의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즉, 지역의 과거와 관련된 세계문화유산을 소재로 하여 세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문화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여 문화간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 웹사이트를 기획하였다. 이를 위해 시공간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할 때 학생 대상의 웹사이트인 점을 고려하여 공간적으로는 세계지도를, 시간적으로는 연대표형식의 메타포를 이용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세계문화유산과 같은 범주의 다른 나라 세계문화유산을 비교하는 활동을 통하여 문화 다양성, 문화간 상호작용, 문화 상대주의 등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전통문화를 보전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그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한 활동으로서 세계문화유산신청 활동을 제공하였다. Recently globalization has rapidly transformed the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This social change require the global perspective in school.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of the content for the global perspectiv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rationale of the global perspectiv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studies and curriculums related to global perspective. Also, the criteria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 for global perspectiv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re suggested. ⅰ) balance of the content in the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ⅱ) diversity of cultures and values, connections and borrowing of cultures, cultural relativism and conservation and rediscovery of the traditions of one's own culture ⅲ) integrated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ⅳ) interdependence and interconnection ⅴ) children's life and interest. Based upon these criteria, a case of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n the world wide web is suggested. The world heritage promote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content for global perspective.

      • KCI등재

        상호객관주의 인식론이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복잡성이론을 중심으로

        정대현(Jung, Dae-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4

        유아가 세상을 인식하는 메카니즘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교육내용 및 방법이 달라진다. 최근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의 변화로 인해 기존 인식론의 틀이 허물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담론에서의 인식론적 체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지배적인 담론으로부터 탈주하여 복잡성 이론을 통해 조명되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상호객관주의적 인식론이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유아교육담론에서의 인식론은 절대적 진리가 있어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데 정확한 기준이 있다는 객관적 인식론, 인식하는 주체가 세계 내에서 통용되는 대상을 자기의 사유로 받아들인다는 상호주관적 인식론, 인식하는 주체와 객체의 구별을 해체하고 서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보는 상호 객관적 인식론으로 지평을 넓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복잡성 시대 등장한 상호객관주의 패러다임은 유아기 놀이와 교육의 방향성까지 제시할 것이다.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vary depending on how young children define the mechanisms for recognizing the world. Recently, changes i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AI have broken down the framework of existing epistemology.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considered the epistemological sy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iscourse,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interobjective epistemology, a new paradigm that is shown through complexity theory, by escaping from the dominant dis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re is an absolute truth in the epistem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iscours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broaden epistemological horizon by examining the objective epistemology which has an exact acceptance criteria, intersubjective epistemology that the subject accepts the object in the common world as his or her own background, and the interobjective epistemology that deconstruct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cognizing subject and the object, and establishes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interobjectivity paradigm that emerged in the age of complexity would suggest the direction of play an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돈과 재물에 대한 통합적 인식과 상호관계적인 영성

        김홍근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3

        성숙한 영성적 삶을 사는 자는 돈과 재물에 대해 통합적인 인식과 균형 잡힌 가치관에 기초하여 우주만물이 상호관계적임을 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만물은 상호연결과 상호 관계적이라는 사실에 기초하여 돈과 재물 소유에 대한 바른 인식, 즉 통합적 인식과 상호관계적인 영성을 가지게 하려는 데 있다. 모든 것에는 독과 영양분이 함께 공존한다. 돈과 재물도 마찬가지이다. 신구약의 말씀은 돈과 재물의 해로운 면과 유익한 면을 동시에 가르친다. 본 논문은 물질에 대한 어두운 면, 즉 독소적인 면을 살펴본 후 밝은 면, 영양분의 역할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어두운 면과 밝은 면을 어떻게 영성적으로 통합해야 하는가를 다루었다. 청교도들은 그들의 생활양식에서 돈과 재물에 대한 독소와 양분을 통합하는 방안을 발견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천하였다. 청교도들은 부요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선물로 보았으며, 인간은 하나님이 주신 것을 관리하는 청지기라고 생각했다. 돈과 재물에 대한 강박적인 탐욕을 가지는 것은 무의식적으로 자기 파괴와 대상파괴를 하는 행위이다. 소유에 대한 강박적인 탐욕을 가진 자들은 자기만족에 기초되어 있으므로 상호연결과 상호의존에서 나오는 긍휼의 영성을 그들에게서 찾을 수가 없다. 인간의 존엄성을 말살하는 경제법칙은 제거되어야 하며, 새로운 대안이 나와야 한다. 그 새로운 대안이 긍휼의 영성에 기초한 경제학이다. 긍휼의 영성은 상호연결과 상호관계적인 세계관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돈과 재물에 대한 올바른 방향은 개인주의와 국가주의를 넘어선 지구촌 상호연결, 상호의존적 관계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데로 나아가야 한다. 지구촌 사람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의존되어 있음을 알 때 돈은 더 이상 인간들의 신(Mammon)의 자리에 앉아 군림하거나 숭배를 받을 수가 없게 될 것이다. 지구촌 경제학은 모든 국가와 민족이 한 집에서 사는 공동체의 일원임을 깨닫고 긍휼의 영성적 삶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통합적 인식을 가진 자는 부요한 자와 가난한 자에 대하여 편견이나 왜곡됨이 없이 진정으로 소유를 넘어 참된 나눔과 관용의 삶을 살게 된다. Someone who matured and lives spiritual life can know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mutuality based comprehensive cognition about money and wealth and balanced values 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nd proper attitude to own money and wealth in other words, comprehensive cognition and spirituality of mutuality through the teachings of spirituality. The poison coexist with the nutrient with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It is applied into money and wealth. The Old and New Testaments teach us harmful part and beneficial part about money and wealth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the beneficial part, that is to say nutrient about money and wealth will be presented after examine its harmful part, that is to say poison. After that it will be dealt with how can integrate its dark side and bright side spiritually. In their lifestyle, Puritans took action not only found the way to integrate poison and nutrient about money and wealth. They believed money and wealth was entirely God's gift. And they believed that human beings are stewards for management about God's gift. Having Obsessive greed toward money and wealth is the act of self-destruction and object-destruction unconsciously. It can be found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which from interconnection and interdependence from who have obsessive greed toward possession based on self-satisfaction. Economic laws what destroy the dignity of the human being should be removed and it needs an alternative solution. That alternative solution is new economics, based on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Spirituality of compassion is based on a view of the world with interconnection and mutual relations. Therefore, beyond the individualism and nationalism, the proper attitude about money and wealth reaches to recognize and practice global interconnection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 Money and wealth no longer worshiped or be seated as God(Mammon) when it found that people are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d in global. Global economic sense means that realize all country and nations ar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one house, the earth and practice spirituality of compassion in life. Someone who have such an integrated awareness can live with genuine will of sharing and generosity beyond the bias or distortion about the poor and the ri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