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이지수(Jisoo Lee),김진서(Jin-seo Kim),한유진(Yujin Han),이유선(Yuseon Lee)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24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Group Play Therapy Program utilizing Picture Books on the sociality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The study included 3 children identified as having Borderline Intelligence based on K-WISC-Ⅳ test results,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nsisting of 12 sessions, each lasting 50 minutes, conducted twice a week. To assess changes in sociality, the average scores on a social development scale were compared as pre- and post-score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social behavioral changes. The results reported a significant overall improvement in sociality after the program. Additionally, qualitative observations highlighted observable changes in the sociality of participating children. These research findings emphasize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utilizing Picture Books as an impactful approach to enhancing the sociality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 학교생활 부적응을 겪는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 연구 - 치료단계별 놀이주제 및 놀이행동 분석을 중심으로 -

        최은경(Choi, Eun Kyoung)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1 No.-

        본 연구는 ADHD로 인해 학교생활 부적응을 겪는 초등학교 2학년 남아에 대한 놀이치료 사례연구이다. 7개월간 30회기에 걸쳐 아동중심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놀이주제 및 놀이행동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 정리하였다. 내담아동은 아동중심놀이치료 과정에서 자기성장에 필요한 심리적 주제들을 안전하게 다루어 나갔는데, 그 주제의 흐름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초기에는 주로 대립적인 관계구도 속에서 ‘힘/통제-양육-의존’의 주제가 중심을 이루었고, 중기에는 남아발달의 과정 속에서 ‘힘/통제-관계-숙달’의 주제가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정 속에서 ‘힘/통제-숙달-보상-회복/탄력-통합’의 주제들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부모상담을 통해 보고된 학교생활 적응 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들이 많이 나타났으며, 그 변화의 흐름과 단계별 시점을 살펴볼 때 치료실에서의 변화와 실생활에서의 변화가 상호 맥락을 같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ADHD 증상으로 인해 학교생활 부적응을 겪고 있는 남아에게 아동중심놀이치료를 실시하고, 치료단계에 따른 놀이주제 및 놀이행동의 변화를 생활상의 변화와 함께 분석해봄으로써 아동중심놀이치료가 ADHD 아동에게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논의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lay therapy for a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boy who has suffered school maladjustment due to ADHD. The child-centered play therapy was conducted thirty times total in seven months, and the changes were analyzed based on play themes and changes of play behavior in the process of therapy. During the child-centered play therapy sessions, the child tried to handle psychological themes which are essential for self growing. Examining the flow of themes by phase; in the beginning, the main theme was ‘power/control-nurturing-dependency’ within composition of antagonistic relations. In the middle of the stage, the theme of ‘power/control-relationship-mastery’ came up with a boy’s development process. In the latter stage, it showed the aspect of increase on the theme of power/control-mastery-reparation-resiliency-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boy s school life adaptation reported from parent counselling also indicated many positive changes. Judging from the flow of the change and each point of the stage, it showed that changes in a therapy room and in his real life are within the mutual contexts. This thesis has a significance that was examined and discussed the effect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on children with ADHD by conducting child-centered play therapy to the boy suffering school maladjustment due to ADHD and analyzing changes based on play themes and changes of play behavior by phase of therapy together with the changes in his real life.

      • 선천적 수두증으로 인해 입원 경험이 있는 9세 여아의 아동중심 놀이치료 사례연구

        김에스더(Kim, Esther)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19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2 No.-

        본 연구는 태어나 3개월 이후 선천적 수두증으로 진단받은 학령기 9세 여아의 놀이치료 사례 연구이다. 의료적 처치(션트 수술)를 받아 현재까지 정기적인 수술과 외래진료를 병행 하고 있으며 1년간 40회기에 걸쳐 아동중심놀이치료를 진행하였으며 HTP, KFD로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다. 내담아동의 질병과 관련하여 불안과 공포, 부모의 양육태도로 인해 퇴행행동을 반복하는 등의 문제로 상담에 의뢰가 되었다. 놀이치료로 아동은 도입기에 관계를 만들기 위해 ‘불안감–의존–불안’을 반복하였고, 중간기에는 ‘양육-관계- 숙달’를 반복적으로 나타냈으며, 종결기에는 ‘숙달-회복력/탄력-분리-관계’로 놀이주제를 나타내었다. 또한 놀이주제를 통한 부모상담 변화는 아동과의 불안과 퇴행을 낮추고, 타인과의 관계 개선에도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HTP, KFD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분리된 자아가 하나로 통합되는 심리적인 변화를 객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사례의 제한점으로는 아동의 질병이 완치 된 것이 아니어서 Rey의 진보와 종결단계를 보지 못한 것에 아쉬움이 있다. 또한 아동의 또래관계 해결까지 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나 아동중심놀이치료를 놀이행동과 놀이주제를 분석함으로서 불안과 퇴행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적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play therapy for a 9-year-old girl who was diagnosed with congenital hydrocephalus three months after she was born. With medical treatment (shunt surgery), the medical institution has performed regular surgery and outpatient treatment to date, and has performed 40 child-centered play therapy over a year. As the child grew up, she began play therapy related to cognitive development. In this study, during the consultation period of children s play therapy, children were operated for surgery and hospitalization 5 times, and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atrop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limited due to repeated experience of outpatient treatment. The girl was dependent, and repetitive hospitalization did not protect her safety and privacy. The girl had a child-centered play therapy and went through a separate personalization process. This is a case study show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elf into play therapy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results.

      • 부정적 자아상으로 부적응 문제를 보이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정애련(Jung, Ae-Lyun)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1 No.-

        본 연구는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 사이에서 태어난 아동이 언어와 낮은 자존감의 문제로 유치원 부적응을 보이는 사례이다. 아동은 영아기에 부의 부재로 인해 모국어인 한국어를 배울 기회가 부족하여 언어소통에 어려움이 있었고 유치원에서 부정적 또래 경험을 하게 되면서 부정적인 자아상과 자신감 결여 등으로 부적응 문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를 통하여 아동이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적 관계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다양한 감정인식과 감정표출을 도와 긍정적 자아를 발달시키는데 치료의 목적을 두었다. 놀이치료는 주 1회 40분 치료와 10분 부모 상담으로 총 7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놀이가 진행되고 치료자와의 신뢰관계 속에서 감정이완과 공격성을 표출하면서 아동이 안전한 환경 안에서 긍정적 자아를 찾을 수 있도록 놀이를 촉진시켰다. 아동의 놀이치료와 함께 아동이 부모 나라에 대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상담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의 이해와 지지로 아동의 문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for the child from Korean father with foreigner mother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justment to preschool and peer interaction. The child has problems in language communication caused by lack of time to learn Korean due to the absence of father. Therefore it leads to peer relationship problem and also negative self-image as well as lack of confidence. The study aimed at, build positive self-image through play therapy in therapeutic relationship to express and recognize his emotions. The treatment consisted of 70 sessions, which were one session per one week for 40 minutes play therapy for child, and 10 minutes for parents counselling. During the treatment he had expressed relaxed emotions and also aggressions in trusting relationship with therapist. The treatment sessions also produced parent education for child to recognized positive self though understanding parents’ countries, thus the problems child experienced was changed positively by parents’ supporting and understanding.

      • 자기통찰 프로그램이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김금란(Kim, Guem ran),한유진(Han, You-Jin)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19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통찰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통찰의 과정으로 자기인식, 자기탐색, 자기이해의 세 가지 단계가 요구된다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3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놀이치료사로, 실험 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고, 프로그램은 12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놀이치료사의 전문성의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놀이치료사의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놀이치료사의 질적인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찰이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을 높이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검증하였다. 둘째,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실천적인 경험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self-insight program and test the effec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therapist. The program was designed reflecting the theories of various scholars that three stages, self-awareness, self-search and self-understanding as the process of self-insight. The study subject was play therapists with 5 years or more experience, with 6 in test group and 6 in controlled group, and the program was performed over 12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s. Second,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ympathising ability of play therapists. Thir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qualitative change of play therapi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t proved that self-insight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 Second, the study suggested an effective interference method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 play therapist. Third, it has provided a basis for developing programs and practical experimental study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of play therapist.

      • 보육기관에서의 집단놀이치료가 불안 정서를 지닌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노경희(Nou Kyoung Hee),이행숙(Lee Haengsuk)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20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한 정서를 지닌 6 ̴7세 유아를 대상으로 보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집단놀이치료가 또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원 생활을 하는 유아 중에서 접수 면접 및 심리검사를 토대로 불안정서의 유아를 선정하였으며, 보육기관에 놀이치료실 환경을 구성하였다. 집단놀이치료는 아동 중심의 놀이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3개월간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놀이치료에서 표현된 놀이의 관찰을 통해 놀이치료과정에 따른 또래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집단놀이치료를 실시한 집단에서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셋째, 초기의 탐색단계, 중기의 부정적 상호작용의 단계를 지나서 후기에는 적극적인 긍정적 상호작용 단계의 과정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의 집단놀이치료가 불안 정서를 지닌 유아의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f infants are not overly active or flexible, and are not well-intentioned, they re not able to control their negative sentiments, such as aggressive behavior or avoiding problems, and they are not able to control their negative sentiments. the effects of play therapy on peer-to-peer issues Three months of play therapy based on the reception interview and psychological examination. This is th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12 th session and th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observation of play. It has looked at the effects, as well as positive awards that appear in peer interactions as treatment progresses. After taking a look at the change in behavior, the teacher had two weeks of counseling after the session. The result was the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the results of a collective play therapy showed that the positive improvement in the positive interact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a group s negative interactions are effective in the negative interactions of a group of experts. The study shows that collective play therapy in childcare facilities is effective.

      • 전통놀이를 활용한 조모-손자녀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이 조모-손자녀 관계 및 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원용희(Won, Yong Hee),최지경(Choi, Ji Kyoung)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1 No.-

        본 연구는 전통놀이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조모-손자녀의 관계 및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A 구 B 어린이집 재원 유아 중 만2세∼3세 유아와 그 유아를 공동양육하는 조모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8쌍(N=16)을 선정하여 그 중 실험집단에 4쌍, 통제집단에 4쌍씩 각각 무선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2018년 6월 8일 ~ 7월 6일까지 주 2회 50분씩, 총 8회기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후 조모들을 대상으로 조모-손자녀 관계척도와 조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했고, 이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 프로그램 과정을 녹화하여 조모와 손자녀 관계 변화를 분석·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조모와 손자녀를 대상으로 전통놀이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조모-손자녀 관계를 향상하고, 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ttachment relationships between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by participating together in a group play therapy program using traditional play and to reduce the grandmother s parenting stress from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nd the dysfunctional interaction of the grandchildr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eight pairs (N = 16)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experiment as general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who are being nurtured by grandmothers and as two-year-old infants in the B-nursery school where is in A District of Seoul. And the half (four grandmothers and four grandchildren) of them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four grandmothers and four grandchildren)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8th session of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using traditional play. As a measurement tool fo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scales of grandmother-grandchild relationship and the grandmother s parenting stress were used. In addition, the program process was recorded and analyzed to evaluate changes in relationship between grandmother and grandchildre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hows that a group play therapy using traditional play improves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contributes to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reduces grandmother s parenting stress.

      • 놀이치료에서 나타난 ‘종(鐘)’의 상징에 대한 연구

        이재정(Lee, Jae Jung)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19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치료에서 놀이장면과 모래상자에 등장하는 종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치료자는 내담자의 고유한 정신세계를 나타내는 상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동양종과 서양종의 유래 및 발달과정을 역사, 문화, 예술, 종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다의적인 종의 상징을 확충해 보고자 하였다. 종에 부여되는 상징성은 첫째, 시종(時鐘)으로서 시계의 기원을 지니는 종으로서 청각적인 울림으로 주로 정각에 시간을 알리는 의미이다. 둘째, 악종(樂鐘)으로서의 종은 제사나 연회를 베풀 때 종소리를 내어 청정의 의미를 지닌다. 셋째, 시종(始終)으로서의 종소리는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끝, 그리고 새로움을 상징한다. 넷째, 경종(警鐘)으로서의 종은 위급한 일이나 비상사태를 알려서 경각심을 일으키는 상징이 된다. 다섯째, 기독교와 불교 등 종교에서 사용하는 종은 신성(神聖)으로서 존엄성과 성스러움을 상징한다. 여섯째, 벽사(辟邪)와 진경(進慶)의 의미로 때론 악령을 물리치는 의미와 경사스러운 일을 끌어들이는 것을 상징한다. 일곱째, 종을 울리는 것은 죽음과 재생(再生) 또는 치유(治癒) 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여덟째, 종소리가 인간과 대상을 연결(連結)하고 소통(疏通)하게 하는 매개로 사용되기도 한다. 아홉째, 종소리는 평화와 승리, 자유, 행운 등의 기념(紀念)을 상징한다. 이상과 같이 아홉 가지로 범주화된 종의 상징성에 근거하여 다양한 연령과 성별, 다른 심리적 과제를 가진 내담자의 놀이치료에서의 놀이장면과 모래상자에 등장하는 종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에서 내담자가 사용하는 종의 상징성을 9가지로 범주화하여 확충하였고, 종의 분석심리학적 상징적 의미와 해석을 통해 내담자의 의식화와 그 변환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ymbolic meanins of bell which frequently appears in play therapy and sandplay therap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symbolism is, since the symbol chosen by the client represents a unique mental world.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lls, the origins and developmental processes of Eastern and Western bells in relation to religion, history, culture and art and amplified the polysemous symbolism of bells. As a result, the symbolism of bells was examined in nine categories. First, bells as time signals were derived from clocks, and they serve a function of telling the time every hour. Second, bells as musical instruments produce sound representing purity during memorial services or banquets. Third, the bell-ringing announces the start and end and symbolizes newness. Fourth, warning bells were used to announce urgent incidents or emergencies. Fifth, bells used in religion, such as Christianity and Buddhism, should be consecrated before they are used at religious services. And bells, used in dedication services and given sacred nature, are symbolic of sacredness. Sixth, the sound of bells symbolizes exorcism for expelling evil spirits and fortune-bringing to attract joyous events. Important roles of bells in human history and life are related to superstitious and shamanistic power. Seventh, the bell ringing represents death and regeneration and healing. Eight,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some entities can be considered the essential symbolism of bells. Ninth, the sound of bells symbolizes peace, victory, liberty and good luck. Bells are made and rung mostly in commemoration of historical events. Also, The symbolism of bells appearing in play therapy and sandplay therapy created by the clients of different ages, sexes and psychological tasks were found to be applied to the nine categories above mentioned.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process of clients’ inner worlds and their transformation process through the symbolic meanings of bells and the interpretation.

      • 심리적 욕구의 좌절로 인해 부적응행동을 보이는 아동의 아동중심 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유선(Lee, Yuseon)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19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2 No.-

        본 연구는 지속적인 심리적 욕구의 좌절로 인해 가족 내에서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이다. 내담 아동은 태어난 이래로 친언니의 건강악화, 모의 복직 등으로 인해 가정 내에서 온전한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경험이 부족하였고, 이로 인해 사회성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기본 심리적 욕구가 지속적으로 좌절되는 등의 심리적 어려움이 나타났다. 이는 아동이 가족 내에서 지속적으로 분노 폭발을 하는 행동문제를 유발시키게 되어 가족 내의 갈등이 악화되는 상황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담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시행하여 아동이 안전한 환경에서 자신의 좌절되었던 기본 심리적 욕구를 적극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담은 주 1회, 40분의 놀이치료와 10분의 부모상담으로 구성하여 총 20회기의 놀이치료로 진행되었다. 아동은 놀이치료 과정에서 다양한 놀이를 통해 자신의 이슈를 마음껏 표현하여 긍정적인 자아상을 회복해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부모상담을 통해 아동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가족 간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었다. This is a case study on child-centered play therapy for a child who has maladjustment behavior by the frustra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sistently. The child did not have enough experience of emotional support from her own family since she was born due to ill health of her own sister, mother s reinstatement, which caus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frustra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teadily when she suffered from a lack of social skills. This provoked her behavior problem of rage, exacerbating family conflicts. This study aimed to recover the child s positive self-image by expressing frustrated basic psychological needs actively through child-centered play therapy in the secure environment. Treatment consisted of 20 sessions of the play therapy, once a week for 40 minutes, and parenting counselling for 10 minutes. The child could recover her positive self-image by expressing her various issues during play therapy. Parents also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 through parenting counseling, which could improve the relationships with family.

      • 보육기관에서의 놀이치료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솜이(Jeong SomYi)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20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3 No.-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치료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만 4-5세 유아 7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소재의 어린이집에서 놀이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윌콕슨 검증을 통해 놀이치료 실시 전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기관에서의 놀이치료는 유아의 자기 조절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 조절력 전체 평균 점수가 상승하며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하위요인인 인지 조절 및 정서 조절 요인 모두 사후 평균 점수의 상승과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기관에서의 놀이치료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체 평균 점수는 사후에 유의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하위요인인 친사회적 행동과 외적 문제행동의 경우 평균 점수는 상승하였으나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내적 행동문제의 경우 사후 평균 점수가 상승하며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보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삶의 초기인 유아기에 적합한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치료적·예방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play therapy in a childcare center on a child s self-regulation and social ability. To this end, 7 children aged 4-5 years old were given play therapy at a daycare center in Seoul. And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lay therapy was measured through Wilcoxon verifi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lay therapy in a childcare institu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regulation of infants. The average score of the infant s self-regulating power increased and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addition, both the factors of 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which are the sub-factors, showed an increase in the mean score after death and a significant change. Second, play therapy in a childcare institu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 s social skills. The average score of the overall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howed a significant change after death. However, in the case of prosocial behavior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 which are the sub-factors, the average score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case of the internal behavior problem, which is a sub-factor, the average score after death increased and showed a significant change. This study dealt with mental health issues in early childhood, which is the beginning of life through linkage with childcare institutions. Through this, it is significant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herapeutic and preventiv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