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비전승의 <三台星>과 <北斗七星> 神話 一考 -무속신화와 건국신화의 상관성 및 신앙의 양상을 중심으로-

        박종성 한국구비문학회 2003 口碑文學硏究 Vol.0 No.16

        About Oral Narrative of <Samtaeseong(三台星)>and <Bukduchilseong(北斗七星)> Myths-Relation between shamanism and national foundation myth and their religious aspects-Park, Jong-Seong(Seoul National University)Approaching studies from oral narrative constellation myths <Samtaeseong(三台星)> and <Bukduseong(北斗七星)>, including also <Jeseok-bonpuri(帝釋본풀이)>and <Chilseong-bonpuri(七星본풀이)> which are showing narrative connections with them, this article studies functional aspects of constellation spirits. In addition, I tried to classify correlational categories of <Samtaeseong(三台星)>-<Jeseok-bonpuri(帝釋본풀이)>-<Jumong myth(朱蒙神話)>, and <Bukduseong(北斗七星)>-<Chilseong-bonpuri(七星본풀이)> -<Sasinchilseong-bonpuri(蛇神七星본풀이)>-<Keumwa myth(金蛙神話)>.From the former category, correlations between <Samtaeseong(삼태성)>and <Jeseok-bonpuri(帝釋본풀이)>, <Samtaeseong(삼태성)>and <Jumong myth(朱蒙神話)> were studied. By analyses that <Jeseok-bonpuri(帝釋본풀이)> has correlation with <Jumong myth(朱蒙神話)>, I could confirm that <Samtaeseong(삼태성)> myth's two aspects are not separated but correlated with shamanism myth and national foundation myths.From the later category, correlations between <Bukduseong(북두칠성)>and <Chilseong-bonpuri(七星본풀이)>, <Sasinchilseong-bonpuri(蛇神七星본풀이)>and <Keumwa myth(金蛙神話)> were studied together with aspects of faith to the Big Dipper. As results of these studies, aspects and signs could be confirmed that myths having relations with Big Dipper are related to shamanism myth and national foundation myths.Though this article is studied on the limited basis of materials, I could see possibilities that Korean constellation myths are related to Korean mythic net.

      • KCI등재

        조선 전기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 신앙(信仰) 연구

        정진희 ( Jin Hee Ju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9 No.-

        고려에서 이어져 내려오던 불교와 도교의 제반의례는 조선 전기가 되면 유교이 념을 앞세운 성리학자들에 의해서 이데올로기적 비판을 받아 척결의 대상이 되었고 무속에서 행하던 성수신앙도 음사로 구분되어 폐지논란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운명과 생사에 관련된 초자연적인 사항은 유교의 이념으로는 해소가될 수 없는 신앙적 차원의 것이었기 때문에 세간에서 대를 이어오던 성수의례는 계속 설행되어지고 있다. 조선 전기는 치성광여래 신앙이 북두칠성신앙으로 변화해 가는 단초를 살필 수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불교 성수신앙인 치성광여래 신앙도 시대적인 상황에 의해천변을 기양하기 위해 거행되던 소재관련 의식은 서서히 사라지고 구병과 연수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조선 전기 조성되어진 치성광여래 관련 불화와 불경조성기에서 이러한 시대적인 배경을 읽을 수 있다. 신앙의 목적이 구병과 연수에 초점을 맞추게 되자 치성광여래 신앙은 내용과 도상에서 유사함이 많은 약사여래 신앙과 연동되어 발전하고 있었으며 치성광여래 도상에 일광과 월광보상이 그려지는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였다. 아울러 대중의 호응이 높았던 수륙재에 치성광여래 신앙과 관련된 제요성수가 모셔짐으로 인해 불교 성수신앙으로 치성광여래 신앙이 확고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치성광여래 의례에서 <北斗七星請儀文>이 간행되어진 사실은 인간의 생사권을 가진 성신으로 여겨졌던 북두칠성이 치성광여래 신앙의 전반에 부각되어 이후 북두칠성신앙으로 변천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북두칠성이 부각되어진 칠성청문의 등장은 이에 합당한 새로운 도상을 요구하였고 이에 따라 치성광여래 도상에 칠성여래가 등장하는 새로운 양식의 작품을 만들어 내어 이후 조선 후기까지 전승되고 있다. 조선 후기 도상에 나타나는 자미대제와 수노인의 형상은 임진왜란이후 소격서가 완전히 폐지됨으로 인해 그 신앙이 불교 성수신앙인 치성광여래 신앙으로 습합된 것을 의미한다. 이후 조선의 성수신앙은 치성광여래 신앙으로 융화되어 그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다. The ceremony of Buddhism and Taoism that had been handed down from Goryeo dynasty became the subject of combat under the ideological criticism by Confucianism party focusing on Confucian philosophy in the early Joseon era, and the faith of Sacred Stars conducted in Shamanism also caused its abolition controversy classified as Unclean Sacrifice. However, the ceremony of Sacred Star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as been in progress since supernatural details related to human destiny, life and death are in the level of faith which can’t be resolved with Confucian philosophy The early Joseon era is important to investigate clues to the change from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to the faith of Big Dipper. In the faith of Sacred Stars in Buddhism,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a buddhist mass for clean the disaster held so that Prayer may eliminate the plague in Positions of the planets changes by the time circumstances disappeared slowly and focused on cure and longevity, so this age backgrounds can be seen in Buddhist painting related to Tejaprabha buddha and History made of Buddhist scripture created in the early Joseon era. The purpose of faith is focused on cure and longevity so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was interlocked with the faith of Bhaisajyaguru and developed as the faith of Bhaisajyaguru has many similarities in contents and Iconography with that of Bhaisajyaguru, the new culture that Daylight Bodhisattva and Moonlight Bodhisattva were drawn on Tejaprabha buddha Iconography was created. In addition,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had a firm position as the faith of Sacred Stars in Buddhismsince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related Jaeyo Sacred Stars was enshrined in Surykjae with the public’s high response. The fact that The Big Dipper offering statement was published in the ceremony of Tejaprabha buddha shows the Big Dipper considered as The god of Stars with the fate of humans was highlighted in general and then changed into the faith of the Big Dipper. The emergence of the Big Dipper offering statement the Big Dipper was highlighted needed new Iconography, accordingly a new form of work that the Big Dipper buddha appeared on Tejaprabha buddha Iconography was created, which was passed down until the late Joseon era. The shapes of Great jami and Canopus appeared in the Iconography of the late Joseon era means it was mixed with the faith of Sacred Stars in Buddhism,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due to the complete abolition of Sogyeoksseo after Imjin War and then the faith of Sacred Stars in the Joseon era was in harmony with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and followed its tradition.

      • KCI등재

        고창 부곡리고인돌의 분포 특성과 북두칠성

        이병열 ( Lee Byeong-yeol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호남학 Vol.- No.70

        본 연구는 고창 부곡리고인돌의 배치 특성을 고인돌 사회의 삶과 사상적 기반인 북두칠성과 별자리 관계로 해석하였다. 고창 부곡리고인돌은 시루봉을 중심으로 고인돌과 고인돌군들이 북두칠성의 모습으로 배치되었고, 시루봉 정상과 북두칠성의 고인돌을 북극성과 일치시켰다. 이는 별들의 규칙성을 발견하여 하나의 별자리로 묶어 지상에 북두칠성과 같은 별자리로 천문화한 선사인들의 삶이자 성수신앙의 흔적이었다. 부곡리고인돌을 별자리로 확인된 고인돌의 바위구멍과 천상열차분야지도 및 태양수일성도 등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인돌시대 고창사람들의 천문관측은 삶의 공간을 중심으로 거대한 하늘의 세계를 땅에 표현하였다. 부곡리고인돌의 배치는 고도의 천체 기록물이자 천체에 대한 집단적인 이해와 해석의 산물로 북두칠성과 별자리의 모습이었다. 이는 보편적인 천문지식을 인간의 삶과 이어준 최고의 자연과학과 인문학이 융복합한 흔적이었다. 또한 기존의 “고인돌은 무덤이다”라는 고인돌 연구의 한계를 넘어 고인돌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한편, 고창 부곡리고인돌은 선사인들의 별자리 기록으로 단순히 덮개돌에 새긴 것뿐만 아니라 고인돌의 군집과 군집들을 하나의 별자리로 표현한 다층구조를 보여준 고대의 신비스런 유적이다. This study interpreted the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dolmens in Bugok-ri, Gocha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Dipper and the constellation, which is the life and ideological basis of the dolmen society. In Gochang Bugok-ri dolmens, dolmens and groups of dolmens were arranged in the shape of the Big Dipper around Sirubong, and the top of Shirubong and the dolmens of the Big Dipper were aligned with the Polaris. This was the life of the prehistoric people who discovered the regularity of the stars and grouped them into one constellation and astronomicalized it as a constellation like the Big Dipper on the earth, and it was a trace of their Constellation faith. Bugok-ri dolme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ock holes of the dolmens identified as constellations, Cheonsang-Yeolcha-Bunyajido(Korea’s first astronomical chart) and the Taeyangsu-Ilseongdo(ancient astronomical map of china). As a result, the astronomical observations of the people of Gochang in the dolmen era expressed the huge world of the sky on the earth, centering on the space of life. The arrangement of the Bugok-ri dolmens was a high-level astronomical record and a product of collectiv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celestial bodies. This was a trace of the fusion of the best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which connected universal astronomical knowledge with human life. It is also an example that shows that various perspectives on dolmens are needed beyond the limits of the existing research on dolmens, “dolmens are graves.” On the other hand, Gochang Bugok-ri dolmen is an ancient and mysterious ruins that not only recorded the constellations of prehistoric people, but also showed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clusters and clusters of dolmens were expressed as a single constellation.

      • KCI등재

        제주도 칠성의 형성과 본풀이 전승

        강소전(Kang, So-Jeon)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이 글은 제주도 칠성의 형성과 본풀이 전승에 대하여 다루었다. 뱀을 칠성이라고 인식하며 전승되는 본풀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본풀이들은 조상신, 조상신과 당신, 당신, 당신과 일반신, 조상신과 당신 및 일반신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칠성의 형성은 의미와 분화로 나누었다. 칠성의 의미는 조상신 성격이 강할수록 뱀 단독으로 나타나며, 일반신 성격이 강할수록 뱀에 북두칠성의 양상이 추가되는 모습이 드러났다. 북두칠성의 영향을 받아 뱀을 칠성이라고 부르는 변화가 생겼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칠성의 분화는 다양하다. 조상신 칠성은 고팡에 좌정하며 복을 불러준다. 당신 칠성은 신앙민의 조상당에서 출발하였고 생업과 관련 깊다. 나중에 관청을 차지하는 신으로 변모하여 관운이나 상업에 특히 영험을 보였다. 일반신 칠성은 가신의 면모를 보여준다. 칠성본풀이와 관련이 깊다. 안칠성과 밧칠성으로 분화하여 가정의 안녕과 풍요를 담당한다. 칠성의 형성과 본풀이 영향에 대해서는 뱀과 북두칠성 신앙의 결합과 칠성 관련 의례의 지속이라는 측면에서 살폈다. 뱀의 부신(풍요신) 성격과 북두칠성의 수복신 성격이 비슷하여 결합이 가능하였을 것이다. 이는 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환하고 뱀 신앙을 안정적으로 지속시키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북두칠성 신앙을 활용하여 뱀에 칠성이라는 외피를 씌웠다. 이는 칠성본풀이에 드러난다. 한편 본풀이를 구송하는 의례가 지속적으로 유지된 점도 중요하다. 신앙민들은 칠성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기회를 얻게 되고 이는 칠성신앙을 강화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Chilseong in Jeju island based on an analysis of related bonpuri. It explores the bonpuri in which snakes are regarded as Chilseong. In these bonpuri, Chilseong deities variously show the attributes of josang-shin (“ancestral deity”), dang-shin (“local shrine deity”), or ilban-shin (“general deity”). The development of Chilseong can be examined in terms of their meaning and type. Chilseong can have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bonpuri: when Chilseong deities are josang-shin, they take the form of snakes; when they are ilban-shin, they are still snakes but the image of the Big Dipper is projected onto them. Jeju worshippers may have begun to call snakes “Chilseong” due to the influence of Big Dipper (“Bukdu-Chilseong” in Korean) worship. There are several types of Chilseong and each have different powers. As josang-shin, Chilseong deities sit inside the room of a Jeju home where grain is stored and bring good fortune. As dang-shin, they were originally worshipped as ancestors at shrines of individual homes and were therefore deeply involved with the worshippers’ livelihoods, but they have become increasingly known for their ability to fulfill wishes of entering into public office or achieving business success as they gradually evolved into deities of government office. As ilban-shin, they protect the household. This is closely related to Chilseong Bonpuri. To explain bonpuri’s impact on the formation of Chilseong, this paper looks at how snake veneration merged with Big Dipper worship and how bonpuri helped sustain Chilseong-related ritual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nake and the Big Dipper’s divine roles—the former bringing wealth and the latter good fortune and longevity—must have made it possible for the two cults to fuse. This integration was an attempt to turn around negative perceptions of snakes and preserve the cult. Such efforts are evident in Chilseong Bonpuri.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bonpuri rituals concerning Chilseong have continued over the years. These rituals were opportunities for worshippers to become well-acquainted with Chilseong, which in turn strengthened the Chilseong cult.

      • KCI등재

        제주도 칠성의 형성과 본풀이 전승

        강소전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Chilseong in Jeju island based on an analysis of related bonpuri. It explores the bonpuri in which snakes are regarded as Chilseong. In these bonpuri, Chilseong deities variously show the attributes of josang-shin (“ancestral deity”), dang-shin (“local shrine deity”), or ilban-shin (“general deity”). The development of Chilseong can be examined in terms of their meaning and type. Chilseong can have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bonpuri: when Chilseong deities are josang-shin, they take the form of snakes; when they are ilban-shin, they are still snakes but the image of the Big Dipper is projected onto them. Jeju worshippers may have begun to call snakes “Chilseong” due to the influence of Big Dipper (“Bukdu-Chilseong” in Korean) worship. There are several types of Chilseong and each have different powers. As josang-shin, Chilseong deities sit inside the room of a Jeju home where grain is stored and bring good fortune. As dang-shin, they were originally worshipped as ancestors at shrines of individual homes and were therefore deeply involved with the worshippers’ livelihoods, but they have become increasingly known for their ability to fulfill wishes of entering into public office or achieving business success as they gradually evolved into deities of government office. As ilban-shin, they protect the household. This is closely related to Chilseong Bonpuri. To explain bonpuri’s impact on the formation of Chilseong, this paper looks at how snake veneration merged with Big Dipper worship and how bonpuri helped sustain Chilseong-related ritual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nake and the Big Dipper’s divine roles—the former bringing wealth and the latter good fortune and longevity—must have made it possible for the two cults to fuse. This integration was an attempt to turn around negative perceptions of snakes and preserve the cult. Such efforts are evident in Chilseong Bonpuri.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bonpuri rituals concerning Chilseong have continued over the years. These rituals were opportunities for worshippers to become well-acquainted with Chilseong, which in turn strengthened the Chilseong cult. 이 글은 제주도 칠성의 형성과 본풀이 전승에 대하여 다루었다. 뱀을 칠성이라고 인식하며 전승되는 본풀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본풀이들은 조상신, 조상신과 당신, 당신, 당신과 일반신, 조상신과 당신 및 일반신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칠성의 형성은 의미와 분화로 나누었다. 칠성의 의미는 조상신 성격이 강할수록 뱀 단독으로 나타나며, 일반신 성격이 강할수록 뱀에 북두칠성의 양상이 추가되는 모습이 드러났다. 북두칠성의 영향을 받아 뱀을 칠성이라고 부르는 변화가 생겼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칠성의 분화는 다양하다. 조상신 칠성은 고팡에 좌정하며 복을 불러준다. 당신 칠성은 신앙민의 조상당에서 출발하였고 생업과 관련 깊다. 나중에 관청을 차지하는 신으로 변모하여 관운이나 상업에 특히 영험을 보였다. 일반신 칠성은 가신의 면모를 보여준다. 칠성본풀이와 관련이 깊다. 안칠성과 밧칠성으로 분화하여 가정의 안녕과 풍요를 담당한다. 칠성의 형성과 본풀이 영향에 대해서는 뱀과 북두칠성 신앙의 결합과 칠성 관련 의례의 지속이라는 측면에서 살폈다. 뱀의 부신(풍요신) 성격과 북두칠성의 수복신 성격이 비슷하여 결합이 가능하였을 것이다. 이는 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환하고 뱀 신앙을 안정적으로 지속시키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북두칠성 신앙을 활용하여 뱀에 칠성이라는 외피를 씌웠다. 이는 칠성본풀이에 드러난다. 한편 본풀이를 구송하는 의례가 지속적으로 유지된 점도 중요하다. 신앙민들은 칠성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기회를 얻게 되고 이는 칠성신앙을 강화하였다.

      • KCI등재

        羅末麗初 熾盛光如來 信仰과 圖像의 傳來

        정진희(Jung, Jin-hee)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0 No.-

        치성광여래 신앙은 북극성을 부처로 나타낸 치성광여래와 더불어 밤하늘의 별에게 소재구복하는 신앙으로 8세기 말 9세기 초 중국에서 인도 점성신앙인 구요신앙의 영향으로 생성된 불교의 새로운 북극성 신앙이다. 이 신앙은 당대를 거쳐 송 · 원 · 명 · 청대로 그 전통이 계승되었고 국경을 넘어 한반도와 일본까지 전래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치성광여래는 칠성도라고 알려진 불화의 주존으로 모셔진다. 한반도로 전래된 치성광여래 신앙과 도상은 『고려사』 작제건 기사에 나타난 늙은 여우로 둔갑한 치성광여래와 동주 발삽사 치성광여래와 전선소상 기사에서 그 흔적을 살펴 볼 수 있다. 치성광여래 신앙은 9세기 전반 중국에서 본명성 소재신앙으로 대중의 호응을 얻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 서해해상에서 활약하였던 장보고의 활약상과 중국과 한반도 간의 활발한 교류 등 시대적 정황을 염두에 두면 신앙의 전래 시기는 9세기 전반에서 중반을 넘지 않을 것이다. 신앙의 전래자로는 중국과 한반도를 오고 갔던 승려, 사신, 상인들이 추정되며 특히 『고려사』에 등장하는 작제건과 왕창건과 같은 해상에서 활동한 세력의 역할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기사에 묘사된 ‘하늘에서 내려오는 치성광여래와 성신’, ‘치성광여래 앞에 서있는 전성’의 내용은 강림형식과 설법회 형식의 치성광여래 도상이 전래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전래 초기 치성광여래 신앙은 대중의 호응을 얻지 못하였지만 시대에 따라 변천하면서 한반도에서 영성로 모시던 북두칠성, 삼태성, 남두육성 등을 신앙의 대상으로 포함하는 토착화 과정을 통해 정착되어갔다. 전통 민간신앙이 불교에 습합되면 종속적인 형태로 변모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반해 치성광여래 신앙으로 흡수된 북두칠성은 신앙의 중심을 바꿔 치성광여래 의식에서 북두칠성에게 의례를 드리고 <북두칠성공양문>을 읽는 것으로 신앙의 형태를 변모시켰다. 이는 한민족 성수신앙에서 북두칠성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실감케 하는 부분으로 치성광여래도를 칠성도라 부르고 치성광여래를 모신 전각의 명칭까지 칠성각이라 하는 것도 같은 원인으로 고찰된다. 나말여초에 전래되어진 치성광여래신앙에 의해 우리민족의 영성들은 부처의 권속이 됨으로써 인간의 재난을 구제해 주는 불교의 호법신중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다라니를 염송하며 재앙을 소멸하고 복을 구하는 구체적인 신앙 방법은 도교의 성수신앙과 구별되는 불교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앙을 통해 현실적인 어려움을 예방 극복하려는 일반인들의 성취가 불법 속에서 구체화 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치성광여래 신앙과 도상 역시 중국과 일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밤하늘의 영성들이 총망라된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특징이 확연한 것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 탐라 고문화와 칠성신앙(七星信仰)

        문무병(Moon, Mu Byung) 민족미학회 2012 민족미학 Vol.11 No.2

        이 글은 제주도의 고대 국가 탐라국 건국 초기의 제사유적(祭祀遺跡) 또는 고대 천문학 유적으로 전해오는 칠성대(七星臺)에 대한 탐라지(耽羅志) 등의 기록과 고대로부터 전승되어온 제주 고문화의 원류를 고스란히 지닌 것으로 생각되는 제주의 <큰굿>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제주무속에 남아있는 고대 하늘굿[天祭]으로서 칠성굿을 재구성해 본 것이다. 사료에 의하면, 북두칠성(Grand bear) 주걱 모양 7개의 별자리를 제주읍성[濟州邑城] 안 일도(一徒), 이도(二徒), 삼도동(三徒洞)의 7개 장소에 세웠다는 칠성대(七星臺)는 하늘의 별 북두칠성의 별자리를 땅에 새긴 우주의 조감도이며 고대 도시의 설계도였다. 그러므로 옛날 고대의 하늘굿[天祭]이며 별제(Star Festival)였던 칠성제[七星祭]는 탐라의 도읍지의 중앙, 사람이 살기 좋은 길지(吉地)에 칠성대를 세우고 그 중심이라 생각되는 지점 관덕정(觀德亭)에 칠성단을 만들어 신시(神市)를 열고, “신과 인간이 모두 하나 되어 즐기는[神人同樂]” 하늘굿[天祭]이었다. 제주의 칠성신앙은 별의 신 칠원성군(Grand bear) 북두칠성이 지상의 신격으로 바뀌면서 풍요다산(豊饒多産)의 수 7(七)과 별(七星) 그리고 “하늘의 별이 내러와 아이로 탄생”한 ‘생불(生佛)=아이’에 관한 이야기다. 이러한 ‘7의 수(數) 철학’은 칠석(七夕)날에 배우던 칠성(七星)과 삼칠성(七七七)이야기며, 아이들은 그렇게 별을 세며 수(數)를 배웠고 땅에 태어난 별, 생별이야기는 아이, 생불(生佛) 신화를 만들어내었다. 이와 같이 칠성신앙은 문화계통에 따라 북두칠원성군이라는 하늘칠성(天神-별)과 시베리아 북방문화를 설명하기도 하며, 벼농사지역 도작문화(稻作文化)와 나주 금성산을 지키는 산신칠성(山神七星) 용(龍) 이야기로 전해오기도 한다. 그리고 남방의 해양문화와 사신칠성(蛇神七星) 뱀 이야기로 전승되는 칠성신화 <칠성본풀이>는 여러 가지 <칠성굿>으로 <큰굿> 속에 남아 전승되고 있다.

      • 고려 말 서곡리 권준(權準) 묘의 삼성(三星)과 태성(胎星)

        정연식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논총 Vol.31 No.-

        파주 서곡리에 있는 고려 말 권준의 묘에는 석실(石室) 천장 중앙에 북두칠성과 함께 일렬로 늘어선 별 셋이 그려져 있다. 이 별자리의 실 체에 대해서 지금까지 북극삼성(北極三星)이라는 주장과 삼태성(三 台星)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북극성은 5성 이고 삼태성은 3쌍 6성이므로 3성에 어울리지 않는다. 일렬로 늘어선 삼성으로 눈에 가장 잘 띄는 별은 오리온 벨트 (Orion’s Belt)라 부르는 오리온자리의 삼성이다. 고분에 그려진 삼성 도 아마 오리온자리의 삼성이었을 것이다. 그것을 오래 전에 중국에 서는 삼(參)이라 불렀다. 삼수(參宿) 별자리는 10성으로 이루어져 있 는데 ‘參’은 본래 ‘三星’을 뜻하는 글자이다. 그러므로 參의 초기형태 는 10성이 아니라 3성이었을 것이다. 고구려 고분 안에는 별자리 그림이 그려진 것이 적지 않다. 그 가운 데는 큰곰자리(UMa: Ursa Major)의 북두칠성(北斗七星)과 궁수자리 (Sgr: Sagittarius)의 남두육성(南斗六星)이 강조된 그림들이 있다. 그 것은 북두는 죽음을 주관하고 남두는 삶을 주관한다는 믿음에 따라 그려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런데 남두육성은 점차 사라지고 북두칠성 과 삼성이 등장하게 된다. 三, 參의 음은 ‘삼’인데, 삼이란 태(胎)를 가리키는 우리말이다. 삼신 할머니라는 말은 그 한 예이다. 그러므로 삼성은 출생의 별이란 의미 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권준 묘에 그려진 삼성과 북두칠성은 묘 주인 의 탄생과 사망을 상징하는 별로 추정된다.

      • KCI등재

        동아시아 ‘北斗-日月’ 표상의 원형 연구

        鄭景姬(Jung Kyung-hee)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6

        한국 밝사상(천손사상)의 기반 이론인 ‘一?三?九論(三元五行論)’에서는 모든 존재의 본질로서 북두칠성 근방에서 시작된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인 ‘1氣(3氣), 삼신하느님(삼신할미, 마고할미), 天符’를 제시한다. 이는 ‘미세한 소리와 파동을 지닌 빛(밝음)’으로 이것이 한국 상고 이래 밝사상에서 이야기하는 ‘밝음’의 실체이다. 배달고국 홍산후기문화에서는 ‘일?삼?구론(삼원오행론)‘에 대한 배달인들의 인식을 담은 ‘1기’, ‘3기’, ‘음양 2기’, ‘1기(3기)-음양’, ‘5기’, ‘9기’형 표상이 나타나는데, 이들중 특히 ‘1기(3기)-음양’ 및 ‘음양’ 표상은 공히 존재의 본질인 ‘1기(3기)’의 음양 이원적 분화 방식을 표현하되, ‘1기(3기)-음양’ 표상은 ‘1기(3기)’의 중심점을 드러내며, ‘음양’ 표상은 ‘1기(3기)’의 중심점을 드러내지 않은 표현상의 차이를 지녔다. 배달고국 이래 ‘1기(3기)-음양’ 및 ‘음양’ 표상은 ‘북두-일월’ 및 ‘일월’ 표상으로도 표현되었다. ’1기(3기)‘는 우주의 중심점인 ’북두칠성‘ 근방에서 시작된 근원적인 생명에너지이기에 ’북두칠성‘으로도 표현되었으며, 또한 북두칠성에 버금가는 존재로 현실적으로 사람들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월은 대표적인 ‘음양’ 상징물이었기 때문이다. ‘북두-일월’ 표상은 존재의 본질인 ‘1기(3기)’의 음양 이원적 분화 방식을 나타낸 배달고국 밝문화(천손문화)의 사상?종교적 표상이었지만, 중원에 이르러 밝문화(천손문화)의 종주국인 배달국과 중원에 흩어진 배달계 통치자간의 神政的 臣屬 관계를 상징하는 정치적 표상으로도 사용되었다. 배달고국의 ‘북두-일월’ 및 ‘일월’ 표상은 후대로 전승되었는데, ‘음양오행론’을 위주로 하였던 중원 일대에서는 ‘일월’ 표상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반면 ‘일?삼?구론(삼원오행론)’을 위주로 하였던 한반도?일본열도에서는 애초 ‘북두’ 표상 또는 ‘북두-일월’ 표상이 우세하다가점차 ‘음양오행론’의 영향으로 일월’ 표상의 비중이 높아져갔다. 특히 일본열도의 경우 최종적으로 ‘일’ 표상을 중심으로 하게되었으니 신도 북두신앙의 일신앙으로의 변화를 알게 된다. The basic theory of ‘Park(밝, ‘the Light’) Culture’[‘Chunson(天孫, a descendant of Heaven) Culture’]’ is ‘the idea of ‘One-Three-Nine(一?三?九論)’, i.e.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In this theory, it is considered that the substance of being is ‘One Ki氣(Three Ki)’. ‘One Ki(Three Ki)’[Samsin-Hananim(three dimensions of the whole), Chunbu(天符)], cosmic energy originated in one spot nearby the Big Dipper is the light with the minute sound and vibration and is just ‘the Light’ in Park Culture. It has the nature of ’naught and whole’ and this nature works as the law to harmonize the physical world. In Late Hungshan Culture(B.C.3500~B.C.3000) of Baedalkook period, several symbols to represent ‘the idea of One-Three-Nine’(‘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were come onstage. Among these symbols,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ere represented the ‘One Ki(Three Ki)’s dual differentiation process into Yin and Yang Two Ki alike. Just two kinds of symbol had the representative difference that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exposed the substance of ‘One Ki(Three Ki)’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coverd the substance of ‘One Ki(Three Ki)’. Since Baedalkook period ,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identified with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identified with ‘the sun and the moon’ symbol.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applied to the political symbol to represent the hierarchy of Baedalkook theocracy, definitely the hierarchy with the priest king of Baedalkook, Jejune[帝俊, Hanwoong(桓雄)] and Jejune’s feudal princes in China.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and ‘the sun and the moon’ symbol of Baedalkook were handed down to after ages. In China as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Yin and Yang(陰陽五行論)’ was maintained a superior position,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prevailed.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s ‘the idea of One-Three-Nine’(‘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was maintained a superior position, ‘the Big Dipper-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prevailed. But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come up gradually for the inflow of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Yin and Yang’ from China. Especially in the Japanese Islands, as the pivot of Japanese Shinto(日本神道) was moved ‘the Big Dipper belief’ into ‘the sun belief’, ‘the sun symbol’ was become the symbol of Japan finally.

      • KCI등재후보

        백제 칠지도의 상징

        이내옥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The penmanship style of chiljido (seven-branched sword) inscriptions is haeseo (square or block style) and yet exudes the ambiance of yeseo (plain square style). A few characters in the inscription followed the ancient style, but they disappeared as the haeseo style was established. The penmanship style of the inscription is far from the free style shown in the Baekje Ungjin period, and from the styles of two Wangs (Wang Xizhi, Wang Huizhi). It is even farther from the style of the Sabi period. Thus, the manufacturing time of chiljido could not be determined as the Hanseong period by the penmanship. The yin and yang theory is the key theme of the Chinese ancient cosmology. The theory says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come into being and change according to the growth and perishing of the two types of energy, yin and yang. Number 7 symbolizes the strongest yang energy. The perfection of yang energy can be achieved with number 7. For instance, anecdotes of this symbol of number 7 were repeated in records related to chiljido in The Nihon shoki (The Chronicles of Japan). Gongna Iron Works is a long distance away that could not be reached even by seven-day travel, and swords and mirrors were all manufactured in such a way to have branches. The repetition of number 7 as in chilji (seven branches), chilja (seven sons), and chiril (seventh day) holds special meaning. 7 symbolizes powerful yang energy strength. Thus, chiljido symbolizes extreme yang energy strength. This symbol is more significant because chiljido was sent by Baekje to the Wa as a ceremonial present. In manufacturing swords, timing was long considered a very important factor in East Asia. Saingeom (four-tiger sword), which symbolize powerful yang energy, was manufactured to cast off evil spirits. Here, four tigers mean the year of tiger, the month of tiger, the day of tiger, and the hour of tiger. chiljido, seven-branched swords, were manufactured after forging iron one hundred times, and were the symbol and embodiment of the strong yang energy. Chiljido, containing the most powerful yang energy, could repel any formidable yin energy. The keyword of the chiljido inscription is “seongeum (literally, holy sound)”. Some people argue that seongeum is the truth of Buddhism or Taoism. However, at the time, religious truth could not be mentioned through chiljido, a symbol of a diplomatic document, between Baekje and the Wa. The Chinese character seong (聖) originates from the sun, and thus it embraces the function to shine the world, and the power of life to create and grow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chiljido inscription structure can be categorized into the previous world, the present world, and the world after death; this expresses the strong pride of Baekje which is symbolized as the present world. Baekje sent chiljido, the symbol of the era of seongeum (holy sound), to the Wa, along with the message that this sword, when worn, could dispel any weapons. This is an example of ancient incantation by which to take advantage of the magic power of a certain object to dispel woes of war masterminded by evil spirits or devils. In Ancient China, the Great Dipper was engraved in swords, granting divinity to them, because it symbolized the spirit of yang and the sky. Some records, for instance, read: Gyeongjingeom Sword, which features the engraved Great Dipper, makes all things obey its wearer, and allows its wearer to be guarded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to freely command men and evil spirits. The Great Dipper, composed of seven stars, symbolizes the spirit of yang and the liveliest yang energy. 7 is the number which is perfectly complete with the liveliest yang energy strength. Chiljido were manufactured in such a unique way to have seven branches, distinctively because it tried to embrace the symbolic meaning signified by number 7 and the Great Dipper. In this sense, chiljido can be said to be an abstract expression of the Great Dipper that symbolizes the ... 七支刀에 대한 연구가 백 년이 넘지만, 그 본질에 대한 연구는 만족스럽지 않은 형편이다. 따라서 그간 비교적 소홀했던 칠지도의 사상적 배경과 상징성을 당시 동아시아의 문화적 구조 속에서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관점과 지견을 모색코자 하였다. 음양설에서 숫자 7은 양이 가장 왕성함을 상징한다. 이런 숫자 7이 『일본서기』의 칠지도 관련 기록에 반복되어 표현되었다. 철이 생산되는 谷那鐵山이 7일을 가도 이르지 못할 먼 거리에 있고, 칼과 거울을 각각 7개 가지가 있는 특이한 형태로 모두 제작한 것이다. 七支, 七子, 七日에서 7의 반복은 지극한 陽剛의 상징이다. 칼을 제작하는 양의 기운을 강하게 불어넣어 만드는 時觀念은 동아시아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일곱 가지가 달린 독특한 형태에 백 번 단련한 철로 만든 칠지도는 陽剛의 상징이자 그 구현이다. 칠지도는 최강의 양기가 내재되어 있어서 어떠한 陰氣의 삿된 기운도 무찌르기에 손색이 없기 때문에 破邪와 辟邪를 위한 최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칠지도 명문의 중심어는 聖音이다. 칠지도 명문의 구조가 선세, 현세, 후세의 삼세의식을 바탕으로 현세 백제의 강한 문화적 자존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백제는 성음의 시대를 상징하는 칠지도를 보내면서, 이 칼을 차면 모든 병기를 물리칠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특정 기물의 呪力을 빌어 악귀나 사귀에 의해 자행될 수 있는 戰禍를 퇴치 또는 회피하려는 고대 辟兵呪術의 예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검에 陽의 精이자 乾을 상징하는 북두칠성을 새겨서 신령성을 부여하였다. 그런데 북두칠성은 7개의 별로서 陽의 精이자 양이 가장 왕성함을 상징한다. 陽剛이 완전하게 갖추어져서 가장 왕성함을 드러내는 숫자가 바로 7이다. 칠지도를 가지가 7개 달린 독특한 형태로 만든 데에는, 분명 칠지도와 북두칠성의 강한 상징이 내재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칠지도는 陽의 精을 상징하는 북두칠성의 추상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