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수 이종률의 민족론을 다시 생각한다

        박준건(Park, Joon Geon) 민족미학회 2011 민족미학 Vol.10 No.2

        산수 이종률의 역사철학은 서민성 자본민주주의 민족혁명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민족혁명론을 전개하기 위해 이종률은 먼저 민족개념을 재정립한다. 그는 겨레와 민족을 구분하여, 역사를 관통하는 사회족인 겨레를 역사발전의 단계에 따라 씨족, 부족, 종족, 민족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민족을 근세사, 즉 자본주의의 발흥과 함께 등장하는 사회족의 역사적 단계물로 개념 규정한다. 그의 민족혁명은 민족혁명의 다음단계인 인간혁명의 전단계로서의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그에 있어서 역사항진은 민족혁명↔인간혁명의 구조를 가진다. 인간혁명은 인간의 일련탁생(一蓮托生)적 정귀미(精貴味) 생존성과 사회협여적(社會協與的) 인간미(人間味) 대의능(大義能)을 체유하는 정사의 정인간사회를 지향한다. 이종률은 이러한 역사철학을 바탕으로 민족문화, 민족예술론을 전개한다. 그는 민족문화예술이 민인혁명이라는 역사적 과제와 호조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민족인간사방향의 혁명론과 어긋나는 문화, 예술, 문학이란 반역사적이고 반사회적이며 진정한 문화, 예술, 문학이 아니라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theory of a nation in Lee Jong Yool"s thought. His thought is focused on a national revolution ↔ a human revolution. According to Lee, a nation is the name of a social family in the capitalist society. He argues that the revolution in Korea must be a national revolution. And a national revolution heads to the social formation of common capitalist democracy. Lee divides a history into pre-history and true history. A true history is the end of a history. That is a human revolution. He maintains that a national art and culture must have a social and historical character.

      • 민족미학과 미학교육

        임부연(Boo Yeun Lim) 민족미학회 2010 민족미학 Vol.9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meanings and values of Korean Aesthetics and its relevance wi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living in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already modernized, do not seem to live in ‘tradition’. They are more familiar with the Westernized culture rather than Korean Tradition. Therefore, schools in this society are required to teach the ‘young"s’ about their original spirit and culture which has transmitted over five thousands yea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arts in curriculum do not much include many aspects of Korean tradition but the Western styles of the arts.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and educators in early childhood fields need to purposefully put a lot of energy and time to bring Korea arts and tradition in less plan and daily experiences.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teach aesthetics and arts in the relevance with the concept of ‘life’ which can be understood like meaning of ‘vital energy in arts’ just like very unique forms and contend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al. Only through the concept of life and energy in arts, can the young children develop true meaning of Korean aesthetics. Particularly, this study tried to make a connection a concept of ‘vitality of nothing(zero)’ suggested by Kim Ji Ha whose idea of Korean aesthetics has influenced on discourse of aesthetics in Korea, with this idea of young children aesthetic sense emphasiz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involved the discussion about which Korean aesthetics seems to more likely focus on ‘vitality and energy’ in the arts, so Korean aesthetic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include more about aspects of spirit and souls in the arts in order for overcome the limitation of westernized arts education.

      • 한국미학의 어젠다(agenda)에 관한 고찰

        임성원(Lim Sung-won) 민족미학회 2015 민족미학 Vol.1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미학의 어젠다를 통해 한국미학의 쟁점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데 있다. 한국미학의 어젠다는 시대순에 따라 국문학계의 `멋`, 한국미래 학회의 `멋과 한국인의 삶`, 《교수신문》의 `우리 시대의 미를 논한다`, 《교수신문》의 `한국미론을 재검토한다`, 한국미학회 학회지, 한국미학예술학회 학회지, 한국민족미학회 학회지를 선정해 차례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는 한국미학의 어젠다가 한국적 미의식과 한국미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어젠다가 다양한 영역에서 분출되었는데, 이는 `미적 삶의 문제`를 연구하는 미학이 가진 대중성과 간학문적·통섭적 학문 성향을 뒷받침한다 하겠다. 셋째는 미학의 매스 커뮤니케이션 친화적인 경향이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넷째는 미학 학회 어젠다의 경우 서구 중심의 미학 교육과 학회 활동으로 한국미학과 관련한 논문의 비중이 크게 낮았다는 점이다. 끝으로 현실적인 삶에 기반을 둔 로컬미학을 통해 한국미학의 실천적인 전개양상을 풍부하게 함으로써 한국미학의 전망을 더욱 밝게 할 수 있다는 숙제를 남기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미학 광주미학 제주미학 등의 로컬미학이 자리를 잡을 때 그 총화로서 한국미학 혹은 민족미학이 제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what the issues of Korean aesthetics through the research of agenda of Korean aesthetics. The Korean aesthetic agenda wa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publications: Korea literary publications dealing with "Mut" , "Mut and the life of Korean" of "The Korean Society of Future Studies" , "Argues the beauty of our era" of `Professor newspaper` , "Reread the beauty of Korea" of `Professor newspaper`, "Mihak-The Journal of Aesthetic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MinjokMihak-The Journal of Aesthe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genda of Korean aesthetics is focused on the Korean aesthetic and the Korean beauty. Second, the agenda was shown in a variety of areas, which will be supporting the popularity with aesthetics to study the `the issue of aesthetic life` and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aesthetics. Third, it is confirmed that aesthetics has a mass communication-friendly trend. Fourth, in case of the agenda of Aesthetics Society, the proportion of papers relating to Korean aesthetic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ctivities of the Western Aesthetics.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hen the local aesthetics is to be built which background is the life of locality such as Busan, Gwangju, Jeju, it is expected to reveal its first appearance as the sum of Korean aesthetics or Minjok Mihak.

      • 세계화 시대 한국춤의 경계

        윤지현(Yoon, JiHyun)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1

        본 글은 한국전통춤의 전승을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 문화상호적 교류가 일어나는 문화경계의 변화를 관찰한다. 한국전통춤의 문화상호적 교류의 접점을 한국문화와 서양문화라는 동서의 지리적 경계에서만이 아니라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한국문화의 내부에 재설정된 문화경계에서도 관찰한다. 20세기 중반 이후 가속화된 세계화는 문화간 접촉과 교류의 확대 속에 문화혼종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양산하고 있다. 문화혼종을 생산하는 문화상호적 교류는 국가와 민족 등 지리적 경계만이 아니라 세대, 계급, 예술위계 등 지역 내부의 다양한 문화범주들 사이에 설정되는 복잡하고 중층적인 문화경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문화의 내부는 더 이상 동질적이고 결속된 공간이 아닐 뿐 아니라 한국문화가 오랫동안 지켜온 단일민족문화의 신념도 흔들리게 한다. 이에 한국전통춤의 전승과제는 재설정된 문화경계와 이들 사이의 문화상호적 교류과정 가운데 사고하게 된다. 문화혼종이 문화생산의 ‘원칙’으로 관찰되는 세계화 맥락에서 한국전통춤의 전승은 문화정체성의 제고와 한국문화의 우수성 강조가 함의하는 한국문화와 다른 문화의 지역적 대립과 경쟁보다는 우리 문화 내부에 설정된 문화경계에 대한 이해와 세계문화의 보편성 확보 노력을 통해 가능해진다. 곧 지리적 경계내부의 세대간 문화경계에서 일어나는 문화상호적 교류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한국전통춤의 현재화를 도모하고 세계인과의 공감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잘 전승될 수 있다. 한국전통춤은 후속세대를 포함한 세계인과 공유하는 동시대성을 획득하는 문화상호적 교류와 문화혼종의 생산 속에 전승될 수 있다. 이에 본 글은 첫째 한국전통춤의 후속세대 전승을 위해 한국전통춤계의 형성과 확대를, 둘째 세계인과의 교감을 위해 동시대성 확보의 노력 등 세대와 지리적 경계를 넘어선 문화상호적 교류를 제안한다. 또한 새로이 설정된 문화간 경계에서 일어나는 문화상호적 접촉과 교류의 활용을 요구한다. 세계화 시대 한국전통춤은 고정된 민족문화의 보존이 아니라 문화혼종화과정의 개입과 새로운 전통의 모색 가운데 가능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inquiry the change of intercultural boundaries by accelerating processes of cultural globalization. Focusing on the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it demands active participations in the processes of intercultural exchanges and producing cultural hybridity. It is the very strategies to transmit Korean traditional dances alive in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Globalization from the view of the nationalist aesthetics, had been dealt as an important but negative cause to Korean culture because the commercialized western mass cultures which globalization brought, have weakened Korean cultural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dances. In this view, the boundary seemed to be set up only between the west and Korean culture. However,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cultural globalization since the late 1990s, the cultural boundaries have been set up not only between the west and Korean culture but also inside Korean culture itself. Now inside of Korean culture is not homeogenous. The complex and layered cultural boundaries between ages, generations, sexes, provinces, schools, the hierarchies of arts and so on can be traced and the intercultural phenomena also observed.

      •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의 풍류

        정병훈(Jeong, Byung-Hoon) 민족미학회 2011 민족미학 Vol.10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풍류가 갖는 포스트모던한 성격을 밝히려는데 있다. 이를 토대로 나는 풍류(風流) 문화를 현대 문화의 포스트모던한 성격에 가장 잘 어울리는 우리 문화의 요소로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서 이 글의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전개될 것이다. 먼저 2절에서는 우리 문화의 문제 상황을 ‘세 문화의 문제’로 진단함으로써 논의의 단초를 끌어내려고 한다. 다음으로 3절과 4절에서는 근대적 사유의 근본 성격을 이해하려 한다. 5절에서는 포스트모던한 관점, 포스트모던한 문화의 성격을 제시하려고 한다. 6절에서는 한국의 풍류를 역사적으로 설명하고, 7절에서는 풍류가 갖는 포스트모던한 성격을 밝힐 것이다. 한국인에게 풍류는 생태적 삶의 방식이며, 인식방법이자 미적 실천이고, 놀이 정신이기도 하다. 풍류 공간으로서의 자연은 살아있는 것으로서 인간과 감응하는 자연이다. 생태적 삶의 양식으로서의 풍류는 자연 속의 삶을 즐기는 삶의 방식이다. 인식방법으로서의 풍류에서는 온갖 종류의 서양의 근대적 이분법을 배제한다. 또한 풍류는 인간이 가진 인식능력으로 이성과 감성, 그리고 영성을 포괄한다. 마지막으로 풍류는 자연, 멋, 해학이라는 미의식을 포괄한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나는 우리의 문화 상품이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현대 문화의 포스트모던한 성격에 부합하는 한국의 풍류에서 새로운 문화적 원형을 발굴하고 콘텐츠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려고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ostmodern character of Korean Pungryu.. I argue that Pungryu is the most appropriate cultural content to the postmodern nature of contemporary culture. Discussions of this article will be unfolded as follows. In section 2, I open the discussion by the diagnosing the problem of current Korean culture as ‘the problem of three cultures’. Next, in sections 3 and 4, the fundamental nature of modern thinking is exposed. In section 5,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perspective is discussed. Finally, in sections 6 and 7, I explain the postmodern nature of Korean Pungryu. For Koreans, Pungryu is an ecological way of life, method of knowledge, aesthetic practice, and a spirit of play. Nature, as a space for Pungryu, is lively and in accordance to the human activities. As an ecological way of life, Pungryu is a form of enjoyment in nature. As a method of knowledge, Pungryu rejectsall sorts of modern dichotomies. As a perceptual ability, it takes in reasoning, emotion, and spirituality. Finally, Pungryu encompasses nature, taste, humor as aesthetical categori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insist that in order for Korean culture to captivate the minds of the others in the contemporary world, effort must be made to discover the cultural validity and appeal in Pungryu and develop it into new cultura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