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심리학과 행복·덕윤리교육의 적용

        최용성(Choi, Yong-seong)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의 행복, 덕교육적 적용을 기독교를 중심으로 시도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행복·덕교육에 있어서 불교와 유교, 도교등과 긍정심리학과 소통할 수 있지만 기독교 역시 그러한 가능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기독교를 통해 긍정심리학의 덕성 교육 및 긍정교육을 시도해보되, 기독교적 적용에 있어서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 검토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에는 긍정심리학의 성격강점의 기독교적 덕성표현의 가능성, 긍정심리학과 기독교적 텔로스와의 관계, 텔로스가 예수의 인격인지, 케노시스의 문제인지, 긍정심리학의 덕론의 한계와 이점에 대한성찰, 개인주의적 행복이 긍정심리학이나 성경적 행복과 차이나는 점 등을 고찰해 보았다. 이번 고찰에서 특별히 반목적론적인 긍정심리학을 기독교적인 텔로스, 즉 예수의 인격과 케노시스를 통합한 텔로스의 관점을 통해기독교적으로 적용해야함을 강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적용의 방향 역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긍정심리학의 PERMA 및 덕(성격강점 활용)접근, 긍정적 구절들과 비유들의 성격강점모델과의 연결, 회복탄력성과 기독교적관점에서의 활용, 긍정 정서와 감사의 활용, 낙관성과 인지치료, 마음챙김, 기독교적 적용을 살펴보고 긍정심리학과 신앙공동체에 적용하는 부분 역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긍정심리학이란 행복과학을 기독교적 행복·덕윤리 교육으로 적용하는데 필요한 성찰을 포함하면서 구체적인 적용방안 역시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appiness and virtu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form the Christian perspective. For this, it will involve the careful study of modern positive psychology. Positivepsychology provides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applicatory resources that would be valuable to a Christian psychologist who wishes to make use of the happiness and virtue education s model of human flourishing. Modern positive psychology has restored a positive ethical vision of human beings to the field of modern psychology in its study of virtue. However, Jesus Christ s character and kenosis plays an inestimably important role in Christian positive psychology. Jesus Christ is the eternal prototype of the human ethicospiritual form. This paper reviews the positive psychology of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virtues representation of character strengths, positive psychologyand relationships with christian telo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should also investigate and present. For the direc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I suggested PERMA and the virtues of the positivepsychology approach, connected with positive phrases and character of the parable strengths model, resilience and its use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 positive use of emotion and gratitude, optimism and cognitive therapy,and mindfulness. I also applied positive psychology to faith communities.F inally, positive psychology s educational direction and approach for Christian happiness and virtue was presented.

      • 기독교 심리학과 성경적 상담

        최영화 ( Young H. Choi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4 성경과 상담 Vol.4 No.-

        지난 삼십년간 미국교회에서는 목회상담 영역을 방해하는 새로운 경향이 출몰했다. 그것은 소위 "기독교심리학"이라 불리우는 것인데, "모든 진리는 하나님의 진리"라는 모토를 내세우며 세속 심리학적 이론과 성경적 진리들을 통합하고자 시도하는 무리들이다. 그 기독교 심리학자들은 믿기를, 하나님께서 불신자들로 구성된 심리학자들로 하여금 성경에 미처 언급하지 못한 인간의 삶에 있어서의 감정적, 정신적, 영적인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는 해답을 담고 있는 진리들을 발견하도록 허용하셨다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심리학 이론들과의 통합 이야말로 현대 목회상담을 보다 효과적이고도 과학적인 접근방식으로 유도할 최상의 방법이라 확신하고 있다. 그러나 심리학의 전제조건들은 성경의 전제조건들과는 정반대의 입장을 표명하고 있으므로, 그 둘은 결코 혼합되어질 수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심리학자들의 책들은 베스트셀러들이 되어왔고, 철저한 여과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한국에도 많은 책들이 번역출판되어 많은 성도들에게 읽혀오며 그들의 삶의 영적, 정신적 문제들을 그 책들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으로 해결하기보다는 세속 심리학의 이론들로 해결 하도록 방치해 온 것이다. 이것은 곧, 그들로 하여금 성경에서 제시하는 교회와 교회지도자들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주고 하나님 앞에서 겸허하기보다는 자존감을 내세워 하나님의 영역과 성경의 권위에 도전하는 결과를 유도하는 것이 되므로, 결국 하나님의 나라를 향한 우리의 공동목표에 커다란 장애물로 다가온 것 임을 우리는 유념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기독교 심리학과 성경적 상담에 있어 그 전제 조건들의 차이점들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한국 교회가 기독교 심리학이 주는 미혹된 길로 가지 않고 말씀으로 성도들을 바른 방향으로 상담하는 길을 추구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For last thirty years, a new tendency has forestalled in the part of pastoral counseling of the American churches. It is "Christian psychology," which attempts to integrate secular psychological theories and biblical truths, with the foundation of "All truth is God`s truth." The Christian psychologists believes that God has allowed to the unbeliving psychologists to discover the truths about the keys for solving human emotional, mental, and spiritual problems of life that He did not mention in the Scripture. Also they have convinced that the integration with psychological theorie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scientific approach for the modern pastoral counseling. However, the presuppostions of psychology is totally opposite and i! mpossible to mingle with the presuppositions of the Scripture as water and oil. Nevertheless, the books of Christian psychologists have been the bestsellers and they have been introduced to Korean Christians in the translated forms without the pre-process of filterating examination and systematic research concerning them, although biblical counseling is not firmly established in the circumstances of Korean churches. It has led many Korean Christians not only to look for the answers of their life problems through secular psychological approaches rather than biblical approaches, also to fall into a skeptical thoughts about the roles of pastors and the churches, which may challenge the providence of God and the authority of the Scripture. Purpose Statemen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presuppositions between Christian psychology and Biblical counseling so that the Korean church goes on the way it is supposed to be as the Bible says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Christian psychology.

      • KCI등재

        기독교상담 모델의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한 관점비교와 통합 방향

        조난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3 No.2

        We compar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introduced by Johnson and Kim and try to find an optional approach for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self psychology via considering main concepts of self psychology, which are self and self-pathology. The five views are Biblical counseling, Christian psychology model, transformational psychology, integration model, and a levels-of-explanation (parallel) model. Dealing some specific topics, we name the three models as integrational models for a convenience. Analyzing the concept of self in the perspectives of self psychology and th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we address that human self is the agent of God and this is the human perspective on which Christian counseling theory shall be established on. When integrating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we first scrutinize and translate foundational concept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Christianity, and then correlate its many practical and clinical concepts of self psych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Johnson과 김용태의 저서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독교상담 모델을 비교하면서, 각 기독교상담 모델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중심 주제인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하여 고찰하며 자기심리학과 기독교의 적절한 통합 방향을 찾는 것이다. 즉 ‘자기’의 의미와 일반적인 병리를 각 기독교상담 모델에서 어떻게 이해하며 접근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주로 자기심리학에서 다루는 자기의 개념과 비교하며 고찰한다. 자기병리 중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주로 다루었던 자기애의 문제에 좀 더 초점을 모은다. 또한 논점에 따라서 성경심리와 평행심리 모델을 양 극단으로 두고, 기독교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재건심리 모델을 합쳐서 통합적 모델로 취하는 입장을 취하고자 한다. 자기심리학에서 제기되는 자기개념을 기독교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인간의 자기(self)를 하나님의 대행자(agent)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인간관위에서 기독교상담학이 세워져야 함을 피력한다. 자기심리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기독교신학에 비추어 비평하고 검토함은 기독교심리 모델이나 재건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등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통합의 필요 요소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된 후, 임상실재나 인간이해에 도움이 되는 제반 개념들은 평행심리 모델의 입장에서 받아들이는 통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긍정심리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적용

        송경화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3 복음과 상담 Vol.31 No.3

        본 소고에서는 긍정심리학의 개념에 바탕을 둔 긍정심리치료를 기독교 상담적 시각에서 비평하고 기독교 상담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세속 상담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 및 활용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에 대해서는 기독교적 비판 연구가 선행되어 있지만, 긍정심리학을 구체적으로 상담에 적용한 매뉴얼인 긍정심리치료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비판과 통합의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기독교 상담자가 실제 상담 현장에서 긍정심리치료를 활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기독교 상담적 가치관과 기준을 명확히 하고, 긍정심리치료의 기독교적 적용에 대해 통합적인 비판과 지침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긍정심리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통합과 적용을 위해, 본 소고에서는 긍정심리치료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긍정심리학, 그리고 긍정심리학의 개념을 상담 장면에서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긍정심리치료의 기본 개념과 방법을 소개하고, 긍정심리치료의 기독교적 통합 가능성을 탐색한 후, 기독교 상담자가 비판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을 상술하였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상담자는 긍정심리치료를 기독교적 가치관과 상충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내담자에게 유익이 되는 만큼 선별적으로 활용할 것과 하나님이 그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criticism of positive psychotherapy(PPT) which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by Christian counselors.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examined positive psychology, which has been studied and applied in the secular psychological field, from the Christian viewpoint. However, critical exploration of PPT, which has been designed to apply main concepts of positive psychology to the concrete counseling and therapy settings, still needs to be performed. This study was initiated out of the need of clear guidelines as well as Christian viewpoint and standard in the application of PPT into Christian counseling setting. To achieve these purposes, in this paper, I briefly introduced basic concepts and techniques of PPT and positive psychology on which PPT has been built, the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ts integration with Christian counseling, and finally indicated factors that Christian counselors need to critically consider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in their application of PPT in the Christian counseling sessions.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Christian counselors employ PPT only selectively to the extent that it is compatible with Christian worldview, and ensure that God be always the center.

      • KCI등재

        헤르만 바빙크(H. Bavinck)의 교육을 위한 성경심리학적 인간론

        조성국 ( Joh Songgu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1 No.-

        바빙크는 기독교교사들에게 기독교교육이론과 실천의 기초가 되는 심리학 지침을 제공하려는 의도에서 성경심리학을 구성하였다. 성경심리학은 성경 자료로부터 인간영혼의 본질과 구조를 밝혀 교육활동에 기초적 도움을 주려는 시도를 의미한 명칭이다. 바빙크의 성경심리학에 따르면 인간은, 살아있는 한 영혼으로서 단일한 퍼스날리티이며, 인류는 모두 동일한 본성을 가지고 있다. 물질로 구성된 육체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작품이다. 영혼은 감정과 열망과 자기의식의 실체이다. 영은 하나님으로부터 온 생명의 원동력, 감정과 이해와 의지의 원천, 고상한 삶의 원천이다. 영혼과 영은 본체적으로는 구별되지 않는, 동일한 것을 뜻한다. 마음은 영혼의 중심기관이며, 지성, 감성, 욕망, 의지와 연관된, 퍼스날리티 전체를 통해 스스로를 표현한다. 성경심리학은 인간의 신적 기원과 목적, 특별한 지위와 가치, 인류의 단일성과 본성의 동일성, 개별성과 유대성 등의 통찰을 제공함으로써 기독교 교육이론과 교육활동을 차별화하고 탁월하게 한다. 바빙크의 성경심리학은, 개혁신학과 기독교세계관의 기초에서, 성경이 학문작업에 줄 수 있는 통찰의 실제를 보여주었다. 그의 성경심리학은 성격상 철학적 심리학이어서 영혼의 본질과 구조에 집중하였고, 영혼의 기능과 발달, 동기와 심리장애 등의 이해에는 별로 도움을 주지 못했다. 발달과 학습 등 교육심리학의 주제들을 상세히 다루지 못하여 기대만큼 실제적인 기여를 하지는 못했다. 물론 이러한 한계는 그의 시대 학문수준의 한계, 성경자료 제한의 한계에서 온 것이다. 그의 주된 기여는 인간에 대한 성경적 서술의 분석과 정리, 그리고 성경, 신학, 기독교세계관으로 심리학을 구성하려는 기독교적 시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Herman Bavinck wrote “Biblical Psychology”, a part of his book, describing the psychological nature and structure of human being, in order to give fundamental and practical guide to Christian teachers. According to his Biblical psychology, man is a living soul, a personality, as well as everybody has the same nature. The body composed of materials, is a good work created by God. A soul is the subject of emotion, affection and self-consciousness. A spirit is the driving force of life coming from God, and the source of emotion, understanding, will, and noble life. A soul and a spirit are not differentiated in essence each other. A heart as a central organ of the soul, represents itself as a personality in connection with intellect, emotion, desire, and will. Biblical psychology, according to Bavinck, gives differentiation and excellence to Christian education, in comparison to modern humanistic education, as it gives many important insights in education to the origin and the purpose of human being, his peculiar status and dignity, the same nature of humanity, individuality and solidarity. Bavinck`s book was a practical example of Christian academic approach to psychology on the basis of the Bible, Reformed theology and Christian world view. His Biblical psychology, however, was in fact, a philosophical psychology focusing on the essence and the structure of human being, not a modern scientific psychology describing in the psychological func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 motivation of behavior, and psychological disorders. Bavinck did not explai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learning process, which are main subtitles in educational psychology. Such limitations were derived from academic developmental condition of his days, and from limited materials in the Bible. Therefore, his main contribution can be found both in his Biblical analysis and description of man and his soul, and in a significant attempt to form a Christian psychology textbook for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Bible, Reformed theology, and Christian world view.

      • KCI등재

        성숙에 관한 기독교상담학적 연구 - 정신분석 및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안석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본 논문은 인간의 성숙에 관한 기독교상담학적 연구로서, 정신분석 및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긍정심리학의 태동 이전부터 자기실현적 입장을 지닌 상담심리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성숙한 인간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왔음을 밝혔다. 연구자는 프로이트가 성숙한 인간상으로서의 욕망의 절제를 설명하고 있는 성격의 삼원구조이론(tripartite theory of personality), 프롬의 성숙한 인간상으로서의 ‘생산적 인간(productive person)’, 에릭슨의 인간의 근원적 힘으로서의 ‘덕(virtue)’을 살펴보았다. 그 후에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에서 올포트(G. Allport)의 건강한 성격으로서의 ‘성숙한 인격(mature person)’, 매슬로우(A. Maslow)의 성숙한 인간으로서의 ‘자기실현적 인간(self-actualizing person)’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후에 기독교상담적 측면에서 성숙에 대한 성서적 관점, 긍정적인 자기변화의 성숙을 위한 ‘희망(hope)’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는 성숙에 관한 심리학을 기독교 전통에서 고찰하면서 성숙의 의미가 성서적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개인의 성숙을 위해 지속적으로 신앙 안에서 돌보는 자와의 관계 안에서 희망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마무리 하면서, 인간의 성숙에 관한 일반상담심리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동시에 기독교상담학적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특히 기독교상담자들은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는 성령의 능력과 인도를 통하여 온다는 것을 인식하기에 기독교상담학적 관점에서 앞으로 다루어야 과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n Christian counselling for maturity is implemented by the perspectives of the psychoanalysis and the humanistic psychology. The author clarifies that the researchers who had a standpoint of self-actualizing person had been making some efforts to explain the characters of mature person before the birth of the positive psychology The author examines the tripartite theory of personality by S. Freud who explained a mature person as controlling one’s desire, the ‘productive person’ as a mature person by E. Fromm, and ‘virtue’ as the primary energy of person by E. Erikson. The author continually makes a study on the ‘mature person’ as the character of the whole by G. Allport and the ‘self-actualizing person’ as a mature person by A. Maslow. Subsequently, the author explores ‘hope’ for a positive self-change toward maturity in a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counselling.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his study, the author confirms that the psychologies about human maturity are deeply rooted in Christian biblical traditions and indicates that hoping of a clien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a personal maturity through the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a Christian supporter who is reflecting a hope in Christian faith. In conclusion, the author examines on the maturity of person in the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though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tudy on the counseling psychologies for general. Especially, the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for Christian counsellors recognize that the positive and continuous changes of person come from the guidance and power of the Holy Spirit.

      • KCI등재

        긍정심리학 이론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행복(Happiness)이론을 중심으로-

        강연정 ( Yeon Jeong Ka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5 복음과 상담 Vol.23 No.2

        전통적인 심리학은 한 개인의 부정적이며 병리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치료하고 변화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행복을 증진할 수 있다고 믿어왔다. 그러나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은 개인의 긍정적인 측면을 개발, 증진함으로써 최적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접근으로써, 행복심리학이라고도 일컫는다. 이러한 행복의 심리학은 인간의 잠재력과 가능성의 개발에 강조점을 두고 있는 인본주의적 접근이기에 기독교적인 관점에서는 비판할 부분이 많이 있다. 진정한 성경적 행복이란 하나님과의 바른관계성을 맺고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복’을 누리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성경적인 행복은 일반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행복과는 그 의미와 차원이 다르기때문에 쉽게 이해하기 어렵고, 역설적이며, 고난과 고통이 따르기도 한다. 긍정심리학의 행복이론은 그리스도인의 삶의 목적, 내용, 방법, 결과의 차원에서 고찰될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과의 진정한 관계성 가운데 성경적인 관점의 복을 누리며 살아가고자 노력할 때에 진정한 성경적 행복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기독교상담자들은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긍정심리학에 대한비판점을 분석하고, 기독교상담학과 긍정심리학과의 수용과 통합의 가능성에 관해 계속 연구해가야 할 것이다. Traditional psychology, focusing on negative and pathologic parts of each individual, believed that curing and changing those symptoms could solve the problems and increase the feeling of happiness. However, positive psychology, recently on the rise, is an approach which tries to increase the optimal feeling of happin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developing and enhancing the positive aspects of each individual. Positive psychology is also known as psychology of happiness. The psychology of happiness has many points to be criticized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ity because it is a humanistic approach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uman potential and possibilities. The true biblical happiness means to have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and enjoy the ‘blessing’ from God. The biblical blessing is not easy to understand, sounds paradoxical, and sometimes goes with trial and pain because it has different meaning and level from the happiness in psychology. Happiness theory of positive psychology is thought in the level of aims, contents, methods, and results of Christian life. Christians will experience the true biblical happiness when they make efforts to enjoy the‘ ‘bless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in the true relationship with God. And Christian Counselors must to analysis the critical points about positive psychology and to study the possibilities of acceptance and integration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후보

        복음주의 기독교상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안경승 ( Kyung Seung Ahn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2 복음과 상담 Vol.19 No.-

        논문은 ‘복음주의 기독교상담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한다. 한편 자명하고 근본적인 물음이지만, 복음주의 기독교상담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정체성을 분명하게 하며 그 의의를 올바로 회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역사적 흐름을 되 짚어보며 복음주의가 무엇인지 추적했다. 복음주의 신학과 신앙, 더 나아가 이 운동이 핵심적 가치로 여기는 것을 찾아본다. 둘째, 주로 영미권에서 수용되고 있는 기독교상담에 대한 정의와 특징을 찾아본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상황이지만 회복하고 발전해야 하는 복음주의 기독교상담의 독특성이 무엇인지 밝힌다.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을 확인하고, 그 중에서도 복음전파, 제자화, 죄와 성경이 강조되었다. 더불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기독교적 치료 가운데, 복음주의 기독교상담의 범주를 어떻게 설정해야하는 지를 생각한다. 성경적 상담, 기독교 심리학, 통합론적 접근의 이론과 복음주의와의 관련성을 드러내는데 초점을 모았다. 셋째, 이러한 복음주의적 특징을 회복하기 위한 현재의 여러 노력 중에서 몇 가지를 선별하여 과제로 제시했다. 상담자의 영성, 영혼돌봄의 신앙전통에서 자원을 찾기, 기독교 세계관으로 다시보기, 기독교상담의 새 틀 짜기가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seeks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Evangelical Christian counseling?” Although the question seems to be obvious and theoretical, it will be a meaningful pursuit in order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Evangelical Christian counseling, keep its identity and restore correctly its significance. The first focus is upo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evangelical theology, evangelical faith, and core values of the movement. Second, the article exams the definition and distinctives of Christian counseling accepting in the Anglosphere. It gives us far more clear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Evangelical Christian counseling which need to be built and recovered today. In addition to the precedent study on this topic, evangelization, discipleship, sin, and the Scripture are emphasized. After setting up the category of the Evangelical Christian counseling, the article focuses more specifically on the relationship of Biblical counseling, Christian psychology, and integration view to evangelicalism. Third, the article suggests some areas of research and practice related to building up the Evangelical Christian counseling. And then, it discusses Christian counselor`s spirituality, spiritual resources from Christian sour care tradition,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several topics from a Christian world view, and new framework of Christian counseling.

      • KCI등재

        융 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기독교 영성

        김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3

        본 연구는 융 심리학적 관점으로 기독교 영성의 일부 특징들을 살펴본다. 융은 인간 내면의 종교성에 대한 심오한 심리적 통찰을 가장 잘 던져준 학자였다. 일부 신학자들이 지적하는 신학과 심리학의 명백한 한계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융의 이론은 기독교 영성의 어떤 측면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영적성장에 대한 부분이다. 인간 내면으로 향하는 여정인 개성화 과정에 대한 융의 이론은 영성형성과정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이 두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은 인간이 하나님 또는 무의식과 올바른 관계를 가지지 못하면 인간은 삶의 의미와 가치를 상실하고 피상적이 되어 인간 본연의 삶을 살 수 없다는 것이다. 반대로 인간이 그런 실재와 올바른 관계를 맺으면 변화될 수 있고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과정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즉, 자기각성, 자기초월, 변화가 그것이다. 이것은 융의 개성화 과정의 특징이기도 하고, 동시에 영성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들이기도 하다. 자기각성은 인간을 변화시키는 시작점이다. 융 심리학에서도 영성에서도 이것은 중요한 부분이다. 영성에서 이것은 자기 죄성과 잘못된 자기의 영적 지향에 대한 깨달음이고, 융의 관점에서 이것은 단절되었던 무의식을 인식하는 데서 나오는 깨달음이다. 인간이 의식하지 못하고 있던 부분을 의식하고 각성하게 되면, 인간의 관심과 의식이 확장되면서 자기초월이 가능해진다. 그렇게 되면 인간이 가지고 있던 정신적인 문제가 해결되고 인간은 성숙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변화로 이어진다. 인간은 이전에 가지고 있던 관점으로 어떤 것을 인식하는 것 대신에 더 넓은 관점으로 세상과 자신을 이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모든 과정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기독교에 대한 융의 관점을 살펴본다. 융에게 기독교란 종교경험을 의미하는데, 융이 왜 종교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집중해서 본다. 융은 기본적으로 제도화된 종교로서의 기독교는 치유적 기능을 상실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현대에도 하나님 체험인 종교경험은 인간의 내면을 치유하는 힘이 있는데, 그것은 종교경험이 무의식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자기를 만나는 경험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기독교 영성을 심리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독교 영성에 대한 더 폭넓은 안목을 제공해 준다. This research studies Christian Spirituality from Jung’s perspective. Ju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s who give a psychological insight on religion. Some theologians have criticized that Jung’s psychology cannot explain theological matters inasmuch as Jung thinks that Christian God has only a psychological meaning. Nevertheless, Jung’s theory well explains part of Christian spirituality. Spiritual growth is one of them.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Jung’s individuation and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Both tell that a man loses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if he does not meet either God or the unconscious. On the contrary, a man can be transformed and grown if he meets either God or the unconscious. This paper examines them into three parts. They are self-realization, self-transcendence and transformation. It is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irituality as well as individuation in Jung’s theory. Self-realiza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ransformation of a man. It is important in both Jungian psychology and Christian spirituality. A Christian has to realize his sinful nature and wrong spiritual directions to meet God. In a similar way, according to Jung, a man has to recognize his unconsciousness which has been unknown on the conscious level. If some parts of the unconscious becomes conscious, his concern and consciousness become wider than before and able to transcend his conscious. Then, the man can solve his psychological problems and become mature, which is led to transformation. The man can understand himself and the world with a much wider viewpoint because his conscious has been broader than before. In order to delve into these, it starts from Jung’s perspective on Christianity. For Jung, Christianity is religious experiences so that this article introduces Jung’s idea on religious experiences. Jung thinks that codified and systematized Christianity has lost its vital function that can heal people. Nonetheless, religious experiences still have a power to heal people because they are the encounter with their unconscious. This study provides a new perception on Christian spirituality by giving an insight from Jungian psychology.

      • KCI등재

        한국인의 체면 문화 속에서 기독교인 자살유가족이 경험하는 수치심의 자기 심리학적 이해와 기독교 상담

        우영미 ( Woo Young Mi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9 복음과 상담 Vol.27 No.2

        본 연구는 한국인의 체면 문화 속에서 기독교인 자살유가족이 경험하는 수치심을 Kohut의 자기 심리학을 통해 이해하고 기독교 상담관점으로 연구하였다. 유교문화권에 있는 한국은 서양의 개인주의와 달리 인간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계주의 문화이다. 특히 한국인들은 체면 문화 속에서 사별의 아픔을 보이는 것을 떳떳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교회공동체 또한 유교적 배경의 다양한 문화적 특징과 깊게 관련되어있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에서 기독교인 자살유가족은 일반적인 자살유가족들이 겪는 애도 경험과 더불어 신앙인으로서 가족을 지키지 못했다는 평생 지울 수 없는 수치심과 죄책감의 고통을 겪는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유가족에 대한 이해를 정리하고, 한국의 체면 문화 속에서 자살유가족이 경험하는 수치심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Kohut의 자기 심리학을 확장한 객체적 자기인식 안에서의 한국인의 수치심을 토대로, 기독교인 자살유가족이 경험하는 수치심을 연구한 후 기독교 상담의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교회공동체에서 기독교인 자살유가족들이 심리적, 사회적, 신앙적으로 건강하게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기독교 전문 케어 프로그램의 마련과 기독교인 자살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관한 기독교 상담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hame experienced by the Christian suicide family during mourning process in Korean chemyun culture through Kohut’s selfpsychology and the Christian counseling point of view. Different from Western individualism, Confucianism, which is widely spread in Korean culture, emphasizes importance of collectivism, focusing on relationships. Typical Koreans want to be calm when facing death and are ashamed to reveal the bereavement pain because of chemyun. The Korean church community is also deeply connected with the relationship culture. Thus, the Christian suicide family suffers from the mourning process experienced by ordinary bereaves, along with the indescribable disgrace and guilt of life that they have not kept their families as believers. This research compiles thought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uicide family and examines the shame experienced by the suicide family in Chemyun culture. Additionally, the shame of the Christian suicide family was considered as Christian counseling point of views based on the embarrassment of Koreans in objective selfawareness through the extended research on Kohut’s self-psychology. The key messages are needs of follow-up studies on Christian community’s counseling perspectives on the mourning experience of the Christian suicide family and the preparation of professional care program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to restore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religious health of the Christian suicide family in the church community under the cultural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