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서금택,조용개,장상필,성명국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fessor’s competency self-diagnostic tool that is individually designed and used in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We would utilize the developed professor’s competency self-diagnostic tool to evaluate the self-competence of the instructor. Also we have linked the faculty support program and faculty competency of the CT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basic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5 divisions and 7 questions ; the teaching prepara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7 divisions and 8 questions ; the teaching ac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5 divisions and 8 questions ; the teaching evalua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4 divisions and 7 questions. Second, the common areas of the professor’s self--competency diagnostic tool and the teaching assessment checklist comprised the teaching basic competences, the teaching preparation competences, the teaching evaluation competences. Third, the faculty support programs of the CTL, whic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reas of the professor’s self -competency diagnosis, turned out to have 7 common faculty support programs that positively affect all four areas of the professor’s competency. 본 연구는 기존의 교수학습센터에서 개별적으로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수역량 진단도구 활용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표준화된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하는 데 있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는 교수자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강의평가 문항 영역과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과 교수자 역량의 영역을 연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의기본역량은 5개의 중분류 역량(7문항)으로, 강의준비역량은 7개의 중분류 역량(8문항)으로, 강의실행역량은 5개의 중분류 역량(8문항)으로, 강의평가역량은 4개의 중분류 역량(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수역량 진단도구와 강의평가 문항의 공통 영역은 기본역량, 강의준비역량, 강의실행역량, 강의평가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교수역량 4가지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은 7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4년제 대학을 비롯하여 전문대학에서도 모두 활용 가능한 표준화된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으며, 특히 강의평가 문항 및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교수 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

        사내강사의 역할 및 강의 역량에 관한 연구

        정상헌(Jeong Sang 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기업 인적자원개발(HRD)에서 사내강사의 역할과 강의 역량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사내강사가 기업교육에서 역할이 무엇이며, 어떤 강의 역량이 필요한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내강사 및 사내강사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는 기업에서 사내강사를 통한 실제 교육과 인적자원개발(HRD)에 대한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탐색적 형태의 고찰로 이루어졌다. 또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기업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사내강사의 역할과 강의역량 구성요소를 연구자의 실증적 경험과 현상학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뿐만아니라, 기업에서 사내강사의 역할과 강의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나아가서 강의역량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사내강사의 효과성 및 강의역량 본질에 대하여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사내강사의 역할은 기업 조직 내에서 우수한 지적자산을 전수하기 위해 사내교육을 통해 직원인 학습자에게 현장 실무형의 전문 지식을 전이하여, 조직구성원의 직무향상과 업무성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내강사에 대한 효과성 및 강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4가지 주요 변인은 전문지식, 강의기술, 자세태도, 핵심역량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나타난 주요 변인의 고도화 및 숙련도를 통한 역량향상으로 강의에 대한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in-house instructors in the corporate HRD and how they are capable of teach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preceding study on internal instructors and in-house instructor systems was utilized, based on practical education and an empirical study on HRD through in-house instructors conducted in enterpris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oles of in-house instructors and their components of lecture competence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were studied from the empirical experience and phenomenology of researchers. The role of in-house instructors is to transfer expertise in field work to the learners who are employees through in-house education in order to transfer superior intellectual property within the corporate organization, thereby improving the roles and tasks of the organization members. In addition, the four major variants that affect effectiveness and lecture capabilities for in-house instructors were classified into expertise, lecture skills, attitude, and core capabilities. The efficiency of the lecture can be enhanced by the elevation of the major variants shown here and through the improvement of competence.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 성과관리를 위한 교과 기반 환류시스템 설계 사례 연구

        안정민(Jeongmin Ahn),박수미(Sumee Par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지금까지 국내 대학들이 역량 기반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운영하는 데에 집중하였다면, 이제는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각 층위에서 역량 기반 교육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성과를 점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여러 층위 중 교과목 단위에서 역량 기반 교육성과 관리 방안에 관심을 두고, 학기별로 산출되는 강의계획서, 강의평가, CQI 보고서의 연동 설계개발 방법을 제안하였다. 설계개발의 큰 방향은 교수자가 강의계획서와 CQI 작성을 통해 역량 기반 교육의 목표설정―운영―평가―개선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연관성과 환류에 대해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기초로 2020년 3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약 1년 6개월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설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계획서 입력 시 교과목 기반 평가설계(CEA) 개념을 적용하여 역량 기반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연동하도록 설계하였고, 교수자가 교육목표 달성 준거를 직접 설정하도록 하였다. 둘째, 강의평가 시 교과목에 해당하는 핵심역량 진단을 실시하고 전공역량 함양도를 측정하였다. 셋째, CQI 보고서는 교수자의 입력 영역을 최소화하는 대신 수업 운영 결과를 총체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시스템에서 보고서를 제공하고 역량 기반 교육목표 달성 결과가 표시되도록 하였다. 시스템 설계안은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개발되었으며, 사용성 평가와 실제 사용자의 의견수렴을 거쳐 수정․보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 개발된 강의계획서와 CQI 보고서의 구성요소, 주요 화면 등을 제시하였으며,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맥락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업설계, 수업운영, 평가 및 개선의 각 과정이 분절된 요소가 아닌 하나의 체제(System)로 인식되고, 역량 기반 교육의 환류체계로 기능하길 기대한다. 나아가 교육과정 영역을 넘어 보편적인 역량 기반 교육 운영 모델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If domestic universities have focused on re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t is now necessary to discuss ways to check the performanc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performance management measure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t each course, and proposed a method for developing linked design of lecture plans, lecture evaluations, and CQI reports calculated by semester. The major direction of design is that to make professors aware of the order, relevance, and feedback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goal setting-operation-evaluation-improvement process through lecture plans and CQI preparation. Based on the ADDIE mode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a year and a half from March 2020 to September 2021, and the specific desig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when entering a lecture plan, the concept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is applied to link competency-based educational goals with learning outcomes, and professors directly ensure compliance with educational goals. Secondly, When students evaluate lectures, they are required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the class has achieved core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Thirdly, The CQI report provid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class operation results, aiming to display the achievem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goals without minimizing the input from professors. The system design plan was finally developed after an expert review, and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and opinion collection. This study presents the components and main screens of the final developed lecture plan and CQI report, and proposes considerations for system construction and operation.

      • KCI등재

        보건.복지 현장형 교수자의 강의 역량에 대한 요구도 탐색 연구 : 활동 이론을 기반으로

        차현진(Hyunjin Cha),진선미(Sunmi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들이 현장형 강의에서 학습자 중심의 강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보건복지 현장형 교수자들의 역량에 대한 요구사항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들을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담 데이터는 활동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맥락적 상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요구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심층 면담을 분석한 결과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의 교육 준비, 실행, 개선의 과정적 측면에서 필요로 하는 세부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도출되었고, 다른 강사와 차별화된 역량으로 현장형 강사들에게 특별히 요구되는 현장 영역 측면에서 다양한 세부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현장 영역에서의 역량은 기존에 다른 성인 교육에서 교수자의 역량과는 차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현장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생들의 교육 요구도에 따라 짧은 시간에 이를 습득하여 현장에 적용하려는 목적을 가진 현장형 강의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갖춰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혁신적인 강의 방법으로 라이브 강의에 대한 역량도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그동안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들의 역량 요구 측면에 대한 선행 연구가 부족했다는 점에서 현장형 강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eeds for competency of health and welfare field-type instructors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their capacity enhancement an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which help to perform learner-centered lectures.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 in this study, health and welfare field-type instruc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nine instructors. The in-depth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ased on activity theory to understand the contextual situation in-depth and to derive practical requirements for the field. Results As a result, the needs for competencies required in terms of training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health and welfare field instructors was derived, and various competencies in the field area specifically required for field instructors has shown. It is revealed that such competencies in field area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instructors in other adult education, and it is the competencies that instructors should respond to field-type lectures with the purpose of applying into authentic tasks in the fiel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ability to perform live-lectures as a innovative teaching method in the Corona pandemic situation is required.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on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health and welfare field-type instructors, which is the lack of prior research.

      • KCI등재

        강의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인식 차이 분석: 대학의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박현재(Park, Hyunjae),김대중(Kim, Daejoo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강의평가로 대표되어지는 교수자의 강의역량에 대해 교수자인 교수 집단과 학습자인 학생 집단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강의평가제도를 통한 강의의 질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해, 학습자는 교수자의 입장이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강의평가를 기반으로 한 제반적 강의역량에 대한 교수집단과 학생집단 간 인식 차이를 학술적으로 연구된 논문이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국내 종합사립대이며 다양한 전공과 계열을 갖춘 중형 규모의 D대학을 조사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으로 t검정, 의견의 내용타당도 검정인 CVR, 그리고 요인 간 영향관계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4개의 세부질문(강의평가 구성 적절성, 교수의 강의 개선 활용성, 교수의 강의평가 내용 인지, 학생의 강의평가 답변 객관성) 중 학생의 강의평가 답변을 제외하고는 교수 집단의 평균 인식 값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강의역량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강의평가 항목의 중요성에 대한 교수 집단과 학생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수 집단이 학생 집단보다 강의역량 관련 강의평가 요인들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두 집단의 인식 차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해 본 결과, 먼저 영향력이 높은 1에서 3순위에 해당되는 독립변수(강의의 충실성 관련)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 집단은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이 관련 독립변수가, 그리고 학생 집단은 공정한 평가 관련 독립변인이 더 강의 만족도에 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수 집단과 학생 집단 간 인식 차이는 분명히 존재함이 확인되고, 어느 영역과 요인인지 그러한지를 본 연구에서 분석되어졌다. 도출된 연구결과들은 향후 대학 당국 입장에서는 현실성 있는 강의평가제도를 개선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In this study, the professor group and the learner group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for the instructor s teaching competency, which is represented by lecture evaluation in universities. For the quality of lectures through the lecture evaluation system to be properly implemented, it is important for the instructor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learner and the learner on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However, there are no academic papers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faculty and student groups on overall teaching competency based on lecture evalu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on a medium-sized university, which is a private general university in Korea and has various majors and departments. As analysis methods, the t-test, CVR, which is a test of content validity of opinion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s a result, the average of the professor group except for the student s answer to the lecture evaluation among the 4 detailed questions(appropriateness of lecture evaluation structure, the professor s use of lecture improvement, the professor s recognition of lecture evaluation content, and the objectivity of the student s lecture evaluation answ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 group.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faculty and student groups on the importance of lecture evaluation items in measuring lecture competency, it was analyzed that the professor group perceived lecture ability-related lecture evaluation factors as more important than the student group.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 (related to lecture fidelity) with the highest influence 1 to 3 was found to be the same. And, in the faculty group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n the student group, the independent variable related to fair evaluation had more influence on lecture satisfaction.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faculty group and the student group, and what areas and facto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improving realistic lecture evaluation questions and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authorities in the future. Ultimate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ofessor as the instructor, it can be used to develop the instructor s own teaching ability.

      • KCI등재

        대학의 교수역량 자가 진단결과 분석과 강의평가와의 관련성 탐색

        전수경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수들의 교수역량 자기보고 점수를 알아보고 개인별 변인에 따른 차이점과, 학생들이 평가한 강의평가 점수와의 관련성, 그리고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역량 하위변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소재한 N대학에서 2019년 11월 168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교수역량 검사를 실시했으며, 강의평가 점수는 2019-2학기 기말고사 이후 학생들이 평가한 점수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으로 기술통계, t-검증, ANOVA, Pearson r,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역량은 기본역량에 비해 강의역량이 점수가 낮았으며, 하위 영역 중에는 교수로서의 전문성 및 신념이 가장 높았다. 성별, 직급별, 재직기간별 차이는 없었으며, 오직 계열별로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강의평가와 교수역량 중 교수학습설계, 강의운영, 상호작용, 동기부여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회귀분석 결과 강의평가에는 교수-학습설계 역량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 대학의 풍토와 특성에 맞는 교수자 역량개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reported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at a universit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the relevance to the lecture evaluation scores assessed by students, and the sub-factor of the teaching competency to influence on lecture evaluation. To this end, the teaching competency test was conducted for 168 professors at N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do in November 2019, and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lectures were used by students after the final exam of 2019-2 semes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cture competency was lower than the basic competency, and among the sub-categories, ‘professionalism and belief as a professor’ was the high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eaching competency by gender, job status, and period of teaching in this university. Only the difference of teaching competency by college was significant. The teaching-learning design, lecture operation, interaction, and motiv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s of lecture evaluation by student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eaching-learning design was the only factor to affect lecture evaluation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that fits the climate and characteristics of a university.

      • KCI등재

        교수자용 교수역량 진단도구(H-TCT) 개발

        손원빈,이혜우,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Competency Test for professors from January to March 2019 to help improving their teaching competency by diagnosing their teaching competency and participating in a customized teaching competency enhancing programs. This study developed the test that classifies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into lecture plan, lecture performance, and lecture improvement the elements of each domain. In the lecture plan, 26 items measure 6 elements and 3 domains. In the lecture performance, 37 items measure 8 elements and 3 domains. In the lecture improvement, 17 items measure 3 elements and 3 domains. The test consisted of 80 items. The items of preliminary test were select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we developed the final questions were based on the preliminary test data of 181 part-time instructors at H university, through expert validatio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e H-TCT, which i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professors can not only confirm the visible distribution of his / her teaching competency, but also participate in the matched teaching competency enhancing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본 연구는 교수자가 자신의 교수역량을 진단하고, 맞춤형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한 교수역량 제고를 돕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3월까지 교수자용 교수역량 진단도구(H-TCT)를 개발한 연구이다. 교수자의 교수역량 범주를 강의계획, 강의실행, 강의개선으로 구분하고 각 범주별 영역과 그 하위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했다. 강의계획에서는 3개 영역 6개 하위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26개 문항, 강의실행에서는 3개 영역 8개 하위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37개 문항, 강의개선에서는 3개 영역 3개 하위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17개 문항으로 총 80개 문항을 최종 진단도구 문항으로 구성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예비문항을 선별했으며, H대학교 교수자 181명의 예비검사 자료를 토대로 전문가 타당화와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문항을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역량 진단도구(H-TCT)를 통해 교수자는 본인 교수역량의 가시적인 분포를 확인할 수 있을뿐 아니라, 결과에 따라 매칭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어 교수역량을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 분석

        송연옥 ( Yeon Ok Song ),노혜란 ( Hye Lan Roh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을 양적ㆍ질적방법으로 분석하여 대학 교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수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S대학교 교원 59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조사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차적으로, 교원 23명을 대상으로 행위사건면접조사(Behavior Event Interviews: BEI)를 실시하였다. 1차 자료는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하여 요구도를 산출하였으며, 2차 자료 분석은 해석적 판독 방식인, 문장단위로 사례 절편화하기, 개념화하기, 범주화하기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1차 자료 분석결과, 교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행도가 가장높다고 생각하는 역량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으로 동일했으며, 개선 요구도가 가장 높은 교수역량은 ‘교수학습 자료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의준비 영역(방향이 서지 않는 수업목표 설정,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 강의진행 영역(소통되지 않는 수업, 수업에 몰입하지 못하는 학생들, 학습내용 소화에 대한 의문, 열심히 가르쳐야 한다는 강박), 강의정리 영역(평가 및 피드백에 맞서는 학생들, 강의에 대한 매너리즘) 등 총 3개 영역에서 8개의 강의 저해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에게 유용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마련에 대한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mprovement needs and lecture inhibiting factors by identify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throug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and to deriv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CTL support program. To this end, prim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aching competency survey given to 59 faculty members of “S University,” and second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Behavior Event Interviews (BEI) with 23 faculty members.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on the primary data to analyze needs, while the secondary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terpretive reading methods consisting of the fragmentation,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of examples by sentence units. The results of the primary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faculty evaluate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s both the most important teaching competency and the competency that is presently being practiced best.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most needed improvement was the “development of faculty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condary data, the following eight lecture inhibiting factors were deduced in three areas: lecture preparation (lack of direction in lecture objective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lecture progression (lack of communication during lectures, students’ lack of concentration, questionable internalization of learning, compulsive need to teach zealously), and lecture conclusion (students disagreeing with evaluation and feedback, attitudes towards the lecture). Based on these results, detailed plans for support programs that would be useful to faculty are proposed.

      • KCI등재

        대학 교수자를 위한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 개발

        성소연(Sung, Soyeon),박혜영(Park, Hye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4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들의 교수역량을 스스로 평가하고 점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교수자 13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실시 후 내적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문항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284명의 교수자 대상으로 한 본조사를 통해 문항의 신뢰도 및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수자 배경변인 간의 차이 분석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기본역량(열정적 태도, 다양성 존중, 입체적 사고) 12문항, 강의역량(전문적 교과지식, 강의개발, 강의운영, 상호작용) 18문항으로 구성된 전체 30 문항의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교수자의 직급과 재직기간에 따른 교수역량을 살펴본 결과, 조교수와 부교수의 교수역량이 교수보다 더 높고, 신임 교수자가 21년 이상 재직한 교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는 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세부적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교수자가 자기인식에 기반하여 강의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ools that can self-evaluate and check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on 136 professors, then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leted through internal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urvey of 284 professors was conducted,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questionnaire were verifi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rofessor background variables were analyzed. Finally, self-lecture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30 questions, consisting of 12 in basic competency (passionate attitude, respect for diversity, multi-dimensional thinking) and 18 in lecture competency (professional knowledge, lecture development, lecture operation, interaction with stud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aching competency according to the professors’ potions and length of servi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assistant professors and associate professors was higher than that of professors, and that of professors with 0-3 years of service was higher than that of professors over 21 years. The self-diagnosis tool for teaching competency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detailed diagnosis of the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professors to respond based on self-awareness to check and improve lectures.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 교원의 이해도 및 교수역량 향상 방안 연구

        최경애(Kyoung Ae Choi),최연화(Yeun Hwa Choi)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교양교과목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이해와 활용 수준, 역량기반교육실천과정에서의 어려움, 역량기반교육 실천을 위한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그들의 역량기반교육의 실천에 필요한 지원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에 소재한 J대학교 교양교과목담당 교원 18명을 대상으로 FGI가 실시되었으며, 인터뷰 결과는 교원의 강의경력,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 담당 교과목의 학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이해 및 활용 수준은 교원의 강의경력보다는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량기반교육 실천과정에서의 어려움은 역량기반교육의 설계 및 실행, 교양교육 특성에 따른 조정, 교육여건 등 세 영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교원의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담당 교과목의 학문 분야가 기초학문일 경우에는 교과목의 주역량 설정과 같은 기초적인 것부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량기반교육의 실천을 위한 요구사항은 특강과 같은 교육지원, 평가도구 개발 프로젝트와 같은 체험형 학습지원, 학문 분야별 또는 역량별 사례공유회 및 교수공동체 지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중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이 없는 교원들은 특강 형태의 교육지원을 우선적으로 필요로 했으며, 특강 등의 일부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프로젝트와 같은 체험형 프로그램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가도구개발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교원들은 더 구체적인 사례나 정보공유를 위한 교수공동체 및 워크숍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담당 교과목의 학문 분야가 기초학문인 경우에는 특히 역량기반교육실천에 대한 더 많은 안내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문분야별 사례공유회 및 교수공동체 지원을 더욱 강하게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성공적인 역량기반 교양교육과 교수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차원의 몇 가지 대응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structo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levels, difficulties, and support requests for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CBGE) at university. For this, FGI was conducted with 18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general education at J University in the Chungnam province. Then,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y differ according to instructors’ teaching years, prior training experience(on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As a result, first, instructo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levels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turned out to show the bigger difference by prior training experience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n the years of their teaching career. Second, the difficulties faced by instructors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reported to be various over 3 areas like ins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coordination of studen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general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ditions. Especially, instructors without prior training experience in CBE were found out to have more serious difficulties, especially when teaching basic science or theory-based subjects, like determining main competency for his subject. Third, instructors’ support requests for practic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were founded to be diverse such as special lectures, workshops, experience-based projects like CBE curriculum development including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or consulting, and teaching communities for sharing informations and good examples. Especcially, the instructors without prior training experience requested firstly basic program like special lecture which provides basic understanding on CBE. Next, instructors, who already have special lecture or consulting experience, requested more experiential program on CBE. On the other hand, instructors who already have a experience of evaluation tool development project for his own subject in CBGE, requested teaching community or workshop for sharing more sophisticated informations and good examples of CB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for CBE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