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회분탄 연료의 촉매 가스화에 의한 직접탄소연료전지의 성능 향상

        진선미(Sunmi Jin),유지호(Jiho Yoo),이영우(Young Woo Rhee),최호경(Hokyung Choi),임정환(Jeonghwan Lim),이시훈(Sihyun Lee) 한국청정기술학회 2012 청정기술 Vol.18 No.4

        탄소가 다량 포함된 석탄을 직접탄소연료전지(direct carbon fuel cell, DCFC) 연료로 사용 시 무기물인 회분은 반응 후 남아 접촉계면을 물리적으로 덮어 연료전지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회분이 제거된 무회분탄(ash-free coal, AFC)을 제조하고 이를 증기 가스화 촉매와 함께 도입한 후 DCFC 연료로써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기반의 DCFC에 무회분탄과 가스화 촉매인 탄산칼륨을 연료로 도입한 경우와 무회분탄만을 도입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열분해 반응 조건에서는 두 경우의 전력밀도 차이가 크지 않으나, 증기 가스화 조건에서는 촉매가 도입된 무회분탄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밀도 상승을 나타냈다. 이것은 증기 가스화 반응이 촉매에 의해 활성화되어 더 많은 양의 수소가 생산되었기 때문이다. 촉매 유무에 따른 수소 생성양의 차이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로 정량 분석한 결과, 탄산칼륨첨가는 수소 생산 속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전력밀도의 감소는 촉매가 첨가된 연료에서 더 빠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촉매의 칼륨성분이 전해질과 반응하여 이성질 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얇은 두께의 전해질(30 μm) 도입에 의해 전력밀도가 향상되었다. Carbon-rich coal can be utilized as a fuel for direct carbon fuel cell (DCFC). However, left-behind ash after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may hinder the electrochemical reactions. In this study, we produced ash-free coal (AFC) by thermal extraction and then tested it as a fuel for DCFC. DCFC was built based on solid oxide electrolyte and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FC mixed with K2CO3 was compared with AFC only. Significantly enhanced power density was found by catalytic steam gasification of AFC. However, an increase of the power density by catalytic pyrolysis was negligible. This result indicated that a catalyst activated the steam gasification reactions, producing much more H2 and thus increasing the power density, compared to AFC only. Results of a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much improved kinetics in AFC with K2CO3 in agreement with DCFC results. A secondary phase of potassium on yttria-stabilized zirconia (YSZ) surface was observed after the cell operation. This probably caused poor long-term behavior of AFC with K2CO3. A thin YSZ (30 μm thick)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power density than 0.9 mm of YSZ.

      • KCI등재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활동체계 분석

        진선미(Jin, Sunmi),강인애(Kang, In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교수설계자들의 특정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그들의 활동체계를 분석하고, 그들이 직면한 과제나 갈등, 어려움을 모순을 통해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 4인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개인과 사회구조의 역동적 관계 분석에 활용되는 문화역사 활동 이론(이후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코딩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활동체계 구성요소를 객관적으로 체계화할 수 있었다. 주체인 교수설계자는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모바일 러닝 교수·학습환경 구축을 위해 내·외부참여자들과 규 칙, 분업을 고려하며 목적을 실현시켜나가고 있었다. 이때 체제적 교수설계,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모형, 모바일 콘텐츠, 모바일 콘텐츠 개발툴, 학습관리시스템 (LMS), 테크놀로지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한편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가 당면한 모순과 갈등상황은 업무과중과 부서 간 갈등, 학습관리시스템(LMS)의 불안정한 기술적 지원, 업무 매뉴얼 부재, 학습자 중심 교수설계전략 실천의 어려움, 모바일 러닝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및 실천경험의 부족이였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해가는 과정 속에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들의 활동체계가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y system of mobile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e certain social/cultural context, and confirm the assignment, conflict, and difficulty they face through the contradiction. To this end, qualitativ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4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d the coding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ulture history activity theory(hereafter activity theory) which was used in analyz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structur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jectively systematize activity system components of the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Instructional designers, the entities, were realizing the goal considering the rule and the division of labor with internal/external participants in order to build the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learning environment into which the technology was engrafted. At this time, the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learner-oriented instructional/learning model, mobile contents, mobile contents development tool,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and tool of technology were used. On the one hand, the contradiction and conflict the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ere faced with included the heavy workload, inter-department conflict, unstable technical support of LMS, absence of work manual, absence of the learner-oriente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awarenes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mobile learning, and absence of the practical exper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ity system by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as developing in a future-oriented direction while this contradiction was being resolved.

      • KCI등재

        공무원 역량개발센터(Devlopment Center)의 효과 향상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진선미(Jin sunmi) 한국인사행정학회 202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9 No.4

        5급 이상 공무원의 승진에 필수적인 역량평가는 본래 취지에 따르면 현업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기초하므로 별도의 준비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직무에 따라 실제 상황과 형식이 다를 수 있고 고도의 압박감 하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준비과정 없이는 통과하기 쉽지 않다. 이에, 다양한 공무원 교육기관에서 역량평가 대비를 위해 역량개발센터(Development Center, 이하 DC)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DC를 통해 교육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역량평가에 대비할 수 있거나 현업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DC는 역량평가라는 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용도 외에, 현업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급 공무원으로 구성된 교육생, 퍼실리테이터, 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 델파이조사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DC의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과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현행 DC 교육으로 교육생의 피드백 활용능력(feedback literacy)을 향상시키기 어려우며, 효과적인 DC 교육을 위해서는 양적, 질적으로 내실 있는 피드백 제공, 충분한 모의과제 수행 시간 확보, 교육 후 역량개발 활동에 대한 도움 제공 등이 필요하다. Competency assessment, which is essential for the promotion of 5th grade public officials, is based on simulation of the actual situation, so no preparation is required. However, the actual situation and form may differ depending on the job, and it is not easy to pass without the preparation process because it is conducted under high pressure. Accordingly, in order to prepare for competency evaluation in various public offi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e Development Center (DC) training is provided. It is desirable for trainees to be able to prepare themselves for competency evaluation or to improve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ield through DC, but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at.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the test called competency evaluation, DC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the field, but systematic research on this wa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hinder the effectiveness of DC and improvement measures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FGI and Delphi survey targeting trainees, facilitators, and industry experts composed of 6th public officials. In summary,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feedback literacy of trainees with the current DC education, and for effective DC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d substantial feedback, secure enough time to perform simulation tasks, and develop competency after education needs to provide help.

      • KCI등재

        보건.복지 현장형 교수자의 강의 역량에 대한 요구도 탐색 연구 : 활동 이론을 기반으로

        차현진(Hyunjin Cha),진선미(Sunmi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들이 현장형 강의에서 학습자 중심의 강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보건복지 현장형 교수자들의 역량에 대한 요구사항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들을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담 데이터는 활동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맥락적 상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요구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심층 면담을 분석한 결과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의 교육 준비, 실행, 개선의 과정적 측면에서 필요로 하는 세부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도출되었고, 다른 강사와 차별화된 역량으로 현장형 강사들에게 특별히 요구되는 현장 영역 측면에서 다양한 세부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현장 영역에서의 역량은 기존에 다른 성인 교육에서 교수자의 역량과는 차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현장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생들의 교육 요구도에 따라 짧은 시간에 이를 습득하여 현장에 적용하려는 목적을 가진 현장형 강의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갖춰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혁신적인 강의 방법으로 라이브 강의에 대한 역량도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그동안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들의 역량 요구 측면에 대한 선행 연구가 부족했다는 점에서 현장형 강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eeds for competency of health and welfare field-type instructors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their capacity enhancement an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which help to perform learner-centered lectures.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 in this study, health and welfare field-type instruc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nine instructors. The in-depth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ased on activity theory to understand the contextual situation in-depth and to derive practical requirements for the field. Results As a result, the needs for competencies required in terms of training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health and welfare field instructors was derived, and various competencies in the field area specifically required for field instructors has shown. It is revealed that such competencies in field area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instructors in other adult education, and it is the competencies that instructors should respond to field-type lectures with the purpose of applying into authentic tasks in the fiel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ability to perform live-lectures as a innovative teaching method in the Corona pandemic situation is required.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on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health and welfare field-type instructors, which is the lack of prior research.

      • KCI등재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기반한 박물관 교육담당자의 구성주의 박물관교육 실천 활동에 관한 분석

        최지혜(Jihye CHOI),강인애(Inae KANG),진선미(Sunmi JIN)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7

        본 연구는 박물관교육의 방향성을 구성주의에 두는 견해가 대세를 이룬 이후 박물관 교육담당자들이 구성주의 박물관교육을 실천함에 있어 겪어온 어려움과 해결책들을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이라는 분석틀을 활용해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으로는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담당자 4인을 선정, 심층면담하였고 질적 자료 분석은 NVivo11을 활용해, 코딩 분석하였다. 이에 교육담당자별로 대응책과 해결방안이 상이했던 1차 모순과 달리 대응방안이 유사한 2차 모순 내 ’보여지는 관습적 박물 관교육’을 구성주의적 박물관교육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교육담당자들의 발전적 모습에 집중, 분석한 결과, 박물관에서 교육 의 입장은 박물관교육을 전문분야로 인식하지 못한 채 박물관교육의 근간인 전시물기반학습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학생 수만을 고려한 보여주기식의 단순 상시 체험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야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하지만 교육담당자들 은 보조전시물을 활용한 특색있는 교육 기획과 개별적 질적 평가 수행을 통해, 박물관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박물관 교육 공동체의 변화를 이끌고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담당자들의 활동체계를 분석하여 구성주의 박물관교육 환경을 더욱 확장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방안을 제공하고 활동이론이 박물관교육 담당자들의 활동체계를 특정 맥락 안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유익한 분석틀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understand work practice of museum educators in adapting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which overthrows traditional practices of museum education in many ways, yet has been regarded as main stream of museum education. For the purpos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hereafter, Activity theory) has been utilized as a framework to analyz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and to offer a understanding of the whole work activity of the museum educators. Data collected from deep interviews with 4 constructivist museum educator selected were analyzed using Nvivo11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analytic components of the Activity theory. The results showed contradictions and tensions, which occur within multiple interrelated activities to implement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by the museum educators. Yet, the educators tried hard to overcome the challenges by their practice. Such efforts by them would come to the terms of evolution of the museum education community over all. On the top of that, this study clearly presented the Activity theory as an useful tool to understand and present a professional work practice such as museum education field.

      • 교육공학의 실천영역에서 효과성 연구에 대한 재조명

        권성호(Sungho Kwon),신상희(Sanghee Shin),진선미(Sunmi Jin),한승혜(Seunghye Hyun),정승환(Seunghwan Ju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7 학습과학연구 Vol.1 No.-

        최근 들어 교육공학의 제이론과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 개발, 도입된 교수-학습미디어들이 과연 실제 학습자의 창조적 사고와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교수-학습미디어 효과성 연구의 쟁점과 실제 연구 결과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기존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이 어떤 것인지 살펴보고, 새로운 교수-학습미디어 연구의 대안으로서 주어진 학습맥락 안에서 학습자와 교수-학습미디어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최근에 모든 학문의 영역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는 생태학, 복잡계에 대한 논의와 이와 더불어 보다 포괄적인 분석의 틀로써 활동이론에 대하여 탐색해 봄으로써 새로운 교수-학습미디어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se days there are some questions about educational media ? whether they can improve learners"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This paper reviews the major issues and current research framework abou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media. Furthermore, Ecology, Complex Systems, and Activity Theory are discussed as new perspectives and research framework for the effectiveness study of educational med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