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에 대한 주요국의 훈육 규정 사례 연구

        홍신기(Hong Sin ki),윤순종(Yoon Sunn j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지도를 위해 필요한 훈육규정에 대해 주요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주요국의 훈육 규정 사례는 문헌 검색을 통하여 학교의 훈육 규정을 확보할 수 있는 영국, 미국, 캐나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영국,캐나다는 2개 학교 씩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미국의 경우는 대다수의 공립 초등학교가 관할 지역구의 훈육 규정을 준수하고 있어 관할 지역구의 훈육 규정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국의 훈육 규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훈육 목적은 영국과 캐나다의 경우 긍정적 훈육 측면에서의 학생의 자아 발달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국의 경우는 훈육 규정 자체에는 훈육의 목적이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훈육 행동 유형은 257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257가지 훈육 행동 유형 중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대상이 되는 행동은 신체폭력,금지 물건 소유,금지 약물 사용, 물건 훼손 및 절도,언어폭력,성적 폭력,전자 기기 사용 규칙 위반 6가지이다. 셋째,훈육 방법은 3개 국가 중에서 미국의 경우가 훈육 방법에 대해 매우 구체적이고 절차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훈육의 행동 유형 및 사안의 심각성에 따라 단계를 나누고 교사 수준에서 처리하는 방법부터 교장 및 지역사회 협력기관의 수준에서 처리하는 방법까지 사안 별로 제시했다. 훈육의 본질 적 의미에서 긍정적 훈육의 방향을 기본으로 해야 하겠으나 불가피하게 교실 통제 불능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실제 초등학교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훈육 규정의 적용,법제화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elementary school discipline of major countries. I have collected three countries cases by searching literatures and web materials. Three Countries are England, United States and Canada. I have chosen six elementary schools of three countri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school discipline is focused self development and positive direction. Second, according to six elementary school discipline, I can classify discipline behaviors are around twenty five types. Among these behaviors, physical violence, belonging illegal items, using drugs, damaging belongings of others and school. sexual harrassment. and violating rules of using electronic devices are common discipline behavior types. Third, in terms of consequences, United States is presenting very specific and systematic school discipline consequence and procedure. In the basis of behavior serious level. different consequences are applied to individual student cases. We should direct positive discipline in terms of discipline essential sense. However, I suggest that school discipline is compulsory and necessary for avoiding classroom disorder.

      • KCI등재

        초등학교 훈육의 구조에 관한 연구

        주향란 ( Hyang Lan Ju ),손경원 ( Kyung Won S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초등학교 훈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훈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훈육의 구조(훈육의 지원체계, 훈육 유형, 목표행동)를 도출하였다. 3~6학년 초등학교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학급운영과 훈육방법에 관한 면접과 설문을 실시하고, 각 교사들의 학급운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6학년 12개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급규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전사 기록, 설문지, 문서, 학급 일상생활 관찰 기록 자료를 토대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훈육의 지원체계는 교실 훈육의 원활한 실시를 위해 필요한 인적요소, 관리영역, 환경요소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사의 훈육유형은 교사의 훈육 방향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로서 문제 상황 인식, 동기부여 방법, 훈육계획에 있어 접근하는 관점에 따른 교사의 8가지 훈육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목표행동은 학급규칙과 보상 및 결과 시행으로 구분되며, 학생과 상호소통하며 목표행동을 관리하는 교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of discipline for searching the plans of discipline according to each teacher`s tendency and sense of value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iscipline through understanding the discipline structure(supporting system, discipline type. achievement behavior).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discipline in school. Also a phenomenon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data. We conducted interviews and surveys targeting 16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3th~6th grade classes about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strategy of discipline.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by 4th~6th grade students about the types of each teacher`s discipline and classroom rules. Collected transcription records, questionnaires, documents, classroom life observation records were analyzed by grounded theory. From this we drew the conclusion of the structure of discipline in elementary school. The structure of discipline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pporting system that was composed of human resources factor, management factor, environment factor required for smooth discipline. Second, 8 types of discipline according to approaching views to understanding the problem situation, a way of motivation, the plans of discipline as the main factors that decided the direction of discipline, Third, classroom rules decided by achievement behavior, compensation and consequences. Students prefer the teacher who controls achievement behavior communicating with them.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훈육유형과 훈육효과 분석

        김달효(Kim, Dal-hyo)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

        최근의 연구들에 의하면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지 못할 정도로 소란을 피우거나 엉뚱한 행동들을 하고 심지어는 교사의 권위에 대항함으로써 학교교육의 정상화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학교교육에서 질서유지는 학생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현안이다. 따라서 교사의 효과적이며 올바른 훈육이 요구된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교사의 훈육유형에 따른 훈육효과에 대한 연구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훈육유형과 훈육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8개 중학교에서 최종 843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요인분석과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Scheffé)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훈육유형은 민주형, 방임형, 타협형, 지원형, 전제형의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고, 훈육효과의 구성요소는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 학습태도, 긍정적인 학급풍토, 학생의 인간관계, 자아개념, 친사회적 행동의 여섯 가지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사의 훈육유형이 민주형과 지원형일 때 다른 훈육유형(방임형, 전제형, 타협형)보다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iscipline problems at school are very important not only in terms of students' life but also social function. Therefore, discipline needs to b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discipline type and discipline effectiveness. The study sample comprised 843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investigation tool, consisted of questionnaires about the teacher's discipline type and discipline effectiveness made by Kim(2006).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Scheffe-tes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ve typ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discipline were identified: democratic type, compromiser type, supporter type, autocracy type, and noninterventionist type. Second, six components of discipline effectiveness were identified,: student's self-concept, human relationship, proactive behavior, learning attitude, classroom climates, and desisting of misbehavior.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discipline type and discipline effectiveness, the democratic and supporter types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 three discipline types. The noninterventionist type was ineffective in all components of discipline effectivenes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의도적 통제가 역기능적 훈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양은(Kim Yang E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의도적 통제가 역 기능적 훈육행동을 예측하는지 살펴보고, 의도적 통제가 양육스트레스와 역기능적 훈육행동과의 관계에 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 151명이었으며,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의도적 통제, 역기능적 훈육행동 중 과잉훈육은 서로 유의미하게 상관이 있었으며, 역기능적 훈육행동 중 방임훈육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의도적 통제는 과잉훈육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과잉훈육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는 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의도적 통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 치게 되고,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을수록 역기능적 훈육행동인 과잉훈육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노력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역기능적 훈육행동(과잉훈육)을 낮 추기도 하지만, 의도적 통제능력이 낮은 어머니의 경우 훈육행동에 대한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고 려하여 이를 위한 예방과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parenting stress and effortful control predict dysfunctional parenting for the mothers who have a child subject to discipline, and if effortful control plays a mediation role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ysfunctional parenting.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51 mothers of children aged between 1.5 and 3, and, for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 was as follows: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effortful control and overreactivity in dysfunctional parenting. Laxness in dysfunctional parenting, howev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parenting stress and effortful control of mothers were predictors of overreactiv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overreactivity of mothers, effortful control partly mediated the two variables. In other words, a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had a negative effect of effortful control and a low level of effortful control led to a higher probability of overreactivity, which is a type of dysfunctional paren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effortful control of mothers can reduce dysfunctional parenting (overreactivity) in stressful situations, but, also, mothers who are less capable of effortful control can have difficulty adjusting the level of parenting. Therefore, relevant prevention and parenting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훈육’의 교육적 의미의 재해석

        김선혜(Kim Sun-Hy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일반적인 특성을 지녀온 까닭에 아직도 부정적인 의미로 통용되고 있는 ‘훈육’에 대하여 교육활동 속에서의 중요성에 비추어 좀더 새로운 차원에서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는 훈육의 의미 규정에 뒷받침이 될 만한 몇 가지 준거 즉, 훈육에 대한 기본 전제, 개념, 목적을 찾아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 관련지었다. 그 결과 훈육은 새로운 의미를 가져야 하는 정당성을 찾게 되었다. 첫째로, 훈육은 교육활동에서 매우 광범위한 영역을 차지하는 것으로, ‘휴머니즘’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훈육은 교육의 개념을 어느 정도 포괄하는 의미를 지님으로써, 교육에 대한 다양한 개념 정의 가운데 하나인 개인의 자기실현으로서의 ‘자기발전과 성장을 위한 과정’으로 규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훈육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기초로서 ‘자기통제를 통한 자기훈육’의 목적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훈육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교육에서의 훈육의 중요성을 정당화함으로써 교육활동을 효율적으로 실천하는 데에 기초가 되며, 훈육의 방향성을 찾아내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iscipline. For this purpose, it is needed to prescribe philosophy, conception, and aim of discipline and connection with education.<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ilosophy of discipline is children respect, namely, humanism. Second, the conception of discipline is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growth as a person. Third, the aim of discipline is self-discipline through self-control.<BR>  So, the factors of education are related to discipline. Discipline needs to be view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education and absolutely critical to the development of healthy individuals. The most fundamental purpose of discipline is the development of self-control. Self-contro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utcomes of education and a basic prerequisite for a democratic soc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justifies an importance of discipline and offer to a new significance of discipline in education.

      • KCI등재

        훈육행위로 인한 아동학대사건 판례에 대한 고찰

        박연주(Yeon-Joo Park),한창근(Chang-Keun Ha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1

        본 연구는 아동보호권자들의 훈육행위가 아동의 신체적 자유침해와 관련한 학대행위임을 재판에서는 어떠한 기준에 따라 살펴보고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들 훈육을 위한 행위였음을 항변하는 학대행위자들에 대한 형량의 기준은 적정한지를 살펴 보완점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부모의 훈육행위가 처벌로 연결된 경우는 사망사건이 대부분이며,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훈육행위가 처벌로 연결된 경우는 상해 · 폭행행위 등이 학대행위로 인정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모의 훈육행위에 대해 처벌로 연계되는 경우는 가벼운 상해 · 폭행의 경우, 형사기소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로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족 내 재학대로 나타나 재학대 예방을 위한 가족 내 훈육의 적극적 처벌근거 및 개입을 위한 형사적 제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훈육행위와 관련한 판례들에서는 신체의 직접적 체벌은 훈육행위가 아님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판결문을 통해 이러한 훈육기준으로 사회통념상의 개념을 언급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 내 훈육을 이유로 재학대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사적 제재로서의 훈육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가정 내 훈육에 대한 법원의 인식개선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와 더불어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경우에는 이들을 위한 훈육행위 지표마련,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에 훈육관련 명문규정의 필요성 등과 관련한 제언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understand the extent to which the discipline practices of children’s guardians are mitigating factors when guardians are sentenced in trial; and whether the punishment criteria are appropriate for perpetrators who appeal that their abusive behaviors were to discipline their children. This study found that most of the cases related to discipline practices that ended in the sentencing of a parent were cases that involved the death of a child; however, most cases related to discipline practices that ended in the sentencing of a child care worker were cases that involved minor injuries and assa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nor injuries and assaults by parents do not get sentenced in trials. The results also explain why child abuse at home is repeated and confirm the importance of active court punishment and penal sanction against child abuse. On the contrary, sentences for child care workers in child abuse cases have confirmed that physical punishment is not considered a disciplinary practice.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the criteria of disciplinary practices at home and setting standards of discipline practices to be considered as part of the penal sanction in the criminal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n index of discipline practices for child care workers and that the Special Act for the Punishment against Child Abuse should adopt regulations against child abuse from discipline practices.

      • KCI등재

        인성교육의 실천적 방법으로서 학급훈육 결정 모형 연구: 학급훈육 이론을 중심으로

        박우식 ( Park Woo Sik ),김대석 ( Kim Dae Seo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4

        이 글의 목적은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적 방법으로 다양한 학급훈육 이론을 검토하고 학급훈육방법 결정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연대순으로 학급훈육의 특징과 학급훈육의 발전에 기여한 훈육이론을 개괄적으로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교사 각자에게 적합한 학급훈육방법 결정을 위해 자주 논의되는 외국의 8가지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모형 중에서 Edwards & Watts의 모형을 보완하고 학교를 사회체제로 간주한 Hoy & Miskel의 모형의 특징을 반영한 학급훈육의 방법결정을 위한 ‘종합적인 사회체제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모형을 통해 교사가 자신에게 적합한 훈육방법을 합리적으로 결정하게 되면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와 학급분위기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이 글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학급훈육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국내의 교육환경과 풍토에 적합한 학급훈육이론과 학급훈육 결정모형을 연구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various classroom discipline theories as a practical method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o develop an effective discipline decision mode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cipline chronologically and researches discipline theori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iscipline. Next, this research presents eight models that are frequently discussed to determine an appropriate discipline method for each teacher: Lewis' Philosophical Perspectives, Konza, Grainger, & Bradshaw's Behavior Management, Edwards & Watts' Comprehensive Discipline Model, Richmond's Four Behavior Management Approaches, Porter's Discipline Theory Continuous Model, Miles' Leading Philosophical (theoretical) Foundation Model, Burden's Classroom Management Taxonomy Model, and Lyford's Classroom Management Model.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 comprehensive ‘social system model’ of classroom discipline that supplements Edwards' model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oy & Miskel's model which regards school as a social system. This study, which determines the method of discipline that is beneficial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will not only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reduce disruptive behaviors in the classroom and the school. In addition, this paper will give researchers an opportunity to study the discipline theories and discipline decision models suitable for domestic education environments and climates with interest in foreign discipline theories.

      • 경성사범학교 학생 훈육의 성격

        김성학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9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5 No.-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어 온 학생 훈육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일제시기 경성사범학교에서 이루어진 훈육의 내용과 형식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920년대와 1930년대의 훈육의 변화 양상에도 주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로, 일반 중등학교에 비해 상대적 혹은 절대적으로 더 강조되고 있던 수신과와 체조과를 통해 순종과 忠의 윤리, 및 武士정신과 집단정신의 내면화가 시도되고 있었다. 둘째로, 거의 일상화된 의식과 행사를 통해 천황제와 군국주의의 합리화를 위한 천황숭배 의식, 집단정신, 군인정신을 주입하려고 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서의 강요, 노래 및 운동회의 의식과의 결합, 위계적·고정적 순서, 경례의 반복 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로, 적어도 1920년대 중반부터 황국신민화·군국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1930년대에 그것이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넷째로, 경성사범학교의 학생 훈육은 정교한 행동통제, 위계적 학생집단의 편성, 기숙사 제도라는 형식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었다. 학생들의 저항 행위도 나타났지 만, 그것을 일반화하기는 힘들었다. 결국 경성사범학교의 학생 훈육은 순종하는 집단정신과 육체의 생산, 즉 천황의 신하 만들기와 군인 만들기 과정이었다. 이러한 학생 훈육은 1930년대 후반 이후 더욱 강화되어 갔을 것이다. 경성사범학교의 지도적 위치로 인해 그 훈육의 내용과 형식은 전 관·공립 학교로 전파되어 보편적 관행으로 굳어져 오늘날까지 잔존하게 되었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제시기의 훈육은 일본인들이 식민지 시대에 필요한 인간의 양성을 위해 학교현장에 도입한 것이었다. 탈근대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는 지금, 지난 날의 훈육 내용과 형식을 정밀하게 재검토하고 시대에 걸맞는 것으로 재조정하는 작업이 요청되고 있다. In this study, it was a primary concer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for specific disciplines and personalities at Kyung-Seong normal school. The results of it were as follows. 1) By the subjects of moral education(Su-Sin) and gymnastics which were more emphasized than at the general secondary schools, it was attempted to internalize allegiance and collective spirit. 2) Students were demanded to cultivate the cult mind of the Japanese Emperor, collective spirit and soldier's mind through the ceremonies and events which were held frequently. 3) At least in 1920s the liege man-making and militaristic education was begun at the school, In 1930s it was more strengthened. 4) The education for specific disciplines and personalities at the normal school was supported by the means of the elaborated behavior control, the hierarchy of students groups, and the dormitory system. All the these facts show that the education at the normal school was the liege man-making and military man-making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ans for specific disciplines and personalities which were practic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remained at Korean schools till now. It is the time that we reexamine it and readjust it to postmodern times.

      • KCI등재후보

        수요자 요구에 근거한 국군간호사관학교 훈육프로그램 개발

        조순영 ( Seun Young Joe ),이미영 ( Mi Young Lee ),이호진 ( Ho Jin Lee ),김연제 ( Yeon Je Kim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4 군진간호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국간사 훈육프로그램의 수요자 요구도를 조사하고 타사관학교 훈육프로그램 분석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 훈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정예간호장교 양성에 기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4년간 훈육프로그램의 학습자이자 당해 연도에 졸업한 직후인 초임간호장교와 졸업생이자 훈육프로그램을 운영했던 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장교를 대상으로 수요자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방법, 그 외 훈육관련 추가의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국간사 교육과정위원회는 4년마다 정예간호장교 양성을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해 왔으며, 2013년에도 간호교육인증평가와 연계하여 2014∼2017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교육과정 개발단계에는 재학생과 간호장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에는 교육과정에 포함될 훈육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훈육에 포함시켜야 될 것과 제외해야 할 것을 묻는 단순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훈육프로그램 내용과 운영방법에 대한 조사는 없었다. 그리고, 국간사 생도들을 대상으로 훈육기법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Lee et al., 2004)에서는 MBTI 16가지 성격유형을 활용한 인성교육 적용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나 훈육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제시는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운영기관 중심의 일방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수요자인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보다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Kang, 2013), 연구기간의 제한 상 수행과 평가는 못하였지만, 분석과 설계단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국간사와 훈육이라는 특수성으로 관련 문헌이나 연구가 거의 없고, 전문가가 제한된 점을 고려하여 4년간 훈육을 받았던 초임간호장교와 훈육을 담당했던 경력간호장교들을 대상으로 요구도를 조사하였으며, 적용가능성 검토는 타사관학교 훈육 프로그램 분석과 현재 훈육을 담당하고 있는 훈육요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훈육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훈육의 정의를 살펴보면 훈육은 장교를 육성하는 사관학교 교육특성 중 한 가지로(Park, Park, Ku, & Lee, 2007) 사전적인 정의는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름’(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8)이며, ‘정신적 능력이나 도덕적 품성을 수정, 조형, 완성시키는 훈련’, ‘복종이나 명령을 강요함으로써 획득하는 통제 능력’, ‘규정에 따르는 행동유형’으로 정의된다(Park et al., 2007). 현재 국간사 2010∼2013 교육과정 및 2012, 2013년 교육계획(AFNA, 2013)에는 훈육 또는 통합훈육에 대한 개념에 대해 명시적인 개념 정의가 없으며,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즉, 목표와 방침, 시기 및 절차만 제시되어 있다. 훈육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장교의 인터뷰에서도 통합훈육은 교수, 훈육, 생도, 부모 모두 함께의 의미로 최초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국간사에서는 교수부와 생도대가 통합하고 봉사활동, 원화의식 등 모든 것을 다하는 두 가지 개념이므로 훈육에 대한 정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도 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게다가 적성평가와 건강 관리, 정훈교육은 훈육평가 항목이지만 훈육 프로그램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초임간호장교들을 대상으로 ‘훈육에 대한 느낌’을 물었을 때 일부 초임간호장교들은 ‘훈육요원에 대한 느낌’을 말한 점을 보더라도 훈육에 대한 생도들의 명확한 인식 또한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즉, 훈육의 정의와 구체적인 프로그램 및 방법 등에 전반적인 내용에 대하여 사전에 안내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훈육프로그램의 내용 중 초임간호장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었던 훈육 프로그램은 적성평가였다. 현재의 적성평가 항목은 모든 학년에 적용되는 공통항목 11개와 학년 별 교육목표를 반영한 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간사에서 이루어지는 적성평가 항목의 적절성을 검토한 Park, Park, Park, Yang과 Bang(2007)의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의 항목이 ‘적절하다’고 하였으나 ‘진정한 용기’ 항목이 너무 추상적이며, ‘지휘통솔력’ 항목의 경우 지휘근무생도가 아닌 경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언급되었다. 또한 Park 등(2007)은 평가항목에 없지만 생도의 특성 또는 장단점이 기술될 수 있는 항목이 추가되는 것과 강제적인 서열화에 대한 부담감과 상대평가 등으로 인한 평가의 전반적인 검토를 제안하였으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후속 연구는 없이 기존의 평가 항목과 방식이 유지되고 있다. 또한, 초임간호장교의 인터뷰에서 동기생도들에 대해 잘 모를 경우 지휘근무를 맡고 있는 생도에게 우선점을 부여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스스로도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웠다는 것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C사관학교처럼 동급생/지휘근무생도가 구분되어 평가되어야 하며, 단순 평가가 아닌 훈육 참고요소로 활용하기 위하여 인터뷰 결과에서 제시된 대로 주관식 문항 등이 포함될 필요가 있으며, 적성평가로 인한 생도들이 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기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평가항목의 비현실성, 불공정성과 점수별 강제할당 방식 등이 간호사관생도의 적성을 평가하기에 타당한지 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3학년의 경우 실습지 이동으로 인해 훈육요원의 관찰기간이 짧다는 특성이 있으므로, 국간사만의 특성화된 적성평가 시기와 방법,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훈육 프로그램의 운영방법 측면에서 보면 보다 실질적으로 훈육에 대해 안내를 하고, 토론식 수업 등을 통해 효과 등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 훈육성적은 생도들의 학교생활적응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Hwang et al., 2009)로 나타나, 생도들이 훈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데 외재적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졸업생들 인터뷰 결과에서 강의계획서와 같은 훈육전반에 대한 소개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있어, 생도들이 자발적으로 훈육에 참여하기 위한 자발적인 동기유발 차원에서 훈육 계획서 및 훈육소개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은 교육과정에 비해 형식과 내용이 개방적이며, 학습자의 요구가 강조되고, 구성요소간의 유기적 네트워크가 강조되므로(Lee, 2008), 훈육프로그램은 교육과정보다 더 개방적이고 생도들의 요구가 고려되어야 하며, 다른 훈육프로그램 구성요소들과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졸업생들이 보안교육과 정훈교육에서 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듯이 학년별로 실시되는 정훈교육, 보안교육의 수준이 교육담당자와 상관없이 강의-토의-실습 순으로 수준이 높아져야 하고, 교육내용도 생도 또는 미래의 부여될 업무와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교육 방법의 가까운 예로, 현재 국간사 전공과목에서 활용되고 있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은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을 발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학습 전략 중 문제를 주요 수단으로 하는 교수전략으로(Shin, Kim, Kim, Kim, Do, Kim, et. al., 2008) 학습자를 학습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수업에 대한 동기화를 촉진하고 있다. 또한, 주제발표의 주제를 계획할 때 보다 개방적인 관점에서 시사성이 반영된 주제로 변경하는 등 융통성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질적으로 학습자에게 평가나 학습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사회적인 기준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 행동에서 성공 또는 실패의 원인과 결과를 탐색하고자 하는 귀인(attribution)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Schunk, Pintrich, & Meece, 2008; Lee, Lim, Yeo, Kim, Shin, Kim, et al., 2009). 이러한 요인들은 학습자의 정서와 실제적인 행동, 성공에 대한 기대신념과 자아효능감에도 영향을 주며 높은 기대와 가치를 가진 학습자는 과제에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이게 되고 실제로 높은 성취를 이끌어 내게 된다. 이를 통해 볼 때 생도들에게 훈육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와 평가에 대한 기준 등을 제공하게 되면 생도들로 하여금 훈육에 대한 기대나 가치를 높게 부여하게 되고 보다 더 적극적인 참여와 높은 성취수준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신세대는 기존의 규범과 권한에 동조하기보다는 주관적인 가치에 의해 행동하고 직접 참여하는 데에서 즐거움을 추구하는 행위를 선호함을 볼 때(Yoo, 2003) 각종 교육에서 생도가 직접 참여하는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생도들은 주제발표, 독서발표, 정훈교육 시 생도에게 주제 선정 기회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체력단련의 자율적 시행, 자율성 배양프로그램 등 다양한 훈육프로그램 안에서 자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자율성을 느낄 때 높은 수준의 의지를 갖고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과제를 수행할 때 더욱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또한 자율성을 지지하는 환경 하에서 학습자들은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고 심리적인 안녕과 문제행동 및 중퇴율이 감소하게 된다(Chirkov & Ryan, 2001; Chirkov, 2009). 하지만 실제로 국간사 생도들이 학교생활 안에서 지각하는 자율성은 6점 척도에서 2.6으로 낮게 나타난 선행연구(Kim, 2011)의 결과와도 결부지어 볼 때 국간사 생도들은 자율성에 대해 강한 욕구를 지니고 있으므로, 생도의 수요자 요구에 근거한 국군간호사관학교 훈육프로그램 개발 참여와 의사결정을 반영하는 등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인 훈육프로그램 개발 외에 기타내용으로 훈육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장교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 언급된 내용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훈육요원의 역량과 평가에 대한 내용이었으며, 훈육요원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시에도 CVI 값이 0.83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훈육관은 생도 각 중대의 지휘관으로서 생도에게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역할모델이며, 행동에서의 일관성과 언행의 일치와 동시에 따뜻함과 대인관계가 중요한 역량임이 확인되었다(Sim, Kang, Kim, Seo & Kim, 2011). 훈육요원은 2년 기준의 단기간의 보직 기간이며, 교육과 행정 및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특성 뿐 아니라 생도들이 기대하는 모습 또한 다양함으로 인해 훈육요원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의 제한점이 존재한다(Park et al., 2007). 3사관학교의 발전된 훈육시행을 위해 제시된 연구결과(Choi, 2009)를 보면, 제반 훈육여건의 개선을 위해 훈육관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화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이 강조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국간사의 훈육관 역량모델 개발 연구(Sim et al., 2011)에서도 훈육관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기존의 간호장교로서 근무하던 장교가 직책이 바뀜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화된 교육이 없어, 국간사 생도들을 위한 훈육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훈육요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내용은 훈육요원 전입과 동시에 워크샵, 상담, 리더십 등의 보수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훈육 비전 및 철학 정립을 위한 기간을 최소 1주 이상 보장 및 훈육요원 연구 강의 시 구체적 훈육 지침이 필요하며, 훈육요원 스스로 훈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 훈육문화에 대한 이해 등을 포함한 국간사 훈육요원의 직무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이었다. 이와 같이 훈육프로그램은 그 자체뿐만 아니라 운영을 위해 훈육을 담당하고 있는 훈육요원을 위한 교육도 필요하며, 훈육을 위한 실질적인 시간 배정과 여건이 마련되어야 하고, 무엇보다도 훈육을 받는 생도들 스스로의 인식과 동기부여가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훈육 프로그램과 인터뷰에서 나타난 많은 내용들이 단순히 연구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실제로 반영되어 실무와 연구가 함께 연계될 것을 제안해 본다. 본 연구는 훈육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검토를 위하여 현재 재직 중인 훈육 요원만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프로그램 개발과 구성 측면에서 외부 전문가를 포함하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 또한, 수요자 요구도 조사 시 훈육프로그램을 4년간 모두 경험한 초임간호장교들만 포함하였다는 점과 연구기간의 제한으로 실제 적용해보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Purpose :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mands of discipline program and develop the program suitable to cadet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methodological study with the analysis and the design step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ADDIE) amo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irst, on the analysis step, in order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discipline program, focused group interview of 16 novice nursing officers and 8 experienced nursing officers who were in charge of disciplinary action was conducted. Secondly, on the design step, analysis of discipline programs of 4-military academy including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AFNA) was held. Then,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with six of current officers. Results : The developed discipline program suggested 19-specific programs and management methods. And the guiding course for discipline program and 4 extra programs were added to the original. Conclusion :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presenting diverse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needs to the discipline program at AFNA.

      • KCI등재

        아버지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또래 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두석(Doo-Seok Choi),방은영(Eun-Young Ba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훈육방식,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또래 놀이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또래 놀이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5~7세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 302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훈육방식,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및 또래 놀이 행동 간에 아버지의 강압적 체벌과 방임 훈육방식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및 또래 놀이 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아버지의 논리적 설명 훈육방식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및 또래 놀이 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또래 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강압적 체벌과 방임 훈육방식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논리적 설명 훈육방식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아버지의 훈육방식 중 방임 훈육방식은 유아의 또래 놀이 행동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논리적 설명 훈육방식은 유아의 또래 놀이 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정과 사회에서 증가하는 아버지들의 양육 참여로 미래의 주인공인 자녀들에게 어떤 훈육방식으로 자녀의 양육에 접근해야 긍정적인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지 아버지 훈육의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training metho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 play behavior, and to find out how fathers' training method affect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 play behavio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data from 302 fathers of children aged 5-7 years old in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training metho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 play behavior showed that fathers' coercive corporal punishment and neglectful training method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 play behavior, and fathers' logical explanation training method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 play behavior. Second, when analyzing the effects of fathers' training method on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 play behavior, it was predicted that fathers' coercive corporal punishment and neglectful training method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logical explanation training method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fathers' training method, neglectful training method was predict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and logical explanation training method was predict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guide for fathers' training method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ren, who are the protagonists of the future due to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fathers in parenting at home and i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