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非人間化 敎育의 實相과 對策

        손경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4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0 No.1

        산업사회에서는 삶의 양적인 성장을 위해 삶의 질적인 문제는 부차적으로 간주되어 왔다. 물질적인 가치관이 팽배하며, 공해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계층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등 인간적인 면이 물질적인 면에 압도되어 있었다. 하지만, 정보화·국제화·다원화를 구가하는 현대의 탈 산업사회에서는 물질적인 것보다는 인간적인 것을 점차 우선시하는 경향이 대두된다. 교육행정 이론에서도 경제성·효율성을 중시하는 고전적 이론보다는 인간성을 중시하는 인간관계 이론이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인간적인 고려가 앞선 교통문제, 환경보호문제, 평화로운 삶의 추구, 계층간의 갈등완화 등을 우선시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교육적인 차원에서 인간주의 교육운동은 바로 이러한 인간성 회복운동의 일환이기도 하다. 그러나 인간교육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교육은 여전히 위기상황에 놓여 있다. 먼 장래를 바라보는 교육의 체계적인 개혁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교육문제의 심각성은 인정하면서도 교육개혁에 대한 방향과 구체적인 개선안이 나오지 않고 있다. 결국 전체 교육방향을 조망할 수 있는 교육철학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여기서 올바른 개혁안이 나오기는 어렵다. 우리교육은 이제 도덕적으로도 심각한 위기상황에 놓여 있다. 매년 조폭화되어가는 청소년 범죄는 학교교육이 인간교육에 실패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도시화·산업화 사회는 공동체 의식의 함양과 가치의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는 오로지 점수따기에만 유일한 가치를 부여하여 성적지상주의적인 절름발이 인간을 길러내고 있다. 국제화·개방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Dewey의 경험주의철학에 바탕을 둔 인간성 교육이 절실하다. 보다 많은 정보를 얻고 구사하기 이전에 혼자 힘으로 일어설 수 있는 도덕관·윤리관·가치관의 정립이 필요하다. 가치관 교육은 도덕이나 윤리 과목에서만 다루어질 것이 아니라 학교교육활동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흔히 인간교육은 지식교육에 상충되는 개념으로 지식교육은 인간성을 저해하며, 인간교육만이 우리의 교육적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인간교육은 지식교육을 포괄하는 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지·정·의가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는 교육의 한 형태이다. 즉, 인간교육에서도 지식교육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교육은 지식의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인간교육과 불균형을 이루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인간교육에서도 지식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지식이나 과학기술이 인간본질을 외면할 때 문제가 생기는 것이지 지식 그 자체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다. 인간교육은 지식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지식내용이 문제라는 것이다. 즉, 인간교육을 위해서는 생활과 직결된 지식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생활에서 응용하고,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인간교육의 근본이다. 그동안 우리사회에 끔찍한 사회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학자들은 우리사회에 인간교육이 절실하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으며, 아울러 국민들도 이에 대해서는 공감하는 바이다. 그러나 인간교육은 끔찍한 사회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부르짖는 일회성 구호에 그칠 뿐이었다. 이렇게 우리사회에 인간교육이 정착하지 못한 데는 사회·제도·교육환경·가정교육·문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동안 인간교육은 시대적 격변기를 통한 전통적인 가치관의 붕괴, 현행 입시제도 하에서의 상대적 박탈감, 유교사상에 힘입은 학력주의 사회풍토 및 학부모의 교육열, 인간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교육환경의 부실, 학습의 장을 경쟁의 장으로 대치시키는 입시제도, 가정의 교육기능 상실, 대중매체의 상업성 등으로 인하여 그 실행이 거의 불가능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인간교육의 정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우리나라의 특수상황인 남북대치, 정치불신, 남에게 큰 피해를 주더라도 나의 이익만 챙기면 된다는 경제제일주의 정책 등과 맞물려 더욱 심화되고 있다. 현재의 입시제도가 존재하는 한 인간교육의 실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인간교육은 지금 당장 시도되어야 한다. 학교교육부터 이를 시작해야 한다. 오로지 경제적인 인간만을 요구하는 기존의 입시제도 하에서도 학교교육은 부분적으로나마 인간교육을 시도해야 한다. 미래의 지식사회, 정보화 사회, 다양화 사회, 국제화 사회에서는 두뇌전쟁을 치루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두뇌전쟁은 인간성이 전제되지 않을 때는 엄청난 회생을 요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주체가 망각된 채 인간이 정보화 사회의 희생양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 교사의 학생처벌권 : 한·미 학교체벌 판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혜숙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5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1 No.1

        이 연구는 학교체벌의 범위와 한계를 사법적 유권해석을 통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권위인 교사의 교육권과 반면에 외부의 강요나 간섭 없이 교육기회를 제공받아야 하는 학생의 법적 지위를 살펴보고, 관련판례를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학교체벌은 학생의 인격형성을 저해한다는 측면에서 도덕적 윤리적 문제를 수반하고는 있으나 이질적인 아동을 집단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법적인 문제를 수반하지 않은 사실적 징계행사로서 체벌은 교실내의 여러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는데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체벌이 교육목적의 달성이라는 본래 취지를 벗어나서 오히려 폭행구타로 사법적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많다. 물론 교사는 그 지위에 의하여 아동을 통제할 상당한 재량권이 있으며, 군사부일체의 유교적 규범은 교사에게 부모 못지 않은 아동의 교육과 훈육방법을 결정할 권위를 부여하고 있다. 실제적으로도 체벌은 여타의 징계조치보다 덜 가혹한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랑의 매라고 하여 아동의 인격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인식되기도 한다. 따라서 사법부에서는 체벌의 동기와 정도 및 방법에 따라 체벌이 교육적 목적에 합당한가 또는 폭행죄가 성립되는가를 결정하나, 아동은 인격을 가진 국민으로서 체벌이 교육적 필요를 벗어나 신체적 모욕에 해당된다면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우리 헌법의 취지에도 위배될 뿐 아니라 그 교육적 효과에도 중대한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체벌에 관한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체벌이란 그 동기나 과소를 떠나서라도 피해자인 아동학생에게 심리적이고 신체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며, 그것이 합당할 기준 없이 빈번하게 사용되는 경우 교사의 교육적인 권위마저 위협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의 목적중의 하나가 아동의 자유로운 인격형성과 민주적 인간을 형성하는데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므로 질서를 문란케하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한 아동에게는 합당한 징계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며, 그것이 학생의 신변상 법적 문제까지 거론되는 징계처분이 아닌 체벌수준이라 할 지라도 정당한 절차적 기준에 따라 적용되어야 하고,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우선 우리 실정에 합당한 징계처분에 관련된 적법절차의 기준이 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장이다.

      • CAI와 하이퍼미디어, 그리고 컴퓨터 네트워크 : 그 변증법적 전개의 교육적 의미

        강인애,김혜경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7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CAI, 하이퍼미디어, 컴퓨터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교육시스템에 대한 것을 기술적, 이론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의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서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취지는 이것보다는 오히려 이들의 전개과정을 변증법적 전개과정으로 살펴봄으로서 기존, 현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우리의 교육패러다임의 방향을 회고와 예측에 있다. 이 교육패러다임의 전개는 결국 세단계, 즉, 반작용적(reactive), 상호작용적(interactive), 그리고 순작용적(proactive) 전개라고 요약할 수 있다(Tomson & Jorgenson, 1987). 먼저 reactive패러다임을 보면, 're-'라는 접두사가 의미하듯이 학습에서 학습자의 역할은 먼저 시스템의 자극이 있을 경우 그에 대한 '반응'을 하는 역할로 규명된다. 이 패러다임을 대표하는 컴퓨터 관련 매체의 예로 들 수 있는 것이 CAI, CBT, Stand-alone 컴퓨터 등이 있다. 반면에 interactive 패러다임은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단계로서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시스템이 주어진 범위 내에서 대응(adaption)이 가능해지며, reactive 단계에서보다 좀더 발전된 형태의 피드백이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대표하는 예로서는 interactive video, 비디오화상시스템, simulation, e-mail, 동시간 컴퓨터 컨퍼런싱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proactive패러다임은 시스템과 사용자간의 관계에 있어서 완전히 사용자에게 전적인 통제권이 주어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역할과 기능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규명된다. 그 예로 들 수 있는 것은 하이퍼미디어, 동시간/비동시적 컴퓨터 컨퍼런싱, 그리고 나아가 요즘 그 가능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가상대학, 가상학습 등이 있다. 이를 각각의 이론적 배경과 함께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강인애, 1997)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결국,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교육환경은 기술적 발달과 이론적 배경이 서로 독립적이고 관련이 없는 것이 아니고 상호보완적 작용을 통해 기계적인 교육패러다임으로부터 인본주의적 교육패러다임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CAI는 현재의 이론적, 기술적 입장에서 보면 많은 문제점을 지녔으나 결국은 그것의 문제점에 대안으로 하이퍼미디어, 그러고 컴퓨터네트워크가 개발, 활용되기 시작했다고 볼 때, CAI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판은 퍼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용 코스웨어는 아직도 태반이 하이퍼미디어의 성격을 약간 가미한 CAI이라고 볼 때, CAI 자체의 의미와 중요도는 여전히 크다고 본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혹은 컴퓨터네트워크의 교육환경이 분명 오늘날의 시대에 더욱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CAI를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할 수 있는 성격과 수준이 분명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에 대한 완전 부정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결국 아무리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교육의 형태가 기술적, 이론적 발달과 더불어 많이 발전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지식전달 및 습득을 위한 보조 수단이지 교육자체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아무리 기술이 발달하여 더 새로운 것을 제시한다고 해도 결국에는 그것도 교사와 학생들간의 직접 대면을 통한 학습의 차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기술이 발달하면 할수록 그에 대한 반작용이나 대응으로 인간성에 대한 애착, 회기, 집착이 더욱 강해지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본 논문의 논지이며, 이것은 Naisbitt (1982)가 말한 High Tech, High Touch라는 표현으로 잘 요약할 수 있다.

      • 혁신과 변화 (Innovation and Change)의 관점에서 본 교육정보화의 의미

        이장익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8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정보화라는 활동의 의미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에 있다. 교육정보화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매우 높은 상태이다. 그러나, 교육정보화에 투입되고 있는 막대한 예산과 자원 및 노력의 목표가 단순히 정보통신기술의 도입 및 설치에 한정되는 사례 또한 많다. 이는 곧 교육정보화에 대한 명확한 정의내림의 결여로 이해될 수 있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우선 정보화의 개념을 혁신 및 변화(innovation and change)의 촉매 흑은 매개체로 제시하고 정보화의 필요성을 경제/산업적 필요성과 문명 사적 변화의 핵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터하여 정보통신기술과 학교교육간의 관계성을 전략적 재구조화(strategic restructuring)으로 논의하였다. 이는 곧 교육정보화의 의미를 혁신과 변화의 한 노력으로 정의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제시된 혁신과 변화로서의 교육정보화의 실천과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우선 교육정보화는 학생, 학부모, 교사 등 학교교육의 구성원 모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이며 여기서 우선시되는 작업은 vision의 모색이다. 이 연구는 학교교육과 정보통신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교육 vision을 참고로 제시하며 혁신과 변화라는 교육정보화의 의미를 재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ducational informationalization in Korea Currently, high expectations and interests are evidently focused toward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school education. Enormous amount of financial and other resources have been and are being invested into school for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in many cases, the resources used are just ending up as a 'plug in' of hardware installment. This is a case in which a lack of clear definition of activities lead to in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Thus, this paper proposed the premises of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s a catalyst and medium for innovation and change. Based on his perspective, the meaning between school and information technology is defined as strategic restructuring movement. This defini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school context means innovation and change. Thus it is argued that the priority action plan in educational informatonalization is to formulate a 'vision statement' by all major constituent members' voluntary participation. As a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d a possible new 'vision' for school innovation an change mediat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기업 교육의 평가 모형, 절차 및 활용 방안

        김태준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교육평가는 등급화의 기능 뿐 만 아니라 정보제공의 역할을 가진다. 한국기업에서 교육평가는 정보제공의 역할보다는 등급화의 기능을 수행해왔다. 그 결과, 사원 개개인의 진급을 위한 자격조건이나 인사고과에 반영되는 형식적인 요소로 만 활용되어왔다. 교육평가를 기업경영의 전략적 요소로 활용하고 사원 개개인의 역량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업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평가모형이나 절차 및 활용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전 과정을 평가하는 CIRO 모형과 교육결과의 평가에 촛점을 둔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교육평가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한편 기업교육평가의 절차를 IBM 모형을 기초로 5단계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 별로 기업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에서 교육평가의 활용방안을 평가결과의 가치론적 측면, 교육프로그램 개발에서 평가결과정보의 활용, 교육 후 관리시스템의 구축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wo functions of educational evaluation are grading and informational providing to learner. The educational evaluation in Korean cooperations has performed a grading than informational providing role. In the result, it has been used to formal factors of employee's qualifications or HRM(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order to use it for the strategic management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s competence, it is required that a model and process for educational fields must be developed.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ing a comprehensive model of educational evaluation and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Kirkpatrick and CIRO model. Also, the process of IBM's educational evaluation program was introduced and reorganized. Finally, it was discussed to using of evaluation results in instructional program development, construction of post-management system, and value issue.

      • 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체제의 변화에 따른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교육개혁

        이성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본 논문은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와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정보화 사회에서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교육개혁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교육은 변화를 지향하는 과정으로, 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의 수월성 제고와 교수·학습과정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개혁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교육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능동적이며 자발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수·학습의 질(質)과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에 기초한 학습체제 구축과 다양한 교수·학습매체의 교육적 활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교육개혁이 분절적이 아닌 교육개혁에 관련된 교사, 학생, 학부모 등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이 망라된 총체적 접근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하기 위하여, 학생, 교사, 그리고 매체가 교과과정(curriculum)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변화가 교사·학생 중심의 안으로부터의 개혁이 이루어 질 때, 정보화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개혁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개혁이 학교현장에서 교사·학생의 역할 변화를 통한 관계 재정립과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협동학습 과정으로 실현될 때, 교육공학 이론에 기초한 다양한 첨단 멀티미디어의 통합적 사용과 교수·학습과정 사이의 상승작용(synergism)을 통한 교육개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information society, multimedia application in education, and education reform with technology. Education is changing, In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education is undergoing widespread reform in many school systems worldwide. Three agendas of education reform movement in the literature have focused on: (a) a push for restructuring schools; (b) a constructivist and cognitive/information processing view of learning and the effect of that view on teaching; and (c) a movement toward well-integrated uses of technologies in the school curriculum. Education systems are moving toward more active learning activities where learners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side as well as outside of the classroom, In order to be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reform, the three agendas must form a synergistic relationship. The synergism between technology utilization, restructuring,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will take place when school reform occurs in the areas of teacher/student work space, teacher/student rol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in the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students in their learning process.

      • 19/20세기 전환기 독일의 예술교육운동

        김명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1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7 No.-

        19/20세기 전환기에 유럽 및 북미에서는 교육을 개혁하려는 운동들이 있었다. 독일에서 개혁교육학 또는 개혁교육학적 운동이라고 일컬어지는 이 운동은 다양한 흐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전개되었다. 다른 흐름들도 그렇지만 특히 예술교육운동의 발단과 전개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다. 첫째, 산업화, 이에 따른 물질주의 문화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예술이 구원책이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이다. 둘째, 주지주의에 치우친 나머지 예술과 관련되는 과목들-예를 들어 미술, 문학, 음악 등이 경시된 당시 학교교육의 상황이다. 그리고 예술수업이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매우 형식주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비판이다. 개혁성향의 교사들은 예술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들은 세 번에 걸친 예술교육회의를 매개로 결집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 운동이 예술교육의 개혁으로까지 이어지게 된 데에는 교육외적, 즉 경제적 요인도 작용하였다. 산업의 발달에 예술적인 요소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그것이다. 예술교육운동이 교수방법의 개선에 미친 영향도 적지 않다. 그러나 주지주의교육, 기능중심 교육으로 인하여 비인간화의 위험에 처한 우리의 교육현실을 돌아볼 때, 전인교육을 지향하고 예술을 교육 전체의 원리로 삼으려한 예술교육운동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There were some movements to reform education during the transition between 19th century and 20th. These movements, what they call reformative education or reform-education movements in German, consisted of various trends, and were carried out affecting to each other. As in other trends, especially in developing and proceeding the art education movement it was affected by follows : First, industrialization produced criticism against materialistic culture and made people expect that art can be an alternative. Second, the art-related subjects such as fine art, literature and music and the like were not set store by in those days. Third, art lessons were criticized because they were done regardless of children's characteristic and capacity. The teachers who tended to be reformative tried to improve the art lessons and those teachers and educators made these efforts visible through three art education conferences. However, another factor worked as well in the reform of art education. That is economy. People came to learn artistic factors were of much account in industrial developments. Considering that our education is in danger of being dehumanized because of intellectualism and function-centered education, the art education movement that aimed the whole-man education and tried to place art in the center of education tells us much.

      • 유치원의 공교육화와 가정교육에 대한 고찰

        김명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7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2 No.1

        앞에서 조기아동교육에 대한 조처들이 아동의 필요에서라기보다는 현저히 사회·성인측의 필요에서 이루어졌고, 따라서 아동교육의 조직화와 교육내용 등도 이러한 요청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규정되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다시 말하면, 아동에 대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아동기에 대한 연구와 교육정책들이 "아동이 거쳐야 할 초기발달과 체험"에 기초하기보다는 "성인이 짜놓은 현실을 따르도록 강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완전히 부인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또 한편, 공교육의 성격상 공교육을 통하여 "인간교육"의 실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점도 확인된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산업화·도시화와 더불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쿨리 (Charles H. Cooley)를 빌어 이야기하자면, 현대사회는 1차집단의 성격보다는 2차집단의 성격이 더 강해지고 있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전인적 참여의 관계보다는 의식적, 목적합리적, 사무적 관계가 더욱 지배적이 된 것이다. 그러면 그럴수록 애정의 원천으로서의 가정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그러나 매우 역설적이게도 가정은 애정의 원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가 어려워졌다. 전통적인 대가족에서는 부모의 사랑 외에도 가족의 다른 구성원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아동들은 2세대가 주를 이루는 오늘날의 가족구조 안에서는 그것이 힘들어진 것이다. 사회의 변화는 또한 전통적인 가족이 수행하였던 교육의 기능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가정의 교육기능의 약화는 다시금 다른 곳에서는 보완될 수 없는 특정한 교육의 상실을 의미한다. 가정이 할 수 있는 교육과 다른 교육제도가 할 수 있는 교육의 성격은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해결점은 가정교육의 회복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아동초기에 아동이 받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발달심리학자들의 주장을 받아들일 패, 그리고 에릭슨(Erik H. Erikson)이 아동기의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신뢰성발달을 꼽고 있음을 볼 때, 그리고 이러한 신뢰성 발달과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가정의 역할이 크다는 페스탈로치의 견해를 받아들일 때, 가정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는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고 할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이 글은 유치원의 공교육화의 반대입장을 대변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지 않다. 이에 대한 요청이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정당한 측면도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정으로 아동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아동 스스로가 느끼는 세상에 대한 인식과 의식" 즉 "아동으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다시 한번 성찰해보는 일도 교육학의 과제일 것이다.

      • 청소년 선도와 종교교육

        정현숙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5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1 No.1

        급격한 사회변화와 가치관의 혼란 그리고 지식 중심의 교육에서 오는 청소년의 비행과 범죄의 증가는 도덕교육의 강화와 전인적 교육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그런데 사회전반적 도덕붕괴의 혼란한 상황에서 청소년의 건전한 인격형성과 가치관의 정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천력있고 지고의 이상을 향하도록 하는 종교의 영향이 지대하다. 따라서 도덕교육을 따로 떼어서 학술적으로 교육하기보다는 강력한 영적 정신적 영향력을 갖고 있는 종교교육을 통해서 하는 것이 더 실효성이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의 선도와 비행 예방이라는 도덕적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청소년기의 심리적 발달 상황과 자아의식, 가치관, 도덕의식의 형성 등을 이해하여야 하며, 또한 이러한 영역에서 종교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파악하는 일에 기초를 두었다. 그러나 이론적인 고찰만으로는 청소년 선도라는 구체적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미흡하여, 이 보다는 종교 및 도덕교육의 이상이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구체적 사례를 모범삼아 이를 살펴보는 것이 더 의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사제 돈 보스코의 청소년 교육을 살펴보았다. 돈 보스코의 종교교육은 먼저 청소년 비행의 예방교육의 선구자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리고 올바른 인격 형성과 가치관의 정립을 위하여 종교교육이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의 전형으로서 종교교육의 모범적 예를 들어 주고있다. 또 이러한 교육에서 교육자들이 보여야 할 자세와 가르침의 방법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자의 지칭으로서 의의가 크다 하겠다. 현대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선도 문제에 있어서 돈 보스코의 예방교육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청소년에게 높고 궁극적인 이상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필요로 하는 관심, 이해, 사랑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이 절실히 요청되는데, 돈 보스코는 이러한 교육을 실천한 이상적 모범이라 할 수 있으며 앞으로 그의 활동과 사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더욱 요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