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 및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이옥순,김영남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2

        In this study,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behavior related to dietary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yeongsan and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otal of 490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and collected, and 445 of them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Ver 12.0. Percentages of students who checked 'don't know the answer' in 20 environmental knowledge assessment questions were 14.4~41.8%, and those who gave correct answer to those responded to know the answer were 40.1~93.3%. The average score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as 3.45 and that of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was 2.9 out of 5. When dietary behavior was divided by three categories, such as food purchasing, eating, and dish washing, the score of food purchasing behavior was 2.7, those of eating behavior and dish washing behavior were 3.0, 3.1,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nsciousness, but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behavior. It showed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ciousness didn't always lead to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Therefore, education for practical behavior must be emphasized even though the knowledge and consciousness education on environment are important.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 그리고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수준을 파악하고 성별, 학년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자 시도하였다.2004년 7월 경북 경산시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남여 중학교 가운데 각각 1개 중학교를 편의 선정하여 이들 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1개 반씩 표집하였다. 총 490부의 질문지를 직접 배포수집하여, 이 가운데 44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과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환경에 관련된 정보는 TV, 라디오, 인터넷 등 주로 미디어를 통해서 얻고 있었다.둘째, 쓰레기 분리함은 학교와 거주지 모두 비교적 잘 설치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재활용품의 수거도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무공해상품이나 재생용품의 구입, 재활용이나 물물교환의 기회가 적으며, 환경교육 프로그램도 적고 환경보호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중학생들의 환경지식 측정에 사용된 20개 문항에 대한 분석결과, 인지도는 58.2~85.6%, 평균 77.2%이며, 정확도는 40.1~93.3%, 평균 75.2%이었다. 환경지식 점수는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3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이었다. 사회적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가정 교과에서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에 대한 정보를 2학년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2학년의 환경지식 점수가 떨어짐을 알 수가 있다.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거나 가정 교과에서 식생활 영역이 모든 학년에서 다루어진다면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 수준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넷째, 중학생의 환경의식 실태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3.45점으로 나타났다. 환경의식 점수 또한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환경의식 점수는 환경지식 점수와 마찬가지로 3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중학생들의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9점으로 나타났다. 식품구매, 식사, 뒤처리 행동의 세 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식품구매 행동 2.7점, 식사 행동 3.0점, 뒤처리 행동 3.1점이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차이를 조사한 결과 식품구매와 뒤처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사 행동에서는 저학년일수록, 뒤처리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들은 환경의식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식생활 행동의 실천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식품구매 행동에서 실천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여섯째, 환경지식, 환경의식, 환경친화적 행동의 관계에서 환경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환경의식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은 환경지식, 환경의식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지식, 환경의식 수준이 높다고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환경지식, 환경의식에 대한 교육과 함께...

      • KCI등재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한진욱,김진옥,조혜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환경태도가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관광경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지 A대학교와 충청도 소재지 B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05명이다. SPSS 23.0과 AMOS 25.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직⋅간접효과 및 총효과의 영향력과 부트스트래핑(bootstrap) 추정방법으로 95%신뢰구간 양측검증에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의식은 환경태도와 하위영역인 환경윤리성, 현지주민고려성, 자연보존성, 현지자연문화와 조화성과는 통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동⋅식물애호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의식과 환경보전 의식은 통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환경태도는 환경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환경보전의식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관경경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경험은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광경험은환경태도가 환경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완전매개하며, 환경태도가 환경보전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관광경험이 환경에 대한 의식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재 확인시켜 준 것이다. 이에 예비유아교사들이 의미있는 경험을 통해 환경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였다.

      • 환경의식과 절도이용행동의 관련성 분석

        이재붕(Lee Jae-boong),김현(Kim Hyun),오승훈(Oh Seung hwoo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6D

        본 연구에서는 환경의식과 철도이용행동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환경의식이 철도이용 촉진에 미치는 시사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위상은 2008년 대구광역권 철도이용실태조사의 환경의식과 철도이용행동에 관한 실증적 분석이라는데 있고, 저탄소 녹색성장의 정책을 제언하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이용교통수단별 4개 인자의 환경의식이 각각 다르다는 점을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이것은 환경의식이 교통수단선택행동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사회적 환경의식이 높을수록 철도이용을 선호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즉 환경문제에 대한 자동차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정책으로써 철도이용촉진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환경의식지표를 고려해 철도와 승용차와 철도와 버스에 대한 이항프로빗 모형으로부터는 사회적인 환경의식지표가 철도이용의향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이기적인 환경의식지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사회적인 환경의식이 높고 이기적인 환경의식이 낮을수록 승용차로부터 철도로의 수단 전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에 근거하면 철도이용촉진은 철도서비스 개선뿐만 아니라 환경의식의 계도도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railway usage behavior. Author would locate this research on position of basic survey to promote railway use according to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in Korea. In this research, we would perform descriptive analysis using data of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railway use in 2008, Daegu, and describe its relationship. In addition, we would suggest some idea about policy which can promote railway use. The order of railway choice behavior noticed in clustering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as cooperative behavior type, middle type and non-cooperative behavior type. It suggests tha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s effect on transportation choice behavior. Specially, railway improvement isn't enough to promote railway use. And, it is advisable to carry out the improvement in such a way that it may encourage the nation to move from the curren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tage to cooperative behavior. Moreover, we assumed Binary Probit(BP) model using SP data of time or condition of transportation expense compared with passenger car and bus. As the results, modified likelihood ratio of two BP models is favorable variables. And it occurred that mode was transferred from passenger car to railway when it showed higher social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low selfish environment consciousness, because t-statistic which represents selfish environment consciousness showed significance in 95% confidence level. That is, it can be described that environment consciousness affect on the intention of railway use.

      • KCI등재

        생태관광 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우포늪을 중심으로 -

        장민숙,김근호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생태관광의 환경의식은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관한 연구의문에 해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생태자원, 시설, 정보, 활동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관광 및 생태관광 구성요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개념적 틀을 구성하고,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생태관광지로 알려져 있는 창녕 우포늪을 대상지로 하였으며, 우포늪 탐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개별면접조사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중 33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기술적 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경로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변수들의 상관분석 결과, 환경의식은 활동(0.83)과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보(0.70), 시설(0.69), 생태자원(0.50) 순으로 환경의식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은 정보(0.72), 시설(0.68), 생태자원(0.54)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들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경로분석 결과, 생태자원, 시설, 활동, 정보는 환경의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의 크기는 활동(0.61), 시설(0.17), 정보(0.14) 순으로 높았으며, 간접효과의 크기는 시설(0.43), 정보(0.27), 생태자원(0.16)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효과의 크기는 활동(0.61), 시설(0.60), 정보(0.41), 생태자원(0.1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생태관광의 환경의식은 활동의 직접적, 인과적 효과를 가장 많이 받으며, 정보, 활동을 매개로 한 시설의 간접적 효과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생태관광의 환경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태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활동의 도입이 중요하며, 활동을 유도하는 적정 시설물의 도입은 환경의식 함양에 간접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태관광의 환경의식은 물리적 요소인 생태자원과 시설, 비물리적 요소인 정보와 활동을 매개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생태자원은 정보, 활동을 매개로 환경의식 형성에 간접적으로 기여함이 밝혀졌다. 생태자원은 생태관광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생태관광의 목적이 되고, 동기가 되는 매력물이지만 환경의식을 함양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기 보다는 그 장소에서 제공 되어지는 정보와 활동을 매개로 하여 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생태관광의 환경의식을 구성하는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구명하고 각 변수들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18세 이상의 일반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로 향후 연구에서는 학생 및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환경의식의 평가를 통해 일반인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구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cological resources, facilities, information, and activities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order to provide answers to the questions on 'how are ecotouris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es determined?'. For this purpose, both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research hypothesis of the study have been deriv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on ecotourism and ecotourism compon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to the Upo wetland, a popular and listed ecotourism destination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an individual interview metho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Of these, 330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or a single variable,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five variables of ecological resources, fac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awareness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 level of 0.01. The environmental awareness is mos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ctivities with 0.83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hile the activities are highly related with the information with 0.72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path analysis shows that ecological resources, facilities, information, and activities are influencing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ecotourists. The direct effects on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re higher in the order of activities(0.61), facilities(0.17) and information(0.14), while indirect ones are facilities(0.43), information(0.27) and ecological resources(0.16). The size of causality is higher in the order of activities(0.61), facilities(0.60), information(0.41) and ecological resources(0.16). In other words, activities directly have the most impact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hile the facilities are also mains factors in the indirect effects. Ecological resources are the primary attraction and motivation for ecotourism. However, ecological resources do not directly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influenc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rough information and activiti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at make up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ecotourism is evaluated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ach variable concerning environmental awareness are evaluated. However, this study is an analysis result for general visitors over the age of 18. Therefore, in the further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erence it is from the general public through evaluati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or students and teachers.

      • KCI등재

        식품 주구매자의 식생활 라이스타일, 식품안의식, 환경의식 친환경식품소비에 관한 연구

        김숙,허경옥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1

        This study classified consumers who showed similar food consumption lifestyle using the data of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17’,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consumption lifestyle and consumer food safety consciousness, consum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food consump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food consumption lifestyle, the Korean consumer group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ourmet group, food interest group, and food indifference group. Second, Most consumer groups were distributed evenly among gourmet group and food interest group. But more than 60s, middle school educated, simple worker, Gangwon-do residents,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often belong to food indifference group. Third, consumer food safety consciousness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food interest group and lowest in the food indifference group. Consum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the gourme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groups, and eco-friendly food consumption was the highest in the food interest group. Fourth, among the food consumption lifestyle, healthy & economic seeking, tasty seek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mer food safety consciousness, but convenient seeking did not affect consumer food safety consciousness. In addition, healthy & economic convenient seeking had a negative effect on consum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inally, consumer food safety consciousness and consum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oth had a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food consumption.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7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유사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보이는 소비자들을 유형화하여 분류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소비자식품안전의식, 소비자환경의식, 친환경식품소비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우리나라 소비자 집단을 분류한 결과 3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는데, 이는 미식가형, 적극적실천형, 식생활무관심형이다. 둘째, 대부분의 소비자 집단이 미식가형과 적극적실천형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0대 이상, 중졸이하, 농어업․단순노무, 강원권, 월평균소득 100만원 미만, 단독주택 거주 소비자의 경우에는 식생활무관심형 집단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소비자식품안전의식은 적극적실천형 집단에서 가장 높았고, 식생활무관심형 집단에서 가장 낮았다. 소비자환경의식은 미식가형 집단의 소비자환경의식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친환경식품소비는 적극적실천형 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넷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건강․절약추구성향과 식도락추구성향은 소비자식품안전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편의성추구성향은 소비자식품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건강․절약추구성향과 식도락추구성향은 소비자환경의식에 정적영향을 미쳤지만, 편의성추구성향은 소비자환경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식품안전의식과 소비자환경의식은 모두 친환경식품소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ㆍ중ㆍ일 3국의 환경의식과 환경행동 비교연구

        김두식(Kim Doo-Sik) 한국환경사회학회 200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1 No.2

        이 연구는 한ㆍ중ㆍ일 3국의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을 그 이론적 기반, 이념적 성향과 사회적 기반과의 관계에서 경험적으로 비교하려는 시도이다. 한ㆍ중 일 3국의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을 비교분석하기위해 잉글하트 등의 『세계가치관조사』자료 중 1990-2001 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한ㆍ중ㆍ일 3국의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이론적 기반, 이념적 성향과 사회적 기반에 있어서도 서로 상이한 성격과 변화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ㆍ중ㆍ일 3국의 환경의식과 환경행동 그리고 변화과정은 특정한 어느 하나의 이론적 관점에서 설명될 수 없으며 그 이념적 성향과의 관계나 사회적 기반에 있어서도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문화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근대에 들어 각국이 경험하고 있는 상이한 정치ㆍ경제ㆍ사회적 변동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앞으로의 과제는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의 비연속성을 고려하여 환경행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cross-national analysis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ac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Data used ill this study are from World Values Surveys 1990, 1995 and 2001. Although to understand environmental attitudes and actions, a specific theoretical approach may be applied, for these countries, this study shows that anyone theoretical perspective alone cannot explain diverse aspects of environmental attitudes and actions in these countries. In addition, Ideological and social bases of environmental attitudes and a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Korea, Japan, and China These differences, although they share similar historical and cultural legacies, may be reflection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that each country has experienced since after World War Ⅱ. A further studies on environmental actions are suggested because higher environmental attitudes do not naturally lead to higher environmental actions and environmental actions have been less investigated than attitudes.

      • 한국과 중국소비자의 녹색구매행동에 관한 비교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중규모 도시 시민을 중심으로

        이재록 시아오페이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4 No.2

        This study aims to promote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green purchasing behavior by analyzing environmental issues, environmental awareness, peer group influences, corporate green image, and environmental attitud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made research model and research questions, and tested research questions empirically with Korean and Chinese survey. We proposed marketing strategy based on empirical results, and to promote consumers' awareness both countries about green marketing and green purchas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the environment were both high and Korean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s were higher than Chinese. Second, the influence of peer groups was higher in Chinese consumers. Third, Corporate green image was also high in Korea and Chinese consumer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Finally, green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in Korea for the regression analysis, peer influence and green corporate image, a green purchasing behavior and environmental attitudes significantly influenced, environmental awarenes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Chinese consumers' green purchasing behavior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orporate image, peer influence and green, green purchasing behavior significantly influence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attitude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And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awareness to the green purchase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n both countries. Looking a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the first environment, the consumers in China than in South Korea from an early age to learn a lot more education about the environment tha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rained to recognize the depth can be seen as a result. And waste be separated from real life or social campaigns to reduce air pollution include activities in China than in Korea has been actively performed are compared. Second, Chinese people like to make friends, and since 1990, one family can have only one child, so China childrens growing up by making friends with their same age rather than spend hours with their parents. Third, the case of green purchasing behavior by consumers in China indicated reasons for higher than South Korea consumers about green products, environmentally conscious high but relatively confident somewhat reluctant to write down the purchase of these products is estimated to be du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clude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have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ose findings. It needs more extensive investigation at both countries. Second, this study on the green purchase behavior was not considered all the exogenous variables. In future research, product quality, involvement, and environmental obligations could be exogenous variables and we can expect better results. Third, it can be introduced involvement as a moderator to the impact on green purchasing behavior. key words : environmental awareness, peer group, corporate image, attitude, green purchasing behavior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환경의식, 동료집단의 영향, 기업의 녹색이미지, 환경에 대한 태도, 그리고 녹색구매행동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환경문제를 더 깊이 인식하고 양국 소비자들의 녹색구매행동을 촉진시키고자 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양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중국소비자의 녹색제품에 대한 마케팅전략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고, 양국 소비자들의 그린마케팅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미래지향적인 녹색구매의식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 나타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환경의식 및 환경에 대한 태도는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소비자보다 한국 소비자의 환경의식 및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료집단의 영향정도에서는 중국 소비자들이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녹색이미지에 대해서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 모두 높게 평가하고 있으나 양국 소비자들 간의 차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녹색구매행동에 관해서는 두 나라 소비자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소비자들이 한국소비자들 보다 더 적극적인 녹색구매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소비자의 녹색구매행동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동료집단 영향, 녹색기업 이미지, 그리고 환경태도가 녹색구매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환경의식은 유의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소비자의 녹색구매행동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동료집단 영향과 녹색기업 이미지가 녹색구매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환경의식과 환경태도는 유의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먼저 환경의식의 경우 한국의 소비자들은 중국 소비자들 보다 어릴 때부터 환경에 관한 교육을 보다 많이 배우고 환경의식을 보다 깊이 인식하도록 교육받은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동료집단의 영향이 한국소비자에 비해 중국소비자들이 더 큰 것은 전통적으로 중국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중시여기며, 친구 사귀기를 좋아하는 성향으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1990년부터는 정책적으로 한 가구당 한 자녀만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라면서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 보다는 친구들과 함께 지내는 시간이 많으며 자연스럽게 친구들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 것도 한 이유가 될 수 있다. 셋째, 녹색구매행동의 경우 중국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에 비해 높게 나타난 이유로는 한국소비자들이 환경의식은 높으나 녹색제품에 대한 확신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이러한 제품의 구매를 다소 꺼리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중국은 장기적인 사회주의 제도로 인하여 특정제품에 대한 구매를 정부가 지정하면 이를 그대로 따를 수밖에 없음으로 녹색제품을 보다 더 구매하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중국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녹색이미지가 차이가 없는 것은 한국이나 중국이나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하에서 기업의 중요성을 소비자들이 모두 잘 인식하고 있으며 기업이미지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향은 양국 소비자들 모두 비슷하게 나타난 결과일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은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는가?

        이성균 ( Seong Kyun Lee ),권익현 ( Ickhyun kwon ),이진석 ( Jin Suk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4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이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김경훈 외2000; Langerak et al. 1998; Menon et al. 1999; Menon and Menon 1997; Russo and Fouts 1997). 그러나 한 UN보고서에 따르면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보이는 사람은 전체 소비자의 40%에 이르지만 실제로 구매하는 소비자의 비중은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5).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실제로 이어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는 정도가 제품군(주요 속성평가의 강도가 강한 vs. 약한 제품)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이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자신의 구매행위가 타인에게 노출되는지, 노출되지 않는지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차례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2(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 강/약)*2(구매행위의 노출여부: 노출/비노출)의 집단 간 설계를 활용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의 강도는 가상의 제품 (가정용 표백 세제 vs. 가정용 주방 세제)을 개발하여 조작하였고, 구매행위의 노출여부는 가상의 구매상황(온라인 쇼핑/오프라인 쇼핑)을 통해 조작하였다. 그리고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제품력 지각 그리고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제품력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친환경 의식 수준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구매행위의 노출여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구매행위가 노출될 때, 노출되지 않을 때보다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추가 실험은 1차 실험에서 기각된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제품을 Luchs et al(2010)의 연구에서 활용한 차량용 vs. 아기용 바디 샴푸로 변경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적 효과는 제한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인식에 미치는 친환경 의식 수준의 영향은 제품의 속성 강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제품력 지각에 미치는 친환경 의식 수준의 영향은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rior research showed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al behavior suas purchase intention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Kim et al. 2000; Langerak et al. 1998; Menon et al. 1999; Menon and Menon 1997; Russo and Fouts 1997). According to one UN report,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their actual purchase behavior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5). This study focuses on such a gap.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consumer responses towar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uthors also predict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responses towar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can be moderated by two factors: one is strength of the product main attribute, the other is social desirability. In order to exam these notions, the study conducts two experiments: one main experiment and another additional experiment. Main experiment uses a 2(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trong/week)*2(purchasing situation: exposed/unexposed) factorial design. Fictitious environment-friendly products(bleaching detergent/dishwasher detergent) and purchasing situations(online shopping/offline shopping) are adopted as treatments. Results of the main experiment show that the higher peopl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the more likely they tend to recognize need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to perceiv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to performbetter. However, the moderating role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is not supported. The experiment also reveals that consumers with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re more willing to purchas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desirability is also found. The effe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purchase intention is higher in a exposed purchase situation than in a unexposed purchase situation. Additional experiment is conducted to retest the moderating role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ince it is not supported in the main experiment. It uses a one-way ANOVA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trong/week). Products adopted in Luchs et al(2010)(car body shampoo and baby body shampoo) are also used in this experiment. Results support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marginally. It is supported for consumers`` recognition of need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statistically, but for perceived performanc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t is supported directionally only not statis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