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적 시뮬레이션(Mental Simulation)의 활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과 과업 특성에 의한 차이를 중심으로

        권익현 ( Ickhyun Kwon ),이진석 ( Jin Suk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인지적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고방식 중 하나인 심적 시뮬레이션(mental simulation)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개인이 사용하는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특성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개인특성으로는 일반적인 행동에 대한 자기조절 성향으로 이동모드(locomotion mode)와 평가모드(assessment mode)로 구분하는 개인특성인 조절모드(regulatory mode)를 활용하였다. 둘째, 개인의 심적 시뮬레이션의 활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으로서 과업 특성(task characteristic)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과업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과업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현저성을 활용하였다. 가설은 각각의 구성 변수에 대한 과거 문헌 연구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먼저 개인의 조절 모드 성향에 따라 심적 시뮬레이션의 유형 활용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날 것을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동모드의 사람일수록 결과 중심적인 사고를 할 것이고 평가모드의 사람일수록 과정 중심적인 사고를 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과업 특성에 따라 개인이 사용하는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이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결과에 대한 현저성이 높을수록 결과 중심적인 시뮬레이션을 할 것이고 과정에 대한 현저성이 높을수록 과정중심의 시뮬레이션을 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가설 검증을 위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새로운 오피스용 소프트웨어, 새로운 여행 상품, 새로운 취미생활의 3가지의 과업 상황을 시나리오로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피험자가 심적 시뮬레이션에사용한 유형의 비중(과정 중심 vs. 결과 중심)을 측정하였고, 조절모드 척도(Kruglanski et al. 2000)를 통해 피험자의 개인 특성을 측정하고, 과업 특성의 경우 과업별 결과와 과정에 대해 떠오르는 생생함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조절모드 성향에 따라 개인이 사용하는 심적 시뮬레이션의 유형이 차이가 나타났다. 가설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이동 모드 일수록 결과중심 시뮬레이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 모드 일수록 과정중심 시뮬레이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업 특성에 의한 효과는 제한적으로 확인되었다. 피험자들은 과정이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더 생생하게 떠오르는 과업에서 기타 과업들에서 보다 과정 중심적인 심적 시뮬레이션을 더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이러한 결과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생생함 정도에 있어서의 상대적 차이만을 확인하였다는면에서 제한적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People imagine their future. They think not only about events that they will do or experience, but they also imagine virtual events that would never happen to them. To imagine future virtual events is defined as mental simulation. Researchers have examined people``s ability of mental simulation and implication of mental simulation in variety psychology research area,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developmental psychology, social psychology(e.g. Singer 1972; Davies and Stone 1995). Taylor and Schneider(1989) defined a mental simulation as the imitative representation of real or virtual events. They suggested that mental simulation can serve important function for turning imagined experience into action. Mental simulation can increase the perceived validity of imagined experience and provide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Then, it increases the expectancy that people will meet imagined experience, and it generates motiva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mental simulation such as process-focused vs.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retrospective vs. anticipatory mental simulation, problem-focused vs. solution-focused mental simulation. However all types of mental simulation don``t equally impact on people``s attitude, intention, real act. Specifically, distinction between process-focused and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have the highest discriminating power on those variables(Taylor et al. 1998). Among varied distinctions concerning different types of mental simulation,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and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has been a research focus of researchers in psychology, education and consumer behavior. In psycholog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a goal achievement and self-regulation. Taylor et al.(1998) showed that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is more effective on motivation for attaining goal while process-focusedmental simulation is more effective on making plans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People with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can make higher performance than people with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Oettingen and Mayer 2002; Pham and Talyor 1999; Rivkin and Taylor 1999; Taylor et al. 1998). Some research reported contracting results against finding described above (Fanning 1994; Thompson et al. 2009). In consumer research, the impact of mental simulation on consumers`` attitude, decision making, and purchase intention etc. when consumer make purchasing decisions, they can imagine the process of using the product or the benefit of having product.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alternative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consumers`` focus on whether process or outcome. As discussed so far, most of mental simulation research have attended to varied results generated by adopting different types of mental simulation in terms of various constructs. On the other hands, this study examined factors affecting people to rely on different types of mental simulation. First, we investigated individual difference. We adopted regulatory mode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Human behaviors are mostly the result of combining two essential regulatory mode: assessment mode and locomotion mode. Assessment mode is related to critical evaluation of entities or states, such as goals or means in relation to alternatives in order to judge relative quality. By contrast, locomotion mode means the tendency to movement from state to state and commitment to the psychological resources that will initiate and maintain goal-directed progress directly, without undue distractions or delays(Kruglanski et al. 2000). We hypothesize that locomotion-oriented people tend to use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more and assessment-oriented people may adopt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more.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a task characteristic as the factor affecting types of mental simulation. We adopted perceived salience toward process and outcome as a task characteristic. Nisbett and Ross(1980) suggested that vivid information can attract or hold people``s attention, interesting, emotional arousal more than non-vivid information, and that people also can deliberate vivid information more easily. Many research have demonstrated that when people process salient information, people tend to overestimate the extents to which two phenomena are associated(Chapman 1967; Hamilton and Gifford 1976; Sanbonmatsu et al. 1987, 1994). We expect that people would rely on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more if they can envision outcomes more vividly. On the other hands, if people can imagine a process more vividly, they would use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more.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an experiment. 72 male and 75 female attended our experiment. We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the task characteristic on the weight of subjects`` reliance on different types of mental simulation regarding 3 tasks. We developed 3 scenarios for tasks of new office software, new travel package and new hobby practice. Participants were inquired to read 3 separate scenarios. Then, they were asked to imagine the situation where they really make decisions concerning those tasks. Then relative reliance on different types of mental simulations, the vividness of outcome and process, regulatory mode scale and some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were measured. Research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es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Research results of two tasks out of three tasks supported hypothesis statistically. As we expected, people with high locomotion mode tended to use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more while people with high assessment mode relied more on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The hypothesis about the task characteristic were supported partially.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ubjects relied relatively more on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when they could imagine process more vividly than outcome. Unfortunately, however these findings confirmed relative differences only.

      • KCI등재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과 조절모드와의 조절 적합성이 심적 시뮬레이션 활성화와 심적 시뮬레이션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권익현 ( Kwon Ickhyun ),이진석 ( Lee Jin Suk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상황적(situationally)으로 활성화되는 심적 시뮬레이션(mental simulation) 유형과 개인의 기질적인(chronic) 조절모드(regulatory mode) 성향 사이의 조화(match-up)에 의한 조절 적합성(regulatory fit)의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활성화되는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과 개인의 조절모드 성향과의 조절 적합성이 심적 시뮬레이션이 활성화되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둘째, 광고가 유발하는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과 광고에 노출된 소비자의 개인적 조절모드 성향 사이의 조절 적합성이 해당 광고의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1에서는 결과 중심의 심적 시뮬레이션은 이동모드 성향이 강한 사람에게서 더 원활하게 활성화되고, 과정 중심의 심적 시뮬레이션은 평가모드 성향이 강한 사람에게서 더 원활하게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하였고, 가설 2에서는 결과 중심의 심적 시뮬레이션을 유발하는 광고는 이동모드 성향이 강한 사람에게 더 설득적이고, 과정 중심의 심적 시뮬레이션을 유발하는 광고는 평가모드 성향이 높은 사람에게 더 설득적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는 동일한 대상으로 두 개의 실험을 연이어서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가설 1의 검증을 위하여 2(조절모드: 이동모드/평가모드)*2(심적 시뮬레이션 활성화 조작: 과정 중심/결과 중심)의 집단간 실험설계를, 가설 2의 검증을 위한 두 번째 실험은 2(조절모드: 이동모드/평가모드)*2(광고가 유발하는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 과정 중심/결과 중심)의 집단 간 실험 설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조작된 심적 시뮬레이션의 활성화 정도는 그 유형과 개인의 조절모드 성향과의 조절 적합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에 제시된 것과 같이 결과 중심의 심적 시뮬레이션은 이동모드 성향의 사람에게서, 과정 중심의 심적 시뮬레이션은 평가모드 성향의 사람에게서 더 원활하게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지지). 또한 결과 중심의 심적 시뮬레이션을 유발하는 광고에 대해서는 이동모드 성향의 사람이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지만, 과정 중심의 심적 시뮬레이션을 활성화 시키는 광고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아서 가설 2는 제한적으로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gulatory fit between situationally activated mental simulation types and individuals` chronic regulatory mode. Firstly,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ctivation of mental simulations with regulatory fit and without regulatory fit. Secondly,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gulatory fit between mental simulation type situationally activated by advertisements and chronic regulatory mode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Hypotheses 1 expected that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would be activated more effectively for locomotion-oriented people than for assessment-oriented people, and process- focused mental simulation would be activated more effectively for assessment-oriented people. In Hypotheses 2, We expected that the advertisement inducing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to locomotion-oriented people, and assessment-oriented people would respond more positively to the advertisement inducing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hypotheses 1 was supported statistically. As expected, outcome- focused mental simulation was activated more by subjects with stronger locomotion-orientation, and process-focused mental simulation was activated more by assessment mode people. However, hypotheses 2 was marginally supported. The advertisement activating outcome-focused mental simulation was more effective for locomotion-oriented subjects than assessment-oriented subjec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process focused advertisement between assessment-oriented subjects and locomotion-oriented subjects.

      • KCI등재후보

        노인 소비자(elderly consumer)와 인지연령(cognitive age)의 개념 및 측정에 관한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 방향

        권익현(Kwon, Ickhyun),윤자경(Yoon, Jha Kyung)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3 경영과 사례연구 Vol.36 No.1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고령화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실무적으로나 학문적으로 나이(age)와 나이 들어감(agin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노인 소비자와 인지연령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정리하였다. 노인 소비자와 관련한 연구 1) 노인의 개념, 2) 노인 소비자의 정보처리, 3) 노인 소비자의 의사결정으로 분류하였고, 인지연령과 관련한 연구는 1) 인지연령의 개념, 2) 인지연령의 측정 및 활용 3) 인지연령과 노인 소비자의 관계로 분류하였다. 각 연구 영역에서 어떤 주제와 내용들이 밝혀졌는지 등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 소비자와 인지연령 영역에서 향후에 진행이 요구되는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As the size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growing and the age of human is expanding,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age and aging. This research reviews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elderly consumer and cognitive age in consumer research. Elderly consumer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3 groups: 1) the concept of elder consumer, 2) information processing of elderly consumer, 3) decision making of elderly consumer. Cognitive age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3 groups: 1) the concept of cognitive age, 2) Cognitive age measurement and application, 3)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ge and elderly consumers behavior. Reviews include each research s subjects and finding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several issues.

      • KCI등재후보

        기부(Donation) 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및 향후 연구방향

        조익권(Ikkwon Cho),권익현(Ickhyun Kwon)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7 경영과 사례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부문화가 나아가야할 방향과 향후 추진할 기부연구의 추진과제를 살피고자 과거의 선행연구 중심으로 이론적 문헌고찰을 통해서 개인적, 사회적 기부의 저변확대를 괘하고 기부행위의 전략적 연구추진방향을 제시토록 하였다. 이를 위한 접근으로 먼저 기부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였고 기부자 설득위한 기부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크게 5가지로 분류하였고 이에 대해 1.기부동기에 따른 심리적 영향요인, 2.기부자의 개인적 성향요인, 3.기부 환경에 관한 영향요인, 4.기부 메시지의 프레이밍 영향요인, 5.기타 죽음의 현저성에 의한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기부자 설득에 미치는 구성개념들을 요약 정리하였다. 아울러 이들 구성개념들과 향후 추진될 연구과제와의 연관성유지로 기부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토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rategic direction of personal donation participation by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 s donation culture and new subject of donation research.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factors as psychological influences on donation motivation. compensatory psychology, and happiness. 2. The factors that influenc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havior according to the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level theory. 3. Effects of temporal, spatial, and social distance as influence factors on the construal level by donation environment. 4. Different Persuasion Effects according to Message Types with Positive, negative, gain and loss. influence factors of donor. 5. Reversed factors when mortality is made salient are summarized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donation persuasion. Ba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donation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 of donation research. First. expanding to support individual donation activities through the direct participation method of individuals. Second. study the expansion from the individual need donation to the social need focused dona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trategic donation marketing in Korea in the future, we set up research direction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projects. Until now. research on focused donations of the social needs has not been studied relatively in comparison with individual needs focused donation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focus of future research should be focused on raising the participation rate of personal donation with more attention and interest in the don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 need issues.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studies will be supported by proving hypothesis that the factors affecting donation behavior in previous studies will exist a moderating role in relation to donation type Respectively.

      • KCI등재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은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는가?

        이성균 ( Seong Kyun Lee ),권익현 ( Ickhyun kwon ),이진석 ( Jin Suk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4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이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김경훈 외2000; Langerak et al. 1998; Menon et al. 1999; Menon and Menon 1997; Russo and Fouts 1997). 그러나 한 UN보고서에 따르면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보이는 사람은 전체 소비자의 40%에 이르지만 실제로 구매하는 소비자의 비중은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5).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실제로 이어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는 정도가 제품군(주요 속성평가의 강도가 강한 vs. 약한 제품)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이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자신의 구매행위가 타인에게 노출되는지, 노출되지 않는지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차례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2(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 강/약)*2(구매행위의 노출여부: 노출/비노출)의 집단 간 설계를 활용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의 강도는 가상의 제품 (가정용 표백 세제 vs. 가정용 주방 세제)을 개발하여 조작하였고, 구매행위의 노출여부는 가상의 구매상황(온라인 쇼핑/오프라인 쇼핑)을 통해 조작하였다. 그리고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제품력 지각 그리고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제품력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친환경 의식 수준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구매행위의 노출여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구매행위가 노출될 때, 노출되지 않을 때보다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추가 실험은 1차 실험에서 기각된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제품을 Luchs et al(2010)의 연구에서 활용한 차량용 vs. 아기용 바디 샴푸로 변경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적 효과는 제한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인식에 미치는 친환경 의식 수준의 영향은 제품의 속성 강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제품력 지각에 미치는 친환경 의식 수준의 영향은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rior research showed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al behavior suas purchase intention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Kim et al. 2000; Langerak et al. 1998; Menon et al. 1999; Menon and Menon 1997; Russo and Fouts 1997). According to one UN report,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their actual purchase behavior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5). This study focuses on such a gap.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consumer responses towar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uthors also predict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responses towar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can be moderated by two factors: one is strength of the product main attribute, the other is social desirability. In order to exam these notions, the study conducts two experiments: one main experiment and another additional experiment. Main experiment uses a 2(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trong/week)*2(purchasing situation: exposed/unexposed) factorial design. Fictitious environment-friendly products(bleaching detergent/dishwasher detergent) and purchasing situations(online shopping/offline shopping) are adopted as treatments. Results of the main experiment show that the higher peopl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the more likely they tend to recognize need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to perceiv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to performbetter. However, the moderating role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is not supported. The experiment also reveals that consumers with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re more willing to purchas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desirability is also found. The effe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purchase intention is higher in a exposed purchase situation than in a unexposed purchase situation. Additional experiment is conducted to retest the moderating role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ince it is not supported in the main experiment. It uses a one-way ANOVA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trong/week). Products adopted in Luchs et al(2010)(car body shampoo and baby body shampoo) are also used in this experiment. Results support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marginally. It is supported for consumers`` recognition of need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statistically, but for perceived performanc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t is supported directionally only not statistically.

      • KCI등재

        대학의 서비스 실패가 학생 불만족과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치형(Lee, Chee Hyoung),권익현(Kwon, Ickhyun),이진석(Lee, Jin Suk)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7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ice failure 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in University, focusing on moderating roles of situational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Specifically, we set service failure’s cause types and problem solving possibility as situational factors and select compliance and assertiveness of students as individual factors.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one experiment. 20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we used 196 samples for final analysis). We manipulated two situational factors in terms of scenarios, and measured compliance and assertiveness by using scales. Then we measured students’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service failure had positive effects on dissatisfaction. Service failure’s cause typ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failure and dissatisfaction, but compliance did not. Dis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mplaint behavior. Both problem solving possibility and assertivenes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