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프 레섬 화예연출의 조형특성연구 -화예소재를 이용한 연출 중심으로-

        이지아 ( Lee Ji Ah ),이진민 ( Rhi Jin M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화예 디자인의 조형요소와 원리 그리고 제프 레섬의 화예 디자인 인식을 기본 이해에 두고, 제프 레섬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조형디자인 요소와 화예 표현기법을 유형화하여 화예디자인의 연출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제프 레섬은 파리 포시즌 호텔 George V(Four Seasons Hotel George V)의 수석 플로리스트로 국내 신라 호텔과 년간 계약으로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아울러 그는 화예디자인으로 프랑스 관광청이 부여하는 최고의 등급을 파리 포시즌 호텔이 선정되게 만든 장본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프 레섬의 화예 디자인의 예술적 가치를 논하기 보다는 플라워디자인의 조형성과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발행된 제프 레섬의 작품집 ‘Visionary Floral Art and Design’을 중심으로 파리 포시즌 호텔과 서울신라호텔의 호텔로비, 웨딩&파티 공간, 테이블의 작품사례를 선정하여 화예디자인의 시각적 조형요소인 형태,질감 및 색상과 표현기법에 대해 1차 분석을 하였다. 2차 분석에서는 1차 분석에서 도출된 이미지 형용사와 표현기법를 고바야시의 이미지 스케일과 포지셔닝 스케일에 도식화하여 제프 레섬의 화예 디자인의 연출특성을 도출하였다. 제프 레섬의 화예디자인은 단일한 꽃과 색상을 선호하며 표현 기법 또한 그룹핑과 조닝인 집단화 기법에서 크게 벗어나 않는다. 꽃 이외에 오브제 사용이 많은 연출방법으로 꽃을 강조하면서 공간으로 확장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프 레섬의 화예디자인의 연출특성은 단일성, 확장성, 강조성으로 고객의 시선을 사로 잡으면서 화예 매체가 공간연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무에 활용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적인 화예연출가의 작품을 조형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무 및 교육현장에서 독창적이고 새로운 표현기법 개발과 미적인 조형계획 설계에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eff Leatham flower design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 visual formative design elements and flower expression techniques in his work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of his flower design. Jeff Leatham is the senior floral designer at the Four Seasons Hotel George V in Paris and has an annual contract with the Shilla Hotel seoul in Korea where he is still working until this day. His flower design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aris Four Seasons Hotel being the highest rated by the French Tourism Agency.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his formative and expressive techniques rather than on the artistic value of his flower design. So selected pieces of Jeff Leatham's 'Visionary Floral Art and Design', published in 2014, regarding hotel lobby, wedding & party spaces, and table settings of the Paris Four Seasons Hotel and the Shilla Hotel were analyzed in the first analysis in terms of visual formative design elements of form, texture and color, and expression techniques. In the second analysis, image adjectives and expression techniques derived from the first analysis were plotted on Kobayashi's image and positioning scale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Jeff Leatham’s flower design. Jeff Leatham's floral design prefers single flowers and colors, whilst the techniques do not deviate much from grouping techniques that are grouping and zoning. More vases than flowers were used in this technique, through which flowers were emphasized expanding into the space. Therefore, Jeff Leatham's flower design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practice by presenting expansion possibilities of space directing capturing customers' attention with unity, expandability and emphasis. These studies are meaningful for developing creative and new expressive techniques and utilizing formative planning design in practical and educational fields through analyzing the worldwide floral designer’s pieces formatively.

      • KCI등재

        조형원리를 기반으로 한 꽃의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꽃의 구조에 따른 조형 분류를 중심으로-

        이미향 ( Lee¸ Mi Hyang ),김흥렬 ( Kim¸ Heung Ryeo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꽃은 일상 및 예술을 비롯한 인류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미의 영감의 원천이 되어왔다. 화예디자인은 꽃과 식물의 생명력을 표현하는 조형예술 분야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지만 객관적 미학의 대상으로 서 꽃의 심미성에 관한 탐구는 아직 미약하다. 따라서 꽃의 아름다움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는 꽃에 대 한 새로운 해석과 함께 미학의 또 다른 분야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꽃의 아름다움을 객관화하기 위해 정량적 방법으로 꽃의 조형요소를 체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과정은 디자인에 서의 조형성 유형을 선행연구로, 식물학적 꽃부리 분류체계의 고찰을 통한 꽃의 분류체계 범위 내에서 꽃의 형상적 조형요소를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식물학적 분류 체계에 따라 다소 범위의 차 이가 있는 것을 감안하여 관련 서적과 인터넷 자료를 토대로 6개의 분류 방식에서 도출된 총 114개의 꽃 가운데, 단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거나 기준이 다른 것을 제외한 103개를 분석 대상의 범위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꽃의 형태에 따른 조형적 꽃부리의 범위와 내용을 정리, 총 18개의 항목이 분류 되었으며 식물학 분류 체계에 없는 부분이 일부 추가되었다. 둘째, 꽃의 조형적 특징으로 대칭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면 모양에서 좌우대칭형과 함께 방사대칭형 중 오각형의 꽃이 다수 도출되었다. 넷째, 꽃의 색채에서는 명도대비가 주요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를 기초로 꽃의 객 관적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꽃부리 형태와 색채 분석 모듈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꽃의 사례 범위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꽃의 조형적 특징을 정량적 요소로 분석함으로써 꽃의 아름다움의 객관 적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연구에서 제시한 꽃부리의 조형요소 통합분석모듈은 차후 꽃의 사용목 적과 범위에 따라 꽃의 미적 요소에 대한 객관적 자료의 군집별 발췌 가능성이 예상되며,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꽃의 객관적 미학을 위한 후속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Flowers have been a source of inspiration for beauty in all areas of human culture, including everyday life and arts. Flower Design is a field of formative arts with flowers as its medium, but regarding the subject of objective aesthetics, the research for its aesthetic beauty, are still weak. Thus, exploring the objectivity of the beauty of flowers is expected to open up an another chapter of its aesthetics with a new interpretation of flower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the aesthetic principle of flowers in quantitative ways based on the flower’s figurative elements.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developed with the botanical flower corolla classification system to analyze the shap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ower, and conducted the scop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flower accordingly. However,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scope of botanical classification, 103 flowers out of a total of 114 types derived from six different classifications based on related books and Internet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excluding those classified as a single type or with different criteria.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formative corolla from the shape of the flowers, were organized into 18 categories, and some of the missing parts of the botanical classification system have been added. Second, the symmetry of flowers, especially the radial symmetry with pentagonal flowers, and the lightness contrast were found to be prominent. Third, based on this, the formative corolla and color analysis module system was organized. Although the range of flower cases were limited,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n objective measurement for the beauty of flowers by analysing the flower’s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quantitative factors, and the integrated analysis module for the element forms of a corolla presented in the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subsequent research on flower object aesthetic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field of the use of flower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현대 화예디자인과 섬유예술의 융합표현에 관한 연구

        전정수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2 조형디자인연구 Vol.15 No.2

        현대미술은 탈장르화와 장르간의 융합을 통해 특정한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작가의 조형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방시긍로 변목하고 있다. 1960년대의 다다이즘에서 시작한 오브제(Objet)미술의 발전은 기존 미술의 개념을 확장시키고 탈장르와 융합을 가속화시켰다. 지금까지 꽃꽃이 공예와 섬유공예는 각각 화훼산업과 섬유산업의 발달로 인해 생활 공예와 디자인, 순수 조형예술로 양분되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두 장르는 서로 비숫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섬유예술에 있어 재료로 사용되는 식물성 섬유는 식물의 열매와 줄기, 표피에서 얻는다. 화예디자인의 주 소재는 꽃과 식물로서 섬유예술의 소재와 관련성을 가진다. 조형기법에 있어서도 유사성을 보인다. 소재와 기법의 유사성은 두 장르간의 융합의 바탕이 될 수 있다. 화예디자인과 섬류예술의 융합은 조형의 가치를 재발견하여 화장시키고 작가들의 창조적 표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미술, 환경조형, 대지미술의 조형적 특성들을 공유하고 있어, 융합표현의 가장 큰 장점인 조형표현의 확대와 친환경적 조형예술을 기대할 수 있다. 연구는 화예디자인과 섬유예술의 현대미술사적 개념과 이론적 고찰, 현대조형예술에서의 섬유와 화훼 융합작품 연구, 실제로 융합한 작품 4점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The modern art is transformed by post-genre and fusion, which make the artist to express their beauty of formative arts much more freely. Object art extended concept of the art and accelerated post-genre and fusion. Growth in flower industry and textile industry devide flower art and fiber art, and they developed separately. But they have similarity. In fiber art, vegetable fiber, the main material, comes from fruits, stems, and skin of plants. For flower art, the primary materials are flower and plants which has relevance with fiber art. And have some likeness in techniques. Similarity in material and techniques is the basis for fusion of two genres. Fusion of flower design and fiber art will rediscover and expend the value of formative arts, and fulfill the creativity of the artist. Also it shares attribute of installation art, environmental sculpture, and land art that extend expression of formative arts and make it more eco-friendly. The study covers the concept and theoretical approach of flower design and fiber art, research of fusion art works in modern formative arts, and expression of four fusion art works.

      • Jeff leatham(제프레섬) 화예디자인과 조형세계

        이지아(주저자) ( Ji Ai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제프레섬의 작품특성을 해명함에 있어서 제프레섬 작품의 대한 이해를 기본에 두고 조형성 및 연출기법을 분석하여 작품사례를 유형화하여 특성을 고찰하였다 제프레섬의 작품을 조형적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화예 매체를 통한 공간연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무에 활용 될 수 있다. 따라서 제프레섬의 화예디자인의 예술적 가치를 논하기 보다는 공간연출로서 가지는 플라워디자인의 조형성과 연출기법을 중심으로 문헌고찰 하였다. 또한 제프레섬의 화예디자인을 가장 최근 출판한 2014년도 작품집인 ‘JEFF LEATHAM Visionary Floral Art and Design’의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분석대상은 제프레섬이 연출하는 설치미술, 웨딩 및 파티공간, 테이블으로 제프레섬이 아트디렉터로 활동하는 파리의 포시즌 호텔과 한국의 신라호텔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였다. 그리고 각 연출공간에 적용된 화예디자인의 분석요소는 선적요소, 색상, 소재, 연출기법, 조형원리, 조형특징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2장의 1절에서는 화예디자인의 조형성과 연출방법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2장의 2절에서는 제프레섬의 전반적인 작품세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 인터뷰 및 작품집을 선행연구 하였다. 3장에서는 문제 제기와 문제의 설계를 통하여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4장에 서는 선정된 18개의 조사 대상을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고 5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적인 플로리스트의 작품을 조형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무 및 교육현장에서 독창적이고 새로운 표현기법 개발과 미적인 조형계획 설계에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at contemplating characteristics of Jeff Leatham``s work by categorizing his pieces as well as analyzing formativeness and production techniqu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is creations to explain his work. Refocusing Jeff``s work in the formative point of view can suggest possibility of more diverse spatial expressions through the floral media so that florists can use them.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mativenes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floral design, which represent spatial expressions rather than discussed the artistic value of the floral design of Jeff Leatham. In addition, his floral design was analyzed using creations from the 2014 anthology ‘JEFF LEATHAM Visionary Floral Art and Design’, which is most recently published. Installation art, wedding and party decorations and tables were subjects of the analysis. Pieces that Jeff arranged for The Shilla Seoul Hotel in Korea and Four Seasons Hotel Paris, where he works as an art director, were used. Linear factors, colors, materials, production techniques, the formative principl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utilized as elements of analysis of floral design applied to each space. Formativeness and production methods of floral design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in section 1 of chapter 2. Documents, interviews, and collections were discussed in section 2 of chapter 2 to understand Jeff``s work. Chapter 3 provided an analysis framework by raising and designing problems. Chapter 4 analyzed 18 research subjects selected to derive their properties and chapter 5 made a conclusion.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a world-class florist``s creations are formatively analyzed for practitioners and educators to develop new expressive methods and design aesthetic formative plans.

      • KCI등재후보

        아동 대상의 화예 조형 교육에 있어 창조적 실행을 자극하는 교육 체크리스트 도출에 관한 연구 -창조적인 재료와 방법을 사용한 아동조형 창작 사례의 행동장면 분석을 통하여-

        김도이,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2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7 No.-

        The creativity is one of the core abilities to develop in contemporary education dealing with current situa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rt education which evoke to search new experiences and concepts and construct art works based on them is taking role of developing creative ability.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stimulate and encourage creativity in floral art education clas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deduction of educational ideas which stimulate creativity in floral art education for children to respond that educational needs. To specify the method and process, the researcher firstly collected images of creative art work examples and art work creation scenes vastly from multiple sources. And then the researcher derived technical text from the collected images utilizing behavioral scene analysis technique,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fter that the researcher continued to arrange and construct systematic composition of the concepts utiliz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lso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the result, following outcomes were derived. Three top level concepts of ‘experience’, ‘composition’, and ‘direction’: one sub-top level concept of ‘material and environment’ under the category of ‘experience’: three sub-top level concept of ‘composition medium’, ‘expression composition’, and ‘control composition’under the category of ‘composition’: four sub-top level concept of ‘an effective production’, ‘subjective production’, ‘a time production’, and ‘spatial production’ under the category of ‘direction’. And then 97 midlevel concepts and a total of 148 subconcepts were derived and arranged under those concepts. Through this conceptual systematization which were performed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chlidren’s creative art work activity utilizing behavioral scene analysis technique and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 series of checklist that could stimulates creativity in floral art education cessions was created.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역량의 하나로 거론하지 않더라도 현대 사회에 있어 창의적 능력의 개발은 교육의 핵심 화두의 하나라 하겠다. 끊임없이 새로운 경험과 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작품으로 구성하는 예술 창작 교육은 창의적 능력의 개발에 있어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화예조형교육에 있어서도 창조적 실행을 자극하고 격려하는것은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적 필요성에 대응하여 아동 대상의 화예조형교육에 있어 창조적 실행을 자극하는 교육 아이디어의 도출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포괄적으로 수집된 아동 조형 창작 사례를 바탕으로 행동장면분석을 통해 과량의 기술문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기술문을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여 체계화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경험’, ‘구성’, ‘연출’의 3개 최상위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경험’의 하부에 ‘재료와 환경’의 1개 차상위 개념이, ‘구성’의 하부에 ‘구성매체’, ‘표현구성’, ‘조작구성’의 3개 차상위 개념이, ‘연출’의 하부에 ‘효과적 연출’, ‘주관적 연출’, ‘시간적 연출’, ‘공간적 연출’의 4개 차상위 개념 등 총 8개의 차상위 개념이 도출되었다. 또한, 그 하부에 97개의 중위개념과 148개의 하위개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처럼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방법론이라는 질적연구방법을 도입하여 아동 조형 창작 사례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개념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화예교육 세션에 있어 창조적 실행을 자극하는 일련의 교육실행 체크리스트를 얻을 수 있었다.

      • 화예조형을 통한 ‘여정’ 이미지 표현

        지연신 한국꽃예술학회 2017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9 No.-

        이 연구는 여행에서 체험하는 풍경과 만남으로 인하여 자신에게 잠재되어 있던 감정 과 삶에 대한 새로운 의욕을 재발견하게 되는 여정을 묘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말하는 ‘여정’이란 일상을 떠나 휴식을 갖기 위한 것이고 늘 거주했던 집을 떠나 또 다른 세상을 경험한 후 다시 그 원점인 집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여러 행선지를 지나는 동안에 가진 자아 반영의 시간들과 새로운 문물과의 경험은 사람에게 내재되어 있었던 이전의 감정을 발견할 수 있게 할 뿐이 아니라 집의 소중함 을 깨닫는 계기를 마련해 준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작품의 재료인 철판, 철선의 무기재료와 유기재료인 식물은 각기 그 재료에 적절 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본인이 제시한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철선을 사용하여 만든 각 작품의 윤곽과 골격은 시각적으로 개방된 표면구 조를 취함으로써 공간을 열어주어 여행 중에 경험하게 되는 시각적인 자유로움과 정신 적인 여유로움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의 살아있는 식물재료는 무기재료와는 또 다른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요소이며, 또한 그가 지닌 생명감이라는 본질로 사 람의 마음에 색다른 감동을 전하게 한다. 즉, 식물의 생명력과 유기적인 아름다움이 영 원한 미를 더하여 본 작품의 주제를 더욱 생동감 있게 전달하는 고리를 마련해 주었다. 본 연구는 분주한 현대 생활의 다양한 문화 속에서 화예조형의 영역은 자칫 잊기 쉬 운 자연의 덕목을 일깨워 주며,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 주는 연구이다. 이제 화예조형은 자연과 예술을 접목한 장르로써 독자 적인 조형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그 심상에 내재된 미적 대상을 구체화시켜 표현함으로 써 화예조형의 무한한 가능성을 심도 있게 연구하는데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them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my journey that eventually provides spiritual therapy, through floral formative arts. When I leave for this journey, I rarely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my life due to the weight of everyday life. Therefore, I am preoccupied with searching for a new life and new relationship in a new world. While going through the long itinerary of the journey, I encounter different cultures, visit new places and meet new people. In doing so, I begin to looks back my life and reflects upon all the relationships, friends and past. Finally I realize the importance of what I have so far and now understand that searching for happiness can only be possible and meaningful where I have left from, not in a new world. Although I am standing in the same house where I have left, I am barely the same person because I am now a mature human being who recognizes the true value of what I have. In this exhibition. Choices and applications of materials are designed to enhance those intentions in each work. Plant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floral formative arts, are applied to each work to effectively express the meaning of life, therapeutic element, and spiritual maturity. As a whole, organic and man-made materials are combined to bring out the aesthetic and artistic aspects of floral formative arts while delivering the theme of this exhibition.

      • KCI등재후보

        공공미술로서 화훼조형 설치에 관한 연구

        윤수진 ( Su Jin Yun ),이재규 ( Jae 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3

        (연구 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그동안 공공미술로 설치된 화훼조형이 제한된 장소에서 관행적으로 조성되고 있음을 인식하면서 출발하였다. 화예디자인의 공공적 기능을 부각하여 화훼조형이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기능뿐 아니라 도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다각화되면서 공공미술에 대한 개념이 변화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공공미술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한편 현대미술의 경향과 사조가 화예디자인의 조형예술적변화에 영향을 주며 화훼조형 창작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다는 전제하에 1980년대 이후 공공미술로 설치된 화훼 작품의 사례를 유형별로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사례분석을 통하여 화훼조형의 개념과 규모를 확장하여 공공미술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훼’라는 재료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징을 활용하고 공공미술의‘공공성’에 대한 광의(廣義)를 수용하여 새로운 조형미를 창조한다면 화훼조형은 공공미술의 영역 안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점유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This study has began with awareness that existing botanical sculpture as public art has been installed conventionally in the limited place. Highlighting the public function of floral art and design, the study is to seek for possible ways to revitalize community as well as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Method)The concept of public art has changed according as diversifying the ideas regarding publicness and it was classified into 4 types of public art. On the premise that trend and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has a crucial influence upon the changes of floral art and design and they has be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the creation of botanical sculpture, the study analyzed botanical works installed as public art after 1980`s selected by types. (Result)The findings were reflected in the case study are that botanical sculpture have a variety of approaches for public art through expanding scale and concept of it. Botanical sculpture will occupy independent position in the realm of public art by maximizing the original features of ``botanical materials`` and accepting diverse concepts of ``publicness`` in public art.

      • KCI등재후보

        낯설게 하기 기법을 사용한 화예 조형 교육 가이드라인 도출 -현대미술에 나타난 낯설게 하기 사례의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 방법론의 적용을 통하여-

        이진희,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2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7 No.-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of today is mostly powered by the expansion of intellectual ability of human being. One of the hindrances of the expansion of intellectual ability of human being might be the fixed view in seeing things and thinking. We tend to think in a stereotyped way of fixed thinking unconsciously. We need to avoid these way of fixed thinking to attain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art creation. We can find numerous cases of art works using defamiliarization techniques which seem to be used break up these way of fixed thinking in contemporary art. The researcher tried to present the guidelines applicable to the creation of floral art and its education by deriving and structuring the characteristics from contemporary art work images which can be considered as applying defamiliarization techniques. The behavior setting analysis an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hich are considered as qualitative research were utilized as the methods of research. To concrete, firstly the researcher performed research deriving descriptive sentence as open-coding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utilizing behavior setting analysis technique based on the chosen photo images of art work. And then the researcher proceeded the research through cyclical repetition of applying axial-coding and selective-coding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until all groups were categorized. Therefore finally a series of theories were derived, which were structured as presentable form. As a result, 3 top concepts, 10 upper concepts, 29 middle concepts, 74 lower concepts, and 231 bottom concepts were derived. These concepts were constructed and presented as the creative guidelines for floral art cre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floral art educ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first trial of deriving guidelines for floral art education by apply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the behavior setting analysis an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ased on the cases of defamiliarization technique application among contemporary art works. 현대사회가 발전할 수 있었던 이면에는 인간의 지적 능력의 확대가 있다. 지적 능력의 향상을 방해하는 것 중에는 고정적 사고, 고착화된 인식에 빠지는 것이 있다.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의식적으로 선입견과 고정관념에 빠져 판단하게 된다. 작품을 창작하는 활동에서 창의성과 독창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고착화된 사고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예술에서는 고착적 사고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기법 중에 하나로 낯설게 하기 기법을 사용한 사례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조형 예술작품 이미지를 낯설게 하기 기법으로 바라보아 특징적인요소를 추출하고 구조화하여 화예 조형 예술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작품 창작 및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행동장면분석과 질적 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집된 현대조형 작품의 사진 이미지를 바탕으로 행동장면분석을 진행하여 기술문으로 추출하고 이를 다음 단계의 근거이론 방법론의 개방코딩으로 삼아, 축코딩과 선택코딩의 순환적 적용을 통해 일련의 이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3개의 최상위개념과 10개의 상위개념, 29개의 중위개념, 74개의 하위개념과 231 개의 최하위개념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는 화예 조형 교육의 창작 가이드라인으로 체계화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현대 미술에 나타난 낯설게 하기 사례를 바탕으로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 방법론의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화예 조형 교육의 가이드라인을 도출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 콜라주, 아상블라주 기법에 의한 화예조형 표현연구

        양기희 한국꽃예술학회 2011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7 No.-

        이 연구는 콜라주, 아상블라주 기법을 적용하여 자연의 중요한 요소인 나뭇잎 이미지를 실생활의 장식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화예조형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나뭇잎 이미지를 실생활에 이용할 수 있는 화예조형작품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현대미술의 다양한 표현방법 중에서 콜라주(collage),아상블라주(assemblage)기법을 적용하여 파티션과 벽걸이를 제작하였다. 표현한 작품을 공간, 양감, 질감, 색채, 운동 등의 관점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제의 식물과 자연의 일부인 나뭇잎 이미지를 작품화하여 생동감과 생명성이 표현되었다. 다양한 식물들의 집적으로 양감이 형성됨과 더불어 변화 있는 질감이, 바탕에 낙엽가루의 점증으로 인한 운동감이 강조되었다. 식물의 자유곡선에 의하여 형성된 크고 작은 변화 있는 공간들과 작은 나뭇가지들의 중첩에 의하여 생긴 크고 작은 공간의 긴밀한 관계를 반복됨으로써 형성된 양감이 시각적인 편한함과 중량감이 나타났다. 명도차를 둔 갈색의 인근색 조화로 단순성, 소박성, 유연성이 강조된 작품의 설치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콜라주, 아상블라주 기법의 적절한 사용으로 표현특성을 다양화하고, 실용성이 강조된 화예조형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광범하게 추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