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추를 적용한 디자인 과정의 규명 및 아동용 가구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도출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1

        The feasibility of a design case can be validated by the appropriateness of both the result and the process. The process will be validated by the logical propriety in the process. The difficulty of logical validation of design process lies in logical discontinuity being called 'creative leap' in it. If the logical deduction is a methodology to produce rational result, the creative leap is a methodology to create unique result. Therefore logical discontinuity in the creative process is an essential step, and defining the process including it is important to define the design process as a whole. It was attempted to make understanding of the creative process in design by applying abduction, a method of deduction presented by Charles S. Peirce. More concretely, the process of creation can be analyzed into two stages, 'the proposal' in capable of presenting new things but incapable of validation and 'evaluation' in capable of validation but incapable of presenting new things and these two stages are united as a process and function one after another repeatedly to create design proposition. And also the creative process was studied to have identical conceptual structure with abduction process which is consist of two stages, 'assumption' of hypothesis and 'verification' of probability of the assumption. And the abduction can be applied in any stage of design process to deduct either design proposals or design requirements. And finally the deduction of design guideline from design proposal was performed and presented to illustrate the methodology of abduction and the process applied in design process. 디자인의 타당성은 특수한 경우로서 개별적 결과물에 대한 적절성 검증에 의해서 뿐 아니라 보편적 경우로서 그 과정의 적절성에 의해서 확인되어져야한다. 이 가운데 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판단은 그 과정이 논리적 타당성을 가지고 진행되었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디자인 과정의 논리적 타당성의 검증을 어렵게 하는 것의 하나로 그 과정에 소위 창조적 도약(creative leap)이라고 일컬어지는 논리의 비약 단계의 존재를 들 수 있다. 논리적 추론이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이라면 디자인 과정에서의 논리적 비약은 개별적이고 특수한 대안을 창출해내는 방법이며 따라서 창조적 과정을 체계화함에 있어 이 단계의 규명은 핵심 사안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퍼스(Charles S. Peirce)가 추론의 방법의 하나로 제시한 가추(假椎, abduction)를 디자인 과정의 창조 과정을 해석하는 개념적 틀로 사용하여 디자인 과정의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자세하게는, 창조가 이루어지는 과정이 새로운 것을 가정, 제안하는 ‘발의’의 단계와, 새로운 제안을 끌어내지는 못하지만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인하는 ‘평가’의 두 단계의 결합으로 이루어져있음과 이와 같은 두 단계의 순환적 반복을 통해 주관적 자의성을 포함한 대안은 객관적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보하면서 안(案)으로 발전되어져 간다는 것을 밝혔고, 이러한 체계가 가설을 상정(上程)하는 ‘가정(假定)’ 단계와 그 가설의 그럴법함을 판단하는 ‘검증(檢證)’ 단계의 두 개의 단계로 구성되는 가추의 논리와 일치함을 입증하였다. 나아가 가추는 디자인의 어느 과정에서나 디자인 대안과 디자인 조건을 창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그 예시로서 디자인의 결과물의 가추를 통한 분석을 통해 아동용 가구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의 도출을 실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사학적 관점의 텍스트 분석을 통한 아동그림책의 이야기 수용 양상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1

        The study is to find differences in methods of story creation in children's picture book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in pabla, text, and story from each book by applying Mieke Bal's analytical view of applying pabla, story, and text in his theory of narratology. The study is also to confirm that the core of the picture book lies in story by proving that the phase of stories dominate the phase of story accommodation of readers. Four books was chosen as samples out of 27 book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al sal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bla, text, and story were deducted from each book by apply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uch as conceptual saturation and synthesizing similar concepts. And the phase of story was attempted to seize by observing the phase of text considering the phase of pabla. The specific phase of created story can be regraded as being formed affected by creator's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 considering the multiple possibilities in shaping phase and therefore the creator's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 can be considered to have played central role in creating the phase of created story and be regraded as a major factor forming the essence of the picture book.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arranged in three points: Firstly, the creator's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 should be take into account seriously in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of picture books for children. Secondly, creator should realize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ing power of his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 and cautiously manage them in creative process. And lastly, suggested perspective viewing picture book from the view of creator can widen and variate the view to evaluate and approach picture book supplementing dominant perspectives of function. 본 연구는 미케 발이 서사학에서 파블라, 이야기, 텍스트로 구분하여 행한 분석적 견해를 아동그림책의 분석에 적용하여 파블라, 텍스트, 이야기의 특징을 추출하고 그 변환되는 과정의 추적을 통해 이야기 구성의 서로 다른 방식이 있음과 그러한 방식이 독자가 이야기를 수용하는 양상을 지배함을 밝힘으로써 아동그림책의 본질이 이야기에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27권의 아동그림책으로부터 선택한 네 권의 아동그림책을 샘플로 하여 각 그림책마다 파블라, 텍스트, 이야기의 특징을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개념적 포화와 유사 개념의 통합을 통해 이론으로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샘플별로 파블라가 텍스트로 변환되고 있는 양상을 관찰하여 그 사이에서 구현된 이야기의 양상을 포착하였다. 파블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이야기 양상의 다양한 가능성을 생각할 때 구현된 이야기 양상은 창작자의 관점과 해석을 통해 형성되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는 결과물인 아동그림책의 실체는 창작자의 관점과 해석의 결과인 이야기 양상임을 의미한다. 또한 텍스트에 나타난 특징과 이야기의 수용 양상의 상관성을 탐구하여 창작자의 관점과 해석은 독자의 수용 양상에 큰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이러한 발견의 의의는 첫째, 아동은 그림책을 통해 내용 뿐 아니라 창작자가 취한 관점이나 해석 또한 접하게 되므로 아동그림책을 선별하고 추천함에 있어 창작자가 취한 관점이나 해석을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밝힌 점, 둘째, 창작자가 아동그림책을 창작함에 있어 스스로 취하는 관점이나 해석의 영향과 중요성에 스스로 주목하고 창작시 적절한 대응을 탐구해야 함을 제시한 점, 셋째, 파블라-이야기-텍스트의 체계 안에서 이야기를 아동그림책을 구성하는 중심적 구현체로 바라보고 이야기의 양상을 결정하는 창작자의 관점과 해석의 중요성을 부각시켰으며 그림책을 기능적 도구의 관점이 아닌 작품의 측면에서 가치를 찾는 입장을 통해 그림책을 바라보는 관점의 다양화를 촉구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모형화 및 구조적 유추를 활용한 형식지의 창조지로의 변환방법 (아동발달이론의 아동용 미디어콘텐츠 기획 아이디어로의 변환을 중심으로)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7 조형미디어학 Vol.10 No.1

        It is a matter of interest for the people in the creative industry how they could create new ideas effectively, where incessant creation of ideas is being demande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rrange the method of idea creation as a theory. Adopting Nonaka's theory of knowledge creation which assume that knowledge is created by the transformation of knowledge types between the tacit knowledge and the formal knowledge, I attempted to theorize the methodology of idea creation by regarding creation of ideas as a part of knowledge creation and by proposing the third knowledge type named the created knowledge.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that the formal knowledges are transformed to the created knowledges, the modeling technique was proposed to be introduc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ransformation which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se two knowledge types. The model which has both 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formal knowledge and intuitive characteristic of the created knowledge was assumed to be the intermediated step which connect the formal knowledges to created knowledges in their transformation procedure. Therefore I attempted to arrange a theory of idea creation by proposing a method of deducing a model from a formal knowledge and later deducing ideas by applying analogy of the model. The examples of idea creation for the media contents planning for children deduced by applying analogy of the models which were previously deduced from the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we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usability of the methodology. 지속적인 아이디어의 창출이 요구되는 창조적 작업을 행하는 이들에게 있어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은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그러한 아이디어 창출의 방법을 이론화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식창조는 지식유형의 변환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노나카의 이론을 바탕으로 그가 제시한 암묵지와 창조지의 개념에, 창조지라는 새로운 개념을 추가하여 창조적 아이디어의 발상을 지식창조의 관점에서 조망함으로써 아이디어의 도출 방법을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형식지가 창조지로 변환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지식 유형간의 성격적 차이와 그에 기인하는 변환의 장애를 극복하는 한 방법으로 모형화를 제시하였다. 즉 형식지의 논리성과 창조지의 직관성을 동시에 갖는 모형을 형식지와 창조지를 이어주는 중간 단계로 보고, 형식지로부터 모형을 도출하고 이 모형으로부터 창조지를 유추해내는 방법적 시도를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의 적용 대상의 범위를,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콘텐츠의 기획으로 삼아 형식지를 아동발달이론, 창조지를 미디어콘텐츠의 기획의 아이디어로 한정하여 사례를 예시하였는바, 본고가 제시하는 이론은, 형식지를 바탕으로 하여 창조지의 도출이 요구되는 창작 작업 전반에 확장, 적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기존 사례의 형태적 특징 분석을 통한 캐릭터 형상화 참고점의 도출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duct referencing points for character design to develope digital characters for a computer game.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er gathered significant amount of designed character samples in broad range and analyzed them applying behavior setting analysis and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patterns of visual construction of characters are deducted and organized in 3 categories of 'motif', 'combination', 'deformation'. And therefore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applicable patterns which can be applied in character feature planning.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deduct applicable referencing point through the methodological approach in character design field.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 환경에서 구현할 수 있는 캐릭터를 개발함에 있어 직관적 접근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적 접근을 모색하는 일환으로써 기존 캐릭터의 형태적 특징 분석을 통해 최초의 모티브의 설정, 형태적 발전, 다듬기와 완성에 이르는 각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캐릭터 형상화 참고점의 도출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시간에 걸쳐 상당량의 캐릭터 사례를 수집하였고 이를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여 방법적으로 분석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 모티브, 조합, 변형의 세 카테고리에서 기존 캐릭터가 착상, 구성, 발전되는 다양한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파악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새로운 캐릭터 개발 과정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다양한 처리 방법에 대한 참고점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방법적 연구가 일천한 캐릭터 디자인 영역에서 기존 사례에 대한 방법적 분석을 통해 새로운 캐릭터의 형상화를 위한 참고점의 도출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능동적 신체 놀이 영역 장난감의 행동장면분석을 통한 장난감의 일반적 특성 도출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1

        This study is done as a pre-research of future study to deduct design guideline for toy design. The uniqueness of this research is to attempt to deduct the general attributes of toys not the specific attributes from specific point of view. For this the researcher collected 141 behavioral scenes of child / children in use of the toys of active physical play category and performed behavior setting analysis to dedu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toy. Then the researcher continued to develop concept and theory out of deducted characteristics apply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KJ method was adopted to arrange the materials on the base of relationship of each characteristics, concept, and theory. The result led to the classification of toys on the behavioral and functional basis and also the deduction of attributes by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ys into the categories such as simplicity, concreteness, dynamism, control, applicability, pluralism, level of composition, support, space, novelty, formation of function and stimulation, stability and easiness, interaction, styling and desig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that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duct the attributes of toys taking methodological approach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duction of design guidelines for toy design of which area was left almost barren from the view of academic research hitherto.

      • KCI등재

        그림책의 서사방식이 독자의 수용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1

        그림책에서 발견되는 서사 방식과 독자가 그림책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수용 양상을 찾아보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여 특정한 서사 방식이 특정한 수용 양상을 유발하는지를 추정적으로 밝힌 연구이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는데 1차 연구에서는 근거이론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먼저 각 그림책을 보고 서사 전문가가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 없이 기술한 문장들을 수집하고 그로부터 핵심 단어를 찾은 후 이를 가지고 다시 기술문을 재구성하고 이를 통합, 유형화하는 방식으로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에 있어 각 7가지씩 총 1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2차 연구에서는 각 그림책마다 해당되는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을 표시하여 그 관계를 표로 정리하고 이를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 간의 상관성을 찾았다. 최종적으로 높은 정적 혹은 부적 상관성을 보인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의 유형들을 찾아 이들 상관을 바탕으로 특정한 서사 방식이 특정한 수용 양상을 유발할 것이라는 추정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the specific narrative method tends to affect and induce specific mode of perception on the reader's part. The research was performed in two studies: In study 1 the researcher collected descriptions on narrative method and mode of perception described by the narratologist and extracted the core words. Then the collected descriptions were re-described using only the core words. The core concepts on narrative method and mode of perception were deducted by integrating and categorizing the re-described descriptions. As a result 7 types of narrative method and also 7 types of mode of perception were deducted. In study 2 the researcher marked the applicable types of narrative method and mode of perception on each matching book and arranged the relations as a data table. Then the researcher found the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methods, modes of perception, and narrative method and mode of perception applicable to each book by processing the data statistically. The effect of narrative methods in picture books on reader's mode of perception was estimated from the analysis of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types.

      • KCI등재

        독창적 서사 방식이 적용된 사례 분석을 통한 그림책 창작의 가이드라인 도출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1

        It is not difficult to find picture book examples of which narrative is inventive and which go beyond conventional notion of picture book as a storytelling book accompanied with pictur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raw narrative theories of picture books by the analysis of the picture books with inventive narratives and also to deduct guidelines of the creation of picture books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which as a media form. The methodologies are as follows: 1) deduction of core words based on collected descriptions on narratives of each example by the expert of picture book creation apply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2) developing theories through abductive methodology by suggesting assumptions based on core concepts drawn from core words and by testing the validity of the assumption and revising it through the application test to the examples 3) creation of concept diagrams of narratives by integrating of the theories using KJ method and schematizing the concepts 4) deduction and suggestion of guidelines by transforming the finalized diagrams into descriptive statements 최근 그림책 가운데는 그림이 곁들여진 스토리북이라는 일반적인 통념을 넘어서 서사 방식에 있어 독창적인 시도를 실험한 사례가 적지 않게 발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례에 적용된 서사 방법의 분석을 통해 서사 이론을 도출하고 그를 바탕으로 그림책의 잠재성을 계발하고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는 창작의 가이드라인의 도출을 시도하였다. 방법적으로는 1)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개별 사례에 대한 주관적 기술문을 수집하여 핵심 단어를 추출하고 2) 핵심 단어로부터 도출된 핵심 개념들을 가지고 가설을 제안한 후 이를 사례에 대입하여 수정, 검증하는 가추적 방법으로 순환적, 접근적 방법을 사용하여 이론을 도출하였다. 3) 정리 방법은 KJ법을 원용한 시각적 도식화방법을 사용하여 서사이론개념도를 구축하였다. 4) 최종단계에서 도출된 최종 도식을 서술적 방식으로 변환하여 창작의 주요 이론으로 정리, 재구성함으로써 그림책 창작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투명재질을 가지고 행한 아동 조형 활동의 행동장면의 분석을 통한 아동조형교육프로그램의 가이드라인 도출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1

        그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수준 높은 조형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목적과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논의가 있어왔으나 현재 행해지고 있는 프로그램이 실제로 그러한 목적에 적합하게 구성되고 운영되는지에 대한 검증과 평가가 치밀하게 이루어져 왔는지에 대하여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조형교육자체에 대한 교육적 합목적성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때문이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형과 교육 양 측면이 갖는 복합성과 영향요소의 다양성이 일반적인 분석적 접근을 어렵게 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려면 전통적인 방식의 접근이 아닌 새로운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조형교육에 있어 그 적절성과 교육효과에 있어 높은 지명도를 지닌 레지오에밀리아 시의 아동교육의 기록을 바탕으로 행동장면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식의 연구를 통해서 우수한 결과를 낳은 조형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 방법을 도출해내고 그를 바탕으로 새로운 아동 조형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찰된 현상을 종합하여 그 배경 원리나 조건을 추출해내는 데는 일반적인 추론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C. 퍼스에 의해 정리된 가추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행하였다. Despite of numerous disputes on the aims and methods for art education for children it is suspicious that careful valuation and verification have been performed on the ar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today whether they are corresponding to the aims in their performance or not. The blame for the negligence in the valuation and verification falls partially on the vagueness in the finality of art education itself as well as on the complexity of factors having influence on both the activities in art and in education, which hinders approaches through general analytical methods. It concludes a new approaching method being in need for these kinds of research other than regular approach. Therefore a method of behavior setting analysis based on the records of children's behavior in the practice of art education program at the Infant-toddler Centers and Preschools at Reggio Emilia which are famous for their high quality in education and their outstanding outputs of children's artworks was adopted to deduce the constructing and operating strategies which can be applied as the guidelines for developing new ar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The method of abduction proposed by C. Peirce was adopted as regular methods of reasoning were not being applicable in analysis and deduction of the principles and causing conditions from the synthesis of the perceived phenomena captured from the records.

      • KCI등재

        아동이 그린 그림의 연구를 통한 그리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포괄적 인지 활동의 분석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1

        아동을 대상으로 한 그리기 지도의 가이드라인을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아동이 그린 그림들을 연구하여 그리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포괄적 인지 활동의 유형을 도출하고자한 시도이다. 연구의 결과 그리기 활동을 통해 촉발되는 인지적 활동의 유형을 ‘내용’과 ‘과정’의 두 가지 관점에서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그림의 내용‘의 관점에서는 ‘외부’, ‘외부의 변형’, ‘내면의 표현’ 그리고 ‘구성물의 구축’이라는 네 가지 상위 유형이, 이어 ‘그림의 과정에 관여하는 인지적 사고‘의 관점에서는 ‘자동화된 그리기’, ‘전개적 그리기’ 그리고 결과물의 구성에 집중하는 ‘조율하는 그리기’의 세 가지 상위 유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그리기 교육의 참고점은, 그리기의 내용에 있어서는 외부 대상에 대한 단순 묘사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 1)대상과 관련하여 아동이 갖는 개념, 특정 부분이나 관점의 주목, 상황의 포괄 및 정서 투사를 통한 외부의 변형 2)사고 표상, 상상, 회상, 표출과 같은 내면적 내용 3)구성물의 표현이나 구성의 실험이나 장식과 같은 구성물 자체로 확장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그리기 교육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는 점과, 그리기의 과정에 있어서는 대상의 묘사나 내면의 표출과 같은 자동화에 국한되어져서는 안 되며 1)기 인지된 내용의 표현, 그리는 과정에서 인지되는 내용의 표현, 파편화된 내용의 조직화 구축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얻어지는 인지적 도출 그리고 구축된 결과물을 통해 얻어지는 인지적 파악과 2)도출 결과의 정리 및 구성 실험을 행하는 시각적 조율로 확장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확장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그리기 교육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주제, 대상, 관점 및 표현 방법과 관계되는 광범위한 그리기 사례의 결과물을 통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포괄적 인지 활동이 갖는 의미를 광범위하게 탐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과 본 연구의 결과가 포괄적 인지 능력의 육성을 위한 그리기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duction of guidelines for guiding drawing for children. I studied children's drawings to figure out the comprehensive cognitive activities done in draw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 found the types of comprehensive cognitive activities done in drawing process from two point of view, the subject and the process. From the view of subject I found there are four top types: outer thing, deformed outer thing, inner thing, and construction of work. From the view of process I found there are three top types: automated process, developing process, and tuning process. Useful guidance related to the subject for guiding drawing for children deducted from this research are Instead of overemphasising on realistic depiction of subjects, following approaches should be encouraged and the teaching method supporting those approaches should be developed: 1) the deformat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ncept children have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 the concentration on parts or point of view, the depiction of the situation, and the projection of emotion 2) representation of thought, imagination, retrospection, and expression 3) experiment in expressive and compositional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Useful guidance related to the process for guiding drawing for children deducted from this research are Instead of overemphasizing on automated process of depiction or expression, drawing process should be expanded as follows and the teaching method supporting those expanded process should be developed: 1) the process of displaying cognitive contents pre-perceived, being developed in process, acquir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structured by cognitive fractions,and acquired through the constructed entity 2) the arranging and experimenting process of visual components to create balanced entity. The meaning this study lies in its first trial to analyze comprehensive cognitive activities studying drawing examples made by children in wide scope with different theme, subject, point of view, and expression and also in its applicability in developing the guidelines of drawing guidance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cognitive abilities for children.

      • KCI등재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의 작동 기제의 유형 분류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1

        The author analyzed interactive installation art works to find and classify operating pattern of interaction inside of the art work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various trials and approaches being done in this field today. 8,297 samples which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rom vimeo site using keyword 'interactive installation' and more samples which were also collected randomly following connected links were added for analysis. Reviewing one by one, researcher removed irrelevant samples for the research purpose and similar or identical samples in operating pattern leaving typical ones. With 503 samples which have survived removal process, author performed further analysis adopt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extracted 'descriptive sentences' of 984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Then applying axial coding, the author extracted 19 core words which represent operating units. Then again the author deducted operating patterns of 16 by analyzing samples using these core words i.e. operating units conducting selective coding. Comparing the position and relative patterns of operating units in operating patterns, the author constructed compounded model which is inclusive all the deducted operating patterns as the parts of it. Then re-deduction of all the possible operating patterns based on the constructed compounded model and finally 22 operating patterns were found and organized. 본 연구에서 저자는 인간-기기와의 인터랙션을 활용한 예술 창작 범주로서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작품 내부에서 행해지는 인터랙션 기제의 분석과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연구 자료는 vimeo 사이트로부터 interactive installation이라는 키워드로 검색된 8,297개의 비디오와 이를 바탕으로 각 비디오가 제공하는 연관 링크를 따라 탐색하여 추가된 비디오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을 버리고, 작동 기제의 관점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은 대표 사례만 남기고 버리는 방식으로 축소 정리하여 503개의 대표 사례를 표집하였고, 이를 가지고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 분석하였다. 일차적으로 표본을 대상으로 개방 코딩을 실행하여 984개의 기술문으로 정리하였으며, 다시 이를 바탕으로 축코딩을 실행, 작동 단위를 나타내는 19개의 핵심 단어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행한 축코딩의 결과를 가지고 선택 코딩을 행하여 16개의 인터랙션 작동 기제의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도출된 작동 기제의 유형들 안의 작동 단위의 위치와 패턴을 추적하여 통합 구조 모형을 구축하였는바, 구축된 통합 구조 모형은 상기 도출된 16개의 인터랙션 작동 기제의 유형을 모두 포함하며 논리적으로도 오류 없이 구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렇게 구축된 통합 모형을 근간으로 논리적 관점에서 작동 기제의 유형을 재구성한바, 결과로 총 22개의 작동 기제 유형을 도출, 정리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