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통제위치성향과 은퇴준비행동과의 관계

        박주영,조혜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3

        최근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됨에 따라 은퇴 후의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지만 유럽 의 재정 위기와 국내 부동산 시장 침체의 영향으로 많은 가계가 은퇴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 태도, 행동으로 구성된 은퇴준비행동의 개념적 틀에서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 제위치라는 심리적 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위치수준별로 상위 30%, 중간 40%, 하위30%의 세 집단을 나누고 집단별 재무 관련 특성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내적통제성향 집단이 외적통제성향 집단에 비해 은퇴준비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은퇴준비행동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내적통제성향 집단이 외적통제성향 집단에 비해 저축과 보험가입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지식과 은퇴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통제위치가 매개변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혀, 재무지식이 통제위치를 개선시킴으로써 은퇴준비행동에 긍정적인 간접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셋째, 은퇴준비행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재무지식과 순자산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은퇴준비행동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각각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통제위치 는 보험가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미래재무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무지식으로 나타났으며, 은 퇴계획에는 재무지식과 순자산이 영향을 미쳤고, 미래를 위한 저축과 투자에는 각각 성별과 순자산 그리고 순자산과 재무지식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은퇴준비행동의 근간을 이루는 각각의 하위요 인에 따라 다양한 변인들이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통제위 치는 재무지식이나 경제적 능력보다는 미약하지만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재무지식 수준이 증 가함에 따라 통제위치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개인적 심리적인 요인이 은 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은퇴준비행동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경제적 인 측면뿐만이 아니라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또한 우리나라 가계의 은퇴준비행동을 개 선하기 위해서 통제위치성향을 비롯한 다양한 심리적 요인과 태도,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장기적인 교육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구성과 위험운전행동과의 관계

        오주석,이순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7 No.2

        This study aimed to expand and reconstruct the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factors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DBD) and drivers' reckless driving behavior level. To expand the structure of DBD, drivers anger, introversion and type A characteristics were added, which were never considered as related factors in existing DBD studies befor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new factors of DBD and reckless driving behavior(includes driver's personal records of driving experiences for the last three years) were verified. A factor analysis result showed us that new DBD questionnaire consists of five factors such as, ‘Problem Evading’, ‘Benefits/Sensation Seeking’, ‘Anti-personal Anxiety’, ‘Anti-personal Anger’, and ‘Aggression’. Also, reckless driving behavior consists of ‘Speeding’, ‘Inexperienced Coping’, ‘Wild Driving’, ‘Drunken Driving’, and ‘Distraction’.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the DBD and reckless driving behavior indicates that inappropriate level of DBD is highly correlated with dangerous driving behavior and strong possibilities of traffic accidents. Based on these results, we might be able to discriminate drivers according to DBD level and predict their reckless driving behavior through a standardization procedure. Futhermore, this will make us to provide drivers differentiated safety education service. 본 연구는 운전행동 결정요인 구성요인의 내용을 확장시켜 위험운전행동 및 운전 경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기존의 운전행동 결정요인 관련 연구에서는 다뤄지지 않았으나, 다른 연구자들이 위험행동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 분노, 내향성 및 A형 성격유형 등의 인적요인을 기존 모델에 더 추가하여 운전행동 결정요인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요인들과 위험운전행동, 운전자의 개인특성 및 실제 운전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70명의 운전자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운전행동 결정요인은 문제회피, 이익/자극 추구, 대인불안, 대인분노 및 공격성의 5개 요인으로 재구성 되었으며, 위험운전행동 부문 역시 과속운전, 대처미숙, 난폭운전, 음주운전 및 주의산만의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전반적으로 운전행동 결정요인 수준에서 부정적 성향이 강할수록 운전자들의 위험운전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실제 운전경험에 있어서도 과속적발 경험이나 음주운전 시도경험, 교통사고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높은 관련성을 볼 때, 향후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측정을 통해 개인의 위험운전행동 유발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고 위험 운전자들을 사전에 판별하여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태원,정지윤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95명, 경상남도 양산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하여 남, 녀 각 250명을 설문조사하여 초등학생들의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의복구매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백분율을 산출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 영향 요인이 의복구매행동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으로 <상품의 유명성>, <대중매체>, <친구>, <부모님>, <개성>, <학교 교육>의 6개 요인이 분석되었다. <상품의 유명성>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가정의 경제수준, 용돈의 사용처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 시 중요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중매체>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 용돈기입장의 사용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구매자와 의복 구매 방법, 의복 구매 시 중요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친구>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님>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가정의 경제수준이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 구매 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개성>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어머니 학력과 관련이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교 교육> 요인은 일반적 특성, 의복구매행동 모두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의복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며, 그 중에서도 대중매체 요인의 경우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서 가장 많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학생들의 의복구매에 대중매체가 미치는 영향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한 의복구매행동을 위해 학생들에게 대중매체에서 받는 영향을 줄이고 현행 교육과정의 의생활 단원에는 의복구매행동이 학습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올바르게 의복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문항의 한계 때문일 수도 있으나 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의생활과 관련된 내용의 한계와 교사들의 관심의 부재로 인한 문제가 더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의생활단원에 합리적이고 올바른 의복구매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수업내용이 추가되어야할 것으로 보아지며,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의복교육을 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providing data about education of clothing habi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of it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that six-graders purchase clothes and purchasing condi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00 students including 95 sixth-graders residing in Busan and 405 sixth-graders residing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 statistical program, SPSSWIN 12.0.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purchasing the clothes, the percentage of frequency was calculated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nd the behavior was also researched.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purchasing clothes analysis showed a total of six factors. The <trademark’s fame>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family economic level and how to spend the allowanc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t helped purchasing clothe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mass media>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gender, the family economic level, the use of the account book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lothes buyer, how to purchase clothes, significant helped purchasing clothe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friends>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gender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parents>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family economic level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personality>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gender, the academic ability for mother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school> factors, it wasn't seen correlate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s could be seen in more than clothing,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ing behavior varies. Among them, the mass media,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urchasing behavior the clothes had shown the many correlations. Through buying clothes for students, the affect of the mass media could be seen significant. There was a need to tell you to purchase the apparel desirably that the <mass media> factor had to be reduced. School education needed to show how to purchase the clothes correctly. School education for student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pparel shopping behavior has not shown the correlation because it may be due to the limitations of questions being addressed in schools, but the limitations about the clothes information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the lack interests by teacher are more suspect. Therefore the training associated with clothing needs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have the correct idea related with clothes.

      • KCI등재후보

        청소년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의 분석

        한상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influence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adolescent's sex risk behavior. A sex impulsivity, a sensation seeking, a negative coping strategy, and a peer pressure as risk factors were presented by a prior researchers. A positive coping strategy, a positive perception on school life, a parent's rearing behavior(father and mother), and a parent-child's communication (father, mother) as protective factors were selected to base on previous studies, and found by researchers that these factors have buffering effect of risk factors on a sex risk behavior. The subjects are 600 2nd grade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D city. Scales for measuring these variables are all eight, such as a sex risk behavior scale constructed of 20 items, a sex impulsivity scale with 12 items, a stress coping strategy(positive, negative) scale constructed of 36 items, a sensation seeking scale with 20 items, a peer pressure scale with 20 items, a positive perception on school life scale with 9 items, a parent's rearing behavior involv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scale with 9 items, a parent-child communication scale with 20 items. Statistical procedur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As expected, all risk factors predicted significantly sex risk behavior. The higher risk factors was, the higher sex behavior was found in adolescent. a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2) The result showed that a positive coping strategy, a parent's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aring behavior, a parent-child communication as protective factors have buffering effect of sex impulsivity and sensation seeking on adolescent's sex behavior. This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at considering an treatment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for preventing adolescent's various risk behaviors is importance. 본 연구는 청소년 성행동을 위험행동으로 규정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험요인은 위험행동의 원인이 되지만, 보호요인은 위험요인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시키는 조절효과를 갖는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된 위험요인은 성충동, 감각추구성향, 소극적 대처전략, 또래압력 지각이며, 보호요인으로 가정한 것은 적극적 대처전략, 학교에 대한 긍정적 지각, 부모의 감시 및 통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다. 이들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이 실제로 성 위험행동에 영향을 주고, 조절효과를 갖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인문고, 전문계고에서 표집한 총 600명의 청소년들이며, 성 위험행동을 비롯하여 4개의 위험요인과 6개의 보호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총 8개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1단계에서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2단계에서 보호요인의 위험행동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3단계에서 상호작용 검증을 통해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위험요인은 성 위험행동을 의미 있게 설명해 주었으며, 6개의 보호요인은 위험행동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위험요인으로 성충동이 투입되었을 때 적극적 대처, 부와의 의사소통, 모와의 의사소통이 각각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나타냄으로서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감각추구성향이 위험요인으로 투입되었을 때는 적극적 대처, 부와 모의 감시 및 통제 양육행동, 부와의 의사소통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 성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위험요인으로 성충동, 감각추구성향, 소극적 대처, 또래압력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위험요인의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시켜 주는 보호요인으로는 적극적 대처전략, 부와 모의 감시 및 통제 양육행동,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확인되었다. 청소년 성행동 지도에 있어서 극단적인 위험요인은 계속해서 제거시켜 나가야 하겠지만 이와 더불어 보호요인의 처치를 통해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시켜 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이타적행동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가? - 기부, 자원봉사, 헌혈 및 혈장기부, 낯선 사람 도움의 영향력 분석 -

        강철희(Kang, Chul Hee),김찬미(Kim, Chan Mi),길영인(Kil, Young 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4

        선행연구는 이타적행동이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갖는다고 논의한다. 그러나 그 영향력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과연 어떤 유형의 이타적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심리적 요인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력에 더해 기부, 자원봉사, 헌혈 및 혈장기부, 낯선 사람 도움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 이타적행동 요인의 영향력은 과연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이타적행동 중 어떤 행동이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지를 탐색한다. 아울러서 이타적행동은 결합적으로도 행해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상호작용항을 통해 행복에 대한 이타적행동의 결합적 영향력도 탐색한다. 분석자료로는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가 구축한 기빙코리아 2020 자료를 활용하고,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한다. 분석 결과, 행복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자율성과 같은 심리적 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타적행동 요인의 설명력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행복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이타적행동 요인이 모두 반영된 모형에서 이타적행동 요인 중에서는 자원봉사와 기부(현금)만이 정(+)의 방향에서 행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합 효과의 검증을 위한 이타적행동 간 상호작용항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행복의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검증하면서 이타적행동 요인의 영향력을 비교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파악해 내어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Previous studies discuss that altruistic behavio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happines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understanding regarding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altruistic behavior and the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altruistic behavior.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the psychological and demographic factors influence happiness. In addition, it examines how altruistic behavior such as donations, volunteering, blood and plasma donations, and helping strangers affect happiness.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combinatorial characteristics of altruistic behaviors, it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s of altruistic behavior on happines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Giving Korea 2020 data by the Beautiful Found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roposed model by using a hierarchical OLS regression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for happiness were autonomy, spouse, income and age among psychological and demographic factors. Particularly, autonom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happiness. Second, regarding the main effect of each type of altruistic behavior, only donation and volunteer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positive relationship on happiness. Third,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discuss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tic behavior and happines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altruistic behavior in our society.

      • KCI등재

        청소년의 성행동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인영,박인선,백연옥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본 연구는 생태계 이론에 근거하여 비계획적인 청소년기 성행동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1996년 9월 12월까지 13∼18세 연령 범위의 청소년 2326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미혼모 보호소에 있는 대상을 제외하였을때 응답자의 8.8%가 과거 성행동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 중 남자는 13.4% 여자는 5.0%로서 남자가 2.7배 더 많았고 13세(3.2%)보다 18세(19.7%)에서 약 6배 더 많았다. 연령과 성별을 맞추어 성행동 경험군과 비경험군을 비교한 결과 다섯가지의 위험요인이 발견되었다. 첫째 개인요소로서 자신의 잠재된 능력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음주, 흡연 약물 복용, 가출등의 경력이 있거나 포르노에 노출된 경우 그리고 자신이 성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둘째 요인은 가족 요인으로서, 가족의 중요성을 덜 느끼고 가족의 지시를 덜 받는 경우, 수입이 높고 평균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 등이 포함된다. 셋째 요인은 또래 문제로써, 친구들이 실제보다 더 많은 문제 행동을 하고 있다고 믿는 경향이 포함된다. 넷째, 학교 요인으로는 학교의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학업 능력이 좋지 않을 경우에 성행동 위험이 높아졌다. 자아가 형성되는 시기인 사춘기에 예기치 않은 성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족관계와 학교생활에 주목해야 하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위험 요인들이 향후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수있다. 중심 단어 : 성행동 위험요인. The focus of the research was on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that may result in unprepared intercourse among the adolescent from an ecological systems prospective.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hrough December 1999 to 2326 youths, ages from 13-18 years old. After eliminating thirty respondents from Unwed Mother's Home we found that 8.8% of the remaining respondents had experienced sexual intercourse. Of those, 5% of the female and 13.4% of male adolescents has had sexual intercourse, showing 2.7 times more for the male sample population. Broken down to age groups, 3.2% of the thirteen years old group and 19.2% of the eighteen years old group had experienced intercourse, an almost six fold increase in the older age group. To fo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had and not had experienced intercourse the group was then divided into two comparative groups by same sex and age variables. Findings from comparative analysis identified five ecological system risk factors among the youth sample that had intercourse; First, individual factor : adolescents who thought less of themselves or didn't consider their potentials, those more exposed other risk behaviors such as drinking, smoking, drugs, runaway and come in contact with pornography, those who thought they knew more about sex and etc. Second, family factor : those who thought family was less important, had less supportive family, higher or lower income family and etc. Third, peer factor : Both groups thought friends were important and had their support. The group with intercourse experience seems to be think that more peers are experiencing other risk behavior. Fourth, school factor. Those in the group who had experienced intercourse seems to think school is less important and with lower academic achievements. Fifth, community factor :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The overall results from this study implies that if we want to prevent our youths from having unprepared intercourse during adolescence the significance of having meaningful emerging self, family relationship and school experience is important. This study identified the risk factors leading to adolescent sexual intercourse but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in finding out about their predictability. KEY WORDS : Sex behavior ㆍ Risk factor.

      • KCI등재

        온라인마케팅자극요인이 플로우 및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강박구매성향의 조절효과

        장영혜,박명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논집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마케팅자극요인(제품독특성, 쇼핑편의성, 가격관련 판촉활동, 커뮤니케이션 자극)이 플로우와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온라인강박구매성향에 따라 비교하는 것이다. 강박구매행동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강박구매자의 개인적 특성에 집중하였으며, 마케팅자극요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더구나 비강박구매자들의 강박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집단의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변수들의 상대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자료는 온라인 쇼핑환경(인터넷쇼핑, TV홈쇼핑, 모바일)에서 강박구매의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리서치기관에 의뢰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구조분석에 의한 대응별 모수비교를 통해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강박구매성향이 낮은 집단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자극요인만이, 높은 집단에서는 가격관련 판촉활동만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두 집단 모두에서 가격관련 판촉활동을 제외한 모든 온라인마케팅자극요인이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강박구매성향이 낮은 집단에서는 플로우가 온라인강박구매행동을 유도하는 요인이 되지만, 온라인강박구매성향이 높은 집단에서는 플로우를 거치지 않고 가격관련 판촉활동이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요약컨대, 온라인마케팅자극요인이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간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강박구매행동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며, 온라인 환경에서 합리적인 구매행동을 위한 기업의 마케팅활동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환경에서의 부정적인 소비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on-line marketing stimuli (uniqueness of product, convenience of shopping, promotion-related pricing and communication stimulus) on the flow and the on-line compulsive buying behavior by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The data were collected by an internet research agency, based on the target customers who had experiences of compulsive buying in online shopping environment (internet shopping, TV home shopping and mobile shopping, et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a group with higher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had been directly influenced by promotion-related pricing only, while a group with lower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had been influenced by communication stimulus only. Meanwhile, regarding the effect of marketing stimuli on the flow, both groups had been influenced by all factors except for promotion-related pricing. It means that the flow could be an inducing factor of on-line compulsive buying behavior of a group with lower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But a group with higher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was directly influenced by promotion-related pricing without mediating the flow. Such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further studies in finding the causes of on-line compulsive buying behavior. And the study could be used for development of on-line business company’s marketing strategy to direct healthy purchasing of buyers in online environments. Also, the study woul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duce negative buying behavior of on-line consumers on-line shopping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항공서비스의 불만요인이 전환의도와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박수영 ( Soo Young Par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9 유라시아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적으로 해외관광수요가 침체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항공서비스에 대한 승객의 불만 중 전환의도와 전환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항공사가 지속적으로 승객을 유지하고 이탈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운영비용으로 운영효율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극심한 경쟁의 구도 속에서 차별화된 경쟁전략 및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의 불만요인, 전환의도, 전환행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인천국제공항에서 국제선을 이용하여 출입국하는 내국인 항공승객을 대상으로 항공서비스의 불만요인과 전환의도, 전환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신뢰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항공사 서비스불만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는데, 요인 1을 ‘예약 및 발권서비스’, 요인 2를 ‘운항서비스’, 요인 3을 ‘지상서비스’, 요인 4를 ‘기내서비스’, 요인 5를 ‘부대서비스’로 명명하였다. 전환의도와 전환행동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 1개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Chronbach``s Alpha 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7개요인 모두 .700을 상회하여 문항간의 신뢰성이 충족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항공서비스 중 첫째, 부대 서비스, 예약 및 발권 서비스, 기내 서비스, 지상 서비스에 대한 불만요인이 항공서비스에 대한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대 서비스, 예약 및 발권 서비스, 기내 서비스에 대한 불만요인이 항공서비스에 대한 전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서비스에 대한 전환의도는 전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의도와 전환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불만요인이 부대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마일리지의 적립과 사용에 승객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어서 마일리지는 더 이상 보너스의 개념이 아닌 권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항공사에서는 수익이 높고 경쟁력이 있는 노선에 대해서는 마일리지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데, 승객의 입장에서는 누적한 마일리지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없다는 것에 대해 자신의 권리가 박탈당한다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항공사는 탑승시 마일리지의 적립이 누락되지 않게 배려해야 함은 물론, 승객들이 사용하고자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며 아울러 다양한 제휴를 통하여 더 많은 마일리지 적립 및 많은 사용처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른 항공사 혹은 다른 업종까지 확대된 폭넓은 제휴는 승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환의도와 전환행동에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예약 및 발권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승객은 항공사의 잘못된 정보 전달 및 업무오류로 인하여 공항에서 탑승할 때 불편을 겪기도 하고 여정을 취소해야 하는 상황을 경험하기도 한다. 항공권의 유효기간이나 제약조건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추가 비용이 발생하거나 항공권 사용이 불가한 경우 승객은 예상하지 못한 불필요한 비용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예약 및 발권을 담당하는 직원은 전문적으로 업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 승객에게 항공권의 제약 등에 대해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업무 오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승객이 항공서비스에 대해 불만을 갖게 되면 전환의도를 가지게 되고 이것은 전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바, 승객의 불만사항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항공사는 승객의 불만을 초래한 원인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재발방지 노력을 효과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승객의 불만사항에 대한 처리의 신속성이 요구되는데, 불만에 대해 승객을 정확하게 이해시키고 대체서비스를 즉시 제공하며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불만 제거를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수립하고 이미지 제고를 위해 노력하는 항공사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궁극적으로 생존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which service dissatisfaction elements of airline passengers effect switching intention and switching behavior and how they effect each other so that the airlines could continue to retain passengers and prevent them from leaving, whereby it would help to prepare the marketing strategy to maintain or improve sales performance notwithstanding the competition while overseas travel demand is dropping worldwide.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document study and the actual study were done at the same time. During the document study, dissatisfaction elements of airline services, switching intention and switching behavior were theoretically studied and the assumptions were set out from the preceding studies. For the actual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with the Korean who arrived and departed via international airlines a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s to dissatisfaction elements of airline services, switching intention and switching behavior. For data analysis of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by SPSS 12.0 statistics package. To analyze reliability, the factor analysis was made as to dissatisfaction with airline service, which came out with the 5 factors - factor 1 was named for reservation and ticketing service factor 2 for operations service factor 3 for ground service, factor 4 for in-flight service and factor 5 for incidental service, respectively. The factor analysis for reliability analysis of switching intention and switching behavior resulted in one element each. The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by Chronbach`s Alpha coefficient indicated that all the 7 factors were above .700 by which reliability among questions were prov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he dissatisfaction elements with incidental service, reservation and ticketing service, in-flight service and ground service showed a valid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Second, the dissatisfaction elements with incidental service, reservation and ticketing service and in-flight service showed a valid effect on switching behavior. Third, switching intention for airline services indicated a valid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The suggestions from the actual analysis were as followings: Firstly, the dissatisfaction element with incidental service was indicated to make the biggest effect onto switching intention and switching behavior. Airlines ought to be careful with mileage accumulation not to miss when on board and a system should be in place for passengers to use it with convenience where wanted. Also, it would be critical to give more mileage and to prepare more places to use it through diverse alliances. Extensive alliances with different airlines and different industries would be able to prevent passengers from leaving. Secondly, the second biggest effect for switching intention and switching behavior was indicated coming from the dissatisfaction element with reservation and ticketing service. A passenger may have inconvenience when getting on board at the airport or be forced to cancel his itinerary due to misinformation or mistake of an airline. When additional cost incurs or air ticket cannot be used as its validity or restriction terms were not properly checked out, the passenger believes to have to pay unnecessary additional cost that have been unexpected. Accordingly, the staff in charge of reservation and ticketing should not only be well aware of the duties professionally but also make efforts to communicate the information of air ticket restrictions and to reduce working mistakes. Thirdly, passenger`s dissatisfaction with airline services leads to switching intention which eventually makes a valid effect on switching behavior. As such, to prevent passenger`s dissatisfac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The airlines ought to identify exactly what bring passenger`s dissatisfaction and then to make effective efforts not to let them happen again. In addition, speedy dealing with passenger`s complaints is required. A system should be placed to make the passenger well understood of concerned complaint, to provide substitute service immediately and to offer proper compensation. Eventually, the airline who prepares a plan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by getting rid of dissatisfaction and makes efforts to improve its image would be competitive and be a final survivor.

      •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 구축을 통한 친환경소비 활성화 방안 연구

        곽소윤 ( So-yoon Kwak ),신정우 ( Jungwoo Shin ),이동현 ( Donghyun Lee ),강선아 ( Suna K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친환경 구매 촉진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이 수립·추진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친환경소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친환경 제품에 대해 추가적인 지불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여전히 실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친환경소비 현황을 진단하고,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 구축을 통해 친환경소비 확산의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친환경소비 지표를 제안하여 국내 친환경소비 현황을 진단하였으며,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수집된 거시적인 친환경소비 지표 자료와 설문을 통해 수집된 친환경소비 행태에 대한 미시적 자료를 통합하여 친환경적 태도-행동 불일치성이 발생하는 의사결정 단계와 저해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기반의 검색어 쿼리를 이용한 친환경지표와 기존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새로운 지표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제안한 친환경소비 지표를 바탕으로 국내외 13개국(한국 포함)의 친환경소비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경우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3년간 친환경소비 수준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안된 지표를 활용하여 2004년부터 2015년까지 12년간 주요 13개 국가의 친환경소비 수준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파악한 결과, 의료비 지출수준과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친환경소비에 저해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초등 이전 교육기간이 길수록, 미래지향적인 사람일수록 친환경소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의사결정 단계의 선택이 그 다음 의사결정 단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태도변화를 인지-관심-구매의사의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친환경 제품을 생활밀착형제품, 가전제품, 친환경자동차의 제품군으로 구분하고 친환경 세제, 무세제 세탁기, 하이브리드/전기 자동차를 각각 제품군별 대표 제품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제품별 저해요인/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친환경 세제의 경우,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 대신에 친환경 세제를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다는 제품의 호환성 측면을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특성 관점에서는 이용후기 등에 대한 정보와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정보전달 방법보다 친환경 세제 구매행동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 관점에서 보면, 헤도닉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한 제품 판매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세제 세탁기의 경우는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의 호환성 측면을 친환경 세제와 동일하게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복잡성의 경우는 소비자의 행동 단계에 음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체 특성 관점에서 살펴보면 전문성을 갖춘 정보들이 구매행동을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단계별 영향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인식 단계는 정서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정서 단계가 행동 단계에 음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태도-행동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는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의 상대적 이점과 호환성에 대한 부분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관점에서는 다양한 정보전달 방법 중에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오히려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 관점에서 보면, 기능적 혁신성과 인지적 혁신성이 오히려 전기 자동차 구매행동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단계별 영향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인식 단계는 정서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 단계가 행동 단계에서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활용한 친환경 제품별 분석결과는 소비자, 제품, 매체의 관점을 고려하여 의사결정 단계의 저해요인들을 파악하였으므로, 향후 해당 관점에서 친환경소비 활성화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government has bee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While it was surveyed that consumers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and are willing to pay extra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still only a few have done so.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omestic consumption and suggest policy improvements by identifying the obstacles to the sprea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To that end, the study diagnosed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omestic consumption by proposing a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dex, and developed the environmental attitude-behavior model. Using the data gathered from a survey, it identified the decision-making stages with discrepancy betwee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and behavior occurs and found out the deterrent factors, and derived the policy measures to mitigate the probl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ecured the reliability of the new index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index using the big data-based keyword query and the existing indice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f 13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based on the proposed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dex, South Korea showed an average level, but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started to be reduced for the past 3 yea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f major 13 countries for 12 years from 2004 to 2015 using the proposed index, the level of health care spending and proportion of population of 65 and over citizens were the deterrent factors to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a longer preschool education period and more future-oriented people were identified to be the positive factors to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Second, given the influence of what was chosen in the previous decision making stage on the next decision-making stage, the study developed an attitude-behavior model after dividing the changes in consumer attitude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into the stages of recognition, interest,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study categorize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into the product groups of lifestyle-oriented products, applianc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utomobiles; selecte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and hybrid/electric car as the representative products by product group; and analyzed the deterrent factors/determinants by product after collecting data from a survey. In the case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it wa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us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instead of the existing detergent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practical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the product.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t was helpful to provide reviews and reliable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purchase behavior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rather than other ways to provide information.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it show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product sales strategies that target the consumers with high hedonic innovativeness. In the case of the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it was required to emphasize the aspect of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o the same extent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to practically improve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products. When the products have complicated functions and difficult instructions, the products had negative impacts on the behavior stage of the consumers and the professional information played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purchase behavior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the consumers with high functional innovativeness tended to have lower purchase behavior on the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In terms of the impacts by decision-making stage of the consumers, the recognition stage did not have impacts on the emotion stage but the emotion stage di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behavior stage, occurr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case of the electric cars, it was needed to emphasize the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o practically improve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the product. In terms of the impacts by consumers` decision-making stage, the recognition stage of the consumers did not have impacts on the emotion stage while the emotion stage did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the behavior stage. The analysis by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using the proposed attitude-behavior model identified the deterrent factors of the decision-making stages, given the perspectives of the consumers, products and medium. Therefore, it is expected to use the analyzed results as a basic resource to establish the polices to promote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 the future from the applicable perspective.

      • KCI등재

        직무관련 요인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종호 한국인사행정학회 2021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0 No.3

        본 연구는 그동안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직무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는 문제인식에 착안하여 핵심적인 직무관련 요인으로서 조직 차원의 요인인 직무자율성과 직무수행자원, 그리고 개인 차원의 요인인 직무수행역량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무관련 요인들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했던 바와 같이, 직무자율성과 직무수행역량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직무수행자원은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자율성과 직무수행자원이 변혁적 리더십과의 상호작용항에서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변혁적 리더십이 양자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조절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직무수행역량과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항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앙행정기관과 지방광역자치단체 간에 직무관련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분석에서는 양 집단 모두 직무자율성과 직무수행역량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자율성은 지방광역자치단체보다 중앙행정기관에서, 직무수행역량은 중앙행정기관보다 지방광역자치단체에서 혁신행동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 집단 모두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자율성과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광역자치단체 집단에서 직무수행자원과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항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 공무원을 표본으로 그동안 혁신행동의 영향요인으로서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직무관련 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무관련 요인 중에서 직무자율성과 직무수행자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변혁적 리더십의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