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NA)을 활용한 한국인사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하미승(Ha Mee Sung),이진만(Lee Jin Man),공주(Gong Ju),이병진(Lee Byeong Jin)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1

        한국인사행정학회가 우리나라의 인사행정 관련 연구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그동안 부족했다. 본 연구는 한국인사행정학회에서 발표된 지난 10년간의 논문 키워드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경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크고 작은 60개의 하위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권별 연구경향의 경우, 노무현 정부에서는 ‘개혁 혁신’ 등의 의미와 관련있는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았으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성과 정실주의’ 등의 의미와 관련있는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사행정과 관련된 연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타 학문분야와의 융합연구는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Even though the KOSPPA(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conducting researches o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few study examined such previous researches in a systematic way. This study found the trends of the existing studies published by the KOSPPA during the last ten years by conducting network analysis on the key words of such studies. As a result, the previous studies consist of sixty sub-networks. In a comparison between the studies on the last two former administrations, the key words pertaining to ‘reform’ and ‘innovation’ show a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erms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hereas the key words related to ‘performance’ and ‘patronage system’ show a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erm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suggesting the need to actively conduct mor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e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NA)을 활용한 한국인사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하미승 ( Mee Sung Ha ),이진만 ( Jin Man Lee ),공주 ( Ju Gong ),이병진 ( Byeong Jin Lee )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1

        한국인사행정학회가 우리나라의 인사행정 관련 연구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그동안 부족했다. 본 연구는 한국인사행정학회에서 발표된 지난 10년간의 논문 키워드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경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크고 작은 60개의 하위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권별 연구경향의 경우, 노무현 정부에서는 ‘개혁 혁신’ 등의 의미와 관련있는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았으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성과 정실주의’ 등의 의미와 관련있는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사행정과 관련된 연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타 학문분야와의 융합연구는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Even though the KOSPPA(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conducting researches o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few study examined such previous researches in a systematic way. This study found the trends of the existing studies published by the KOSPPA during the last ten years by conducting network analysis on the key words of such studies. As a result, the previous studies consist of sixty sub-networks. In a comparison between the studies on the last two former administrations, the key words pertaining to ``reform`` and ``innovation`` show a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erms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hereas the key words related to ``performance`` and ``patronage system`` show a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erm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suggesting the need to actively conduct mor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es.

      • KCI등재

        인사행정 60년 연구분석: 정권 및 중앙인사관장기구의 변화에 따른 연구경향 분석

        이선우 한국인사행정학회 2016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5 No.4

        이 연구는 1967년 이후 발간된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인사행정학회보에 게재된 인사행정 관련 논문을 분석 하여 정권별 연구주제 변화를 비교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중앙정부에서 발주하는 정책연 구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정책연구관리시스템 프리즘(www.prism.go.kr)에 탑재된 인사정책과제의 주제와 수, 그리고 과제수행에 소요된 금액을 파악하고 비교함으로써 독립된 중앙인사관장 기구의 존재가 왜 중요한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전반적으로 한국행정학보(1967년 제1권-2016년 제 50권)와 한국인사행정학회보(2002년 제1권-2016년 제15권)에 게재된 인사행정 관련 논문은 총 448편이 었으며, 연구 주제별 전체 빈도를 살펴보면, 능력발전, 성과관리, 사기관리를 포함하는 Development를 주제로 하는 연구가 160편(35.7%)으로 가장 많았고, 윤리와 규범, 노동조합, 신분보장을 포함하는 Sanction 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95편(21.2%)으로 다음을 차지했다. 인사행정제도를 다룬 연구가 66편(14.7%)이었 으며, 공직분류와 인력기획(계획)을 포함한 Planning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47편(10.5%)이었다. 임용과 관련된 Allocation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40편(8.9%)이였다. 인사혁신을 주제로 한 연구가 22편(4.9%),인사 행정의 이념과 특징, 관리체제, 환경체계를 포함하는 인사행정체계를 주제로 한 연구는 18편(4.0%)이었다. 한 가지 특징이라면 대부분의 정권들이 공무원들의 복무관리(Sanction)dp 관심을 많이 가졌고 공직부패, 윤리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다가 최근에는 공직가치에 초점을 맞추면서 연구경향도 함께 변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영삼 정부 이후 지속적으로 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인 부분은 공직 경쟁력향상과 관련된 공무원들의 능력발전과 관련된 분야였다. 능력발전은 성과관리가 핵심적이기 때문에 단순히 능력발전에 초점을 맞춘 연구 에서 성과관리를 위한 다양한 주제들이 연구되기 시작한 특징도 가진다. 한편, 일중심 제도연구에서 일-가정 양립정책이나 사기관리 등 공무원의 인간적 삶에 관한 연구도 많아졌다. 특히, 균형인사, 전문성, 개방 등에 관한 관심은 지속적인 연구자들의 관심이었다. 중앙인사위원회가 출범한 1999년 이후 인사행정관련 논문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중앙인사위원회의 출범은 인사행정전공 학자들의 모임을 활성화시켰고, 그 결과 한국인사행정학회를 만드는 초석이 되기도 하였다. 인사행정에 관한 연구는 과거 60년간 많은 발전을 하여 왔으며, 중앙인사전담기구의 탄생으로 인사제도와 학문의 발전에 상호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가치적합성(개인-상사, 개인-직무, 개인-조직)과 조직신뢰에 대한 실증분석: A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주효진,장봉진 한국인사행정학회 2016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5 No.4

        본 연구는 공공기관으로 신설된 지 5년 정도가 된 기관을 대상으로 가치적합성(개인-상사, 개인-직무, 개인-조직)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또한 조직의 인적자원의 특성(입사형태, 직렬)에 따라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신뢰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가설 1은 기각되었고, 가설 2, 가설 3, 가설 4, 가설 5는 모두 채택되었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조직의 입장에서는 비전을 보다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또한 비전 수립 과정에서 직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 A공공기관의 경우 연구업무와 행정업무가 혼재되어 있어 미션, 비전과의 불일치성이 증폭될 수 있기 때문에 기관의 성격을 고려하여 미션 및 비전과의 일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인사분야 감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광영(Gwang Young Kim),주창범(Chang Bum Ju)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인사비리 문제를 감사제도적인 차원에서 검토하여 인사비리 발생의 원인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자치 사무에 대한 중앙정부의 감사범위 및 한계와 관련된 헌법재판소의 최근 결정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난 10년간 감사원에서 실시한 지방자치단체 인사분야 감사지적 사례 그리고 행정자치부 인사제도 개선 관련 감사지적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감사부서 직원 108명을 대상으로 내부통제수준, 외부감사의 필요성과 문제점, 내부통제 강화방안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자체감사기구의 인사분야 감사 역량강화를 위해 전보제한 기간 강화, 감사부서 직원 우대방안 마련 그리고 감사직렬제 도입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사원 등 외부감사의 역할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 인사감사 전담부서 신설, 인사제도 개선 위주의 감사운영 그리고 자치사무에 대한 정부합동감사 실시 요건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spect the causes of irregularities that consistently occur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udit systems, and to seek solutions for them. Accordingly, the recent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garding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s audits of local governments,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audit findings of the audits conducted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of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s of local governments, along with the findings of audits regarding human resource improvements at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were analyzed. In particular, a survey was conducted on 108 members of the division auditing local governments to discover the current standards of internal control, along with ways to strengthen it, and the need for and the drawbacks of external auditing, of which the results were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a need to strengthen the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ransference, a need for ways to prioritize the members of audit departments, as well as a need to introduce a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the capacity of internal audit departments. Additionally, from the external audit perspective, establishing a department in charge of auditing human resources of local governments, conducting audits centered around improving the human resources system, and specifying the requirements essential to establishing a joint government audit for internal tasks are necessary.

      • KCI등재

        공공 부문 갈등관리 교육 효과성 연구

        강병준(Byoung Jun Kang)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3

        한국사회가 발전하면서 정책과정에서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갈등을 완화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갈등관리 전문 교육기관을 지정하고 공공 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갈등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갈등관리 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효과성은 검증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부문 갈등관리 교육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밝혀내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교육 참여 동기 및 기대, 교육 강사 전문성, 교육내용 충실성, 교육환경 적절성, 교육운영 적절성, 소속기관 교육관심 및 기대 등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교육성과와 교육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교육추천에 다른 독립변수들이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지만 소속기관 교육관 심 및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종속변수인 교육훈련 효과성 변수 의 교육성과, 교육효과, 교육 추천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교육효과가 부 분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정책적 제언으로 지속적인 교육 참여 확대를 위한 공공 부문 종사자들의 갈등관리 교육 참여 확대, 갈등관리 교육내용의 충실성 개선을 위한 교육내용의 다양화 및 전문화, 갈등관리 교육 이후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사후관리, 소속기관 교육관심과 지지를 통한 교육 효과성 증진, 갈등관리 교육성과 및 교육효과의 관심을 통한 기관성과 향상 등을 제시하였다.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institutions and implemen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to alleviate these conflicts and to continuously manage them.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has not been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in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students and to cla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motivation and expectation of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lecturer, enhancement of education contents,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management, educational interest and expectation of affiliated institu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spectively. In additio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education recommend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interest and support of affiliate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ffectiveness, educational effect, and educational recommen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And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such as post - management, improvement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and support of affiliated institutions, and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performance through educational achievement and education effect.

      • KCI등재

        여성 공무원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

        권혜연(Hye Yeon Kwon),권일웅(Illoong Kwon)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3

        대표관료제(representative bureaucracy)의 실현, 사회적 형평성 제고, 그리고 고급 여성인력의 노동 시장 참여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등의 논리에 힘입어 여성의 공공부문 참여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이 정부의 질(quality of government)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부문 인력구조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정부의 질을 크게 네 가지 측면 -공정성(impartiality), 투명성(transparency), 부패수준(corruption), 효율성(efficiency)- 으로 나누어 여성공무원의 비율이 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159개 국가를 대상으로 한 the Quality of Government Expert Survey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 ‘고위’ 공무원의 비율이 증가하였을 때 4가지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여성공무원의 비율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오지 않았다. 이는 단순히 여성공무원의 수를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정부의 질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없고, 고위직 여성 공무원의 비율을 증대하는 것이 효과적이 라는 것을 시사한다. 즉, 공공조직에서 유리천장 문제의 해결이 대표 관료제를 통한 형평성 확보뿐만 아니 라 정부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도 필요한 정책임을 시사한다. Female participation in the public sector is growing to improve representative bureaucracy, social equ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quantit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this trend on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on public sect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using the quality of government expert survey data on 159 countries, we estimate the effects of female civil servant ratios on impartiality, transparency, corruption, and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The analyses show that overall female civil servant ratio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but that female civil servant ratios in high-ranked job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eaking glass ceiling for females in the public sector would not only improve social equity and representative bureaucracy, but also increase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경찰공무원 정신건강 실태 및 정책 개선방안 연구

        이지영(Jiyoung Lee),임재호(Jaeho Lim),서수연(Sooyeon Suh)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3

        경찰공무원은 민원인과의 갈등, 각종 사고 및 폭력 현장에 대한 노출이 많은 직업 중 하나이다. 이로 인한 높은 직무 스트레스, 정신적 어려움과 트라우마는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치안 서비스에 방해로 작용하게 되고, 경찰 업무수행에 상당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선 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과 관 련된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한 경찰서의 경찰공무원 278명(평균 연령 45.27±9.00, 남성 88.5%)을 대상으로 양적 및 질적인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6가지 문제 영역의 실태 조사를 하고, 1:1 면담을 통해 심층적인 원인과 이후 개선방안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경찰공무원이 가장 흔히 경험하는 문제는 불면증이었다(52.5%). 이에 더해 73.4%는 본 연구에서 측정한 정신건강 영역 중 한 가지 이상 위험군에 해당하였으나 전문적인 치료 혹은 상담연계는 2.5%만 이어졌다. 이는 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 문제에 개입이 필요하지만 상당한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현행 정신건강 증진 정책을 검토하고 실질적인 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매년 시행되고 있는 경찰공무원 심리안정 사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안착되고 발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Police officers are one of the occupations that are at highest risk for occupational stress, emotional distress, and trauma. Often times, such mental health issues interfere with the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in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maintain public 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rrent mental health status of police officers utili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y. Participants consisted of 278 police officers(mean age 45.27±9.00, males 88.5%) in Seoul.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the following domains: depression, suicide, stress, sleep, PTSD, and alcohol. Subsequently,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asons why police officers do not seek treatment, and recommendations to policies to improve mental health in police officers. The results showed most of police officers experienced insomnia(52.5%). Additionally, 73.4% of the sample reported having at least one at risk symptom of mental health problems. However only 2.5% agreed to seek treatment for these problems.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intervention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police officers, considering the obstacle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substantive and efficient policies of mental health in police officer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