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 대학과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전공 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재욱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certified Korean language teachers. Thus, the curriculum may have problem in that it is not fit with the curriculums offered in foreign countries because their goals ar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fered in the foreign colleges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designing an ide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For this,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s of foreign colleges are analyzed, 20 of Japan and 29 of China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Kim(2009) which examined 17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hile the curriculums of Korea colleges focus on Korean linguistics and pedagogy in order to standardize the fundamental law for the Korean language, the curriculums of Japan focus on linguistic contrast and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curriculums of China do Korean linguistics and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This research may be helpful to Korean instructors who plan to teach in Japan and China because it provides them with trends in both countries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은 국내에서의 한국어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과는 다른 목표로 마련된 해외 한국어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과는 맞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와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ㆍ분석하여 한국어교육학과의 이상적인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토대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김재욱(2009)에서의 한국 내 17개 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일본 내 20개, 중국 내 29개의 한국어 전공 학과 교육과정을 수집하여 조사ㆍ분석하였다. 국가별로 그 특성을 비교하여 보면 한국 내의 교육과정이 국어기본법의 기준에 맞춰져 있어서 한국어학 및 한국어교육학에 초점이 놓여 있다면 일본 내에서는 언어학적인 대조 및 한국어 능력 향상에 초점을 놓고 있고, 중국 내에서의 교육과정은 한국어 능력 향상 및 한국어학에 초점을 놓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내용은 향후 일본 및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을 하려고 하는 예비 교사에게 그 경향을 알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각 국가별로 한국어학과에서 어떠한 교과목을 중요시하고 있고, 또 어떠한 교과목이 부족한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한국어교육학과의 표준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위한 몇 가지 제언

        양영희(Yang Yo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논의의 목적은, 2012 한국어 교육과정 의 의의와 한계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 대상’에 대한 문제와 교육과정 의 실효성 여부, 교육 내용을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로 구분하는 태도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반 교육과정과 독립된 한국어 교육 과정 체제를 마련하기를 제언하였고, 실생활 중심의 교수ㆍ학습 내용을 구성하자는 제언을 하였다. 2012 한국어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은 2011 교육과정 에 근거하는데. 이 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은 여러면에서 차별되므로 그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한국어 교육과정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2012 한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 [문화 교육] 등으로 나누었는데, 먼저 [학습 한국어]의 경우는 해당 교과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배워야 함을 전제로, [생활 한국어]는 그것의 어휘 선정 기준이 모호함을 이유로, 이 두 영역을 [한국어 교육]으로 통합하고, 문화 교육을 한국어 교육에 투영시키는 것이 합리적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laced on a checking off the meaning and limition of Curriculum of Korean 2012 .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matter of recepients of Korean educqtion ,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and the problem of classify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into [Korean for Daily life] and [Korean for Learning]. For a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a few suggestions were presented with the content that a system about Korean Education should be formed independantly from the common curriculum. Another suggestion was about making up practical substance in teaching and learning centered on real life The system and the content of Curriculum of Korean 2012 is based on that of Curriculum of Korean 2011 ,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everal points between two curricula. This study intended to prove that composing unique and independent course is necessary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curricula mentioned above. Now, the Curriculum of Korean 2012 was devided into the [Korean for Daily life], [Korean for Learning]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Korean for Learning ], learning should be performed with studying text-related courses. In the [Korean for Daily life], the standard on which its vocabularies are selected is not clear. Therefore, these two categories should be integrated into . It is also reasonable to reflect [Culture Education] into . This study focused on proving the validity of suggestions mentioned above.

      • KCI등재

        베트남 중등 외국어교육 정책과 한국어교육과정 분석

        김지혜,김호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been established within the macro - framework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plans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econd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Vietnam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direction, goals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of the ‘2020 foreign language education strategy’ and ‘2025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mulg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Vietnam and the desig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review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m,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Vietnam has been adapted to the flow of Vietnamese secondary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has been designed and operated as optional subjects.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it is operated as an open curriculum in order to reflect the turbulent trend of modern society.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is curriculum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reflect th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while aiming at the formation of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of Vietnamese students. However, nowadays, it is difficult to show enough value due to the lack of teacher training and support system for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and develop Vietnames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s a foreign language subject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본 연구는 현재 베트남의 중등 외국어교육 정책에 해당하는 ‘2020 외국어교육전략’과 ‘2025 외국어교육전락’ 내용을분석하여 그 거시적인 틀 안에서 한국어교육과정이 자리매김하고 있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향후 베트남 중등한국어교육과정에 해결해 나가야 하는 지점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베트남에서 보다 내실 있는한국어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베트남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베트남과 한국 사이의 관계가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점차 긴밀해지고 있는 오늘날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의 중등 외국어교육정책과 한국어교육과정에 대한 국가 결정문 및 시행 지침서, 그리고 한국어교육 실행 방식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고자하였다. 그 결과, 현재 베트남의 한국어교육과정은 국가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베트남의 중등 외국어교육정책의 흐름에 맞춰 설계 및 운영되고 있으며, 현대 사회의 격동적인 흐름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방형 교과로서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트남의 중등 한국어교육과정이 베트남의 외국어 교과로서 안정화되고발전을 거듭해 나가기 위한 과제와 한국어 종주국으로서 지원할 내용을 선택 교과로 운영되는 상황, 개방형 교육과정으로설계된 상황, 내용 체계의 충실화가 필요한 네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베트남 중등한국어교육과정의 학습자들이 체계적이고 시의적절한 학습 경험을 통해 한국어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도움이 될것이다.

      • KCI등재

        몽골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Sainbilegt¸ D.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2 No.-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유형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 중 제일 발전 지향적인 것은 대학교이므로 본고에서 대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학교 교육과정에 있어 목표 설정이 중요하다. 현 4년제 대학교 학생의 1~4학년별 언어 습득 능력과 그 도달 목표를 각 언어 별로 정하였는데 한국학과의 경우 대학교 한국어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에 있어서 한국어 능력 시험의 중급(3-4급)에 해당하는 언어 능력을 습득하도록 교육한다는 목표를 규정해 놓았다. 이것은 성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해서 4년동안 비한국어권 환경에서 도달해야 하는 표준 숙달도 단계를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 설정에 있어서 등급 기준 보다 전체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을 분명히 하고 거기에 따른 교육과정 교수요목 설계와 위계화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10개 대학교 교육과정 내용을 소개하면서 대부분 대학교가 한국어 기능 교육과 지식 교육에다 한국학 과목들을 교육하고 있음을 표로 제시했다. 앞으로 이러한 교육과정 내용이 크게 바뀌지는 않더라도 부분적인 변화들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 각 학교와 학과 특색을 살리면서 전공 과목들간의 연계성과 위계화를 고려한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의 체계화도 필요하며 이에 관한 연구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각 과목 내용의 위계화와 그 기준 설정이 절실하다. 따라서 현재는 각 학교한국어 교과과목 이름만 알 수 있을 정도이며 교육현장의 문제점들이 전혀 공개되지 않고 있다. 앞으로 교육 현장 중심의 연구가 더 활성화될 것을 기대해 본다. 교육과정의 방법에 있어 교재 문제를 다루었는데, 교재 개발도 중요하지만 개발과 동시에 교재 평가와 활용도 문제도 같이 거론되어야 함을 언급했다.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 Mongoliais generally divided into 3 types an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universities/colleges is considered as the most developed, so that kind of curriculum is mainly studied hereby. First of all, as we consider of main purpos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university/colleges, the standard documents for training provides that"…upon the graduation from the 4-year studies, a Korean language department student shall obtain ability and knowledge of the level-3-4, which is the medium level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TOPIK)". This level is based on the example of a student, who starts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beginner’s level and continues the training for 4 years in non-Korean spoken circumstances. Even though such leveling matter is appreciable, at the same time, there are still necessities to make more detailed review on main purpose of the curriculum as well as to put them into proper order.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ontents in 10 of universities/ colleges for Korean language, the language teaching mainly consist of subjects, giving 4 of language skills and language knowledge and Korean studies. Although such condition is unlikely to be differed, we highlight the needs of processing the curriculum that accurately considers the followings- features of each school or faculty, interconnection of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proper orders; and activate such kind of research works in the future. Today, because the curriculum contents of the most universities/colleges are not open and which was the problem, is indefinite, furthermore there are needs of making more researches based on class trainings. As of the method of curriculum, the question on training materials is mentioned. Those include, apart from development of materials, proposals of assessment and widely using of materials in training.

      • KCI등재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기반한 해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준호,안정호,이인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 general education electives(GEE) at overseas universitie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GEE Korean curricula of overseas universities and examines the content structure system of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announced in 2020, the principles and structure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nd the technical direc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The analysis of GEE Korean courses opened at overseas universities was conducted by region, and we focus on the number of classes per week and how the semester is conducted. The regions reviewed are Northeast Asia, Southeast Asia, Southwest Asia, North America, and Central and South America. Based on this, this study design a two-year course from 1st year to 2nd year, that is, by grade, 1st year is divided into 1st stage and 2nd year is 2nd stage.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of the GE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overseas universities are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are described, and a proposal for the composition of the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overseas universities is proposed. In addi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curriculum were developed, which included sett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general goals and focusing on topics, functions, contexts, skills and strategies, language knowledge,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This is the first stage of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GEE Korean for foreign universities and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or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continued. 본 연구는 해외 대학의 교양 과목으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2020년 고시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체계를 고찰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와 구성 방안,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내용의 기술 방향을 제안하였다. 해외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교양 한국어 과정의 분석은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 북미, 중남미 등 지역별로 시행하였으며, 주당 수업 시수 및 학기 운영 방법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하여 1학년부터 2학년까지 총 2년의 과정으로, 학년별로 1학년을 1단계, 2학년을 2단계로 구분하였고 각 128시간, 총 256시간의 한국어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해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 원리를 제시하고, 성격과 목표를 기술하였으며, 해외 대학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내용 또한 개발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성취기준 및 총괄목표를 설정하고 주제, 기능, 맥락, 기술 및 전략, 언어지식,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등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것은 해외 대학 교양 한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첫 단계 연구에 해당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연구의 후속으로 교재 및 교육 자료 개발 등의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학교 현장 정착을 위한 제언

        문윤주(Mun Yun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2013년에 고시된 한국어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2017년에 개정 한국어교육과정이 수정 고시되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과정은 아직까지 일선 학교 현장에서 안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가장 본질에 해당하는 수업의 두 축인 교사와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7년 교육과정이 이전의 교육과정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이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학습자와 교사측면에서 예상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 측면에서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숙달도에 맞춘 개별화된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학교 현장에서 이것을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유동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넘어선 네트워크의 필요함을 말하였다. 둘째, 교사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어 전문 교사가 필요하며 현재 교원양성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교대와 사대에서 한국어 교육과를 신설해야 하며 현직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말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는 KSL 강사와 이중 언어 강사의 처우도 개선되어야 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중요함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성상 전체 교사의 참여와 학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 또 다가올 다문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세계시민의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와 활발한 논의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되 기를 기대한다. Mun Yunju. 2018. The suggestion that How can KSL take root in the Class. - Focus on KSL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lass. The J 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8. 17-34. The new KSL was notified on September 2017. It has reflected a lot of improvement compare to ver. 2013. But KSL still was not took root in the class.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some problem about KSL and suggest some solution for teaching Korean Class. It will be proceeded by two way (student and teacher). In terms of students (in KSL class), They need a personalized curriculum. But they can’t be supported by school system. This problem will be solved by floating curriculum. And it needs a regional network over the school. In terms of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teaching ability for the KSL is very unsufficient. They need a effective training program. And they must have ‘multicultural teacher competence’ based on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교재 개발 연구

        고경민(Ko, Kyoung-mi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난민’(난민신청자)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과정과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난민신청자’는 난민의 지위를 받기 이전에 제한된 기간 동안 한국어와 한국사회 전반을 정해진 기관에서 배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그동안 결혼이주여성이나 학문목적 학습자에 대한 연구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지만 아직까지 난민신청자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난민신청자들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가장 먼저 마련되어야 할 한국어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난민(난민신청자)을 위한 한국어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연구에 앞서 본고에서는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원리와 목표, 교육과정의 설계 과정, 교수 요목 설계, 교재 개발 과정 등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할 기초적 논의를 다루고자 한다. 특히 교육과정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인 ‘상황분석’, ‘요구분석’, ‘목적과 목표의 구체화’, ‘교수요목의 설계’, ‘교과서와 교수자료의 선정’, ‘교육과정 평가’ 항목을 교육 대상을 참작하여 제시하였고, 현실적인 교육 과정 설계를 위해 현재 난민신청자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과 교사의 인터뷰 내용을 반영하였다. 논의순서는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의 기초적 논의라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문제제기, 현재까지 이루어진 난민 대상의 교육 내용과 연구 현황, 난민대상 교육과정 설계 및 교재 설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난민 대상의 교육과정 설계와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aimed at a fundamental discussion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refugees'(refugee applicants), who have not received the benefi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far. 'Refugee applicants' refer to those, who learn Korean language and general aspects of Korean society in an appointed organization for a limited period before getting a refugee status. Thus far, the studies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have achieved remarkable results, but still,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refugee applicants and especially, there is an absence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most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refugee applicants. Prior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refugees(refugee applicants), in this study, a fundamental discussion on curriculum design principle and purpose, curriculum design process, syllabus design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for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was conducted. In particular, 'situation analysis', 'needs analysis', 'materialization of purpose and goal', 'syllabus design', 'selection of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and 'curriculum evaluation' were suggested as considerations in curriculum design and for practical curriculum design, an interview with institutions and teachers, who educate refugee applicants, was carried ou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an active study on curriculum design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refugees.

      • KCI등재

        태국인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씨나카린위롯대학교 한국어 전공 졸업생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

        도은정 한국태국학회 2022 한국태국학회논총 Vol.29 No.1

        본 연구는 태국 내 대학교 한국어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과 관련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졸업생들의 보다 실질적이고 유의미한 요구 사항을 반영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1장에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 및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다루었으며, 2장에서는 태국 내 한국어 교육 현황과 태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을 통해 태국 내 한국어 교육의 내용 및 실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전공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 기존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4장의 요구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 구성 및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향후 태국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비즈니스, 산업 한국어와 같은 직업목적의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교양 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최주희(Choi, Juhee)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0 교양학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교양 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실제를 고찰함으로써 교양 한국어의 위상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양 교육의 개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교양 교육의 목적은 인간을 자율적이고 창의적이 비판적인 인재로 양성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대학 교양 교육 과정은 공통점을 갖는다. 대학에서의 교양 교육의 목적으로 교양 한국어교육 과정의 교과목을 보았을 때, 개설된 한국어 교과목이 교양 교육의 목적을 이루는 데 기여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대학의 교양 교육 과정의 교과목 명칭을 고찰해 보았다. 일반 의사소통 목적의 한국어교육 과정이 여전히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교양 교육의 관점에서 교양으로서의 한국어교육 과정 내용이 교양인으로서의 인재 배양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를 의심하게 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으로 인해 여러 대학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교양 교육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양 교육 과정에서 한국어교육을 학문 목적의 성격으로 규정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한 한국어 교양 교육 과정에 주목하였다. 대학의 교양 교육의 목적을 한국어교육 속에서 녹여낸 교양으로서의 한국어교육 과정의 교과목을 고찰하고 한국어교육의 나아가는 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atus and direction of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re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ours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cept of liberal arts education was investigated.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that humans must be nurtured as autonomous, creative and critical talents. When looking at the subjects of the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established Korean language subjects were difficult to contribute to achieving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 names of the university s liberal arts curriculum were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general communication purposes still occupied a considerable amount.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questioned whether the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liberal arts focuses on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s liberal arts people. However, some schools accep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as a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s liberal arts people when the purpose is clarified.

      • KCI등재

        헝가리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엘터대학교(ELTE) 한국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정한 ( Han,Jeongha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6 No.-

        본고의 목적은 헝가리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자세히 소개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해 보는 것이다. 현재 헝가리 한국학 연구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곳은 국립 엘테대학교(ELTE; EÖTVÖS LORÁND UNIVERSITY)이다. 따라서 본고의 주요 연구대상도 엘테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학부의 한국학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엘테대학교 한국학과의 역사와 학위과정(학사, 석사, 박사), 그리고 교육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 밖에 비학위과정으로 현재 헝가리에는 세종학당, 한인학교, 그리고 사설교육기관들이 한국어교육 관련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본고는 이들 비학위과정에서 운영하는 한국어교육 현황과 문제점도 아울러 검토할 예정이다. 헝가리 한국어교육을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으로 나누어서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엘테대학교 한국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학사, 석사, 박사학위 과정을 막론하고 한국어나 한국문학 교육보다는 동아시아 전반에 대한 교과목과 한국 역사, 문화, 미술사, 철학사, 종교 등의 주변적인 교육과정에 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교육과정에서 한국학과 재학생들은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독학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고, 의지가 약한 학생들은 한국학과를 졸업하고도 한국어를 구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없다. 이러한 교과목의 부적절성 이외에도 시수와 학점의 문제, 한국학 및 한국어교육을 담당할 전문가 부족, 적절한 교재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둘째, 비학위과정의 경우, 세종학당 교재는 세종한국어를 사용하는데 1-4급은 주 1회 90분 15주에 교재의 진도를 모두 끝내고 있고, 5-8급은 2학기 코스로 운영하고 있어서 비교적 진도가 빠른 편이다. 이렇게 짧은 학습 시간에 학습량이 많을 경우 문제점은 충분한 연습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학습자의 이해와 습득의 격차가 커져서 오히려 학습자에게 부담이 될 우려가 있다. 셋째, 한국 기업에서 파견 나온 주재원 자녀를 제외한 국제결혼과 이민자로 구성된 헝가리 교민 자녀의 경우는 대부분 헝가리에서 태어나 헝가리의 교과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그런데 한인학교에서는 주재원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만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헝가리 교민 자녀들이 주말인 토요일에 시간을 내어 하나밖에 없는 한인학교에 와도 어절 수 없이 국어교육을 수강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런 학생들의 경우는 헝가리 교육제도에서도 한인학교 교육제도에서도 외면당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in detail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ungary and suggest future improvements. Currently, it is the National University of ELTE(EÖTVTES LORÁND) that plays the central role in the study of Korean studies in Hungary. Therefore, this paper also focus on Korean studies at ELTE University. Specifically, we aim at studying the history and degree of Korean studies at ELTE (undergraduate’s, master's, doctoral degree), and the curricula of each degree. To add, other non-graduate programs include Sejong Institute, Korean-American School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Divided into degree and non-degree courses, here are some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Hungary. First, the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t ELTE University educates the Korean history, culture, art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nd other peripheral courses are more important than Korean language 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s a result, in this curricula, weak students are not only unable to speak Korean after graduating from Korean studies, but also sometimes give up their studies halfway through. Second, with such a large amount of learning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difficult for sufficient practice to take place, which may increase the gap between learner's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which in turn be a burden to learners. Third, Korean schools in the region offer on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expatriates. Therefore, children of Korean residents in Hungary need to take time to attend the only Korean language school on Saturday. Such students are shunned both by the Hungarian education system and the Korean-American schoo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