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국인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씨나카린위롯대학교 한국어 전공 졸업생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

        도은정 한국태국학회 2022 한국태국학회논총 Vol.29 No.1

        본 연구는 태국 내 대학교 한국어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과 관련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졸업생들의 보다 실질적이고 유의미한 요구 사항을 반영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1장에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 및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다루었으며, 2장에서는 태국 내 한국어 교육 현황과 태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을 통해 태국 내 한국어 교육의 내용 및 실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전공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 기존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4장의 요구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 구성 및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향후 태국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비즈니스, 산업 한국어와 같은 직업목적의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태국 학습자 대상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개발 연구 : 태국 부라파 대학의 <산업 한국어>를 중심으로

        고종환 ( Ko Jong-hwan ),우라이완 ( Uraiwan Jitpenthom Kim ),백민혜 ( Baek Min-hye ) 한국태국학회 2022 한국태국학회논총 Vol.28 No.2

        태국의 대학에서 왜 <산업 한국어> 강의는 제대로 운영되기 어려운가? 부라파 대학교에서는 한국어학과 4학년 학생들을 위한 <산업 한국어> 강의를 개설해서 운영하고 있는데 문제는 적절한 교재가 부재한 상황이었다. 태국은 물론 한국에도 이 강의에 적합한 교재가 전무한 상황이므로 오래전부터 차선책으로 시사 한국어 교재와 산업인력공단에서 만든 공장 어휘용 교재를 사용했다. 이에 학생들을 중심으로 <산업 한국어> 강의에 필요한 한국어 교재의 필요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가 많은 상황이다. 교재개발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본 연구자들은 4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설문분석을 실시했다. 특히 4학년은 물론이고 한 학기 후에 이 강의를 수강할 3학년 2학기 학생들을 대상으로도 역시 동일한 설문 요구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답변인 설문 분석 결과를 서술하기 전에 먼저 <산업 한국어> 강의가 왜 중요하고, 강의에 적합한 전문 교재가 왜 필요한지 그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어서 한국과 태국의 간략한 산업 현황과 한국어교육과 한국학의 상황에 관한 서술을 했고, 다음으로는 교재개발의 이론적 배경으로 교수 요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산업 한국어> 교재개발을 위한 기본 원리와 함께 <산업 한국어> 강의의 교육 현황과 교재에 관한 서술을 간략히 언급했다. 다음으로는 <산업 한국어> 교재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을 당시 수행했던 몇 가지 설문조사표를 바탕으로 서술했고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을 함께 언급했다. 마지막으로는 <산업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내적 구성, 외적 구성과 함께 실제에 관한 서술로, 학습자들이 대부분 원했던 다양한 한국 산업의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모든 강의에는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교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과 함께 한국과 태국의 산업 교류가 증진되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산업 한국어> 강의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강의들처럼 <산업 한국어> 강의를 위한 전문교재가 반드시 필요하고, 특히 태국인 학습자들의 요구 또한 매우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산업 한국어> 강의에 적합한 한국어 교재가 개발된다면 향후 부라파 대학은 물론이고 태국의 다른 대학들 역시 이 강의를 운영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후속물로 추후 <산업 한국어> 교재개발의 실제적인 8단계 구성을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산업 한국어>교재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xtbook for < Korean for Industry >, an elective major subject for 4th graders at Burapha University in Thailand. This lecture is a lecture that does not have effective and appropriate professional textbooks despite being opened at many universities in Thailand as well as Burapha University. However, < Korean for Industry > is a subject whose importance is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increasing industrial scale of Korea and Thailand, and due to this importance, most universities include it in the curriculum. However, the < Korean for Industry > subject has a serious problem, and both Korea and Thailand do not have appropriate professional textbooks for this le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as a preliminary survey to develop textbooks with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mind for the subject of Industrial Korea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th graders who directly took the < Korean for Industry > lecture and 3rd graders who will take the lecture next semes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earner needs through the survey, as expected, learners also showed strong complaints about the reality that there were no effective and appropriate textbooks. Based on this, we will develop a textbook for "Industrial Korean", and the new textbook will be a textbook that actively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Based on this, we will develop a textbook for "Industrial Korean", and the new textbook will be a textbook that actively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In this study, the textbook was composed of 15 units, which are the desired amount of a semester, and practical examples (tentative name, past and present of the Korean medical Industry) were presented through the eight-step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eight-step compos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ppropriate textbooks for the future < Korean for Industry > subject will help the opening and operation of lectures not only at Burapha University but also at other Thai universities.

      • KCI등재

        한국과 태국의 경영학전공 대학생들의 세계화에 대한 태도: 비교문화적 검토

        웃티찻쑨턴마이 ( Vuttichat Soonthonsmai ),전종근 ( Jong-kun Jun ) 한국태국학회 2008 한국태국학회논총 Vol.15 No.1

        지난 수십년 동안 급격한 속도로 진행된 세계화는 각 국가의 경제발전과 문화적 정체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의 경영학 전공 학생들이 국제화에 대해 가진 태도를 조사하고 이를 태국 학생과 한국 학생간에 비교함으로써 그 영향요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경제발전, 문화적 개방성, 그리고 지역적 저항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세계화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다. 척도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모집된 표본수는 한국 144개, 태국 200개 등 총 344개였다. 실증 연구 결과 태국 학생과 한국 학생들 간에는 문화적 개방성과 지역적 저항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나타났으며 한국학생들이 세계화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세계화로 인한 경제발전에 대한 평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의 나이와 성별은 세계화에 대한 태도에 아무런 차이를 유발하지 않았으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세계화가 경제발전에 미친 영향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학생과 태국 학생간에 세계화에 대한 태도 차이의 원인은 본 연구에서 자세하게 밝히지 못하였으나, 양국가간 경제력의 차이, 특히 한국이 무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들 수 있고, 그 밖에 인터넷 사용량 등 정보의 차이, 종교를 포함한 전통 문화의 차이 등에서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세계화에 대한 태도 차이를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교육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학자들의 태국정치 연구에 대한 분석 :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서경교(KyoungKyo Seo) 한국태국학회 2009 한국태국학회논총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how academic articles on Thai politics by Korean scholars have been changed in their themes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research, six main academic journals are analyzed as follows: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Thai Studies, the Southeast Asian Review, Southeast Asia Journal, and East Asian Studies. For 20 years from 1988 to 2008, sixty two articles on Thai politics were published from those journals. During the p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academic articles has increased from 7 (1980s) to 22 (1990s) and 33 (2000s). Major research themes of those articles during last twenty years are political parties and elections (13 articles), political change and democratization (9 articles), the military (8 articles), foreign polic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6 articles), the king (6 articles), bureaucracy and political elite (5 articles), civil society and women (5 articles), political institution and local autonomy (3 articles), ethnic and religions conflicts (3 articles), political culture (2 articles), and others (2 articles). The analysis result of those sixty two articl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rovement of quality as well as the increase in numbers of articles are outstanding.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Thai Studies is too high in terms of numbers in article publications. Fifty three percent of articles on Thai politics have been published in that journal. Third, major research themes have been changed during last two decades from the military, the king, bureaucracy and political elites before democratic transition to political change, democratization, political party and elections aftefteft transition. Fourth, academic output of j oior and leading n, politisince 1990s has been worthird, close attention. Finally, research sources and method as well as field research have been continuooflirimproved during eft last two decades. Nevertheless, ther befostill room for further improvement: high dependency on library resources and on traditional research method. The ratio of research in the field is still very low.

      • KCI등재

        한국과 태국의 언어문화와 그 배경에 대한 일고찰

        정환승 한국태국학회 2013 한국태국학회논총 Vol.20 No.1

        Korea and Thailand are located in the same Asia and have a lot in common and considerable differences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language cultures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Thai language and analyze their backgrounds. In the clothing culture, in Korea, the name of the hat differs depending on the social status and the use, and due to the cold weather, people wear many pieces of clothing so the words expressing this have developed. In Thailand, however, due to the hot weather, there are many kinds of cloths that people wear on their head and body, so the words expressing this have developed. In food culture, in Korea, food centering on rice and kimchi has developed, so the words expressing this abound, but in Thailand, the food culture based on fish and stew has developed, so the words expressing this have diversely developed. In the housing culture, In Korea, there are many kinds of houses according to methods and forms of building houses, and the words related to this have developed, whereas in Thailand, the names of the houses differ depending on the occupants’ social position and status. The titles for relatives have developed more diversely in Korea than in Thailand, and particularly the names of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were far more than the names of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In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very few words expressing social positions, whereas in the Thai language, many such words are still being used. It appears that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ulture between Korea and Thailand are strongly influenced by climatic and geographical elements. The differences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old weather in Korea and to the hot weather in Thailand, and the differences can be found in the backgrounds that Korea is based on the Confucian culture, whereas Thailand is based on the Buddhist culture.

      • KCI등재

        태국어 신체어휘 /naa/와 /lang/의 문법화와 교육에서의 시사점

        박경은 한국태국학회 2017 한국태국학회논총 Vol.23 No.2

        It has not been too long since scholars in Thai began in earnest investigating the linguistic phenomena, “grammaticalization,” despite the fact that various aspects of grammaticalization had been previously discovered in the Thai language. Studying the aspects of meaning extension and grammaticalization of body part terms, particularly among the basic vocabulary that shows the forms of broad grammaticalization, may provide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ing the cognitive system of Thai speakers.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aspects of broad grammaticalization and the cognitive mechanism that brings about such grammaticalization of two frequently used Thai body part terms, /naa/ (‘face’) and /lang/ (‘back’), with regard to their meaning extension from their prototypical meaning from spatial meaning to temporal meaning and their functional changes from nouns to prepositions. Furthermore, based on survey results collected from sixty non-Thai major students, this research present a proposal and suggests how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can contribute in educating students who learn Thai as a foreign language. 다기능 다의어가 발달한 태국어에서 다양한 양상의 문법화가 포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국에서 문법화라는 언어 현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역사는 오래지 않다. 특히 광범위한 문법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기본 어휘들 중 신체어휘의 의미 확장 양상과 문법화를 연구하는 것은 태국어 화자의 인지 체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언어적 단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태국어 신체 어휘 중 높은 빈도를 보이는 두 어휘, /naa/(‘face’)와 /lang/(‘back’)이 원형의미에서 공간적 의미로 확대되고, 이를 넘어 전치사와 시간적 의미로 그 의미와 기능이 변화하는 광범위한 문법화의 양상과 그 문법화를 일으키는 인지적 기제(cognitive mechanism)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 태국어를 교육함에 있어, 이러한 문법화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한 제언으로서, 연구자가 실시한 태국어전공자가 아닌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예시하고, 인지언어학적 설명이 어떻게 외국어로서의 태국어 교육에 공헌할 수 있는지를 제안한다.

      • KCI등재

        소수종족의 전유공간과 지역화된 종족의례, 그리고 종족 정체성 : 태국 치앙마이 카친족 사례 연구

        한유석 ( Han Yuseok ) 한국태국학회 2018 한국태국학회논총 Vol.25 No.1

        태국 치앙마이로 이주한 카친족 이주민들은 자신들의 전유공간인 WCC(Wunpawng Christian Church)와 반마이싸막키(Ban-Mai-Samakkhi)에서 자신들의 종족 의례인 마나오(Manao) 의례와 낀카우마이(Kin-Khaw-Mai)를 연행한다. 의례 연행 과정에서 태국영토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존 의례의 틀에 태국적인 여러 요소가 가미되어 본래의 의례가 지역화(태국화)되어 변형된다. 이 지역화 양상으로는 태국어의 개입, 태국 국왕에 대한 찬미, 그리고 그 밖의 요소들(태국 군대, 참여객, 관람객, 음식 등)이 있다. 한편 카친족 의례는 여전히 이들의 동질성과 ‘우리 의식’을 고취시키며 자신들의 종족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주요한 기제이다. 의례 참가자들은 동일한 몸짓과 외침에 의해 발전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면서, 그리고 자신들 고유의 음식을 함께 만들고 나누면서 자신들이 카친족임을 기억하고 공유한다. 이들은 태국 내 지위와 신분에 관계없이 먼 타국, 특히 WCC와 반마이싸막키와 같은 카친족만의 전유공간에서 자신들의 의례 연행을 통해 공동체성을 확인하고, 자신들이 서브그룹에 관계없이 하나의 카친족이라는 종족 정체성을 되새기고 강화한다. 더불어 의례 연행 과정에서 같은 종족에 속한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종족 구성원 간 통합이 강조된다. The Kachin migrants who migrated to Chiang Mai in Thailand perform their rituals such as Manao rituals and Kin-Khaw-Mai in Wunpawng Christian Church (WCC) and Ban-Mai-Samakkhi, which are their spaces. Since they dwell in the Thai territory, during the ritual performance, the original forms of rituals are transformed into the localized forms by adding various Thai elements reflect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se localized patterns include using the Thai language mingled with Jinghpaw, praising for the Thai King and involving other factors such as Thai army, participants, audiences, and food and so forth. Kachin rituals are the most effective and major mechanism for promoting their homogeneity and ‘Weness’ and consolidating their ethnic identity. By attending the rituals, participants remember themselves as belonging to the Kachin ethnic group and share the same songs, dancing, and their food together. They identify their common sense through their rituals and recognize and strengthen their ethnic identity regardless of their status and class in their community, especially in the WCC and Ban-Mai-Samakkhi. Besides, the integration among members as the same ethnic group is emphasized by the rituals and during the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와 태국어의 죽음 표현 비교연구

        정환승 한국태국학회 2012 한국태국학회논총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pressions related to death in Korean and Thai. Both Korea and Thailand are located in the same Asian region and have cultural similarity to a certain extent based on Buddhism but have big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history, geographical background, and language.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also appear in the expressions related to death. Korea adopted Chinese words and accepted Buddhism and Confucianism very early, so the expressions of death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al position and class of the deceased. In terms of language, formal styles are expressed in Chinese loan words and informal styles are expressed in native Korean. In terms of religion, the diverse expressions appear in connection with Buddhism, Confucianism, and religions. In the case of the Thai language, the expressions of death are diverse in royal families and the Buddhist monk class, and formal styles are expressed mainly in Pali or Sanskrit, and informal styles are expressed in native Thai. In Thailand, which has hardly been influenced by Confucianism, the expressions of death are diverse based mostly on Buddhist thoughts and religions. It is very meaningful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pressions related to death in both countries. It is because, not only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of those languages can be understood, but also basic data for language education which will help students to use the expressions of death suitable and appropriate to the circumstances and the context can be provided through diverse expressions related to death in both languages.

      • KCI등재

        24 ฤดูกาลย่อยของเกาหลี

        최창성 ( Choi Chang Sung ) 한국태국학회 2006 한국태국학회논총 Vol.13 No.-

        인류의 문화와 풍습은 인종과 민족에 따라서 각각 다를 수도 있고, 그 민족이 거주하고 생활하고 있는 지리적 상태와 기후 조건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민족 고유의 문화와 풍습은 독자성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를 짓기 위해 씨를 뿌리고,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에 따른 달력을 절기(節氣)로 만들어 내었다. 예전에는 달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절기를 만들었기 때문에 해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되는 계절의 변화와 잘 맞지 않았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해의 움직임을 표시해주는 24 절기를 만들어 같이 시용하였다. 하늘에서 해가 1년 동안 움직이는 길, 즉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해의 위치가 하루에 1도씩 이동하여 생기는 길을 황도 (the Ecliptic)라 부른다. 이 황도가 0도일 때는 해가 춘분점(春分點 : 해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에 있을 때인데 이때를 ‘춘분’, 15도 움직인 때를 ‘청명’,계속해서 15도 이동하면 ‘곡우’가 된다 다만 이 24 절기가 계절의 특성을 말해 주는 것은 사실이 지만 원래 중국 주(周)나라(1027-771 B.C.)의 화북지방의 기후에 맞춰진 것이어서 우리나라와는 잘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더구나 옛날과 비교해 기후와 생태계가 많이 달라진 상태여서 현재는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 조상들이 이에 맞추어 살아왔기에 그 뜻과 함께 우리의 농경사회 문화와 풍습을 외국어로 번역하여 소개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여 태국어로 옮겨 보았다. 특히 태국은 아열대에 속하는, 고온다습하고 연중 기후의 변화가 그다지 심하지 않은 나라이므로 태국인들이 우리 나라에 와서 24절기를 접하면 매우 흥미롭게 생각하며 한국인은 삶의 지혜가 뛰어난 국민이라고 감탄해 마지 않는다. 이 글의 끝 부분에는 우리나라의 명절과 풍습인 설날,추석, 한식,단오,삼복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