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제어를 통해서 본 방정환의 소년소설 인식

        김현숙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6

        Bang Jung-hwan instructed what is a boy novel and what is not a boy novel through a headline in a real-life story for boys. Today we all understand Bang Jung-hwan’s juvenile reality narrative as a boy novel. However, only the narratives with the title words that gave Bang Jung-hwan the name of the novel were juvenile novels. The narratives with the title without the name of the novel were divided into those outside the boy novel. Bang Jung-hwan, who lives in colonial reality, gave the title “boy novel” to a narrative that presents the direction of life to a boy of the time with stories of boys who have broken through in an unsolicited situation. Meanwhile, the title “Novel” was not given to the narration, which contains the boy’s situation at the time, to embrace and comfort their lives. Bang Jung-hwan’s juvenile reality narrative had a double writing strategy. The two later became the basis for Korean boy novels. 본고는 방정환의 소년용 현실 서사에 부착된 표제어를 통해 소년소설에 대한 방정환의 인식 일단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정환은 『어린이』에 소년용 현실 서사를 발표하는 내내 다양한 표제어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방정환이 구사한 표제어를 분류해 보았다. 방정환이 구사한 표제어는 소설이라는 명칭이 들어간 표제어(소년소설, 탐정소설, 학생소설, 사진소설, 사진소년소설)와, 소설 명칭이 들어가지 않은 표제어(소녀소품, 이야기, 소년애화, 소년미담)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분류가 가능하려면 소설 개념이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방정환은 소년소설 이전에 소설가로 활동했기에 이미 소설 개념을 장착하고 있었고, 이에 따라 위와 같은 표제어 사용이 가능했다고 보았다. 두 표제어 계열의 소년용 서사들을 검토함으로써 각 표제어 계열 서사의 공통점을 찾아보았다. 소설 표제어 서사들은, 소망스럽지 않은 현실과 고투하여 자기 처지에 변화를 이룬 능동적인 소년을 다루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반면 소설 명칭이 없는 표제어 작품들은, 안타까운 처지 돌파에 나서지 못하고 무력하게 있었던 현실 소년을 다루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표제어가 두 부류로 나뉠 뿐 아니라, 두 표제어 계열 서사들이 각기 다른 공통점을 갖기에, 표제어는 소설과 소설 바깥의 서사를 구분하는 식별표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방정환의 성인 대상 서사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소년용 서사에서의 표제어의 구사 원칙이 성인 대상 서사에서 이미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뿐 아니라 성인용 서사에서 00소설 표제어가 부착된 작품은 자기 앞의 현실과 고투하는 개인들을 다루었고, 00화라는 표제어가 부착된 서사는 세계의 질서에 무력하게 희생되는 개인을 그리고 있었다. 이로써 소설은 현실과 고투하는 개인의 서사라는 방정환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설 개념을 바탕으로 방정환은 표제어를 통해 해당 서사의 소설 여부를 밝혔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시편 표제어 유무(有無)에 대한 정경적 해석의 가능성

        방정열(Jeung Yeoul Bang)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6 No.-

        본 논문은 시편의 표제어와 관련된 제 문제들-표제어의 권위, 영감성, 진정성 문제, 표제어의 정경적 해석의 가능성, 사본 및 역본들과의 차이, 고대근동의 시작 관습, 표제어의 음악적·제의적 표현들에 대한 이해문제 등-가운데서 표제어의 유무(有無)가 정경적 차원에서 해석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 여부를 타진한다. 즉, 표제어의 존재뿐만 아니라 부재도 해석학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주장의 논문이다. 이를 위해 시편 전체의 표제어 빈도와 분포를 살핀 후, 각 시편의 표제어가 해당 시편에 대한 해석학적 단초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해당 시편을 넘어서 각 권 혹은 시편 전체에 대한 해석학적 문맥을 제공하고 있음을 고찰한다. 특별히 본 논문은 시편 1–2편과 146–150편의 ‘표제어 부재(不在)’가 시편 전체의 서론과 결론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시편 1–2편과 146–150편이 ‘언어와 주제 차원’에서 각각 서론과 결론 기능을 수행한다는 기존 학계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또한 표제어의 존재, 특별히 각 권의 시작과 끝에 배치된 표제어의 인물 이름들-시편 72편(솔로몬), 73편(아삽), 89편(에단), 90편 (모세)-이 해당 시편의 해석을 위한 단초 역할을 넘어서서 속해 있는 각 권에 대한 해석학적 문맥을 제공한다는 표제어의 정경적 기능을 입증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e possibility of the hermeneutical function of the Psalm superscriptions among varied issues: authority of superscriptions, their inspiration and authenticity, the possibility of their canonical interpretation, their difference from various manuscripts and versions, the poetic practice of the ancient Near East, the musical and ritual function and their interpretation, etc. To this end,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the superscriptions in the whole Psalter and then substantiates that the superscriptions do not only play a hermeneutical role for their own psalms but also provide a hermeneutical context either for each book or for the whole Psalter. By arguing, especially, that the absence of superscriptions in Psalms 1–2 and Psalms 146–150 serves as an indication of an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o the whole Psalter respectively, the paper backs up the existing argument that Psalms 1–2 and Psalms 146–150 play a hermeneutical role, in linguistic and thematic aspects, as an introduction and a conclusion. Also, the paper demonstrates that the superscriptions of Psalm 72 (Solomon), Psalm 73 (Asaph), Psalm 89 (Ethan), and Psalm 90 (Moses), which seem to be strategically plac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each book, provides the canonical, hermeneutical context for their own book far beyond their own psalm.

      • KCI등재

        The Number of Entry Words and Examples in Korean Dictionaries

        ( Mi-kyung Bo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0 언어사실과 관점 Vol.49 No.-

        본 연구는 한국어 대사전 표제어와 용례의 계량적 분석에 기반하여 대규모 표제어를 수록한 한국어 사전의 표제어의 실태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에서 편찬 중인 연세현대한국어사전과 다른 한국어 대사전의 표제어 규모와 구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한국어 대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1999), 고려대한국어사전(2011)은 각각 50만 표제어, 40만 표제어를 수록하고 있으나 그중 현대 표준 일반어는 20만 정도이며, 그 외 표제어들은 전문어, 북한어, 방언, 옛말, 비표준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두 대사전에서 용례를 제시한 표제어는 약 11만~12만 표제어로, 이는 연세현대한국어사전(미발간, 2014기준)에 수록된 표제어 중 용례를 제시한 표제어 규모와 유사한 수준이다. 용례를 제시한 뜻풀이 개수 역시 세 사전의 비슷한 규모를 보인다. 따라서 표제어 규모가 큰 사전들에서 용법이 확인되는 한국어 표제어 수는 12만 표제어라 할 수 있다. 말뭉치 분석에 기반한 용법 중심 사전을 지향하느냐 어휘 목록 사전을 지향하느냐에 따라 사전의 표제어 선정 규모가 달라질 것이며, 이는 연세한국어사전(1998)의 후속 사전 등 새로운 사전 편찬이 나아갈 방향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ctual condition of headwords in Korean dictionaries containing large-scale headwords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headwords and examples. To this end, the size and composition of the headwords of other Korean dictionaries and the Yonsei Modern Korean Dictionary, which are being compiled by the Yonsei University Language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Korean Dictionary (1999) and Korea University's Korean Dictionary (2011), which were analyzed in this study, contain 500,000 headwords and 400,000 headwords, respectively. Among them, the modern standard general language is about 200,000, and other headwords are specialized words, It consists of North Korean, dialect, old language and non-standard languages. In addition, the headwords that presented examples in the two dictionaries are about 110,000 to 120,000 headwords, which is similar to the size of headwords that show examples among the headlines in the Yonsei Modern Korean Dictionary (unpublished, 2014). The number of meaning solutions that presented an example also shows a similar scale of the three dictionaries. Therefore, the number of Korean headwords whose usage is confirmed in dictionaries with large headword scales can be said to be 120,000 headwords. Depending on whether you aim for a usage-oriented dictionary based on corpus analysis or a vocabulary list dictionary, the size of the dictionary's headword selection will vary, which will be an important criterion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new dictionary compilation, such as the subsequent dictionary of the Yonsei Korean Dictionary.

      • KCI등재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연구방법론의 제기로부터 표제어 추출까지-

        김도공 ( Do Gong Kim ),윤승용 ( Seung Yong Yun ),고시용 ( Shi Yong Ko ),김항제 ( Hang Je Kim ),원영상 ( Yeong Sang Won ),권동우 ( Dong Woo Kwon ),허남진 ( Nam Jin He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 신종교의 역사?교리?교조?조직?의례?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사전(事典)으로 편찬하기 위한 기초 방법론의 제시와 표제어추출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신종교사전의 편찬은 향후 신종교 관련 연구 및 일반적 활용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근현대 한국문화의 연구를 위한학술 인프라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작업은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①신종교 관련자료의 조사, ②범주분류, ③표제어 추출이다.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분류체계는 크게 대분야, 중분야, 소분야로 하며,그 하위구조에 집필해 갈 구조를 다시 10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대분야는 자생신종교, 불교신종교, 기독교신종교, 외래신종교, 신종교(학)일반/신영성운동이다. 사전집필의 범주구분은 교단명, 인물, 교리/사상, 역사/사건, 의례/상징/문화예술, 문헌, 단체, 유적/성지, 조직/제도, 기타로 대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표제어를추출하였다. 표제어는 각 교단의 한국종교문화사적 위상 및 연구 성과, 대사회적활동 등을 고려하여 대항목, 중항목, 소/세항목으로 구분·기술하도록 하였다. 항목 표제어 추출은 ①기초자료조사를 통한 표제어 추출, ②공동연구를 통한 1,2차 점검,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을 거쳐 완성하였다. ①기초자료조사를통한 표제어 추출은 문헌조사, 웹사이트를 통한 자료수집, 실태조사에 의한 확인으로 진행하였다. ②공동연구를 통한 1, 2차 점검 및 수정을 통해 대/중/소항목의 비율을 조정하고, 표제어 선정기준 및 원칙을 세워 ??한국신종교사전??에 적합한 표제어를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각 범주에 대한 표제어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인 편찬위원들의 문제제기 및 의견을 수용하여 표제어의 전반적인 수정을 가하여 최종 점검을 받은 후 표제어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tically review histories, doctrines, organizations, religious rituals, and cultures for the Korean new religions in the modern history and to suggest the methodology and entry word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may serve a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further related studies and general uses, and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cademic infra-structure for studying the modern Korean culture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1) reviewing the related data and references, 2)classifying categories, and 3) suggesting entry words in new religions.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consists of three scales (large, medium, and small) according to fields, includes the 10 categories as its sub-schemes. The large category is classified into 5 fields such as 1) native new religions, 2) Buddhist new religions, 3)Christian new religions, 4) foreign new religions, and 5) general new religions/new spiritual activities. The 10 categories of its subscheme is 1) religion title, 2) central figures, 3) discipline/thought,4) history/evenement, 5) ceremony/symbol/culture and art, 6)documents, 7) foundations, 8) historic site and shrine, 9) organization and system and 10) the others. The entry words are originated from these categories. The entry words are classified and described into the three types of articles :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status, academic results, social activities for each entry word. The process for suggesting entry words passed through the three steps such as 1) sampling entry words based on the review for basic data and references, 2) the two times checking co-works and study, and 3) the final checking discussion by the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The second step had made adjustments tothe ratios of large, medium, and small articl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hecking works and suggested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sampling entry words. In the last step,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had made the final check through various problem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for entry words and come to the definite decision for entry words.

      • KCI등재

        <우리말샘>의 방언 표제어에 대한 연구-제주방언에서 '·'로 실현되는 단어를 중심으로-

        김미진,권미소,현혜림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in confirming how words expressed with ‘ㆍ’(Are-a) in Jeju dialect amongst Jeju dialect headwowrds are registered in <Urimalsaem>, inspecting issues of notation error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 issue. In <Urimalsaem>, ‘ㆍ’(Are-a) appears 4,718 times in 4,008 Jeju dialect words, most of which is notated as ‘ㅏ, ㅓ, ㅗ, ㅜ, ㅡ, or ㅣ’. It is notated in ‘ㅏ’ mostly as words using ‘ㆍ’ (Are-a) in Jeju dialect has been studied as a variation of ‘ㅏ’ based on conjecture and expansion of standard language. However, the issue is that when ‘ㆍ’(Are-a) in Jeju dialect is uniformly notated in ‘ㅏ’, it creates words such as ‘맘국’, ‘남삐’, ‘바뜨다’, ‘가레’, ‘탁’ which are not practically used in Jeju Island, creating confusion in its user. In <Urimalsaem>, 99.7% of the words in ‘Xᄒᆞ다’ form in Jeju dialect are shown as ‘X하다’ form. Such does not acknowledge conversion of ‘Xᄒᆞ다’ form in Jeju dialect to ‘X허다’. Furthermore, standards for allomorphic headword for Jeju dialect provided in <Urimalsaem> is incoherence. In words like ‘ᄂᆞᄆᆞᆯ’, ‘ᄆᆞᄆᆞᆯ’, very diverse allomorphs are offered as headwords, but allomorphs that must be provided, such as ‘아ᄃᆞᆯ’ into ‘아덜’, cannot be found, but ‘아달’, which is never used, is rather provided as allomorph. Therefore, This study has added words that must be notated with ‘ㆍ’(Are-a) amongst Jeju dialects in <Urimalsaem>, emphasized notation based on natural speech in selecting headword, and proposed more logical standard in selecting headword and furthermore addition of various allomorphs as headword after confirming textual reference and dictation in recording of its actual speech. Also, headword of dialect including Jeju dialect has been noted of necessity to provide its pronunciation. Providing user with information on dialect headword is very meaningful feature in <Urimalsaem>. However, it seems as a very urgent issue to correct the incorrect entries of Jeju dialect that consists the most of dialect headwords. I hope <Urimalsaem> would become a better open dictionary after reviewing the errors commented in this article along with future improvement plans and other issues. 이 연구는 <우리말샘>에 등재된 표제어 가운데 제주방언에서 ‘ㆍ’로 실현된 단어가 어떻게 표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표기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우리말샘>에는 제주방언에서 ‘ㆍ’로 실현되는 단어를 ‘~로도 적는다’처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의 수를 확인하면 단어는 4,008개이고, 하나의 단어에서 ‘ㆍ’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포함하면 총 4,718번이 확인된다. 이들은 대체로 ‘ㅏ’로 표기되었고, 이어 ‘ㅓ, ㅗ, ㅜ, ㅡ, ㅣ’ 등으로도 나타났다. ‘ㆍ’의 ‘ㅏ’ 형 표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제주방언에서 ‘ㆍ’로 나타나는 단어들을 표준어형에 기대어 ‘ㅏ’의 변화로 파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말샘>에서처럼 제주방언에서 나타나는 ‘ㆍ’를 일괄적으로 ‘ㅏ’ 형으로 표기할 경우 ‘맘국’, ‘남삐’, ‘바뜨다’, ‘가레’, ‘탁’ 등과 같이 실제 제주지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형태가 나타나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게 된다. 한편 <우리말샘>에서는 제주방언에서 ‘Xᄒᆞ다’로 나타나는 단어의 99.7%를 ‘X하다’ 형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것은 제주방언의 ‘Xᄒᆞ다’가 ‘X허다’로 변한 형태를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우리말샘>에서 제공하는 제주방언의 이형태 표제어의 기준은 매우 불분명하다. ‘ᄂᆞᄆᆞᆯ’, ‘ᄆᆞᄆᆞᆯ’ 등의 단어에서는 방언의 다양한 변이형들을 표제어로 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변이형, 이를 테면 ‘아ᄃᆞᆯ’이 ‘아덜’처럼 나타나는 경우에 대해서는 찾아볼 수 없고, 제주지역에서 실제 발화되지 않는 ‘아달’이 변이형으로 제시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우리말샘>에서 방언 표제어를 싣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일은 매우 의미가 있는 일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방언 표제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주방언의 표제어에서 잘못 제공되는 자료를 바로잡아야 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문제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말샘>에 등재된 제주방언 가운데 ‘ㆍ’로 실현되어 표기될 필요가 있는 단어에 대해 표제어로 추가하는 한편 표제어 선정에 실제 발음을 최대한 고려한 표기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표제어 선정에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나아가 실제 발화를 기록한 텍스트 자료와 음성을 확인한 후 다양한 이형태를 표제어로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방언의 표제어에 발음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 KCI등재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을 위한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 고찰 – 漢韓大辭典, 韓國漢字語辭典, 한국고전용어사전, 옛편지낱말사전을 중심으로 –

        손혜옥,김다미,차명희,김우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in digital Chinese dictionaries, which are the basic resources for developing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and to find out what needs to be discussed before developing i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examine all of the digital Chinese dictionaries, so we select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with largest number of headwords, the special dictionaries,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ctionary headwrods are as follows. First,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nd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have the greatest coverage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hile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contain vocabulary of specific genres. Second, in all four dictionaries,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headwords were not reflected in the macrostructure of them. Therefore, except for the head-characters of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 which can be seen as a word, it seems that the four dictionaries contain headwords with quite a variety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such as a word, idioms that acquire new meanings, patterns, typical syntactic constructi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we were able to find out several points to discuss before developing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First,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eveloping lexical semantic networks should be discuss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possible to select data with homogeneous linguistic characteristics from digital Chinese vocabulary data, and how to select it if possible. 이 연구는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의 기본 자원이 되는 기구축된 디지털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을 고찰하여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에 앞서 먼저 논의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연구에서 모든 디지털 한자어 사전의 표제어들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가장 많은표제어를 싣고 있는 漢韓大辭典 , 한국 문헌에만 등장하는 어휘를 모아 놓은 韓國漢字語辭典 , 특수 목적사전이라 할 수 있는 한국고전용어사전 , 옛편지낱말사전 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사전 표제어의 성격을 표제어 범위 면에서 살펴본 결과, 한한대사전 과 한국한자어사전 은 한국 문헌에만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여 한·중·일 고전 한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자와 어휘를 포괄하고자 했고 표제어 규모도 커 한문어휘에 대한 포괄성은 가장 넓다. 한편 한국고전용어사전 과 옛편지낱말사전 도 고전 한문 자료를 바탕으로한 사전이나 전자는 주로 기관에서 발행한 공적 문서를 바탕으로 하였다면 후자는 사적 문서인 간찰을 바탕으로 표제어를 선정하였으므로 특정 장르적 성격을 반영하고 있었다. 언어적 특성 면에서는, 네 사전 모두 표제어의 언어적 성격이 사전의 거시 구조 차원에서 구분되어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단어로 볼 수 있는 한한대사전 의 표제자를 제외하고 한한대사전 과 한국한자어사전 의 어휘 표제어와 한국고전용어사전 , 옛편지낱말사전 의 표제어들은 모두 단어에서부터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 관용구, 의미 합성성을 지키고 있는통사적 구성에 이르기까지 꽤 다양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것들이 혼재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표제어 성격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의미망 개발을 위한 다음의 논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개발하려는 어휘의미망의 성격을 확정하고 그에 합당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골라내는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보통 어휘의미망 개발은 유사한 언어적 속성을 가진 것을 모아 개발되는 편이므로 한한대사전 의 표제자를 제외하고 다양한 언어적 속성이 혼재된 한자 어휘 데이터들에서 균질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어떻게 골라낼 수 있을지, 혹은 이러한 데이터의 성격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개발 가능한 어휘 의미망은 무엇이 될 수 있을지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격조사로 끝나는 일본어 표제어에 관한 고찰 -신문 표제어와 광고 표제어를 중심으로-

        김현아 ( Hyun Ah Kim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6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5

        본고는 격조사로 끝나는 일본어의 신문표제어와 광고표제어를 중심으로 그 문법적 특징과 표현효과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먼저 신문표제어에 관해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어 왔던 문제점을 재검토를 행한 후, 출현빈도 수가 높았던「へ」, 「に」, 「を」를 중심으로 표제어가 나타내는 시제와 모달리티의 문제에 대해 논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었던 「へ」가 미래를 나타낸다는 특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타 요소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を」의 모달리티 역시 조건설정에 따라 변화하는 것임을 밝힌다. 또한 술부를 제시하지 않고 격조사로 문장을 끝맺음으로써, 사태를 객관화하고 표현을 완곡하게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격조사로 끝나는 광고표제어에 관해서는 다양한 실례를 수집하여 각각의 격조사의 출현빈도와 격패턴을 조사하고 각각의 조사의 의미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광고표제어도 신문표제어와 마찬가지로 「へ」, 「に」, 「を」의 출현빈도가 높으며, 행위주체와 술부를 제시하지 않음으로써 ``정보발신자/정보수신자/상품(기업)``의 관점에서 해석 가능한 다시점효과를 제공하며, 격조사에 선행하는 명사의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를 지님을 논하도록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grammatical features of newspaper headlines and advertisement copies ending with case particles. First, regarding newspaper headlines, I review several problems of advanced researches, and analyze tense and modality of headlines, focusing on ``e/ni/o``. ``e`` does not representthe future tense unconditionally. It may change depending on other grammatical elements. Also, I propose that themodality of ``o`` changes by condition of situation. Finally, I suggest that headlines ending with case particles have two effects-objectification and euphemism- due to incomplete predication. Furtherm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nd case patterns of advertisement copies ending with case particles. Advertisement copies ending with case particles provide multiple interpretations from the angles of ``sender/recipient/product(company)`` through theellipsis of subject and predication, and emphasize the preceding noun.

      • KCI등재

        해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지식 사전 편찬 방법론 연구 1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의 거시 구조를 중심으로—

        도원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In this study,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compilation of English Dictionary of Modern Korean Publications, the principles and criteria of the composition of headwords accordingly, the detailed application stage, and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list of headwords were examined. First of all, English Dictionary of Modern Korean Publication is a dictionary that briefly describes basic and comprehensive knowledge of publications published from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o 1945. It has the nature of an encyclopedia that include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he history of publication, the process of change, composition and content, meaning and value of publications,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nature and nature of publications. Above all, it was important to organize a macro-structure focusing on the achievements of modern period publications that were mainly covered in Korean history, Korean press history, and research history by disciplinary. Therefore, in this study, dictionaries and bibliographical introductions we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a list of headwords registered in each dictionary and bibliographical introductions was prepared, and the number of entries was scored overall to prepare a list of candidates for selection. Then, a list of candidate headword was prepared by scoring the numbers recorded in dictionaries, etc. After that, it was scored by checking whether there was any research on academic subjects in the thesis. Then, the final headline list was prepared through the evaluation of experts in the field. Finally, expert consultation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the selected headwords were appropriat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headwords were included in the index of major textbooks such as textbook compilation data, Korean media history, and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In the case of newspapers, 86% of the headwords were identified in the index. In addi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at classifies headwords according to certain categories was introduced. A method was appli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searching for modern publications by giv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ree criteria, such as field, period, and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principles and preparing specific methods when compiling a dictionary of Korean studies knowledge in the future. 이 연구에서는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의 성격과 편찬 목적, 그에 따른 표제어 구성의 원칙과 기준, 세부 적용 단계, 표제어 목록에 대한 검증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의 성격에 대해 소개한 뒤 기존의 근대 간행물에 대한 학술적 성과가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거시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큐레이션의 관점에서 강조하였다. 그런 다음 실질적인 거시 구조 구성의 원칙과 과정에 대해 다루었다. 기존에 출간된 사전류, 해제류 등을 수집, 조사하고 각 사전과 해제집에 등재된 표제어 목록을 작성한 뒤 이를 정리하여 전체적으로 수록 종수를 점수화하여 1차 표제어 선정 후보 목록을 작성하였다. 여기에 논저 등에서 학술적 연구 대상으로 분석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점수화하였고 해당 분야 전문가의 평정을 통해 2차 표제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선정된 표제어가 적절한지, 전문가 자문을 거쳤고 교과서 편수자료, 한국언론사, 한국근현대사 등의 주요 교재에 수록된 색인에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 표제어로서의 자격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신문 표제어의 경우 86%에 해당하는 표제어가 확인되어 신뢰할 만한 표제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제어를 일정한 부류에 따라 구분하는 분류 정보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분야, 시기, 유형 등 세 기준의 분류 정보를 줌으로써 근대 간행물에 대한 검색 등의 활용성을 높이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학 지식 사전 편찬 시 원칙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한불<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뎐>의 통사적 구성 표제어 연구

        채완(Chae Wa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硏究 Vol.18 No.-

        <한불<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은 프랑스 선교사들을 위한 한국어 용법 사전을 겸한 것이었기 때문에 단어뿐 아니라 통사적 구성들도 표제어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한불<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뎐>에 실린 통사적 구성의 표제어인 연어, 관용구, 속담 표제어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어 표제어를 구성하는 단어들 중 <표준국어대사전> 미등재 형태들은 현대 국어에서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의미가 변화된 단어를 포함한 연어 표제어를 통해서는 100여 년의 세월 동안의 의미 변화와 용법 차이를 알 수 있다. 연어를 구성하는 단어들은 모두 사전에 실려 있으나 연어 자체는 현대어에서 사라진 표제어도 있다. 관용구/속담 표제어를 구성하는 단어 중에도 현대어에서 자취를 감춘 예들이 적지 않다. 관용구와 속담의 속성상 어휘 의미가 비유적으로 발전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성 단어가 단독 표제어로 실리지 않은 경우에는 그 의미를 알기 어렵다. 관용구/속담 표제어가 의미 변화된 단어를 포함한 경우도 있다. 또 구성 어휘 모두가 의미 변화 없이 현대어에서 사용되나 관용구나 속담 자체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된 것들도 있는데, 그러한 예들은 생활 문화나 언어사회적 환경이 달라짐으로 해서 자연스럽게 언어생활에서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Hanbuljadyun(한불<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뎐) is a modern KoreanFrench language dictionary published by French missionaries in 1880. This paper studied on headwords in Hanbuljadyun focusing on their syntactic composition, especially headwords as collocation, idiomatic expression(locution), and proverb. Collocation, idiomatic expression, and proverb are categorized as expressions figées in French language grammar. This paper compared the difference of headwords and their definitions between Hanbuljadyun and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focusing on headwords as collocation, idiomatic expression, and proverb in Hanbuljadyun. Thus, we can assume the alteration of headwords from modern to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Three types are distinctive among headwords as collocation in Hanbuljadyun. First, some words composing headwords don't exist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1999. Those ones seem disappeared in the lexicon of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Second, some headwords contain the words of which the definitions have been changed. Third, some headwords don't be used any more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and only the words composing such headwords exist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Similar alteration had occurred among the words composing headwords as locution or proverb in Hanbuljadyun. Some words had totally disappeared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Some words still appear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but the range of their meanings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had been more expanded or restricted than in modern Korean language. Some other words are used similarly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even though the headwords themselves are not the entries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27,210 entries of Hanbuljadyun show the vivid expressions of modern Korean language with detailed example phrases and sentences, but many entries in Hanbuljadyun had been missing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It is assumed that the editors of language dictionaries hadn't referred to Hanbuljadyun properly.

      • KCI등재

        작문교육사전 표제어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 연구

        이수진 ( Soo J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6

        본 연구는 작문교육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표제어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작문교육사전의 거시구조는 표제어의 선정과 범위를 결정하는 원리가 되며, 미시구조는 표제어의 기술 방식을 결정하는 원리가 된다. 거시구조 측면에서는 작문교육사전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낸다는 관점에서 표제어를 추출할 수 있는 범주를 작문교육 영역, 작문 영역, 인접학문 영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작문교육 영역에서 작문교육의 역사와 변화를 드러내주는 ‘통시적 관점’과 현재 현상을 보여주는 ‘공시적 관점’을 대범주로 설정하였다. 작문 영역에서는 작문이란 무엇인지 설명해줄 수 있는 ‘작문 행위 구성 요소’, ‘작문 능력’, ‘작문 갈래’를 대범주로 설정하였다. 인접 학문 영역에서는 작문과 타 학문을 융합하는 ‘작문 이론의 확장’, 인접 학문이 작문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끼치는지 나타내줄 ‘작문과 인접 학문의 관계’를 대범주로 설정하였다. 미시구조 측면에서는 작문교육사전의 표제어 설명에 필요한 정보 구조를 ‘표제어’, ‘실질적 정의’, ‘기술적 정의’, ‘참조 정보’ 항으로 제시하였다. ‘실질적 정의’는 표제어에 대한 정의문, 동의어나 상·하위어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기술적 정의’는 표제어와 관련된 부가정보, 작문교육에서의 중요성과 용례를 말한다. ‘참조 정보’는 해당 표제어의 관련어와 참고 문헌을 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of headwords`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as basic study in writing education dictionary`s compliation. Macrostructure is about choice and boundary of headwords. Microstructure is about description method of headwords. In macrostructure`s aspect, I devided the headword`s grand categories as writing education, writing theory and connected studies. ``Writing education`` area has ``diachronic view`` and ``synchronic view`` as categories. ``Writing theory`` area has ``writing activity``s elements``, ``writing ability`` and ``writing genre`` as categories. ``Connected studies`` area has ``writing theory`s expansion`` and ``relation of writing and connected studies`` as categories. In microstructure`s aspect, I suggested information`s structure to explain headwords in writing education dictionary : headword, essential definition, descriptive definition, referenc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