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탐라문화의 성격과 발전 방향

        현승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08 탐라문화 Vol.0 No.33

        The author has mainly focused on four main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amna Institute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Jeju Culture and Tamna Culture from a present point of view of Jeju. It is called Tamna Culture before the Goryeo Dynasty and Jeju culture after i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thing much between the two other than the change of their name for the sake of the ruling adminstration. The Jeju Culture has inherited the Tamna Culture. Secondly, The cultures of Tamna might be unproved. However, the Tamna Cultur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owing the peculiar characters of various cultures in Jeju. This is the main reason we, Jeju people, have to explore, and preserve the lives and the customs in Jeju which could be traced back to the Tamna Culture. Thirdly, it is strongly expected that the Tamna Institute focus on two things: to research the traditional Jeju cultures and to train researchers for these cultures. Research centering around dialect, traditional literacy and folk customs has been extended into the other areas. Finally, different research methods have been adopted for the new directions. The Tamna Institute should be the place in which the results of individual researchs have been talked and debated. Various discussions can lead researchers,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to the innovative conclusions. This is the way to show what a genuine Jeju culture is about. Furthermore, it should be mentioned that new efforts should be made to retrieve the ancient culture of Jeju through the comparison of that of neighboring countries. 필자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의 발전을 위한 논의를 4가지로 제시하 였다. 첫째, 오늘의 제주도에 관해 접근할 때, 제주문화와 탐라문화를 구별하여야 한다. 고려시대 이전에는 탐라시대의 문화요, 그 이후는 제주문화이다. 행정구 역 명칭만 제주로 바뀌었을 뿐, 거주자나 그들의 문화는 그대로 이어져 온 것 이 사실이다. 둘째, 탐라 시대의 문화는 추론에 불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주도 문화의 특 수성을 드러내는 데는 탐라시대 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 재의 제주도민의 삶 속에 숨어 있는 탐라시대의 문화 요소를 찾아내어 기록하 고 보존해야 한다. 셋째, 탐라문화연구소는 제주도의 전통문화를 조사하고 연구할 뿐만 아니라 여기에 종사할 수 있는 연구자를 양성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방언, 구비문학, 민속에 한정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었지만 앞으로는 그 폭을 넓혀야 한다. 넷째, 문화 연구의 방법은 다양하다. 따라서 개인별로 다양한 연구성과를 한 데 모아 연구소에서 토론의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연구자들이 토론을 통해 새로운 결론을 도출할 때, 제주도 문화의 특성은 드러 날 것이다. 특히 주변국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사라져버린 고대문화를 복원하 는 작업도 시도되어야 한다.

      • KCI등재

        고대(古代) 탐라국(耽羅國) 연구의 쟁점과 이해방향

        장창은 ( Jang Chang-e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7

        고대 탐라국에 대한 호칭은 ‘州胡’에서부터 ‘耽羅’·‘託羅(托羅)’·‘?羅’·‘涉羅’, 그리고 ‘耽牟羅’까지 다양한 표기로 사서에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모두를 동일 대상인 탐라국에 대한 이표기로 인정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耽羅와 『魏書』 고구려전에 나오는 ‘涉羅’의 실체는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三國志』 東夷傳의 韓傳에 나오는 州胡는 ‘오랑캐 마을’ 내지 ‘섬 오랑캐’로 해석된다. 문면으로 보았을 때 중국 측에 의한 타칭이다. 『後漢書』 東夷列傳에는 州胡國으로 표기되어 있어 탐라국 이전 제주의 고대국가에 대한 칭호로 사용되고 있다. 주호국이 제주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데 이의를 제기한 연구자는 없다. 다만 주호가 교역한 韓中의 실체는 연구자 간 견해 차이가 있다. 韓의 실체 규명은 주호가 제주로 비정될 수 있는 중요한 논거가 되었다. 제주시 산지항에서 출토된 貨泉등 王莽錢은 주호국이 1세기 대에 중국과 교류했음을 시사한다. 중국 화폐의 한반도 유입은 본토와의 직접적인 교역보다는 漢郡縣(樂浪郡)을 매개로 했을 가능성이 크다. 제주도가 漢郡縣과 弁·辰韓-倭로 이어지는 교역경로 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산지항과 용담동·삼양동 등에서 화폐와 철제 무기류·옥환 등 중국이나 진·변한 계통의 위신품이 출토되는 까닭은 주호국이 이들의 교역체계에 능동적으로 동참했기 때문이다. 주호국의 교역범위는 전남지역의 마한을 중심으로 진·변한 지역을 망라하였다. 제주도산 토기가 나주시 수문 패총, 해남 군곡리 유적, 사천 늑도에서 출토된 것은 그 실증적인 고고자료이다. 제주의 고대국가가 耽羅國으로서 한반도 국가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三國史記』 백제본기가 최초의 기록이다. 이에 따르면, 5세기 후반인 문주왕~동성왕대에 탐라국은 백제에 공납을 바치는 종속관계에 있었다. 이와 달리 『日本書紀』에는 탐라와 백제의 통교가 508년에 처음 이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기왕에는 백제본기를 그대로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면에는 백제가 4세기 후반인 근초고왕대에 전남지역까지 진출해 영역지배 했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었다. 다만 백제본기의 탐라를 제주도로 보는 데 회의적인 견해도 있다. 『일본서기』의 해당 기록이 백제계 계통이어서 사료가치가 높다는 점, 동성왕이 정벌하려 했던 耽羅가 제주도라면 무진주[광주]에 도착한 백제 군사에 대해 탐라가 스스로 와서 죄를 빌었다는 내용이 어색하다는 점 등이 고려되었다. 그 결과 백제본기의 탐라를 전남 강진과 해남지역에 있었던 소국으로 비정하였다. 백제본기 탐라의 실체는 향후 검토할 여지가 남아 있다. 『魏書』 열전 고구려전에 따르면, 504년에 고구려 문자명왕(491~519)이 북위 선무제에게 사신을 보내 그동안 조공했던 황금과 珂를 더 이상 바칠 수 없다고 했다. 그 이유는 황금은 夫餘에서 나고, 珂는 涉羅에서 나는 것인데, 부여는 勿吉에게 쫓기는 바가 되었고, 섭라가 백제에게 병합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涉羅’의 실체이다. 한진서가 『海東繹史』에서 ‘섭라’를 제주로 비정한 후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계승 하였다. 특히 珂를 말 재갈 장식에 사용하는 소라와 전복으로 보거나, 마노로 보되 그 생산지를 제주도로 이해하였다. 이와 달리 珂를 (백)마노로 보거나, 涉羅[신라]가 백제에 병합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珂를 바칠 수 없다는 문구도 외교적 수사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하기도 했다. 고구려와 탐라의 관계를 입증해 줄 만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은 점, 『晉書』 부견전에 사용된 신라 국호 ‘薛羅’가 ‘涉羅’와 음운상 같다는 신경준의 주장에 근거해 涉羅=新羅일 가능성이 마련된 점, 珂의 실체가 말 재갈 장식보다는 옥의 범주에 포함되는 마노가 더 유력하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涉羅’는 제주도보다는 신라로 이해하는 것이 온당하다. The Name for Tamna was recorded variously ‘Juho(州胡)’, ‘Tamna(耽羅)’, ‘Takra(託羅)’, ‘Damra(?羅)’, ‘Tammora(耽牟羅)’, ‘Seobra(涉羅)’ etc. First of all, The Juho(州胡) recorded in Samgukji Dongijeon(三國志東夷傳) is almost certain that now Jeju-do. Juho-guk made an exchange with Three Han States(三韓) in 1st to the 4th century. The important exchange goods Juho-guk gained was iron prestige, Chinese Coins, salt, etc. According to Samguk Sagi (三國史記), Tamna(耽羅) paid tribute to Baekje in the late 5th century. But At this time of Tamna was unsured whether to Jeju-do. Some researchers argued that Tamna located in Gangjin and Haenam region, Jeollanam-do. The Recorded in Weisue(魏書) for Seobra(涉羅), Many researchers think the substance is Jeju-do. Because They understood that Ga(珂) is Products made of Abalone or Conch. But Ga(珂) may be Agate or Jade. Seobra(涉羅) was used for the name of Silla. Therefore The substance of Seobra(涉羅) Silla as it might be appropriate.

      • KCI등재

        제주의 역사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의 창출

        전영준 ( Jeon Young-jo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9 탐라문화 Vol.0 No.60

        탐라 또는 제주의 역사문화 자원은 지역의 정서를 포함하며, 지역민의 공감을 담아내는 콘텐츠 또는 브랜드의 기능을 지닌다. 그리고 이것은 그 원형질을 유지하면서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줌으로써 제주도를 대표하는 역사문화콘텐츠로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제주도를 상정하는 단어로 ‘돌하르방’이나 ‘해녀’, ‘감귤’ 등의 문화 또는 특산물 정도가 알려졌고, 공항이나 항구에서 관련 상품들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정도의 1차적인 인식에 그쳐 왔음도 사실이다. 그래서 식상하다고까지 할 수 있는, 지역의 매력을 담아내는 데 일정한 한계를 보여주었던 점도 지역민이 공감할 수 있는 독특한 브랜드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즉, 제주를 대표하는 킬러콘텐츠 또는 브랜드의 개발에 소홀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제주문화는 우선적으로 신화를 포함여 역사시대 각각의 사실과 주제별로 해양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 교류 과정에서 형성되어 왔다. 척박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자 하였던 선조들의 지혜로운 인문환경을 모두 포함하고 그를 기반으로 생활문화는 개방성이 강한 문화적 요소로 구현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가 작용하는 문화산업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꾸준하게 형성되고 있다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문화가 경제적으로도 중요하다는 데는 異論의 여지가 없지만 그 중요성은 경제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무엇보다도 문화는 인간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절대적인 요소이며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근본이기 때문에, 현재의 정부나 학계에서도 문화연구를 첨단영역으로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는 사회변동과 미래 트렌드를 읽어내는 키워드임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탐라 천 년, 제주 천 년의 역사를 오롯이 보여주는 오늘의 제주도가 지향하는 문화전통의 맥락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제주의 역사문화자원이 전통적으로 지녀왔던 특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각성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Tamla or Jeju include local emotions and have the function of content or brand that reflects the empathy of the local people. And this can grow into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that represent Jeju Island by showing the space that can be interpreted while preserving its protoplasm. However, in the meantime, it has been known about the culture and specialties such as 'Dolhaleubang', 'Haenyeo', 'Citrus', it is also true that the airport has only been able to get a first-hand recognition of the goods at the airport or wharf. So, the fact that it showed limited limits to bring charm of the area which can be said that it is calmed down also disproves the existence of a unique brand that the local people can sympathize with. In other words, it can not be neglected that Jeju has been neglected in the development of killer content or brand. Jeju culture firstly includes myths, and it has been formed in the process of cultural exchanges centered on the ocean by facts and themes of each historical period. It has been embodied as a cultural element that is open to the living culture that includes all the wisdom human environments of the ancestors who wanted to overcome the barren natural environment and formed based on them. And although there are not many cultural industries where these cultures work,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y are steadily forming. There is no doubt that culture is economically important, but its significance is not limited to the economic realm. Above all, culture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is indispensable to human life and it is the basis for enriching life. Therefore, culture is a keyword to read social changes and future trends, Obvious. It is necessary to awaken what is the context of the cultural tradition of today's Jeju-do, which shows the history of Tamla in 1000 years and the history of Jeju in 1000 years,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Jej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ve traditionally possessed that's the point.

      • KCI등재

        제주인의 친목회 활동과 부조문화에 대한 의식조사연구 - 제주시 동(洞)지역의 문중(종친)회, 동창(동문)회, 향우회를 중심으로

        강봉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3 탐라문화 Vol.- No.72

        This is a survey study of 300 residents aged 30 and over living in the Dong area of Jeju-Si, and their perceptions of social gathering activities and supportive culture. As for social gathering organizations, family reunion, school reunion, homecoming reunion were surveye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participation rate of family reunion is low,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school reunion and homecoming reunion is high. Members of social gathering actively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organization, including participation in events. As for the reason why supportive culture was activated, they answered that it was due to due courtesy or Jeju's cultural tradition(custom), but it is not unrelated to the high level of activation of social gathering activity. They feel burdened by the subsidies and show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double-subsidy customs that aggravate these burdens. They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so-called ‘Kwentang’(relative) politics culture that appears in connection with social gathering activities. Such social gathering activities and supportive culture are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but the customs of double-subsidy and the culture of ‘Kwentang’ politics need to be improved. 이 논문은 제주시 동(洞)지역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도민 300명을 대상으로 친목회 활동과 부조문화에 대한 의식을 설문조사법으로 연구한 것이다. 친목조직으로는 문중(종친회), 동창(동문)회, 향우회를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친목회에 참여하는 규모나 이유, 그것이 부조문화에 미치는 영향, 부조하는 범위나 이유, 친목회 활동과 부조문화의 전망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문중(종친)회의 참여비율은 낮고, 동창(동문)회와 향우회에 참여비율 은 높다. 특히, 초등학교 동창(동문)회와 고향마을 향우회에 참여율이 매우높다. 친목회에 가입한 회원들은 행사참여를 비롯해 조직 활성화에 적극적인태도로 기여하고 있다. 부조문화가 활성화된 이유에 대해서는 그것이 당연한예의이거나 제주의 공동체적 문화전통(관습) 때문이라고 답하지만, 친목회활동이 높은 수준으로 활성화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부조금에 대해 부담을느끼고, 이러한 부담을 가중시키는 겹부조 풍속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친목회 활동과 엮여 나타나고 있는 이른바 ‘궨당정치’ 문화에는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친목회 활동과 부조문화는 향후에도계속 이어질 전망이지만, 겹부조 풍속과 ‘궨당정치’ 문화는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

      • KCI등재

        쿰다와 □, 그리고 21세기

        민영현 ( Min Young-hy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8

        대개의 문화현상 속에는 세계와 인간에 대한 일정한 철학적 이해가 스며들어 있다. 이런 측면에서 제주 ‘쿰다의 문화’는 새롭게 조망해 볼 철학적 주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철학이 올바른 세계관과 인생관에 대한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쿰다’는 자신의 관점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 바람직한 생활문화로서 창달 전승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쿰다’라는 제주의 언어와 생활방식에는 □이 말하는 사회모델과 인간 삶의 의미가 다양한 형태로 숨어 있다. 이로부터 ‘쿰다’는 한철학이 말하는 ‘하나 됨’이란 □의 사유에 따른 실제적인 현상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에 글은 ‘쿰다’의 현실적인 언어 용법과 그 이해를 살펴보고, 해석학적 측면에서 접근해본다. 다음으로 한철학의 세계관과 인생관에 대한 일반이해를 통해 쿰다와 한문화의 연계성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한사상은 다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천을 요청한다. 여기에 한(恨)의 승화라는 과제와 혐오에 대한 이해의 문제가 제기된다. 혐오란 다름을 품는 올바른 방식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는 배제의 논리기 때문이다. 배제의 논리란 결국 강자가 약자에 대해 갖는 일종의 차별화 전략으로 보인다. 품어 안고 싶지 않으며, 나는 너보다 우월하다는 차별 의식에 기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별이 올바르지 못함은 현대 양자물리학이 오히려 밝혀주는 바의 것이기도 하다. 이런 측면에서 부정의 변증법과 긍정에 관한 상호 이해 역시 필요하다. 육지에서의 □의 정신적 승화와 관련하여, 동일한 제주의 특성이 ‘쿰다’라는 생활언어 속에 숨어 있다. 나와 다른 타자를 감싸 안음의 철학이요, 다름의 인식이며 관용의 가치다. 이로써 나와 너는 우리라는 만남으로, 부정의 변증법을 초월한다. 여기서 화(化)의 상형이 강자와 약자가 서로 기대고 의지하며 보호하는 것임을 생각해본다. 이는 ‘우리로 하나되는’ 한철학의 실천이다. 만약 이로부터 ‘우리’를 이루게 된다면, 품어 안은 공동체의 질서는 제자리를 찾을 것이다. ‘쿰다’는 한국적 한철학의 존재·인식·가치라는 체계와 만나고, 동일한 형태로 제주 살림살이의 문화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는 제주의 생활문화로서 ‘드르쿰다’의 전통과 현실을 창출해 낸다. 이로부터 제주 쿰다의 문화는 □사상의 어우러짐과 한(恨)의 정서와 만나, 가장 제주적인 특징을 반영한 공동체의 대응 전략으로 이해된다. 이는 마치 한민족의 집단의식 가운데 잠재된 DNA와 같은 것이며,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품은 클로칼 시대의 새로운 사회모델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In most cultural phenomena, there is a certain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human being. At this point, Jeju 'Culture of Kumda' is a philosophical theme to be viewed. Also considering that philosophy is a discipline in the right worldview and lifeview, ‘Kumda' would have been developed as a desirable living culture of the local community in view of Jeju. In Jeju's lifestyle called 'Kumda', the social model that Han says and the meaning of human life are hidden in various forms. 'Kumda' shows a real phenomenon according to the reason of 'being one' of Han.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listic language usage and understanding of 'Kumda' from the hermeneutic perspective. Next, it is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Kumda’ and Han through the world view and life view of Han Philosophy. Basically, Han-ism requires new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difference. Here is the question of sublimation of grudges and understanding of disgust. It is hard to see hate in the right way of different things, because it is the logic of exclusion. The logic of exclusion seems to be a kind of differentiation strategy that the strong have for the weak. It derives from the sense of discrimination that I am superior to you and says that I do not want to hold you. But the fact that discrimination is not correct is what modern quantum physics reveals. In this respect, mutual understanding of dialectics of negative and dialectics of positive is also needed. The characteristics of Jeju, which is the same as the spiritual sublimation of Han, are hidden in the living language of 'Kumda'. It is a philosophy of enveloping others who are different from me, and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the value of tolerance. With the way of meeting 'me and you are us', we transcend the dialectics of negativity. The hieroglyphic of 化(becoming) says that a strong and an weak lean on each other and protect them. This is the practice of Han Philosophy, which is 'to be one with us'. If we achieve 'one of us' from this, the order of the community together will find its place. 'Kumda' meets with the system of the recognition value of the existence of Korean philosophy, it has formed the culture of Jeju Salim-sali(I live by saving others) with the same way. The culture of Jeju Kumda meets with the harmony of Han-Philosophy and is understood as a response strategy of the communit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This is like the latent DNA amo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It will function as a new social model in the era of G-local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 KCI등재

        탐라 건국신화에 보이는 3신녀(神女)의 역할과 위상

        채미하 ( Chai Mi-ha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7

        본 논문은 탐라 건국신화에 보이는 3신녀의 역할과 그 위상을 한국 고대 건국신화와 비교하여 탐라 건국신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살펴본 것이다. 탐라 건국신화의 내용은 지상에서 솟아난 3신인과 바다를 건너온 3신녀가 혼인하여 탐라 사회가 변하였다는 것이다. 한국 고대 건국신화에서는 시조가 사회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탐라 건국신화에서는 3신인이 아닌 3신녀가 그 역할을 하였고 3신녀가 탐라에 온 이유는 건국과 관련 있다고 하였다. 탐라 건국신화에서 3신녀가 바다를 건넌다는 것은 가락국의 허황옥, 신라의 탈해와 비교된다. 3신녀는 탈해와 같은 卵生은 아니었지만, 函에 담겨 출자처와는 다른 변화를 겪으면서 바다를 건너왔고 3신녀의 출현으로 수렵사회였던 탐라는 농업과 목축사회로 전환되었다.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유화와 알영은 江·井과 연결되어 있는데, 물의 기본적 속성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바다, 江·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여성신은 사회의 변화와도 관계있다고 하였다. 한편 3신인에 대한 추숭은 16세기 이전까지는 무속적인 제사였지만, 이 후 유교적 의례로 변하였다. 그리고 3신녀가 五穀種子를 가지고 왔다는 점에서 3신녀는 穀母神的성격을 지녔고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유화나 선도산 신모처럼 神母 혹은 聖母로 추앙되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탐라 건국신화의 3신인과 3신녀의 추숭은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시조와 시조비(모)가 국가제사의 대상이었던 것과 비교된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ing about the role and status of 3 goddesses in the birth myth of Tamla comparing with the ancient birth myth. The story of the birth myth of Tamla is that 3 gods from earth married 3 goddesses who came across the sea and the society changed. In the ancient birth myth in Korea, the progenitor changed the society but in the myth of Tamla, not 3 gods but 3 goddesses did that role. So the reason 3 goddesses came to Tamla was related to the establishing nation. 3 goddesses’ crossing the sea could be compared with Huh Hwangok of Karakguk and Talhae of Silla. Though their births were not out of eggs, they came across the sea contained in going through changes different from descent and after their arrival at Tamla, the society getting food by hunting and gathering changed to the one of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ing. In the birth myth in ancient Korea, Yuwha and Alyoung were related with the river and the well. Each the sea, the river, and the well is the space containing water of which inherency is changing ceaselessly and that represents the change of the society. 3 gods and 3 goddesses in Tamla must have been worshipped after their death and this could be compared with that the progenitor and progenitor consort(mother) in the ancient birth myth in Korea were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rites. The worshipping 3 goddesses was a Shamanistic rite but later changed to a confucian ceremony. The fact 3 goddesses brought 5 grains and seeds shows they have the character of mother goddess of grains and they were worshipped as the mother goddess or saint mother like Yuhwa and Seondosan mother goddess in Korean ancient birth myth.

      • KCI등재

        13~14세기 元­耽羅 관계 연구 동향 분석

        권용철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9 탐라문화 Vol.0 No.60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Yuan Empire and Tamla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has been in existence for a long time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beginning, general approaches were attempted in terms of pioneering the research topic. From the 1980s, detailed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Yuan Empire and Tamla was made in a Korean academic world. The research on the data of Jeju Island was also conducted, and the study was activated so that the Tamla material collection was published. Through thi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re themes of relations between Yuan Empire and Tamla could be reveal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20th century, various studies on the Yuan Empire and Tamla were published since the 2000s.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society, as well as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Yuan Empire and Tamla have been published. Based on archaeological achievements, analyzes based on linkages between actual remains and records have also begun to be made. Not only did the perspectives on the research become diverse, but also raised the necessity of making the whole of East Asia a category of review. In the future, I think that research and deepening of research will be possible if actively exchanging academic information with researchers in Jeju Island and other local researchers. 13~14세기 원과 탐라 관계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되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초기에는 연구 주제를 개척하는 측면에서 개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었고, 1980년대부터는 한국학계를 중심으로 원­탐라 관계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들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제주도의 자료들에 대한 검토도 진행되어 탐라 관련 사료집이 간행되었을 정도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이를 통해 원­탐라 관계의 핵심 주제들이 지닌 역사적 의미가 밝혀질 수 있었다. 자료와 연구 주제 방면의 성과를 기반으로 2000년대부터는 원­탐라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원과 탐라의 정치⋅외교적 관계는 물론이고, 문화와 사회에 끼친 영향에도 주목한 연구가 출간되었고 고고학 성과를 토대로 실제 유적과 기록의 연계를 통한 분석도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元代史 및 明代史 연구 성과의 축적과 더불어 원과 명의 정세 및 제도 등을 상세하게 고찰한 바탕에서 탐라에 대한 지배와 통제의 의미를 되새기는 연구가 시도되었고, 더 나아가 원⋅명­고려의 관계에서 탐라 문제가 차지하고 있었던 실질적인 위상이 부각되기도 했으며 고려가 결국 탐라를 지배하게 되면서 원­탐라 관계로 인해 형성된 여러 가지 측면을 考慮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평가가 내려지기도 했다. 즉, 연구의 시각이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를 검토의 범주로 삼아야 한다는 필요성까지 제기되었던 것이다. 앞으로 제주도의 연구자들과 다른 지역 연구자들과의 적극적인 학술교류가 이루어진다면 연구의 심화 및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다문화 전문 인력 양성 현황 분석을 통한 다문화사회전문가제도 발전 방안 모색

        양미경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7 탐라문화 Vol.0 No.56

        In the global environment such as globalization, aging,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ving to a multicultural society is inevitab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multicultural professionals as one of the policies to cope with anticipated conflicts and to respond in advanc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multicultural policy of Korea by outlining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professional system based on analysis of past and current multicultural professional training process and proposing development plan. First of all,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s and roles of multicultural professionals, the provisions related to multicultural professionals in Article 39 (3)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should be revised and expanded. An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oles and qualific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multicultural professionals. Second, in terms of system operation, it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contents of the degree course, the development of standard textbooks, the opening of completion course for the first grade,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maintenance system. Finally, in terms of professional utilization, the scope of the role of multicultural professionals should be extended to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law, arts, public affairs, social work, and business and the the Ministry of Justice, the responsible department,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place the multicultural professionals in public institutions. Unfortunately, there is a limit to the statistical data of existing professionals, I hope that the interest of the government and the society will increase in the role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professionals through this study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research and collaborate with multicultural professionals of various ministries and organizations. 세계화, 고령화, 4차산업혁명 등 거부할 수 없는 세계 환경 변화 속에서 다문화사회로의 이동은 한국도 비켜갈 수 없다. 체류 외국인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며,*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단장.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13.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외국인근로자 수요 증가, 정부의 유학생, 전문 인력 등 우수인력 전략적 유치 및 재외동포 포용정책 등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의 증가 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외국인정책과, 「2017년 중앙행정기관 외국인정책 시행계획」, 2017, 790쪽. 이에 예상되는 갈등과 부작용을 대비하고 우리나라 특성을 반영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로서 다문화 전문 인력의 양성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과거와 현재의 다문화 전문 인력 양성과정의 분석을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전문가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개관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여 한국사회의 다문화 정책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우선 다문화사회전문가 개념 및 역할 측면에서는 개념과 역할의 명확화를 위해서 출입국관리법 제39조 제3항 “법무부장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시행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에 ‘사회통합 프로그램 시행에 따른’ 전문 인력으로 명시되어 있는 다문화사회전문가 관련 규정을 분리, 다문화사회 전반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개념을 확대하는 내용으로 개정하고 다문화사회전문가 1급과 2급의 역할과 자격 규정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제도 운영 측면에서는 학위과정의 내용 개정 및 표준 교재 개발, 1급 자격을 위한 이수교육 개설과 보수교육 체계 재정비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활용 측면에서는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역할 범위를 교육, 법, 예술, 공무, 사회사업,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고 특히 주관 부서인 법무부를 위시하여 공공기관에서 전문 영역별 다문화사회전문가를 배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역할과 활용에 대한 정부와 사회의 관심이 늘어나고 각 부처별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수요에 대한 연구 및 협업의 계기로 삼게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제주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연구

        허남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3 탐라문화 Vol.0 No.44

        ‘세계화’가 시대적 소명이 되어가면서 한국문화의 세계화는 문화산업의 근간처럼 말하고 있다. 국가와 민족 단위의 문화를 논하는 단계에서 하위 단위의 지역을 중시하는 경향도 나타나 세방화(세계지방화, Glocalization)가 함께 추진되고 있다. 그래서 제주문화도 세계화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한국문화의 세계화 전략이 예술・전통・생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색되었고, 지난 세기에 비하면 비약적인 성공을 보인 점도 인정되지만 아직 초보 수준이다. 음악・드라마・영화에서 ‘한류’를 형성하고 그 상승기류를 타고 한식이 부상하고 있다.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생산에도 심혈을 기울이면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진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제주문화의 세계화 전략도 그 정체성 규명에서 시작돼야 하고, 제주문화의 힘 내부에 작동하는 원리를 찾아야 한다. 문화의 이론화가 선행 작업이어야 한다. 그래서 문화 연구를 위한 연구자 양성이 필수적이다. 다음으로 문화의 이미지화・정보화・기호화를 통해 이미지를 제고해야 한다. 아울러 문화를 활용하여 기획하고 연출하고 공연할 인력양성과 문화 확산에 주력해야 한다. 삶의 총체적 현상으로서의 문화를 산업화하는 데도 나서야 하니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이 21세기 화두다. 제주는 콘텐츠의 기반이 되는 이야기가 풍부하다. 특히 구비 신화는 세계적인 수준이어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다. 장수식품과 음식문화, 해녀를 위시한 해양문화, 돌하르방과 돌담과 같은 돌 문화도 세계인에 친숙하면서도 제주만의 독특함을 간직하고 있어 세계화가 폭넓게 진척될 수 있다. 세계화의 단서가 있으니, 문화 연구자 양성과 이론화 작업과 같은 문화 토대 사업이 전제조건임을 밝혔다.

      • KCI등재

        廢寺址로 본 탐라의 불교 수용

        전영준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4 탐라문화 Vol.- No.75

        전근대 시기 특히 고려 시대 탐라와 고려의 지방으로 편제된 제주의 사정을 전하는 문헌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특히 고려 시대의 제주 또는 탐라국 후기의 시대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그동안 제주에서 축적된 고고 학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학제 간 융합 연구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탐라국이 고려에 복속된 시기는 1105년(고려 숙종 10)의 일이지만, 1223년(고 려 고종 10) 이후부터 제주의 명칭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고려 시대의 제주 를 보기 위해서는 고려 초기와 탐라국 후기가 서로 교차된다는 특징을 반영하여 諸 분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고려 시대의 제주 불교 에 대한 이해는 변방의 문화 수용 정도로 그치므로, 이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탐라 가 한반도 선진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접촉과 수용이라는 시각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려가 기미지배 정책으로 주변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기상의 특징을 반영하여 탐라 후기의 문화상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탐라국 또한 고 려 팔관회에 참여하면서 이루어진 상호 교류 과정에서 선진문화인 고려 불교도 자연스럽게 전해졌을 가능성을 타진했다. On the pre-modern period, especially the era of Korye, there are few written evidences demonstrating the historical facts of Jeju, which had been subjected to Kingdom of Korye as a part of it. Considering that we have very limited historical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details of that period (Jeju in the period of Korye or the late phase of Kingdom of Jeju), it is necessary to do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between history and archaeology. Though the time when kingdom of Tamla begun to belong to Korye was 1105 (10, King of Sookjong), the place name of Jeju can be literally confirmed since 1233 (10, King of Kojong, Korye). In this context, in order to look into history of Jeju in the period when the early Korye and the late phase of Tamla overlapped, a new approach for studying should be employed for diverse aspects of Jeju. From the new approach, Buddhism of Tamla could be a window into which we can study that period. Unfortunately, however, Buddhism of Tamla in the period of Korye has been interpreted as a case of cultural diffusion into a remote region. Against this interpretation, it needs to be reinterpreted as an active interaction and acceptance of advanced culture by Tamla. In terms of loose rein polic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ye and Tamla had never been unilateral, which meant that Tamla had not been passive. Tamla possibly took active part in Palkwanhoe(Buddhist occasion held by royal family of Korye), and then might naturally accept Buddhism of Korye as a part of the advanced culture through a bilateral relationship. This paper dwells upon it for investigating the culture of later phase of Tam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