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종교연구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와 전망 -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만남을 중심으로-

        안신 ( Shin Ahn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학회의 세계화와 2011년 대만에서 열린 세계 신종교학회의 국제학술대회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신종교학자들의 당면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신종교연구에서 최근 서구학자들의 관심이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신종교학회는 1970년대 서구신종교들의 부흥과 더불어 스웨덴, 이탈리아, 영국, 미국의 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연구소와 지역학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2009년에 국제학회를 결성하고 국제저널을 출판하고 있다. 2011년 처음으로 동양에서 세계대회가 개최됨으로써 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활발한 상호 교류가 기대된다. 둘째로 대만의 유불선 다종교상황에서 기독교 사립대학 알레떼이아대학교(眞理大學校)의 대회유치는 세계 신종교학회의 학문적 위상과 연구범위를 잘 보여준다. 단순히 제도종교나 신종교 종단에 대한 연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와 이슬람을 포함한 기존 세계종교들의 새로운 변화들과 종교문화 콘텐츠의 종교성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보여준다. 셋째로 발표된 논문들의 내용을 분석해 볼 때 학제 간 연구, 사회과학적 접근, 종교문화의 콘텐츠분석, 비교종교연구 등이 연구의 주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넷째, 학술대회에 이어 마련된 대만지역 종교문화답사는 세계의 학자들이 대만의 종교인들을 직접 조우하며 ``살아있는 종교박물관``으로서 대만의 다종교상황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종교학회는 국제학술대회에 대한 지속적 참가와 학술교류를 위한 제반여건을 강화하고 신종교 관련 전문연구소들과 유관 학회들과의 긴밀한 협조를 이루어 장기적 안목에서 세계 신종교학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ask and respec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KANR) by analyzing the 2011 Cesnur Taiwan Conference. Taiwan Conferenc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re is a paradigm shift from the West to the East in the study of new religions. Scholars of Sweden, Italy, UK, and USA have played major roles in studying new religions in the West since the 1970s. In 2009, they founde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New Religions (ISSNR), publishing its English journal twice a year. Taiwan Conference was the first conference held in Asia. We can expect active interchanges between KANR and international societies. Second, the multi-religious situat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aiwan and a Christian host institution, Aletheia University, reflect the present academic concern and boundary of ISSNR. The object of study covers institutional religions, new religious groups, new trends of existing religions, and religiosity of religious culture contents. Third, by classifying more than 50 papers delivered at the confer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social science approaches, contents analysis of religious culture, and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are major trends. Fourth, post-conference excursion was very helpful for scholars to participate local festivals and to visit major Taiwanese religious communities. In conclusion,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needs to keep continual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scholars through conferences and communications. Strengthening the research abilities to study new religions and cooperating with other academic groups, KANR should create the creative environment to hold the nex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new religions.

      • KCI등재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의 신종교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신정론(Theodicy)이란 이 세상에 현존하는 악과 그에 따른 고통 그리고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의를 설명하는 신학적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과 그 고통을 당하는 의인들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다. 이러한 신정론은 오늘날에도 만연하고 있는 고통과 소위 고통 받는 인간 곧 의인 때문에 범종교적인 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의인의 고통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어떤 종교든 관심하는 것이고 신종교 또한 같은 맥락에서 그에 대한 신학적 답변을 요청받고 있다.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은 그 태생적 이유 때문에 대개의 경우 종말론적 신정론을 갖고 있다. 한국의 신종교도 기성종교(established religion)에 대한 종파(sect)의 성격을 갖고 태어났으며, 종파로서의 성격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종말론적 시대경륜론dispensation)을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신종교의 시원으로 볼수 있는 동학(천도교)부터 그 사상적 특징 중 하나가 개벽사상 혹은 지상천국사상인 점을 보면 분명하다. 한국의 신종교는 내세에서의 복락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 신종교의 관심은 현세에서의 구원에 있다. 따라서 내세에 관한 교리가 없거나 미약하며 현세에서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교리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 신종교는 대개의 경우 세월의 흐름에 따른 종말의 지연은 종말론적 신정론의 유형변화를 운명적으로 겪게 되었다. 이는 가치의 문제가 아니고 정체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종파로서의 신종교가 발전하여 기성종교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유형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도 변화한다면 태생적 조건은 한계가 될 것이며 그러한 한국 신종교의 유형변화는 자신의 종말론적 역동성을 잃게 하며 그로 인해 한국사회에서 무시되고 결국은 도외시될 것이다.신정론이 종교문화를 형성하는 이데올로기라면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 유형변화는 한국의 신종교가 형성해온 종교문화의 지형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신정론 유형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모색하지 않는 한국의 신종교는 생존을 가름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음을 성찰해야 할 것이다. Theodicy is a theological reflection on God`s justice explaining the reality of evil and its accompanying pain. Especially, Why do righteous people suffer from pain without any reason? How can they be consoled? Where is righteous God? Christian theology responds to these questions in the name of theodicy as well known. However,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pervasive pain is not only Christian problem but also all religions` problem. That is,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 people`s pain is the matter of concern to all religions including new religions. The pain of modern society results from social structure more than personal immorality. Theodicy can be politics of praxis to overcome the reality of pain and evil. Therefore,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 theological dialectic of the reality of sin and evil, and the participation in salvation today.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n active participation in God`s future against the reality of sin and evil. Consequently, it will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type of theodicy in sociology of religion and the politics of theodicy of Korean new religions. Generally, new Korean religions inherently have eschatological theodicy. However, as the time goes by, the delay of the end of the world causes the change of theodicy type. This is not the problem of virtue but identity. A sect of religion may become an established religion later. But if the change of theodicy type causes the change of identity, it is possible to loose the eschatological activity of new religion. It could result in disregard in Korean society. If theodicy is an ideology establishing religious culture, the change of theodicy type will make change in the culture of new Korean religions. Therefore, appropriate reaction of new Korean religion is necessary for their survival.

      • KCI등재

        한국전쟁이 신종교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교를 중심으로-

        양편승 ( Pyun Seung Yang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한국전쟁의 발발원인을 3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먼저 좌측 스펙트럼에 따르면 한국전쟁의 원인을 ``북한남침설``이라는 시각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우측 스펙트럼에 따른 한국전쟁의 원인은 ``세계전략설``로 보고 있다. 이 설은 스탈린이 적극적으로 남침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소련, 중국, 북한이 삼각공고체제를 구축하면서 남침을 준비했다는 이론이다. 마지막으로 중간 스펙트럼은 한국전쟁의 원인을 롤백전략설로 설명하고 있다. 스탈린의 롤백전략을 저지하기 위해 미국이 한국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는 이론을 말한다. 다음으로 한국전쟁이 신종교 형성에 미친 영향은 해방 전후 생겨난 영적 집단과 신종교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몇 가지로 요약하면, 민족사적 재난신드롬이 촉발되었고, 개신교계 반공주의자가 형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기독교 신령집단 및 신종교의 등장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끝으로, 한국전쟁이 통일교 형성에 미친 영향은 한국전쟁을 전후해서 창립된 통일교는 한국전쟁의 현장에서 직접 고난과 역경을 체험하면서 직접 많은 영향을 받았다. 여타의 신종교와 같이 한국전쟁이라는 고난의 현장 속에서 재난증후군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통일교의 교리 가운데는 선민사상과 메시아의 대망사상 그리고 천년왕국사상 등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재난증후군을 통해서만 이러한 특징들이 생겨난 것은 아니지만 일정 부분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한국전쟁은 동족간의 비극적인 사건으로서 엄청난 인적, 물적 손실을 가져다 준 가슴 아픈 사건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 속에서 한민족이 세계의 선민으로서 이 땅에 메시아를 맞이하기 위한 탕감복귀섭리의 관점으로 한국전쟁을 새롭게 이해하고 인식하려고 한다. This essay explains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from the viewpoint of three sides. First is the left-side spectrum lays its view on the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Second is the right-side spectrum that stresses the view on the World Strategy as the cause of the Korean War. This is a viewpoint that Stalin had willingly controlled the invasion of South Korea and planned the solidity of Soviet Union, China, and North Korea. The last is the mid-point spectrum of the view toward the Rollback Strategy. It`s a theory that America entered into war to prevent Soviet Union`s Rollback Strategy from realizing.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on the formation of new religions can be summed in a few key points such as the eruption of national and historical disaster syndrome, the coming of anticommunism by the Protestantism, and the emergence of spiritual movement and new religions based on the Christianity. Lastly, the effect of the Korean War on the formation of the Unificationism is that after the war it endured many hardships first hand similar to other new religions that were influenced by the disaster syndrome. In its doctrine, there is an idea for the chosen people, the belief of waiting for the Messiah, the belief of the millennial kingdom, and the nationalism sentiment. Although these elements do not always happen through the disaster syndrom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disaster syndrome had partial effects. The Korean War was a tragic event of a fight between the people of the same nation that had resulted in a mass casualty of both humans and resources. But this essay has a motive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war as the indemnity of foundation for restoration and the preparation for Koreans as the chosen people to greet the Messiah.

      • KCI등재

        근,현대 한국 신종교 주문(呪文)에 나타난 한국인의 종교심성 연구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근·현대 한국 신종교(新宗敎)의 연구는 이제 개별적 종교의 소개나 단순 비교의 차원을 넘어서 보다 심층적(深層的)이고 통합적 시각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종교 각각을 관통하는 공통의 주제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가 관심을 갖는 주문(呪文)에 대한 연구는 종교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의미하면서도 중요한 종교적 핵심코드(Core code)가 된다. 한국 신종교가 가진 주문(呪文)의 유형과 내용분석, 사상적 연원 탐구 그리고 종교적 수행과 의례에서의 의미 등을 탐색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신종교를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종교적 의미와 신앙체계(Belief system)와 한국 민중들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종교적 심성의 원형(原型, Archetype)을 발견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 사상적 연원(Origin of thought)을 확인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의 신종교는 1860년 수운 최제우의 동학 창도이후 해방 전 12계통 백여 단체를 헤아릴 정도로 그 수와 규모면에서 대단하였으며, 해방 후 14계통 4백여 개까지되었으나, 현재는 3백여 개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신종교에서는 그 신행의 방법으로 다양한 주문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근현대 역사 속에서 그 종교적 역할과 명맥을 수행하고 있는 중요한 신종교의 주문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 신종교의 주문에 나타난 한국인의 주요한 종교심성은 천(天) 기(氣) 심(心)등의 핵심개념과 이에 대한 믿음과 수행의 체계 등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인 고유의 종교심성은 근현대 역사 속에서 매운 심한 혼돈 속에 빠져들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념들이 각종 교육과 수행 등을 통해서 현대 한국인들의 생활과 의식 속에 자리 잡게 될 때, 현대사회의 많은 문제점들도 치유될 수 있는 그 방향을 찾을수 있으리라고 예상해 본다. The study of Korean new religi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requires in-depth and integral perspective research rather than introduction of individual religion or simple comparison. In such research methodology, common theme penetrating every new religion is important element. In this research, religious spell or holy words has been dealt as an important and significant religious core code for understanding them. On the process of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type and content of religious spell, investigation of ideological origin, and meaning in religious practice and ceremony, we can find out the religious significance and the belief system commonly penetrating Korean new religions, an archetype of religious nature of Korean people`s originally own, and furthermore, origin of thoughts. Korean new religion presently assumes to be remaining three hundreds organizations, soon after establishment of Donghak by Choi Je-Woo in 1860 was a hundreds organizations in twelve religious groups, and after the independence was, flourished in numbers and size, four hundreds organizations in fourteen groups. Those Korean new religions are using various religious spells for their belief and practice methods. This research has dealt with religious spells in important new religions taking significant role and continuing tradition of their relig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is research has found out that important religious nature of Korean is core concepts as like heaven(天), energy(氣), mind(心), and so on, and the structure of belief and practice in them. It also identify that religious nature of Korean was intactly melted in thos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new religions. However, such religious nature of Korean was sunken in tremendous confus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evertheless, in the tenets and thoughts of Korean new religion silently kept Korean calm religious nature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specially in the religious spells used in those religions, they contains core concepts to heal emotional pathological phenomena of contemporary society. We can expect that when those concepts are located in the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Korean by various education or practice, then diverse matters of contemporary society can be cured.

      • KCI등재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연구방법론의 제기로부터 표제어 추출까지-

        김도공 ( Do Gong Kim ),윤승용 ( Seung Yong Yun ),고시용 ( Shi Yong Ko ),김항제 ( Hang Je Kim ),원영상 ( Yeong Sang Won ),권동우 ( Dong Woo Kwon ),허남진 ( Nam Jin He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 신종교의 역사?교리?교조?조직?의례?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사전(事典)으로 편찬하기 위한 기초 방법론의 제시와 표제어추출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신종교사전의 편찬은 향후 신종교 관련 연구 및 일반적 활용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근현대 한국문화의 연구를 위한학술 인프라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작업은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①신종교 관련자료의 조사, ②범주분류, ③표제어 추출이다.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분류체계는 크게 대분야, 중분야, 소분야로 하며,그 하위구조에 집필해 갈 구조를 다시 10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대분야는 자생신종교, 불교신종교, 기독교신종교, 외래신종교, 신종교(학)일반/신영성운동이다. 사전집필의 범주구분은 교단명, 인물, 교리/사상, 역사/사건, 의례/상징/문화예술, 문헌, 단체, 유적/성지, 조직/제도, 기타로 대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표제어를추출하였다. 표제어는 각 교단의 한국종교문화사적 위상 및 연구 성과, 대사회적활동 등을 고려하여 대항목, 중항목, 소/세항목으로 구분·기술하도록 하였다. 항목 표제어 추출은 ①기초자료조사를 통한 표제어 추출, ②공동연구를 통한 1,2차 점검,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을 거쳐 완성하였다. ①기초자료조사를통한 표제어 추출은 문헌조사, 웹사이트를 통한 자료수집, 실태조사에 의한 확인으로 진행하였다. ②공동연구를 통한 1, 2차 점검 및 수정을 통해 대/중/소항목의 비율을 조정하고, 표제어 선정기준 및 원칙을 세워 ??한국신종교사전??에 적합한 표제어를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각 범주에 대한 표제어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인 편찬위원들의 문제제기 및 의견을 수용하여 표제어의 전반적인 수정을 가하여 최종 점검을 받은 후 표제어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tically review histories, doctrines, organizations, religious rituals, and cultures for the Korean new religions in the modern history and to suggest the methodology and entry word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may serve a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further related studies and general uses, and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cademic infra-structure for studying the modern Korean culture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1) reviewing the related data and references, 2)classifying categories, and 3) suggesting entry words in new religions.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consists of three scales (large, medium, and small) according to fields, includes the 10 categories as its sub-schemes. The large category is classified into 5 fields such as 1) native new religions, 2) Buddhist new religions, 3)Christian new religions, 4) foreign new religions, and 5) general new religions/new spiritual activities. The 10 categories of its subscheme is 1) religion title, 2) central figures, 3) discipline/thought,4) history/evenement, 5) ceremony/symbol/culture and art, 6)documents, 7) foundations, 8) historic site and shrine, 9) organization and system and 10) the others. The entry words are originated from these categories. The entry words are classified and described into the three types of articles :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status, academic results, social activities for each entry word. The process for suggesting entry words passed through the three steps such as 1) sampling entry words based on the review for basic data and references, 2) the two times checking co-works and study, and 3) the final checking discussion by the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The second step had made adjustments tothe ratios of large, medium, and small articl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hecking works and suggested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sampling entry words. In the last step,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had made the final check through various problem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for entry words and come to the definite decision for entry words.

      • KCI등재

        한국SGI 성장의 차원에서 본 부산의 포교와 발전-SGI 전개와 문화회관의 형성을 중심으로-

        김현석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7 No.-

        Korea SGI stands for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a new religion that started its activities when the Japanese Soka Gakkai (創価学会) was introduced into Korea. The Soka Gakkai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ligious groups of new religions of Japanese origin, enjoying a fairly stable religious influence compared to other new religions. Established model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Soka Gakkai, Korea SGI operates with its own sub-organizations and has ‘Districts’ [方面] centered around a large city as well as ‘Zones’ [圈] in the sub-administrative regions of the city. As of August 2022, Korean SGI is known to have 46 Districts and 146 Zones across the country. The fact that a city has well-established Districts and Zones means that the city has a large number of members and well-established Culture Centers for them. Culture Centers are religious facilities of SGI Korea, where its members can engage in basic religious activities, thus serving as the most active hubs for the believers. Currently, the Districts, Zones, and Culture Centers are most well established in the cities of Busan and Daegu, as well as in Seoul and Gyeonggi-do. All these regions have in common that the members of the Soka Gakkai formed small organizations from the time the Soka Gakkai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that makes them considerably significant in the propagation history of Korea SGI in Korea. This is why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 SGI in Busan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its propagation there. In the past, Busan served as the Busan-Gyeongsang General Headquarters of Korea SGI, which was later divided into three General Headquarters, and then started to expand its influence while carrying out its regional activities. These three General Headquarters later developed into ‘Zones,’ which underwent the process of being divided into smaller ‘Zones’ several times over time and played a key role in shaping the’Districts’ and ‘Zones’ in present-day Busan. Of course, Busan witnessed the development of Culture Centers along the way, establishing 13 Culture Centers. However, the believers in the Yeongdo Zone could not keep their own Culture Center recently and are renting out the Culture Center instead, which means that Busan currently operates and manages 12 Culture Centers. Nevertheless, Busan still boasts of the second most Districts, Zones, and Culture Centers after Seoul and Gyeonggi-do, and this proves that there are many active believers in Busan with a stable religious influence.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Korea SGI,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its Culture Centers, and the spread of SGI Korea in Busan from the time the Soka Gakkai was introduced to the present day.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an understanding of what the process of the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 SGI looked like in Busan,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stabilizing Korea SGI today, will be of great help to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urrent status of its propagation in Korea. 한국SGI는 한국 창가학회(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라는 의미로 일본의 창가학회(創価学会)가 국내로 유입되면서 활동을 시작한 종교이다. 오늘날 일본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종교 단체 중 하나로 다른 신종교와 비교해도 상당히 안정적인 교세를 보인다. 일본 창가학회의 조직구조를 참고하여 확립한 한국SGI는 큰 도시를 중심으로 방면(方面)을 구성하고, 그 도시의 하위 행정 지역을 권(圈)으로 구축하여 다시 한국SGI 나름의 아래 조직을 두고 활동을 하고 있다. 2022년 8월 기준 한국SGI는 46개의 방면, 146개의 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방면과 권이 고루 확립된 도시가 그만큼 신자들도 많고, 신자들이 이용하는 문화회관도 잘 구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문화회관은 한국SGI의 종교시설로 신자들의 기초적인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므로 접근이 가장 활발한 장소이기도 하다. 현재 방면과 권, 그리고 문화회관은 서울과 경기도를 비롯한 부산과 대구가 가장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역은 창가학회가 유입될 시기부터 작은 조직을 형성하여 활동한 도시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한국SGI에서도 상당히 의미가 있고, 중요한 도시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연구에서는 먼저 부산에 집중하여 부산의 한국SGI 유입과 전개 과정 그리고 오늘날의 포교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부산은 과거 경상남도와 함께 부산에 거점을 두고 부(산)경(남)총합본부로 활동을 하였다. 이후 3개의 총합본부로 나뉘면서 본격적으로 지역적 활동을 개시해나가며, 부산의 교세를 넓혀나갔다. 이 3개의 총합본부는 훗날 권으로 발전하여 몇 번의 분권을 거치면서 오늘날 부산의 방면과 권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문화회관도 함께 발전하여 13개의 문화회관을 구축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영도권 신자들의 회관이 없어지면서 임차회관을 이용하고 있다. 고로 현재 부산은 12개의 문화회관을 운영ㆍ관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방면과 권, 문화회관의 현황은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3번째로 많은 도시이다. 그만큼 활동하는 신자가 있고, 교세 또한 안정되어 있다는 방증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SGI의 조직체계와 문화회관의 전개와 현황을 부산이라는 도시에 적용하여 창가학회로 유입될 당시부터 오늘날까지의 부산은 어떠한 전개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SGI가 포교가 되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오늘날 한국SGI의 교세의 안정화에 큰 역할을 한 부산의 포교와 발전 과정을 파악한다면 필시 한국SGI의 국내 전개 과정과 포교 현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새교회의 한국사회 이식과정과 그 의미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3 신종교연구 Vol.28 No.-

        종교적 대안으로서의 신종교는 대개의 경우 창시자와 그 종교적 비전에 따른다. 새교회도 마찬가지다. 새교회는 스베덴보리라고 하는 영적 선각자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새교회의 한국사회 이식과정과 그 의미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베덴보리를 알아야 하며 그를 추종해 만들어진 새교회를 살펴야 할 것이다. 또한 한 종교가 태생지를 떠나 다른 사회에 이식될 때는 한 종교의 선교적 열망에 기초하는 것이 분명하나 이식된 사회의 역사 사회적 맥락도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이해의 방법이다. 특히 신종교가 이식될 때 그리고 발전할 때의 그 사회의 역사 사회적 맥락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사회에는 새교회가 이식되기 전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이 먼저 들어왔다.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이 신비주의 곧 하나님의 직접체험을 말하는 것이고 그렇게 하려면 하나님의 거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 영계를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스베덴보리는 『천국과 지옥』을 통해 직접 체험의 결과를 증거 했고 한국의 기독교 신비주의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기독교 신비주의가 기초하고 있는 천국과 영계에 대한 확신과 메시아 재림의 소명은 새교회를 탄생시킨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에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면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의 유입이 곧 새교회의 한국사회 이식은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의 새교회 이식의 본격적인 시기는 해방 후이며 이식 이후 한국의 새교회는 종파 유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새교회의 한국사회 이식에서 나타나는 의미는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이 한국에 유입되어 한국의 기독교 신비주의 운동에 사상적 기여를 한 것과는 다른 면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해방이라고 종말의 지연과 해방 후 한국 기독교회의 억압적 이단 사냥으로 인한 핍박으로 한국의 새교회는 여타 한국의 외래 기독교계 신종교처럼 그 발전의 동인과 명맥의 유지를 위한 기초를 놓을 수조차 힘들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새교회가 한국사회에 이식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의미를 찾기는 힘들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도 엄연히 살아 있는 한국의 새교회는 그 교세와는 별도로 존재 자체의 의미는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도 한국의 새교회에서는 찬송과 성문서의 출판 그리고 그에 기초한 설교와 예배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New religion as a religious alternative often follows it founder and his religious vision. It is also the case of New Church. New Church has its root at a spiritual pioneer Emanuel Swedenborg. Therefore, in order to find the process of New Church Dissemination in Korean Society and its significance, we must first understand Emanuel Swedenborg and look at New Church founded after him. Also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is an important background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Before New Church came to Korea, Swedenborg`s religious ideology was delivered first. Swedenborg`s religious ideology was mysticism, in other words, a direct experience of God. He asserted that we must find the spiritual realm in which God dwells to achieve it. He gave a testimony of his direct experience through Heaven and Hell, which is considered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mysticism in Korean Christianity. We can see that the belief in kingdom of God and spiritual world on which Korean mysticism in Christianity is based is linked with Swedenborg`s religious ideology which gave a birth to New Church, and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Nevertheless, the official spread of Korean New Church was after the liberation, and after the spread, Korean New Church has not overcome being merely one religious sect.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New Church in Korean society should be found in another aspect other than the ideological contribution of Swedenborg`s religious ideology. Prosecuted under the repressive hunting of heresy in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New Church could not even constitute the base required for survival and development equally with other foreign Christian churches in Korea. Despite, Korean New Church continues its thread with dignity even now, and the survival itself has a great significance separate from expansion. Publication of prayers and holy scriptures, and sermons and chapels go on in Korean New Church even today.

      • KCI등재후보

        기독교신종교운동으로서의 통일교와 한국적영성

        김항제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8 No.-

        신종교운동은 기성종교가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해 대안적 성격을 갖는다. 기성종교는 제도에 얽매여 폐쇄적이 되거나 피안을 강조함으로써 현세적 윤리에 무관심을 자초한다. 뿐만 아니라 현실을 타파함으로써 미래를 이상으로 맞이하고자 하는 열정은 무뎌져 현상을 유지하고자 하는 기성종교는 신종교 탄생의 근거가 된다. 따라서 신종교운동의 생성은 기성종교의 종교적 전승과 비전에서 찾을 수 있다. 기성종교의 종교적 전승은 변화하여 쌓이며 그러한 종교적 전승은 이데올로기가 되어 기성화 한다. 나아가 이데올로기화한 종교적 전승은 종교적 비전을 여여하지 못하게 한다. 종교가 잉태해온 미래를 결코 희망이 되지 못하게 한다. 처음 세운 비전을 왜곡하기 일 수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종교적 전승이란 한 종교문화의 역사적 축적이다. 한 종교의 종교의례 신조, 경전, 신학, 제도, 관습, 법, 문화적 유산 전체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인류의 종교사를 단순히 하나의 전승으로서 상징화하는 것은 피상적이며, 오히려 그 상징이 그것을 믿는 사람들에게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여 개인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적으로 그 종교의 이해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종교적 전승의 바른 이해는 한 종교의 이해에 접근하는 타당한 길이 될 수 있다. 또한 종교적 비전(vision)이란 어떤 종교의 미래에 대한 희망이요 약속이라고 할 수 있다. 곧 한 종교의 궁극적 목표인 이상사회에 대한 꿈이다. 완전한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것은 비단 종교만의 비전은 아니나, 종교적 비전만큼 강렬한 것도 없다. 거개의 종교가 완전사회에 대한 열망으로 그들 신앙의 지표를 형성하고 있다. 기독교의 하나님나라 혹은 보다 구체적인 천년왕국에 대한 이상이 있다. 그 외에 신종교에도 각기 자신의 비전에 따라 이상세계를 향한 그들의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따라서 종교적 비전은 신앙과 그 신앙에 대한 실천의지이기 때문에 종교적 비전이야말로 종교이해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니까 한 종교의 종교적 비전은 무엇이며, 그를 성취하기 위한 신앙적 실천의지는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하는 점을 살펴 종교를 이해한다는 것은 종교적 전승을 통한 종교이해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신종교운동으로서의 통일교도 마찬가지다. 통일교가 기독교의 신종교운동인 점은 기독교의 전승과 비전에서 찾아져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 통일교의 전승적 토대를 이루고 있는 유대교와 기독교 그리고 기독교와 통일교를 위에서 언급한 종교적 전승과 비전에서 살필 것이며 아울러 통일교가 담지하고 있는 한국적 영성을 말하고자 한다. 결론은 이렇다. 통일교는 분명히 한국에서 자생한 신종교다. 종교적 전승에서 보면 한국의 기독교 신종교임에 틀림없으나 종교적 비전에서 보면 한국적 영성을 담지하고 있는 한국의 신종교라고 해도 크게 어긋남이 없을 것이다. New religious movements try to make an alternative proposal due to the problems of existing religions. Often the existing religions are institutionalized to be exclusive or are uninterested in the ethics of this world for the emphasis on existence after death. In addition, as they are busy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status, the passion for the ideal is getting cold. These cause the emergence of new religions. Consequently, the emergence of new religions can be inferred from the religious transmission and vision of the existing religions. In many cases the accumulation of the religious traditions of existing religions has become an ideologythat brings about the loss of religious vision and hope. On the one hand, religious tradition is the historical accumulations of religious culture comprising religious ceremony, creed, scripture, theology, institution, custom, law and all other cultural heritage. Accordingly, a goodunderstanding of a religion means a good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tradition. On the other hand, religious vision is the hope and promise of future. In other words, a dream of ideal society is the ultimate goal. The passion towards a perfect society is quite strong, for instance, the Kingdom of God by Christians or other similar worlds by new religious movem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igious vision of a religion ifyou really want to, understand the religion. The same goes for the Unification Church as a new religious movement. The Unification Church is a new Christian religious movement. For that reason, I will look at the religious transmission from Judaism to the Christian Church that forms the basis of the Unification Church as well as the Korean spirituality in the Unification Church. In the end, the Unification Church is a new Christian movement in terms of religious tradition and a new Korean religion in terms of religious vision.

      • KCI등재

        신종교복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신광철 ( Kwang-cheol Shin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5 No.-

        복식은 신종교의 특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복식학 분야에서 신종교복식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종교학 분야에서의 신종교복식 연구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종교에서 복식은 성스러움을 실제적으로 체감하게끔 돕는 일종의 실감 미디어로서 기능한다. 이는 신종교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필자는 복식학 분야에서의 신종교복식 연구에 대한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종교학 분야에서의 신종교복식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 실마리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복식학 분야의 신종교복식 연구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이러한 연구들이 신종교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보기는 어려웠다. 이는 복식학 분야의 신종교복식 연구가 실물로서의 복식에 집중된 까닭이며, 신종교복식이 지니는 의례적 차원 및 상징적 측면에 대한 조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신종교복식이 지닌 의례적 차원 및 상징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종교학의 과제로 남는다. 궁극적으로는, `종교와 음식`, `종교와 건축`과 같이 `종교와 복식`에 대한 담론을 구축하는 데로까지 나아가야 할 것이다. Costume is one of important indicators to exhibit characteristics of new religions. Research about new religions` costume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has been nonexistent actually, while that in the field of costume studies comparatively active. Religious costume functions as a sort of medium to help us feel sacredness practically. This phenomenon is more remarkable in new religions. I tried to get clue to direction of new religions` costume research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by reviewing the present situation of new religions` costume in the field of costume studies. Reviewing research about new religions` costume in costume studies, it is difficult to say these researches of costume studies about new religions` costume stand on the basis of full understanding of new religions. I think there are two reasons about that. One is that the research of costume studies about new religions` costume is concentrated on costume as real object. The other is that the prospect about ritual and symbolic aspects of new religions` costume. Therefore the research about ritual/symbolic aspects of new religions` costume becomes a task of religious studies.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scourse about `religion and costume` such as `religion and food` and `religion and architect`.

      • KCI등재

        일본 신종교의 문화사업과 콘텐츠 -일본 창가학회(創價學會)의 활동을 중심으로-

        제점숙 ( Jum-suk Je )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9 No.-

        종교의 문화사업 및 콘텐츠와 관련하여 일본 신종교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특징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신종교 중 가장 많은 신자수를 확보하고 있는 창가학회를 대상으로 문화사업과 콘텐츠에 대해 고찰하였다. 창가학회 문화사업은 인류가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평화, 환경, 빈곤 등의 전 지구적 문제에 기반해 다채로운 사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사업 활동 속에는 종교적 색채는 그리 농후하지 않지만, 그 중심에는 이케다 다이사쿠라는 인물이 자리하고 있었다. 결국, 창가학회의 사회공헌 활동은 창가학회라는 종교로 귀결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창가학회 콘텐츠는 일반인이 아닌 회원을 주 대상으로 제작하고 있었지만, 온라인 스토어나 만화, CM, 영상 등과 같이 일반인들도 전혀 거부감 없이 접근 할 수 있도록 흥미롭게 구성되어 있다. 즉, 콘텐츠를 통한 직·간접적 종교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창가학회의 문화사업과 콘텐츠는 종교활동과 공익을 위한 사회 활동의 경계가 애매한 가운데서 실시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애매한 경계를 종교 활동과 공익 활동으로 명확히 구분 짓기보다는 오늘날은 이러한 현상 그 자체를 일본 신종교의 종교 활동 그 자체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case of Japanese new religion, concerning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the religion and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Soka Gakkai, which secures the greatest number of believers among the new religions. Based on issues such as peace, environment and poverty that humanity faces in common, Soka Gakkai cultural programs develop varies social activities related to them. And yet, in these cultural programs, there is no strong religious color. In the meantime, the production of the Soka Gakkai contents is mainly targeted on its members instead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they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public can approach without any repulsion, e.g. Online store, cartoon, CM and video. In other words, direct or indirect religious activities are conducted through the contents. Like this,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Soka Gakkai are implemented while the boundary between its religious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public interest is vague. It is necessary to accept this phenomenon as a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new religion, rather than clearly separating this vague boundary into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activities for the public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