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순역 경계 속의 신행방법론 -원불교의 입장에서-

        김도공 ( Do Gong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7 No.2

        역경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싫어하고 피하고 싶은 상황이다. 그러나 피하고자 하나 피할 수 없는 것이 인간이 처한 삶의 현실이다. 순경은 인간이 겪게 되는 즐겁고 편안한 현실을 말한다. 이는 누구나 원하지만 원하는 만큼 가질 수가 없다. 원불교에서는 순경과 역경이라는 하는 삶의 현장을 신앙과 수행의 터전으로 만들고자 한다. 그 핵심의 내용이 ``고락에 대한 법문``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그 구체적 방법은 원불교 수행의 기본 원리인 삼학(三學)에 기초하고 있으며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는 신앙과도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리고 구체적인 삶의 현장인 순경과 역경이 그 극복에만 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순역경계 및 고락을 초월한 자리인 자성극락자리에 부합되고자 하는 것에 있다. 고락을 초월한 자성극락자리는 원불교에서 표방하는 일원상 진리의 궁극의 자리와도 하나로 부합되는 경지와 다름이 없다. 전체적으로 본 논고는 순경과 역경이라고 하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원불교적 신앙과 수행의 방법은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이었다. 경전의 가르침이 교리적 설명과 나열로 이해되는 것에 머물지 않기를 바라고 그 가르침이 항상 삶 속에서 적용되어 의미 있게 작동되었으면 하는 의도에서 작성한 논문이다. Adversity is a circumstances that every human being hates and wants to avoid. Wishing to escape but unable reality is also all human beings` facing life. Favorable circumstances is a happy and peaceful reality of human experience. Everyone wishes to have but not able to experience as much as they want. Won-Buddhism is to make those favorable and adverse reality of life as a ground of faith and practice. It core teaching is contained in "the dharma instruction of suffering and happiness." Its practical methodology is based on the Three Studies, the essential principle of Won-Buddhist practice, and its context is closely related with faith. The object of favorable and adverse circumstances is not only focused on overcoming them, but also is to correspond with the state of own nature and ultimate happiness, which transcend those favorable and adverse circumstances and suffering and happiness. The state of own nature and ultimate happiness transcending suffering and happiness is no difference with a state of ultimate truth of Il-Won-Sang, Won-Buddhism proclaims. Generally, this article is trying to investigate that what are the methodologies of faith and practice of Won-Buddhism in favorable and adverse reality of practical life. This is written with an intention that teaching of the Won-Buddhist scriptures are not to be comprehended only as doctrinal explanation or enumeration, but the teaching is to be applied, useful and alive in practical life of people.

      • KCI등재

        근,현대 한국 신종교 주문(呪文)에 나타난 한국인의 종교심성 연구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근·현대 한국 신종교(新宗敎)의 연구는 이제 개별적 종교의 소개나 단순 비교의 차원을 넘어서 보다 심층적(深層的)이고 통합적 시각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종교 각각을 관통하는 공통의 주제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가 관심을 갖는 주문(呪文)에 대한 연구는 종교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의미하면서도 중요한 종교적 핵심코드(Core code)가 된다. 한국 신종교가 가진 주문(呪文)의 유형과 내용분석, 사상적 연원 탐구 그리고 종교적 수행과 의례에서의 의미 등을 탐색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신종교를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종교적 의미와 신앙체계(Belief system)와 한국 민중들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종교적 심성의 원형(原型, Archetype)을 발견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 사상적 연원(Origin of thought)을 확인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의 신종교는 1860년 수운 최제우의 동학 창도이후 해방 전 12계통 백여 단체를 헤아릴 정도로 그 수와 규모면에서 대단하였으며, 해방 후 14계통 4백여 개까지되었으나, 현재는 3백여 개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신종교에서는 그 신행의 방법으로 다양한 주문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근현대 역사 속에서 그 종교적 역할과 명맥을 수행하고 있는 중요한 신종교의 주문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 신종교의 주문에 나타난 한국인의 주요한 종교심성은 천(天) 기(氣) 심(心)등의 핵심개념과 이에 대한 믿음과 수행의 체계 등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인 고유의 종교심성은 근현대 역사 속에서 매운 심한 혼돈 속에 빠져들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념들이 각종 교육과 수행 등을 통해서 현대 한국인들의 생활과 의식 속에 자리 잡게 될 때, 현대사회의 많은 문제점들도 치유될 수 있는 그 방향을 찾을수 있으리라고 예상해 본다. The study of Korean new religi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requires in-depth and integral perspective research rather than introduction of individual religion or simple comparison. In such research methodology, common theme penetrating every new religion is important element. In this research, religious spell or holy words has been dealt as an important and significant religious core code for understanding them. On the process of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type and content of religious spell, investigation of ideological origin, and meaning in religious practice and ceremony, we can find out the religious significance and the belief system commonly penetrating Korean new religions, an archetype of religious nature of Korean people`s originally own, and furthermore, origin of thoughts. Korean new religion presently assumes to be remaining three hundreds organizations, soon after establishment of Donghak by Choi Je-Woo in 1860 was a hundreds organizations in twelve religious groups, and after the independence was, flourished in numbers and size, four hundreds organizations in fourteen groups. Those Korean new religions are using various religious spells for their belief and practice methods. This research has dealt with religious spells in important new religions taking significant role and continuing tradition of their relig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is research has found out that important religious nature of Korean is core concepts as like heaven(天), energy(氣), mind(心), and so on, and the structure of belief and practice in them. It also identify that religious nature of Korean was intactly melted in thos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new religions. However, such religious nature of Korean was sunken in tremendous confus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evertheless, in the tenets and thoughts of Korean new religion silently kept Korean calm religious nature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specially in the religious spells used in those religions, they contains core concepts to heal emotional pathological phenomena of contemporary society. We can expect that when those concepts are located in the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Korean by various education or practice, then diverse matters of contemporary society can be cured.

      • KCI등재

        기획논문: 신종교와 음식(2) : 원불교 음식문화의 종교적 함의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5 신종교연구 Vol.32 No.-

        지구촌의 각 지역의 음식문화에 종교가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 문화인류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종교는 그 지역 여건, 위생과 보건문제, 식량의 적정한 배분 문제와 같은 현실적 문제에 대하여 보다 적절한 방향으로 사회를 이끌려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왔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지구촌사회를 보면 과거의 전통적 음식문화를 고수하고 있는 부분도 있지만 최근 인류의 음식문화는 기존의 관습에서 많은 부분에서 벗어나고 있다. 각종 종교적 금기와 계율로부터 자유로워진 인류는 먹이에서 음식으로 요리를 거치면서 거대한 욕망과 탐심을 추구하는 음식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인간중심의 음식문화는 많은 생명의 희생을 통해서 유지되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곳에서는 아직도 기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반면, 넘치게 가지고 있어서 낭비하거나, 아끼되나룰 생각이 없는 구조가 되어 가고 있다. 모든 인류를 위한 진정한 음식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종교가 절약과 나눔을 위해 음식에 대한 욕망과 탐욕을 반대했었던 다양한 각종 금기와 계율의 근본 취지를 이해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의 음식문화에 깃든 욕망과 탐심을 어떻게 절제하고 모든 인류와 생명을 위해 음식의 절약과 공유의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원불교의 음식 문화 또한 음식은 생명이라는 사상에 바탕하여 생명을 살리고 아끼고 나누는 음식문화를 형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불교의 음식문화에 바탕하여 종교 본래 정신에 맞는 음식문화를 만들어야 할 방향 몇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Generally, religions have som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od cultures of each region in the worldwide global village. Considering the aspect of human culture, religions have played a social role to lead the then society to a more proper direction on actual issues such as regional conditions, public health and sanitation, and food rationing While some have adhered to old traditional food cultures, the much more part of recent food cultures have got out of oldtraditional customs. Free from various religious taboos and precepts, human beings have seek their own appetite and greed of food through the transition from feed and food to haute cuisine. The recent people-oriented food cultures are maintained at the cost of many lives. Nevertheless, some parts of the global village have struggled with starvation, while the other parts have wasted food in the surplus of food or are not used to food sharing for saving. To create the true food culture for all human beings, we have to understand the real meaning of old religious taboos and precepts against food appetite and greed for food saving and sharing. In this point, we should make an effort to find how to rid ourselves of excessive food appetite and greed and how to save and share food for all human beings and lives. Also, Wonbuddhist food culture is no exception for the effort. In this point, this paper is to suggest several ways for creating the food cultures, satisfying the religious original meanings for food cultures.

      • KCI등재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연구방법론의 제기로부터 표제어 추출까지-

        김도공 ( Do Gong Kim ),윤승용 ( Seung Yong Yun ),고시용 ( Shi Yong Ko ),항제 ( Hang Je Kim ),원영상 ( Yeong Sang Won ),권동우 ( Dong Woo Kwon ),허남진 ( Nam Jin He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 신종교의 역사?교리?교조?조직?의례?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사전(事典)으로 편찬하기 위한 기초 방법론의 제시와 표제어추출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신종교사전의 편찬은 향후 신종교 관련 연구 및 일반적 활용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근현대 한국문화의 연구를 위한학술 인프라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작업은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①신종교 관련자료의 조사, ②범주분류, ③표제어 추출이다.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분류체계는 크게 대분야, 중분야, 소분야로 하며,그 하위구조에 집필해 갈 구조를 다시 10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대분야는 자생신종교, 불교신종교, 기독교신종교, 외래신종교, 신종교(학)일반/신영성운동이다. 사전집필의 범주구분은 교단명, 인물, 교리/사상, 역사/사건, 의례/상징/문화예술, 문헌, 단체, 유적/성지, 조직/제도, 기타로 대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표제어를추출하였다. 표제어는 각 교단의 한국종교문화사적 위상 및 연구 성과, 대사회적활동 등을 고려하여 대항목, 중항목, 소/세항목으로 구분·기술하도록 하였다. 항목 표제어 추출은 ①기초자료조사를 통한 표제어 추출, ②공동연구를 통한 1,2차 점검,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을 거쳐 완성하였다. ①기초자료조사를통한 표제어 추출은 문헌조사, 웹사이트를 통한 자료수집, 실태조사에 의한 확인으로 진행하였다. ②공동연구를 통한 1, 2차 점검 및 수정을 통해 대/중/소항목의 비율을 조정하고, 표제어 선정기준 및 원칙을 세워 ??한국신종교사전??에 적합한 표제어를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각 범주에 대한 표제어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인 편찬위원들의 문제제기 및 의견을 수용하여 표제어의 전반적인 수정을 가하여 최종 점검을 받은 후 표제어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tically review histories, doctrines, organizations, religious rituals, and cultures for the Korean new religions in the modern history and to suggest the methodology and entry word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may serve a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further related studies and general uses, and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cademic infra-structure for studying the modern Korean culture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1) reviewing the related data and references, 2)classifying categories, and 3) suggesting entry words in new religions.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consists of three scales (large, medium, and small) according to fields, includes the 10 categories as its sub-schemes. The large category is classified into 5 fields such as 1) native new religions, 2) Buddhist new religions, 3)Christian new religions, 4) foreign new religions, and 5) general new religions/new spiritual activities. The 10 categories of its subscheme is 1) religion title, 2) central figures, 3) discipline/thought,4) history/evenement, 5) ceremony/symbol/culture and art, 6)documents, 7) foundations, 8) historic site and shrine, 9) organization and system and 10) the others. The entry words are originated from these categories. The entry words are classified and described into the three types of articles :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status, academic results, social activities for each entry word. The process for suggesting entry words passed through the three steps such as 1) sampling entry words based on the review for basic data and references, 2) the two times checking co-works and study, and 3) the final checking discussion by the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The second step had made adjustments tothe ratios of large, medium, and small articl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hecking works and suggested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sampling entry words. In the last step,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had made the final check through various problem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for entry words and come to the definite decision for entry words.

      • KCI등재

        한국신종교의 생사관과 의례 원불교의 죽음교육과 생사관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4 No.-

        Every religion has tenet on death. Frankly, it can be said that origin of religion begins from the matter of death and the way of it solution. As each religion has its own doctrine on death, the view of death in Won-Buddhism is based on the truth of Il-Won-Sang and accepting rebirth thought from Buddhism. According to such bases, Won-Buddhism suggested, in various places of the tenets, many ways of practices to attain liberation from death. Won-Buddhism does not consider death as disconnection of life, but as natural process of change according to principle of nature and universe. The matter of death can not be able to experience while we are alive and is not able to convey in frame work of intellectual system. Maybe therefore, most of people usually think of death as not their own matter. However, if a solid doctrinal system on the matter of death has established, it can find out much more dynamics in life, and is also able to found a new ideological system which can solve all the matters in modern society in which material and realistic values are reversed. In the modern society which pursues own value through competitions and teaches methods of those competitions, the education on death will be a seeker of meanings of co-existence and life.

      • KCI등재

        원불교 소태산대종사의 대각과 그 교리적 영향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본고는 원불교의 창교자인 `소태산의 깨달음과 그 교리적 영향`이라는 주제이다. 치열한 구도과정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은 소태산은 대각 후에 당시의 세상을 바라보고 그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내세우게 된다. 소태산은 우선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 회상의 기초를 세우기 위한 저축조합운동 방언공사 법인성사의 과정을 거친 후에 일원상 삼학 사은 사요로 이어지는 일련의 교리체계를 제정발표하게 된다. 대각 후 최초로 행한 일련의 활동들이 당시의 민중들에게 현실생활을 합리적으로 타개하기 위한 방법인 저축조합운동과 방언공사였다는 점에서 원불교가 지향하는 종교의 기본 방향을 읽어낼 수 있다. 이어 법인성사에서 보여준 사무여한의 정신은 종교적 운동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법계인증의 과정과 제자들의 정신규합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종교적 신비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원불교 교리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교리인 일원상 삼학 사은 사요는 각각 진리성 회통성 사실성 사회성을 표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모든 교리의 전면에 흐르고 있는 병진성이 원불교 교리의 특징이다. 하지만 이제는 시대는 21세기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시대에 원불교는 진리성 회통성 사실성 사회성 병진성 등으로 요약되는 입각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21세기 한국사회와 세계사조의 흐름에 맞게 교리와 제도를 재해석하는 작업을 해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Wonbuddhism Grand master Sotaesan`s Enlightenment and its dogmatic Influence. Grand Master Sotaesan, who attained his own enlightenment through the intensive courses of seeking after truth, looked over the world in those days after his own enlightenment and established the important concepts of religious belief on the base of truth and real morality training as a way to solve various problems on the world. Sotaesan had firstly solved many pending problems in those days, gone through a serious of the works from Saving Union Movement to the Project of Embankment and Bubinsungsa, and then declared the system of Wonbuddhism doctrines such as Ilwonsang, Samhak, Saun, and Sayo. It can be said that the serious of works such as Saving Union Movement and Project of Embankment after the enlightenment had been conducted as an effort to solve many problems facing on the lives of general people and to find a reasonable way. Through the spirits of the works, we can briefly read the religious direction of Wonbuddhism. And then the spirit of Sacrifice with No Regret viewed in the course of Bubgyeinjeng(Religious authentication of Wonbuddhism) can be said as a mysterious developing which had an important meaning of religious authentication and his disciples`s spiritual gathering to prepare religious movement in earnest. Also, Each of Ilwonsang, Samhak, Saun, and Sayo, which consist of the base of Wonbuddhism Doctrines, represents truthfulness, muturl understanding(會通), reality, and sociality. And then, the spirit of advance side by side of spirit and body can be found on the every place of Wonbuddhism Doctrines and can be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Wonbbuddhism. However, the present of 21century is the transition period to a new world. Upon facing a new world, Wonbuddhism should re-interpret and re-organize its doctrines and systems corresponding with the trend of the 21C Korean society and the new world order with no harm on the spirits of truthfulness, muturl understanding(會通), reality and sociality, and the spirit of advance side by side of spirit and body.

      • KCI등재

        신종교와 수행 ; 원불교의 수행방법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05 신종교연구 Vol.13 No.-

        As an effort searching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Won-buddhism Discipline Theory establishment, this writing attempted to review the mai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t`s Discipline Theory. Through reviewing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t`s Discipline Theory, We found several principles and methods of the Won-buddhist`s Discipline Theory. While some of main principles are fixed, the others can and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ornments and situations of each period. Generally, it is said that a spiritual age is coming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when establishing the main issues of discipline as the most significant of religious cultures, Won-buddhism can meet the 10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as a main actor of a new spiritual age. For this wish, Won-buddhism must clearly re-establish theories about mind structure and principles, reflect the current major considerations to this re-establishing work, and find a way to overcome these considerations ideologically and theoretically. In this point, the current researchers` more efforts and the fostering of more succeeding researchers are required.

      • KCI등재

        원불교 이상사회론의 의미와 해석 방향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이상사회론은 현실사회의 부패와 타락 그리고 그 속에서 벌어지는 혼란과 무질서가 발생의 기본 토양이 된다. 이 속에서 변화를 열망하는 민중들의 바램과 탁월한 지도자의 역량이 서로 어우러질 때 이상사회론이 발생하고 그 이상사회론은 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한다. 현실사회 속에서 이뤄지기 힘들다는 것을 알면서도 포기할 수 없는 것이 바로 이상사회론이다. 유토피아론의 가장 특징은 이상적이라는 것이지만, 그 유토피아론이 현실과 조화를 이루고 현실속에서 변화를 추구할 때 의미가 있다. 상상하는 이상사회가 있기에 그것을 향해 인류의 역사와 문명은 변화해 왔다. 그 변화의 목표점이었던 이상사회는 실제로는 한 번도 이뤄진 적도 없고 이룰 수도 없는 신기루와 같은 이정표이다. 그러나 그 목표점이 있기에 부조리한 현실을 조금씩 조금씩 고쳐온 것이다. 완벽한 이상사회는 이룰 수 없더라고 그곳을 향해가는 과정의 의미, 목표 있음의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고 본다. 원불교의 이상사회론도 단순한 종교적 이상세계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당시의 부조리한 현실을 변혁시키고자 하는 강한 에너지를 모으기 위한 이상사회론이다. 당시의 후천개벽사상과 미륵사상이 그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으며, 미륵불관과 용화회상론에 이상사회에 대한 원불교만의 특징이 담겨있다. 또한 원불교가 그리는 이상사회는 정신문명과 물질문명이 조화를 이루는 세상을 의미한다. 그런 세상의주인공 역학을 하기 위해서는 금강(金剛)같은 성품을 단련하려는 진지한 종교적 영성추구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런 이상사회를 이뤄가는 과정에서 이상사회론이 변질될 소지도 다분하다. 그 변질되지 않는 이상사회론을 위해 합리성과 다원성과 보편성의 가치를 잃지 않아야 된다. 원불교 또한 막연한 국운 도운 교운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실제 그 이상사회론을 실현하기 위해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현실 사회에 대한 건전한 비판과 개혁과 진보의 정신을 잃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The paradigm of ideal society may originate in the negative phenomena of the real society such as chaos and disorder caused in corruption and graft. As the public desire for the new change is combined with the superior ability of leaders in the real society, the paradigm of ideal society can upspring and have strong social influence. Although general people may know the impossibility of the realization for the ideal society, they cannot abandon their own wish for it. A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utopia is ‘too ideal’, the paradigm of utopia can be meaningful in seeking the change in the harmony with the real world. Due to public dream to ideal society, human being`s history and civilization have been steadily developed for it. The ideal society as the goal of change is like the milestone of unachievable mirage. However, due to the goal to the ideal society, our society have steadily improved its irregularities. In this point, the unachievable ideal society has the goal oriented meaning in the pursuit, rather than in the attainment of it. The paradigm of ideal society in Wonbuddhism is not simply religious ideal society, but was to gather strong social energy for the change of unreasonable society in those days. As acquired Creation and Maitreya ideology provided the thought basis, Mirukbulkwan and Yongwhaheisang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ideal society, which means the harmonious world of spirit and material civilization. To be a leading role in this society, it is required to exert serious effort of religious and spiritual seeking such as Vajra sutra. As the essentials of ideal society can be distorted in the pursuit, it should hold its own values of rationality, pluralism, and universality. Also, Wonbuddhism should not settle for the present fate of country, morality, and religion, but exert its own practical effort to realize the ideal society and keep the sound criticism and the innovative and progressive spirit for the present society.

      • KCI등재

        중근기 인간학의 연구 -원불교의 관점에서-

        김도공 ( Do-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원불교에서 중근기(中根機)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중근기에 대한 지적은 자칫하면 자기검열 혹은 조직통제의 수단으로 변질될 수도 있다. 하지만 원불교에서 중근기를 자주 언급하는 것은 공부과정상 필수적으로 겪게 되는 중근기의 극복을 위한 배려이다. 오히려 중근기는 수행자라면 대부분이 겪게 되고, 인간이라면 자신의 참 자아를 찾아가는 여정에서 필연적으로 통과해야 하는 관문과 같은 것이다. 오히려 중근기의 응축된 에너지는 인류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개인의 인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는 힘이 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려스럽게 보아왔던 중근기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확보하고, 나아가 중근기를 효과적으로 통과하기 위한 실질적인 수행 방법론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원불교에서 마음공부의 단계로 내세우고 있는 집심(執心) 관심(觀心) 무심(無心)의 방편은 전래 선불교에서 제자들의 근기따라 활용되어 오던 응답 방편과도 그 핵심적 맥락이 서로 일치함을 볼 수 있었다. 그 핵심은 견성(見性) 돈오(頓悟)공부에 있으며, 자기 성품을 확실히 아는 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무아(無我)에 대한 철저한 앎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기본 바탕으로 현대인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근기 인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더욱 구체화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disorders of Junggeungi in the view of Wonbuddhism. Mentioning Junggeungi may be often degenerated into a way self-censorship or control of organization. However, frequent references of Jungguengi in Wonbuddhism is to provide consideration for overcoming disorders in it which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scetic practice. As most of disciplinants have suffered Junggeungi, it can be an essential gateway to find out human’s true self. Therefore, the energy collected in Junggeungi can be used as the power for developing human’s culture and history and an individual’s life. This study is to suggest a positive view of human in Junggeungi,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in the view of concern, and is to search a practical method of ascetic practice for overcoming Junggeungi. As a results, means of Jipsim, Kwansim, and Moosim, which Wonbuddhism has suggested as levels of mind practice, are similar with means used according to levels of pertinacity in Zen Buddhism. The core of it is in looking self nature, and knowing perfect self-effacement should be required for it. Basically, this study hops to provide a chance to find out a new approach on most of human beings in Junggeungi.

      • KCI등재

        원불교 초기 전개과정에 나타난 공공성의 변모양상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3 신종교연구 Vol.28 No.-

        민중 스스로의 자발성으로 후천개벽의 새로운 세상을 열어보겠다는 사상은 한국민중의 공공성이다. 원불교도 이러한 격동의 시대 속에서 살아왔고, 이러한 민중적 공공성의 차원에서 원불교를 열게 된 것이다. 원불교의 사상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공(公)사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교리의 도처에도 공심(空心)에 바탕한 공심(公心)을 누누이 강조하고 있다. 원불교는 교단 초기의 역사적 전개과정에서도 공공적 측면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개인적 인격을 이루는데 있어서도 공심(公心)의 측면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교리 전반에 걸쳐서 공공성의 측면이 매우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공공성의 역사적 전개와 교리적 내용은 정산의 삼동윤리로 그 사상적 만개를 하게 된다. 발전을 더욱 열린 형태로 이끌어 가려는 폭넓은 조화의식을 강조한 윤리이다. 이를 통하여 원불교는 원불교만의 종교운동이 아닌 시대와 함께하고 미래를 이끌어 가고자 하는 공공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변화를 요청받고 있다. 과거 변모양상을 잘 살피고 앞으로 변화의 방향을 예측하고 새롭게 혁신해 가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e thought that the public attempted to open the postnatal beginning of the world for itself can be the public nature of the Korean people. As Wonbuddhism underwent the turbulent period, it was founded on the dimension of public nature in the Korean people. Simply summarizing Wonbuddhism, it can be one of the public thoughts, and many parts of the Wonbuddhist doctrine emphasize the public mind based on esprit impartial. The public view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not only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rly Wonbuddhism but also in the formation of individual personality.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public natures and the religious contents of Wonbuddhism including the public natures reached the peak as Samdongeunli (The Ethics of Triple Identity). Jeongsanjongsa`s Samdongeunli, based on religious spirit, can be an ethical theory which emphasizes wide harmonious spirits such as reconciliation, agreement, and cooperation and leads to religious and civilized development with more opened formations. Wonbuddhism with Samdongeunli, not conducting an religious movement for itself, includes its own public natures keeping up with the times and leading a new future. However, Wonbuddhism is facing its historical moment to seek a new change for a new period. Therefore, as reviewing its past transfiguration processes, it should predict the direction of change and to perform an new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