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학치료: 자아를 찾아서

        장정자(Chang, Joung Ja)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16 No.-

        독서치료, 문학치료는 프로이트, 융의 심리분석치료 이래로 꾸준히 보조수단, 혹은 독자적인 학문의 영역으로 연구되고 발전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얼.쇼리스의 “가난한 이를 위한 희망수업” 인문학강의를 통해서, 강원대의 인문치료 사업단 발족, 그리고 통합적 문학치료, 드라마 테라피, 음악, 미술 테라피 등을 통해서 새로운 시각으로 인문학의 의미가 부각되고 있다. 논문 서론에서 심포지엄의 주제가 되는 인문학과 인문치료에 대한 소고를; 1. 인문정신의 의미, 우리시대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우려와 인문학의 의미에 대해서, 2. 인문치료에 대한 개념과 역사에 대한 기술을 했으며, 본론에서는 인문학 치료의 근본이 되는 문학 텍스트로서 독일 작가 헤르만 헤세의 작품 『데미안』과 헤세의 삶과 생애를 분석했다. 『데미안』은 헤세 자신이 겪었고, 그 경험의 투영이라고 할수 있는 생의 위기와 극복에 관한 보고서라 할 수 있다. 헤세 자신은 갈등과 절망의 시기를 그의 강한 개성과 창작활동을 통해서 이겨냈으며, 이것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정신분석 치료로 도움을 받았다. 『데미안』(1919년) 은 그가 1차 치료를 받은(1916년) 후 결과물이다. 문학치료의 목적이 독자가 작품에 공감하면서 억압된 자아를 찾아내고 자신을 객관화해서 바라보며, 자신의 개성과 스스로의 자존감을 발견하고 자신의 문제를 진단해서 자신을 바로 세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면, 헤세의 작품은 이렇게 자아를 찾을 수 있도록 인도하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실제로 많은 독자들이 자신의 위기와 좌절의 탈출구를 헤세 작품에서 발견하고 있으며, 헤세를 생의 멘토로 생각하고 있는 현상을 헤세수용연구가 밝혀주고 있다. Die Literaturtherapie(poetry therapie), anders als die Bibliotherapie, die schon lange in der Psychoanalyse als ein Hilfsmittel benutzt wird, ist heutzutage eine selbständige Heilkunde geworden. Sie hat eine eigene detaillierte Heilmethode entwickelt, und bringt überall, wo diese Heilkunde antritt, einen Erfolg, „ein kleines Wunder“ wie die Praktizierenden meinen. Der Verfasser des Werkes und Begründer der gleichnamigen Methode Riches for the Poor-The Clemente Course in the Humanities(2000), Earl Shorris, bestätigt, dass die Armen, Obdachlosen, Verbrecher und Niedergeschlagenen nicht durch Brot, Geld oder andere Unterstützung, sondern vielmehr durch das Studium der Humanitas die Selbstachtung wiederfinden und sich wieder aufrichten. Die in Verzweiflung geratenen obdachlos Lebenden lesen nun Bücher, statt Alkohol zu trinken. Die therapeutische Funktion literarischer Werke hat Aristoteles schon in seiner Poetik mit dem Begriff von ‘phobus’ und ‘eleos’ eingeführt. Nach Aristoteles soll die beste Tragödie mit der Hilfe von Mitleid und Furcht eine Reinigung(Katharsis) von eben derartigen Affekten bewerkstelligen. Die Literatur(hier die Bühne) bietet den Lesern(bzw. dem Publikum) “einen Zustand heiter gelöster Beruhigtheit” an. Aber darüber hinaus ermögliche die Kommunikation zwischen den literarischen Werken und Lesern,- so meinen die Literaturtherapeutiker - sich selbst zu betrachten, und auf diese Weise das verdrängte, verleugnete und vergessene Ich(the internal personality) hervorzurufen. Der seiner selbst sich bewusste Leser würde dadurch seine seelischen Verletzungen heilen können. Im Zusammenhang mit der Literaturtherapie habe ich den Fall Hermann Hesse und die Werke Hesses analysiert, und zwar aus dem Grund, weil Hesse sein Leben lang in seinen Werken Wanderer und Suchender auf ihrem Weg zur Seelenheilung dargestellt hat. Wie das Leben Hesses, so behandelt das Werk Hesses die Krise und die Überwindung des Lebens. Hesse selbst hat, in Konflikt und Verzweiflung geratend, die Krise durch seine starke Persönlichkeit und durch die schöpferische Arbeit(Dichten) überwunden. Er bekam auch psychotherapeutische Behandlung von C.G. Jung und Dr. Lang. Die drei Werke: Demian, Siddhartha und Der Steppenwolf sind als das Ergebnis dieser therapeutischen Behandlungen zu betrachten. Die Forschung über die “HesseRezeption in Korea” zeigt, dass Hesse der am meisten übersetzte und verkaufte Autor in Korea ist. Bis 2003 gab es allein von den Demian Übersetzungen 126 Ausgaben. Die meisten Hessefans sehen in Hesse ihren Meister und Mentor. Sie gestehen, Hesse sei ein Wegweiser in der Krise ihrer Jugend gewesen. Die in den Aufsatz eingeführte Analyse des Lebens und der Werke Hesses soll als geeignetes Material für die Literaturtherapie dienen.

      • 시대와 소통하는 외국어 교육과 인문학

        이덕봉(李徳,奉)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科學硏究 Vol.15 No.-

        90年代以来 ‘人文学の危機’という話題が提起されるようになった背景には、人文学が実用主義という時代のパラダイムに旨く応えられなかったところに原因がある. 実用主義的時代の流れに一足早く実用化に適応し、危機とは縁のないかのように見える外国語教育分野でさえも、いまだに独立した学問領域としての体制の構築までは至っていないということは、人文学が時代のパラダイムに素早く応えられなかった典型的な例と言える。 韓国学術財団では人文学危機の打開策の一つとして ‘大衆とのコミュニケート’を挙げている。しかし、より持続的で効率的な解決策になるためには、コミュニケートの努力と共にいくつかの補完が並行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 時代のニーズに応えられる情報の生産力を高めるために新しい学問分野を生成するための努力と専門分野の生産能力のある優れた後継者を効率的に育てるための専門分野別個別教育学を設けなければならない。なお、近接学問領域との学際的協力と融合等を通じた専門領域の広域化が求められる。外国語教育学の場合、言語学領域、応用言語学領域、教育学領域、文学・文化学領域、対人関係領域等全てを合わせたカリキュラムを設けることにより、広域専門家を育てられるような広域化作業が求められる。このような改善と補完の努力により社会との絶え間ないコミュニケートにつなげなければならない。 90년대 이후 ‘인문학 위기’라는 담론이 제기되게 된 원인은 인문학이 실용주의라는 시대적 패러다임에 효율적으로 부응하지 못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실용주의적 기치를 따라 가장 먼저 실용화에 적응하여 위기와는 관계가 먼 것으로 보이는 외국어 교육 분야마저 여태 독립된 학문분야로서의 체제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인문학이 시대적 패러다임에 발 빠르게 대처하지 못한 대표적인 사례라 하겠다. 한국 학술재단 등은 인문학의 위기를 타개하는 방법의 하나로 ‘대중과의 소통’을 우선으로 하고있다. 그러나, 보다 항구적이고 효율적인 해결책이 되기 위해서는 소통의 노력과 더불어 몇 가지 보완 작업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시대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정보의 생산력을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학문분야를 생성하기 위한 노력과 전문 분야의 생산 능력이 있는 우수한 후계자를 효율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전문분야별 개별교육학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근접 학문 영역과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 등을 통한 전문 영역의 광역화 노력이 필요하다. 외국어 교육학의 경우, 언어학 영역, 응용언어학 영역, 교육학 영역, 문학 문화학 영역, 대인관계 영역 등을 아우르는 교육과정을 정립함으로써 광역전문인을 양성할 수 있는 광역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과 보완 노력을 통하여 끊임없는 사회와의 소통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비주류, 경계인

        이영남(Lee Young nam)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硏究 Vol.23 No.-

        독일에 거주하고 있고 있는 한국인은 삼만 명 정도로서 독일사회의 소수민족을 구성한다. 독일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뿌리를 찾다보면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을 만나게 된다. 하지만 한국 광부들의 독일파견만으로는 당시 독일 내에서 한국 커뮤니티 즉, 동포사회가 형성되기 힘든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사회에서 한국인 동포사회가 어떻게 발전 형성이 되었고 그 커뮤니티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요인들을 살펴본다. 특히 간호사 파견과 관련한 왜곡된 부분이 많기에 그와 관련한 내용들을 바로 잡고 민간외교를 이룩한 숨은 공로자들을 역사 앞으로 끌어내는 것도 본 연구의 한 목표 중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파독 광부가 한국 근대사를 다시 썼다고 한다면 파독 간호사는 독일의 동포 사회 형성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나아가 그동안 간과되어 온 그들의 글쓰기 즉, 재독 한인문학의 문학적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 있다. 재독 한인문학은 크게 독일어 문학과 한국어 문학으로 나눌 수 있지만 독일과 국내 문학가 사이에서 논의되는 한국인이 쓴 독일어문학 (deutsche Literatur koreanischer Autoren) 은 재독 한인문학 전체를 가리키는 개념이 아닌 독일어로 창작된 한국사람이 쓴 문학만을 한정하는 용어이다. 즉, 재독한인 한국어문학은 독일은 물론이거니와 한국에서조차 소외된 채 거의 언급되지 못하는 디아스포라 문학이다. 아직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한국 문학과 재외한인문학 사이에는 넘을 수 없는 장벽을 조금이나마 허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로 이들의 문학적 가능성을 고찰한다. Die Anzahl der in Deutschland lebenden Koreaner beträgt nach einer Statistik des südkoreanischen Außenministeriums ca. 30,000 Personen und stellen in Deutschland somit nur eine Minderheit dar. In dieser Studie wird untersucht, wie sich die koreanische Diaspora bzw. die koreanische Community in Deutschland entwickelt hat und eine Möglichkeit zur Entwicklung koreanischer Literatur. Im ersten Kapitel wird zur Einführung die Zielsetzung dieses Beitrags erläutert, im zweiten Kapitel wird beschrieben, wie sich die koreanische Community in Deutschland entwickelt hat. Die koreanischen Bergarbeiter und Krankenschwestern, die in den 60er und 70er Jahren nach Deutschland kamen, waren der Grundstein für den Aufbau der koreanischen Community in Deutschland. Vor allem Krankenschwestern spielten eine wichtige Rolle bei der Etabilierung. Unter anderem wird im zweiten Kapitel beschrieben, wie es Dr. Lee, Sugil als einer der ersten koreanischen Frauen ermöglicht hat, in Deutschland als Krankenschwestern zu arbeiten. Im dritten Kapitel geht es um die koreanische Literatur im Ausland insbesondere, in Deutschland, die von Koreanern in ihrer Muttersprache geschrieben wurden und die Möglichkeit zur Entwicklung einer eigenständigen koreanischen Literatur. Neben dieser Literatur gibt es noch eine weitere koreanische Literatur- die in der Sprache ihrer neuen Heimat geschriebene. Diese auf Deutsch geschriebene Literatur wird sowohl in Korea als auch in Deutschland von den Germanisten beachtet, hingegen die koreanisch geschriebene Literatur ist eine Literatur, die man weder in Korea noch in Deutschland kennt und stellt somit eine Diasporaliteratur dar. Als Schlußwort wird im vierten Kapitel die Frage gestellt, ob die Diasporaliteratur als eine andere literarische Form im globalisierten Zeitalter zur Schaffung eines neuen Paradigmas führen könnte.

      •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및 개발 방안 연구

        이명진(Lee, Myungji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21 No.-

        동덕여대 한국어교육원은 2013년 3월에 개원하여 가을학기 현재 20명의 학생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국내 한국어교육에서 전문성을 살린 교육기관으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실제적 한국 문화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국내 주요 대학 기관의 정규과정과 단기과정 현황을 살핀 후 동덕여대의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부분 기관에서 정규과정은 4학기 10주 과정으로 총 200시간의 한국어 수업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오후 특별수업으로 주 1~3회 태권도, 한자, 한국문화, K-POP 댄스 등의 문화 수업과 발음반, 한자반, 문법반 등의 영역별 수업을 진행한다. 동덕여대는 현재 정규과정 오후 특별반으로 TOPIK반이 있으나, 영역별 강화 수업과 다양한 문화수업도 개설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수업의 체계적인 교육 방안과 교재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도 활성화해야 한다. 단기과정은 대부분 18세이상 재외동포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1~5주 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 4~5일 하루 4시간 한국어를 학습한다. 그리고 문화 프로그램으로 이천 도자기 마을, 에버랜드, 서울 시티 투어 등의 여행 및 답사와 한국 요리 배우기, 사물놀이, 민속놀이, 태권도 등 문화 체험을 한다. 단기과정에서는 단기간의 교육에서 성취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여 한국어에 자신감과 동기를 심어줄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단기 과정 성격에 알맞은 교재 개발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문화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Dongduk Women's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was founded in March 2013, and currently 20 students are learning Korean during the fall semester. To develop into a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effective curriculum and practical Korean culture-oriented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To explore such aspects, this study has examined regular courses and short-term courses of major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ions in Korea. After th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schemes of Dongduk KLI were presented. In most institutions, regular Korean language courses run 10 weeks over 4 semesters, totaling 200 hours. In addition, the following classes are offered as special afternoon classes: cultural classes 1-3 days a week such as Taekwondo, Chinese characters, Korean cultures, and K-POP dance;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including pronunciation class, Chinese character class, and grammar class. Although Dongduk KLI has TOPIK class as a special afternoon class of its regular curriculum,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and various cultural classes should be established. It requires developing systematic education schemes and textbooks for each class. Also, 'Korean language helper program' should be stimulated. Most short-term courses run 1-5 weeks targeting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who are 18 or above; the courses are taught 4 hours a day 4-5 days a week. As a cultural program, field trips and travel to places such as Icheon Ceramics Village and Everland and Seoul City Tour, along with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learning to cook Korean dishes, samulnori,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and taekwondo are offered. Such short-term courses should have a curriculum that inspires confidence and motivation to learn Korean under a realistic goal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short-term education. To accomplish the task, appropriate textbooks for short-term courses and proper cultural programs reflecting the demands of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 형식적 마음 모형

        이영의(Rhee, Young 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16 No.-

        인지과학은 인간의 마음, 지능, 인지를 연구하기 위해서 철학, 심리학, 인공지능, 신경과학, 언어학 등 관련된 여러 분야들이 참여하는 학제적 분야이다. 인지과학의 기원은 1950년대에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지능에 관한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고, 1970년대에 관련 학회가 창립되고 학술지가 창간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글의 목적은 인지과학이 제공하는 인지에 관한 두 가지 형식적 모형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인지에 대한 형식적 모형은 튜링기계(Turing machine) 개념에 기반을 둔 기능주의 모형과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에 기반을 둔 연결주의 모형이 있다. 이 글은 그러한 두 형식체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 체계들에 기반을 둔 마음 모형을 비교할 것이다. The origin of cognitive science started from 1950s when some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ers had developed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began in earnest from 1970s when the Society of Cognitive Science was established and the journal <Cognitive Science> was published.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two formal models of mind in cognitive science. They are the functional model of mind which is based on the notion of Turing machine and the connectionist model of mind which i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is paper shall discuss the formal features of the models and compare the models based on the formal systems.

      • 문학적 Text와 드라마치료와의 접점 : 비블리오드라마

        오수진(Oh, Soo Chi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16 No.-

        본 논문은 문학적 텍스트와 드라마치료가 만난 치료 및 교육양식이라 할 수 있는 비블리오드라마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임종준비프로그램인 웰 다잉(Well dying) 프로그램으로 진행했을 때 어떤 효과가 있을 것인가를 탐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프로그램 실시 후 거의 모든 참여자의 우울감 및 죽음 불안이 감소되었으며 심리적 안정감과 삶의 의미는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사이코드라마의 주 목적인 카타르시스, 통찰, 행위훈련 등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신체적 기능이 점진적으로 향상되었다. 4. 사회성을 기를 수 있고 정서적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문학적 텍스트를 활용한 드라마치료의 한 갈래인 비블리오드라마가 치유와 상담 그리고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양식이 될 수 있음을 보았다. Etymologically, the Greekderived term biblio means "book". So Bibliodrama refers to the‘drama of books’- the dramatic encounter with any type of literature. It centers on the experience of people engaged in understanding their lives through the wisdom of biblical stories. It mediates the openness of improvisatory play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biblical texts, between exegetical insight and embodied imagination. The bibliodrama program was conducted as a well-dying program for thirty elderly people. As a result, it worked as follows. 1. The program makes the participants' depression and fear of death lessened and makes their self-esteem improve. 2. They can feel catharsis, be given an insight on themselves , and have a role training through it. 3. Their physical functions may be enhanced gradually. 4. They are encouraged the sociability. As such, it is showed that bibliodrama, a type of drama therapy incorporates an educational, healing and therapeutic dimension.

      • 문화의 만남, 나의 체험적 ‘여행자 문학론’

        김태준(Kim, Tae-ju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硏究 Vol.17 No.-

        이 글은 문화의 접촉을 주제로 한 여행자 문학론으로, 조선 시대에 중국을 오간 연행사(燕行使)의 여행기 가운데 3대 작품으로 평가되는 김창업(金昌業)의 「노가재연행록(老稼齋燕行錄)」과 홍대용(洪大容)의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를 비교하여 여행자의관심과 교양, 문화접촉의 양상을 논했다. 특히 문인화가로 그림에 열중한 김창업과 자연과학과 음악에 뛰어났던 홍대용과 문학에 뛰어난 박지원의 이문화 접촉과 이해를 비교하며, 조선 18세기의 북학파(北學派)의 여행자 문학론을 시도했다. 이처럼 다른 문화의 경험들에 대해서 여행가들이 쓴 여행기록, 일기 등을 문화의 접촉이란 관점으로 비교 해석한 업적들은 최근 비교학문이 이룩한 가장 중요한 발전으로 중시되고 있다. 수백년 동안 북경(北京)을 오간 연행의 오랜 역사 가운데서 18세기에 나온 이 세 여행가의 여행일기는 각각 ‘편년체(編年體)ㆍ기사체(記事體)ㆍ전기체(傳記体)라는 독특한 문체로 평가되고, 이문화이해의 미학적, 통합 과학적, 문명 비판적 관심과 글쓰기로 높이 평가를 받았다. 이것은 홍대용(洪大容,173183)의 철학소설, 의산문답(毉山問答)에 보이는 ’인물균(人物均) 사상‘(만물평등사상)’ 우주무한론(宇宙無限論)‘(무한우주론) ’역외춘추론(域外春秋論)‘(역사문명론)을 한 보기로 들더라도 조선 18세기 학문의 동아시아적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traveller literature theory with cultural contacts as its subject. And it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travellers' interests, refinement and cultural contacts by comparing with one another 「Nogajae's Record of Diplomatic Visit to Beijing」 by Kim, Changup, 「The Record of Diplomatic Visit from 1765 to 1766 to Beijing」 by Hong, Daeyong and 「Rehe Journal」 by Bak, Jiwon, which are evaluated to be the three major works among the travel records of the Korean diplomatic missions that visited China during the Choseon dynasty. We tried to establish the traveller literature theory of Bukhak school in the 18th century during the Choseon dynasty by comparing the cultural contacts and understandings of Kim, Changup who was enthusiastic about drawing as a writerpainter, Hong, Daeyong who was excellent in natural science and music and Bak, Jiwon who was distinguished in literature. Such accomplishments to compare and interpret the travel records and journals on the intercultural experiences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acts are being valued as the most crucial development which the comparative literature achieved recently. The travel journals of these three travellers, which were written in the 18th century in the long history of the diplomatic visits to Beijing for several hundred years, are well known for their unique styles of respectively being in chronological style, in descriptive style and biographical style, and they are also highly evaluated for their interests of aestheticism, unified scientific approach and criticism on civilization as well as their writing abilities in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We can use as an example the philosophical novel, 「Questions and Answers on Mountain Ishan」 by Hong, Daeyong(178183), which contains the 'idea that all humans are equal' (the idea that everything is equal), the theory that the universe is limitless' (the theory of the universe being limitless) and 'Yeokoi Chunchu Theory', which argues for the idea that every nation is equal (theory of history and civilization), and it confirms the fact that the level of the scholarship of Choseon in the 18th century was as high as that of any other country in East Asia.

      • 日本で居住經驗がない日本語特技生のOPIに基づいた 口頭表現能力に關する考察 : 一接屬助詞 「て」と「けど」を中心に一

        오쿠야마 요코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科學硏究 Vol.13 No.-

        일본에서의 거주경험이 전혀 없는 특기생이 확실하고 빨리, 상급에 들기 위해서는 어떠한 점에 주의해야 할지에 대해서, 접속조사'で와'け를 중심으로 명확히 하는것을 목적으로 했다. 입학 시에 이미OPI기준으로 중급에 든 학년이 다른 특기생2명(상급 학년A와 하급 학년B)를 피험자로서, 6개월마다 3번꼴로 OPI를 이용해서 발화데이터를 수집하고 구두 표현 능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듣는 사람측이 의미해석을 위한 노력이나 부담을 받게 되거나,논리적 순서 확립과 結束性을 유지못한체 단락이 좀처럼 만들어지지 않는 이유로'て'의 다용과 前置적'け의 사용방법이 있다는 것이 고찰되었다. 'で와'け의지도의 필요성을 제창했다.

      • Camus의 소설 『이방인』의 비문학적 요소와 문학성

        이경해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人文科學硏究 Vol.9 No.-

        La plupart des critiques ont e´te´ frappe´s par la manie`re d`e´crire et de raconter, choisie par Albert Camus dans L`Etranger. Le re´cit semblait rompre a` la fois avec le langage litte´raire et avec le language romanesque. Roland Barthes conside`re cette oeuvre comme une e´criture de degre´ ze´ro ou une e´criture neutre. Si on y examine de pre`s les traits les plus marquants du style parle`, on peut relever d`abord le discours direct et le discours indirect qui expriment l`intention de 1`auteur de se placer hors du rituel des lettres. Dans le me^me ordre d`ide´es, nous remarquons I`abondance de verbes ge´ne`riques, du semi-auxiliaire aller, des gallicismes avec faire et, paralle`lement, des locutions verbales telles que il y a, avoir envie de, et en dernier lieu des coordonnants comme et, mais, aiors, etc. Il ne faut pas oublier e´galement l`emploi du passe´ compose` et le 'je' narrateur qui renforcent l`authenticite´ du re´cit. Ces deux signes a-litte´raires ont comme effet de nous faire entrer dans l`existence et la pense´e de Meursault. Pourtant le style parle´ existe avec des signes litte`raires. En effet dans L`Etranger il ne manque pas de descriptions lyriques de paysages. Surtout quand il retourne du palais de justice a` sa cellule, il se sent heureux en de´couvrant des bruits familiers. Dans cette ouvre on peut rencontrer aussi des me´taphores et des images poe´tiques. Si on ne reconnai^t pas tout de suite ces signes litte´raires, c`est parce qu`ils sont neutralise´s par les signes a-litte´raires. Cette te´chnique donne au lecteur l`impression de re´alite´ et d`authencite´ en rompant avec la convention romanesque.

      • 아버지와 아들 : 시가 나오야의 『화해』

        윤복희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人文科學硏究 Vol.9 No.-

        志賀直哉の『和解』(1917.10)は、長年父親と不和對立を續けてきた主人公がついには父と「和解」を遂げ、當事者たちはもちろん、家族共共安心し喜ぶという內容である。一見父と子の問題だけを取り上げているように見えるこの作品は、實はその基底に芸術家としての自立という問題を內包している。本稿では、この点に焦点を合わせて考察を深めてみた。 『和解』の構成はこれまで多くの硏究がなされて、主に構成のあり方に對する疑問と肯定という見方に分れている。その構成は非常に複雜で、作品の讀解にある混亂を生じやすいが、まず本稿ではその原因を主人公父子の變貌の過程を描くため必要な措置であると把握した。また不和から和解にいたるまでの父と子の變貌の過程と和解を可能にさせた諸要因を檢討した結果、その背後には親としての主人公の自覺と作家としてのあり方、つまり自立という別の意味が含まれているとみた。 さらに、主人公の內面において和解の完成した時期を確かめ、和解のもつ眞の意味を檢討してみた結果、親なる自覺にともなる主人公の作家としての自立は、以後誕生する作品如何によってその成功如何が決まると考察し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