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과 교사 전문성의 패러다임 전환적 의미 연구

        정지현(Jung Ji-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Thomas Kuhn에 의해 새롭게 정의된 패러다임의 의미는 단순히 자연과학사 분야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을 포함한 사회과학의 전 영역에 이르기까지 패러다임의 존재와 그 의미에 대한 많은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다. 이미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기존의 유아교육과정 형성에 영향을 미친 서양의 이론적 철학적 가정들이 이러한 패러다임에 의해 분류되고 설명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패러다임의 실재적 존재와 그 영향에 대해 보다 경험적으로 파악해보고자 비교적 최근에 국내에서 나타난 한 대안적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인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교사 세 명을 상대로 심층 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세 명의 교사들은 그들의 교사교육 기간 동안 경험했던 지식과 실습 및 참관 프로그램에 내재한 지배적 패러다임의 영향으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의 교사의 역할 정의와 실천에 적지 않은 혼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Kuhn이 주장한 패러다임 간의 비통약성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세 명의교사들은 혼란을 경험했던 초기 이후에 패러다임의 상대성을 인식할 수 있는 단계로의 발전된 모습을 보였는데, 현행 유아교육 분야의 여러 실제적인 당면 과제들에 대한 문제 풀이의 가능성에 입각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수용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상대적 가치에 대한 인식은 교육현상에 대한 총제적인 이해와 교육 실제의 향상을 위해 패러다임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 즉, 패러다임 간 대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려는 교사의 변화된 실천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자들의 연구 공동체에서 나타나는 패러다임의 역할과 의미와는 달리, 교사와 같은 현장 실천가에 있어서는 보다 다양한 기준에서의 패러다임 간 통약이 가능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e definition of the term "paradigm", which was popularized by Thomas Kuhn, has provided significant insight into understanding not only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but the epistemological complexity embedded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 including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underlying ideas and theories of early childhood program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paradig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paradigm in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its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practices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taking a qualitative approach. Three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emi-structured interview which focu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child care center,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s,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ir previous teaching experienc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commensurability between paradigms is identified through the three teachers' stories about their very first experience at the center which has run the program founded on oriental philosophy and an eco-centered child care program. The teachers later became aware of relativity among many underlying paradigms of ECE programs as they accumulated their careers m the program. Unlike a group of scientists sharing a paradigm and being exclusive to other paradigms, teachers respect the notion of an individual paradigm and attempt to open conversations with other paradigms for improving their educational practices.

      • 실행, 자동생산과 텍스트 패러다임을 넘어서 : 문화적 선회로서 구성주의 체계이론 Constructive System Theory as Cultural Turn

        이남복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7 No.2

        금세기 철학과 개별과학의 다양한 전통에서 구축되고, 사회세계의 상징적 구조화를 다양한 방식으로 개념화하고 있는 전혀 다른 방향의 접근방식들이 “문화적 선회”의 지붕 아래에 모여들고 있다. 문화적 선회의 이론적 영역을 구조화시키고 있는 기본개념으로 실행(Praxis) 패러다임, 자동생산(Autopoiesis) 패러다임과 텍스트(Text) 패러다임을 들 수 있다. 실행패러다임, 자동생산패러다임과 텍스트패러다임은 제각기 내적인 변이와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이론의 문화적 선회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이 3가지 서술형식들은 사회세계가 상징질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관계가 어떻게 기술되어야 하는가하는 문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실행패러다임의 시각에서는 습관화되고 함축적 지식창고에 의해 추진된 행위형태가, 자동생산패러다임의 경우엔 인지체계의 구성능력이, 텍스트패러다임의 경우엔 논중과 기호학적 과정 및 문화 분석이라는 구조를 요체로 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이론의 관점에서 이세 패러다임의 결정적인 차이는 무엇보다도 상징질서에 대해 ‘주체’가 어떤 위상을 취하는가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이 3가지 패러다임을 통합할 수 있는 이론적 시각은 아직 가시권에 들어오지 않고 있다. 다만 “현상학적 전환”을 가져온 루만의 구성주의 체계이론이 문화적 선회에 대한 3가지 해석을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Cultural Turn" is becoming the main issue for interpreting the many different approaches that are constructed in the Philosophy and Science of this century and generalize symbolic social structure. "Cultural Turn“ is explained by these three general ideas such as Praxis-, Autopoiesis- and Text-Paradigm. Although Praxis-, Autopoiesis- and Text-Paradigm are partially reiterated due to an internal mutation, these three paradigms interpret the cultural turn of social theory variously. They say society is constructed by the order of symbol. However it is still controversial how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paradigms are prescribed. Praxis paradigm focuses on the act driven by implicit knowledge, Autopoiesis is influenced by recognition system and the key points of Text-Paradigm are demonstration, symbolic logic and cultural analysis. But the most decisive point among these three paradigm is that they take up very different position about how the "subject" is regarded in the field of order of symbol.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which could unify there three paradigm is not showed up to now. The constructive system theory by Luhmann seems the only alternative measure which could unify these three different interpretation of cultural turn for the time being.

      • KCI등재

        패러다임과 법의 변화

        한상훈(HAN, Sang Ho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1

        본고는 지난 70 여년 서양법학을 수용하여 발달한 한국법학, 형사법학이 21세기 어떠한 방법론을 가져야 할 것인지 검토하면서, ‘법 패러다임주의’(legal paradigmism)를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인류가 아직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에 올바른 법, 바람직한 법을 발견하고 적용하기 위해 본고는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현상의 출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본다. 특히 Basalla교수의 토착과학의 3단계 발전모델과 이종범 교수의 사회과학 4단계 발전론에 주목하면서, 본고는 1980년대 후반까지는 단순모방기이고, 1990년 이후 2006년까지는 적응모방기, 그리고 2006년 이후는 창조태동기로 조심스럽게 평가한다. 이러한 발전이 가능했던 중요한 요소로 우리나라의 판례와 입법역사에 대한 연구의 역할을 평가한다. 본고는 향후 한국법학이 더욱 발전하기 위한 모델로 토마스 쿤(Kuhn)의 패러다임주의를 적용하려고 시도한다. 쿤은 하나의 패러다임이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정착되면 그때의 과학은 정상과학이 되고, 과학자들은 정상과학하에서 개별적인 문제풀기에 몰두한다. 그러다가 종래의 지배적 패러다임으로 설명되지 않는 이상사례(anomaly)들이 관측되어 누적되면, 결국 기존 패러다임의 위기가 도래하고, 이러한 이상사례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다른 경쟁 패러다임이 등장하여, 기존의 패러다임과 경쟁하다가 점차로 새로운 패러다임이 지배적인 패러다임의 지위를 차지하여 결국 새로운 지배적 패러다임이 되고, 이에 입각하여 다시 정상과학이 정립된다. 쿤은 이러한 지배적 패러다임의 전환(paradigm shift)을 정치혁명에 비유하여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이라고 한 것이다. ‘패러다임주의’는 법학방법론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법학에서 ‘지배적 패러다임’은 통설과 판례가 모두 지지하는 견해라고 할 수 있다. 지배적 견해 또는 지배적 법리가 형성된다면, 이는 하나의 ‘정상법학’(normal jurisprudence)이 되어 대부분의 ‘통상사례들’(routine cases)을 해결한다. 지배적 견해를 기초로 성립된 법적 삼단논법(legal syllogism)에 의하여 대부분의 수많은 사건들은 큰 고민 없이 손쉽게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해결이 곤란하면 소위 “난해한 사례”(hard case)가 되는 것이다. 기존의 지배적 견해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또는 적정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상사례가 증가하면, 결국 이상사례를 보다 잘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법리(경쟁 패러다임)가 등장하게 된다. 경쟁 법리는 마침내 기존의 지배적 패러다임 또는 지배적 견해를 대체하여 새로운 지배적 패러다임 또는 지배적 견해가 된다. 이러한 과정은 쿤이 말하는 과학에서 패러다임의 변화와 유사한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점에서 법의 영역에 패러다임의 이론을 적용하는 관점을 ‘법 패러다임주의’(legal paradigmism)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법 패러다임주의’의 관점에서 복사문서를 문서에 관한 죄의 문서로 인정한 1989년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2008년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그리고 2015년 헌법재판소의 간통죄 위헌결정 사건을 검토한 후, 법 패러다임주의가 이러한 사례들, 나아가 다른 많은 사례들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In the 21<SUP>st</SUP> century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and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are coming closer, it is more important to rethink and reflect our legal methodology and to devise a new method to navigate an unprecedented age. The majority of 11 review papers published from 1978 to 2011 recognizes that Korean jurisprudence has adopted, and is still widely influenced by Western jurisprudence, especially from Germany and United States, sometimes via Japan. Commentators emphasized the need to outgrow the imitation or import of jurisprudence and to develop an original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However, the specific methodology how to get to the goal was rarely suggested. In 1987, Professor Shin Dongwoon evaluated the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and criticized that it overly concentrates 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theories, and that it neglects independent Korean research. As alternatives, he advocated the historical analysis method which studies the history of Korean legislation, the comparative law analysis method which utilizes the comparison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w and foreign laws i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law, and the case analysis method which emphasizes the research of court cases. This method contributed to the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enormously. However, in this fast changing era we need a more scientific method. Thomas Kuhn describes paradigm as an “exemplar” or “disciplinary matrix,” and says that scientist’s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natural phenomena occurs based on a paradigm in his book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Once a paradigm settles into a dominant or prevailing paradigm, the science at the time becomes normal science, and scientists devote themselves to individual puzzle-solving during normal science. When a crisis comes, a new paradigm becomes the dominant paradigm and a new normal science is established. In jurisprudence there can be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law that receives support from both the Court and a majority of legal scholars. Let us call this ‘dominant opinion’(herrschende Meinung in German). Such a ‘dominant opinion’ has a similar status as the dominant or prevailing paradigm in science, which serves as exemplar or disciplinary matrix. Just as numerous puzzles are solved based on a prevailing paradigm in the field of science, legal professionals and academics solve a bulk of legal cases efficiently under the legal paradigm or dominant opinion. Once a dominant opinion or dominant legal theory is formed, it becomes normal jurisprudence and solves most of the routine cases. However, a normal jurisprudence is disturbed when such anomalies or non-routine cases emerge and accumulate. They cannot be resolved by existing dominant opinion or legal theory, and crisis comes. With the growth of anomalies an alternative legal theory or a competing legal paradigm appears, and it finally replaces the existing dominant paradigm or dominant opinion and becomes the new dominant paradigm. In this regard, the application of paradigm theory in the field of law may be termed ‘legal paradigmism.’ The paper examines 3 cases, regarding a forgery of photocopied documents case (1989), exclusion of illegally seized evidence case (2007), and the unconstitutionality of adultery punishing clause case (2015). This paper asserts that with the legal paradigmism, we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legal changes, and interpret the law more scientifically.

      • 대화적 패러다임과 현대 교육 : 신학교육을 중심으로

        김현숙 국제기독교언어문화연구원 2005 기독교언어문화논집 Vol.9 No.-

        '신학교육'에 관한 최근의 논의는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제기되고 있으나,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신학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로서, 다음의 세 가지 상황의 변화가 그 논의의 중심을 이룬다. 첫째, "과연 신학이란 어떠한 학문인가?"에 관한 개념정의에 있어서의 변화이다. 종교 개혁 이전까지의 신학은 '하나님에 관해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이른바 하비투스(habitus)로 그 본질적 개념이 정의되었으나, 신학은 성서신학·역사신학·조직신학 ·실천신학이라는 각기 분리된 연구 주제와 연구방법을 통해 하나님에 관한 탐구를 시도한 후 얻게 된 연구결과를 한데 모으는 '하나님에 관한 부분적 지식의 모음'으로 그 개념이 정의되어 갔다는 것이다. 신학의 개념 정의상의 변화는 곧바로 신학교육의 형태 변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이제 신학교육은 지혜를 추구하는 학문(sapiential knowing)이라기보다는, 전문화된 지식을 탐구하는 학문(sciences)의 내용을 소개하고 전수시키는 교육으로 이해되고 있으나, 과연 이러한 개념정의가 적절한 것인지에 관한 비판적 논의의 대두가 첫 번째 유형의 변화이다. 둘째, "신학교육이란 구체적으로 어떠한 지식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인식형태의 변화이다. 20세기 중반까지 서구 사회에서 실시되어온 신학교육은 문화적·종교적 다양성을 인정하기보다는, 특정 집단의 종교와 문화 형태를 상대적으로 중시하는 시각에서 그 교육내용을 결정해 왔으나, 신학적 탐구는 이제 문화적·종교적 다원주의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적 전통과 종교적 집단이 서로 공존하는 현상을 전제로 하는 차원에서 그 임무가 수행되어져야 한다는 새로운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형태의 변화는 신학교육에 관한 인식의 변화도 동반하면서, 신학교육의 내용이 새롭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비판적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셋째, '신학교육은 과연 누구를 위해 실시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과 더불어 신학교육을 받는 구성원에 대한 이해형태의 변화이다. 전통적으로 신학교육의 대상은 주로 주류집단의 남성으로 구성되어 왔으나, 최근에 이르러 그 구성원의 형태는 전통적인 모습과는 달리 상당수의 여성 그리고 소수민족·유색인종으로 변형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 졸업 후 곧바로 신학교육의 기관에 입학했던 전형적인 형태와는 달리, 최근 일정기간의 사회생활을 경험한 사람들 혹은 나이든 연령층의 신학지망생의 수적 증가는 "과연 신학교육의 대상자는 누구인가?"에 관한 현상학적인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지금까지 서술한 바와 같이, 종교적·문화적 다원주의, 신학적 내용과 구조의 변화, 그리고 신학교육 구성원 분포에서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최근의 신학교육은 그 문제해결 자체 뿐 아니라, 신학교육의 본질과 목적에 관한 비판적 성찰까지를 시도해야 할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신학교육의 목적과 내용설정에 있어 그 동안 의존해온 두 가지 주요 패러다임이 - 곧 '목회자중심 패러다임'과 '이론-실제 패러다임'이 - 최근 기독교교육학자를 포함한 많은 신학자들에 의해 비판받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비판적 논의와 더불어 신학교육의 내용을 구성한 커리큘럼의 파편화(fragmentation) 현상과 사회적 문제에 관한 무관심도 신학교육에 대한 성찰의 과제에 포함 되고 있다. 신학교육이 당면한 이러한 문제점은 무엇보다 신학교육의 형태를 구성해온 전통적 이분법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할 수 있다. 즉 신학교육의 내용과 목회적 실천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이분법, 이론과 실제를 분리시키는 이분법, 신학교육의 내용(contents)과 방법(educational process)을 연계시키지 못한 이분법적 인식형태, 그리고 교회공동체와 사회 사이의 관계를 갈등과 긴장으로만 이해하는 이분법적 인식구조가 바로 최근 신학교육의 당면과제를 야기한 주요 요인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통전적이며 통일성을 지닌 신학교육의 회복을 위해 우선적으로 요청되는 과업은 바로 위에서 예시한 다양한 형태의 '이분법적 구조'를 극복하는 일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당면과제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본 강연은 신학교육의 통일성·전체성 회복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conversational paradigm)을 제시하고 있다. 이 '대화적 패러다임'은, 첫째, 대화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각기 다른 관점을 지닌 다른 대화 참여자들과 더불어 개방적인 태도를 견지하면서, 서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와주는 교육적 환경의 구축을 지향하는 특징을 지닌다. 둘째, '대화적 패러다임'은 교육적 환경의 구축과 더불어, 현존의 이분법적 구조를 대화를 통해 신학교육에 있어서의 진정한 대화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며, 다른 관점을 지닌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의 고양을 지향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렇듯 '대화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커리큘럼은 신학교육의 내용과 목회적 실천 사이의 대화, 기독교와 타종교와의 대화, 교회공동체와 그를 둘러싼 사회와의 대화를 주요 내용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의 '대화'란 기독교 전통과의 통시적 대화(diachronic strategy)라는 한 측면과 현재 사회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간의 경험과의 공시적 대화(diachronic strategy)를 서로 연계시키며 보완하는 형태의 보다 포괄적인 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의 수용 여부는 긍정적·비판적 차원에서 신중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앞서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의 활용은 ① 신학교육 vs. 목회적 실천, 이론 vs. 실제, 신학 vs. 타학문, 교회 vs. 사회의 관계를 철저하게 이분법적 구조에 따라 분리시켜온 전통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② 대화 참여자들 사이의 개방적인 대화를 통한 인식형태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③ 대화의 변증법적 통합에 근거한 자아성찰의 가능성을 촉진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공헌점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의 사용은 ① 대화참여자 사이의 동등한 자격과 능력을 전제로 한 이상적인 대화상황을 상정하고 있어 그 실현가능성이 희박하고, ② 대화적 패러다임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교사의 수급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③ 경우에 따라 기독교적 신학 전통만을 경시하게 하는 비의도적 결과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다는 부정적 차원의 비판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나열한 긍정적·비판적 차원의 논의를 신중하게 고려하는 차원에서,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을 사용하게 될 때, 현존의 신학교육의 현장에서 노출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대화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신학교육의 미래상을 제시한 최근의 몇 가지 대안은 - 곧 벨렝키(Belenky)와 그의 동료에 의해 예시된 '관계적 교수방법'(connected teaching), 프레이리(Paulo Freire)의 '프락시스 교수방법'(praxis method), 그리고 하버드 대학의 가드너(Howard Gardner)에 의해 제시된 '이해를 위한 교육모형'(Teaching for Understanding Framework)등은 -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자신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보다 나은 자아인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점에 있어, 신학교육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그를 토대로 신학교육의 미래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는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을 그 연구방법의 하나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활용은 앞서 예시한 '대화적 패러다임'이 지니는 긍정적·비판적 차원의 특성을 다양한 형태의 신학교육 현장과 연계시켜야 할 선행조건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Prof. Hyun suk kim, Ph.D. 2005. Conversational Paradigmand Modern Education. Collected papers on Christian Language Culture. In the face of religious and cultural pluralism and contextual changes in theological education, the nature of theological education has been confronted with serious questioning. Many scholars have criticized the clerical paradigm, the theory-to-practice paradigm, the fragmented structure of theolog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as well as the distance from human suffering taken by theological education. These problems have resulted in a critical dichotomy between theological education and congregation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etween the content and process of education, as well as between the community of faith and society's problems. A need exist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now separate facets of theological wholeness. This paper proposes a conversational model that requires theological education to engage in authentic conversation in order to attend to the problems of theological education. This conversational model can provide an atmosphere and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supprted and challenged to carry on conversations with conversational partners who ma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The model can also empower people who participate in such conversation to bridge the existing dichotomies. Moreover, guiding principles for curriculum are proposed, based on the conversational model, which foster genuine conversation in theological education. In this curriculum, conversations are carried on between theological education and congregations, between Christianity and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between dominant cultures and minority cultures, as well as between the community of faith and the world. However, these conversations are to be conducted within an overarching conversation between the Christian tradition and human experience. As Taylor argues, that synchronic strategy needs to be complemented by a diachronic strategy. In other words, a conversation with Christian tradition needs to complement these conversations between theological education and the present situation, brought about by pluralism in society. However, one needs to consider some limitations of the conversational model proposed here. The conversational model should have a precondition for conversation which is the assumption of equality between the conversational parties. Without this precondition of equality, a conversation could easily slip into what Taylor calls imperialism. Moreover, one must be aware of the danger that the conversational model can tend to deemphasize a 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e Christian tradition if it privileges the other conversational partners (world over community of faith, minority cultures over dominant cultures, and other religious traditions over Christianity) at the expense of the Christian perspective. Thus, the conversational model needs to be practiced with great care. Even though the conversational model for theological education has some limitations, this model would be on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heological education, enabling a bridge between dichotomies which are prevalent in theological education.

      • KCI등재

        IMF 위기 이후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패러다임 전환 : 특별 포럼의 의의와 목적, 그리고 학문적 과제

        신동엽(Dongyoub Shin),구자숙(Jasook Koo),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2

        이 논문은 IMF 위기 이후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 조직들에서 발생한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의 전환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려는 학문적 목적을 가진 본 특별 포럼의 시대적 배경과 거시적 맥락, 사회심리와 의식적 기반, 그리고 이런 변화의 주행위자인 리더들의 역할 모델 변화 등을 조망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특별 포럼 논문 다섯 편이 제시하는 학문적 토론의 기반과 맥락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특별 포럼의 개별 논문들이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지난 10여 년간의 한국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단순히 한국 내부의 문제가 아닌 글로벌 수준에서의 경영패러다임의 역사적 변동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즉 대량생산, 효율성 경쟁, 시스템 경영, 계획 경영, 성과와 보상/통제 등을 핵심 특성으로 하는 20세기 산업사회형 경영패러다임이 최근 무너지며 상시창조적 혁신을 추구하는 완전히 새로운 21세기형 경영패러다임이 이를 급속히 대체하고 있는 글로벌 수준에서의 거시적이고 역사적인 패러다임 대전환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최근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특별 포럼 논문들이 다루고 있는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의 의식적, 사회심리적 기반의 변화를 조망한다. 즉 IMF 위기 이후 지난 10여년간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전통적 기반인 장기 고용, 내부 승진, 연공주의, 위계적 집단주의, 온정주의가 급격히 무너지며, 단기 고용, 외부 노동시장, 개인주의, 성과주의가 이를 대체하였는데, 이는 일시적 변화가 아니라 우리나라 인사조직경영의 의식적, 사회심리적 기반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지속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특히 이런 변화는 전통적 심리적 계약의 심각한 위반으로 인식되어 우리나라 인사조직경영의 잠재적 위기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 조직들이 지향하는 새로운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은 안정적 심리적 계약의 성립 자체를 어렵게 만드는 본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21세기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가장 중요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셋째, 본 논문에서는 지난 10여 년간의 한국 인사조직 패러다임 전환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행위자 유형인 조직 리더들의 리더십 모델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글로벌 리더십 학계와 국내 리더십 학계의 리더십 담론의 변화 추세를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지난 10여 년간 글로벌 리더십학계에서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나 변혁적 리더십과 같은 강력한 리더들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쇠퇴하였고, 구조적 맥락 등과 같은 복수 레벨에서 리더십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증가하였으며, 21세기형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리더십 모델인 진정성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리더십과 창의성/혁신 등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으나, 국내 학계에서는 이런 새로운 리더십 모델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약하고 반대로 글로벌 학계에서 쇠퇴하고 있는 강력한 카리스마적 리더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연구 분야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가 IMF 위기로 인해 전통적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을 서구형 성과주의 패러다임으로 대체해나가는 급격한 변혁기를 거치며 강력한 리더십에 대한 사회적 필요가 존재하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맥락에서 특별 포럼에 게재된 다섯 논문의 핵심 논지들을 소개한 후, 이런 패러다임 전환의 격변기에서 학계의 가장 중요한 소명은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온 대변혁의 원인과 과정, 결과, 그리고 전망과 과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이며 심층적인 지적 의미부여를 계속해서 시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The current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historical and macro context, socio-psychological foundation, and leadership discourse underlying the paradigm shift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By so doing, this paper provides a starting ground from which five papers of the special forum may develop their respective arguments. First, the current paper submits that the paradigm shift in Korea should be re-examined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domestic economic crisis, but also from a macro perspective in which the existing dominant management paradigm at the global level has been rapidly deinstitutionalized during the same period. That is, we argue that to understand the ongoing paradigm shift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accurately, scholars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urrently ongoing replacement of the traditional management paradigm based on the principles of mass production, efficiency, and system maximization, by a completely new paradigm focusing on continuous creative innovation at the global level. Second, this paper reviews the change of socio-psychological foundation underlying the paradigm shift in Korea.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have shifted from long-term stable employment to flexible employment, from internal promotion to external labor market, from seniority principle to performance principle, and from collectivism to individualism. We argue that this shift was perceived as a serious violation of the existing psychological contract, which would seriously diminish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respect, we stress that the greatest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will be to find a creative way to rebuild a strong psychological contract with employees under the situation in which such goal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achieve. Third, this paper also reviews the change of leadership discourse in Korea during the period, since leaders play a pivotal role in paradigm shift. According to our comparison of dominant leadership discourse between global and Korean management fields during the last decade, Korean management field has still been strongly preoccupied with Neo-charismatic leadership models, while they have been significantly declined at the global level. Moreover, we also found that Korean field has not started yet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leadership and creativity/innov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agenda at the global level during the past decade. We argue that this discrepancy in leadership discourse between Korean and global management fields during the period comes from Korea’s uniqu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entire society was preoccupied with the rapid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conventional HR-organization management paradigm. After briefly introducing five papers published in this special forum, we call for continued attempts to make theoretical sense of the currently ongoing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HR-organization management paradigm that has immensely and fundamentally affected lives of the entire Korean citizens as an imminent calling of all management scholars living in the early 21st century.

      • KCI등재

        인권 패러다임 이론과 북한 인권 문제

        조효제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6 다문화사회연구 Vol.9 No.2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wo­fold: to reconceptualize the problem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to offer some theory­based perspectives towards the problem. The paper clarifies the obvious but often­forgotten point of the rights­holder and the duty­bearer in this issue area. It is suggested that the modern human rights discourse has been dominated by what the author called “problem­solving paradigm”(PSP) with the criminal justice model at its core. It is argued, however, that the “condition­forming paradigm”(CFP) had been envisaged in the early days of post­war period together with the PSP, but ultimately consigned to oblivion due to the debilitating Cold War rivalry. The result is the preoccupation of human rights discourse with the practical legal solution of individual rights cases at the expense of the structural and international political dimensions favorable to human rights achievement. The response of the policy­makers of the so­called “sun­shine policy” to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problem closely resembled that of CFP. The sun­shine policy however failed to deliver its promise mainly because of its skewed focus on CFP rather than combining the two. Conversely, the more recent approach to the problem, domestically as well as internationally, has been dominated by the PSP at the neglect of the CFP, which is likely to result in the same fallacy as the previous sun­shine policy. The paper concludes with some theory­bound proposals to link the two paradigm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본고의 목적은 북한 인권 문제를 인권 이론의 관점에서 새롭게 정의하고, 인권의 일반이론에 부합하는 방향에서 이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북한 인권 문제에 있어 권리의 주체와 의무의 주체를 명확히 설정한 후, 인권 담론의 전체 패러다임을 재검토한다. 오늘날 인권 담론을 지배하고 있는 패러다임은 ‘인권문제 해결’ 패러다임이지만, 전후 유엔이 결성되고 현대 인권 담론을 구축하던 초기에는 ‘인권조건 형성’ 패러다임과 인권문제 해결 패러다임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는 확고한 인식이 있었다. 인권조건 형성이란 인권 달성에 우호적인 경제사회 구조, 이데올로기, 국제질서, 사회심리, 국가의 민주적 성격을 종합적으로 개선한다는 뜻이다. 과거 햇볕정책에서 북한 인권을 다루었던 방식은 인권조건 형성 패러다임과 유사했다고 할 수 있지만 그것은 인권문제 해결 패러다임과 내재적으로 연결되지 않았던 한계로 인해 미완의 기획으로 귀결되었다. 반면, 최근 북한 인권 논의에서 주도적 지위를 획득한 인권문제 해결 패러다임은 인권조건 형성 패러다임을 상대적으로 경시함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실패를 예고하고 있다. 본고는 북한 인권 문제에 있어 두 차원의 패러다임을 연계할 수 있는 이론적⋅현실적 고리를 제안하고, 그동안 망실되었던 인권조건 형성 패러다임을 오늘의 맥락에서 재발견해야 할 당위를 강조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교육과 초등교사교육체제의 패러다임적 전환 탐구: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황윤한(Hwang, Yunh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과 교사교육체제의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교육대학교 초등교사 교육과 초등교사교육체제의 패러다임적인 전환을 탐구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에는 연구자가 수집한 1) 교사교육과 교육사교육 체제에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 2) 광주교육대학교 교수·직원·학생들과의 직접 및 간접(E-mail) 면담, 3) 본 연구자가 직접 수행한 정책 연구 및 개인 연구, 4) 광주교육대학교의 각종 사업계획서 및 교육부의 최근 정책 계획서 등이 활용되 었다. 이론적 분석의 틀로서 교사교육은 전통적 교사교육 패러다임과 진보적 교사교육 패러다임, 교사교육체제는 Feiman‑Nemser의 교사교육체제 패러다임(사범학교/교육대학 패러다임, 문 리과대학 패러다임, 교육대학원 패러다임)을 설정하였고, 이 틀들에 따라 초등교사교육 패러 다임과 초등교사교육의 체제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과 문제들을 분석하였다. 문헌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교육을 더욱 발전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체제 를 패러다임 전환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교사교육은 진보적인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그리고 교사교육체제는 사범학교/교육대학 패러다임에서 교육대학원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규모 국립대학 통폐합이 필연적이라면 연 합교육대학교 체제인 1개 한국교육대학교 11개 캠퍼스 체제가 가장 바람직한 체제임을 제안 하였다.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o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paradigm shift. The study analyzed 1) studies on the paradigm of teacher education and its system; 2) data collected by the direct and indirect (e-mail) interviews with professors, students, and staffs at GNUE; 3) data from policy studies and research paper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d 4) recent development plans of GNUE and MOE. For the theoretic frame, the study adopted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paradigm (normal school paradigm, liberal arts college paradigm, university schools of education paradigm) studied by Feiman‑Nemser. Along with the frame, the study explored the best possible paradigms for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With the results of exploration of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aradigms and the analysis of Kore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ystem, the study suggested for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o shift from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paradigm to progressive teacher education paradigm and from the normal school system paradigm to the graduate school system paradigm. The study also suggested a national united university of education with 11 campuses.

      • KCI등재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의 상응성에 관한 연구

        이재완(李在完)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4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정보를 생산 보유하고 있는 정부의 역할과 공공정보를 소비하는 일반국민의 역할을 기준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그 분석 결과,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은 역사적으로 ‘비밀수호자-수동적 수신자 모형’에서 ‘투명한 공유자-능동적 청구자 모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즉 정부운영 패러다임은 정부 중심의 일방향 정보제공을 지향하는 ‘정부 1.’0에서 정부와 국민의 쌍방향 정보제공을 지향하는 ‘정부 2.0’을 거쳐 개인별 맞춤형 정보제공을 지향하는 ‘정부 3.0’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리고 정보공개 패러다임은 ‘정보공개 결정 패러다임’에서 ‘정보공개 청구 패러다임’을 거쳐 ‘청구-결정 상호작용 패러다임’으로 발전하였다.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이 모두 정부와 일반국민들 간의 정보의 자유로운 쌍방향 흐름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는 점에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웹기술에 기반한 정부운영 패러다임의 급속한 진화는 정보공개 패러다임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기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 및 공공부문의 빅데이터에 대해 일반국민들이 자신의 정보욕구에 맞게 필요한 정보를 청구하면 정부가 그 수요에 맞는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 3.0은 청구-결정 상호작용 패러다임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government paradigm and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relate to each other, and how they have been changed with respect to time. For the analysis, the framework was established where the bases were roles of government in charge of producing and retaining public information as well as roles of citizens entitled to consuming public inform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historical progress from ‘Secret Protector ? Passive Recipient Model’ toward development of ‘Transparent Sharer ? Active Applicant Model’ with respect to the two paradigms. Government paradigm has been shifted from ‘Government 1.0’, characterized by a one-way and government-oriented provision of information to ‘Government 2.0’, aimed at enabling interactive information provision between government and citizens, and then currently to ‘Government 3.0’, where information provision is customized to meet each individual citizen’s needs. In the meanwhile,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has also changed from ‘Information Disclosure Approval Paradigm’ to ‘Information Disclosure Application Paradigm’ and then currently to ‘Application-Approval Interaction Paradigm’. As both government paradigm and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have evolved to foster feel flow of information and interactivity between government and citizens, the two paradigms are interrelated. In this vein, it is anticipated that given the current rapid evolution of web technology-based government paradigm will serve as a tool inducing further changes in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Likewise, ‘Government 3.0’, enabling the provision of customized public information when citizens make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on big data of government and public sector,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cooperative governance of application-approval interaction paradigm.

      • KCI등재

        기존 HRD 패러다임 고찰을 통한 새로운 HRD 패러다임의 탐색: 인간중심 패러다임

        조태준 ( Tae Jun Ch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논의되었던 주된 HRD 패러다임을 검토하여, 새로운 경영 환경에 부응하는 새로운 HRD 패러다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HRD의 본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다양한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기존의 학습, 성과, 통합적 패러다임을 주제별로 정리하여, 기존 패러다임이 안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을 조심스럽게 지적하였으며, 더 나아가 현 조직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조명하여 새로운 HRD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HRD 패러다임으로써, ``인간중심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현재 주요 HRD의 업무는 조직 주도하에 일괄적으로 이루지는 교육훈련에 많은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시시각각 변화하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들을 주로 다루어야하는 미래의 조직 환경에서는 조직 주도하 HRD로는 어떠한 문제에 대한 보충적인 역할 밖에는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미래의 조직에서는 대거의 인력보다는 충분한 역량과 자질을 갖춘 개개인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러한 조직 환경에서 HRD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적 능력을 향상시켜 어떠한 문제에도 능동적, 창의적,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개인의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HRD 패러다임의 고찰을 통하여 새로운 HRD 패러다임인 ``인간중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has been introduced, there were many consensuses and debates to defining the actual paradigm of HRD. Historically, there were three main paradigms of HRD: learning, performance, and integr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common assumption of three previous HRD paradigms could be that organizations have to carefully design their HRD programs and practices considering either individual development 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organizations have to play key roles in implementing HRD. This would be very feasible when the environment is stable, and its changing pace is slow, because it usually takes certain amount of time to develop HRD programs. In short, three existing paradigms mutually agreed that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nd design HRD practices well to support either individual learning 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t highly focused on the systematic aspect of HRD. Unfortunately, nowadays, technology is changing rapidly, the business environment cannot be predicted, and customer demands become fastidious, so many organizations have to deal with ad hoc problems, that require the fast decision making process. Therefore, they attempt to change themselves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by flattening their organizational structures, building advanced technological infrastructures, and chang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However, it is still not nimble enough to keep up with the fast changing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who are able to unleash their ability can response to the fast changing environment and fussy customer demands much faster than organizational processes. Consequently, it is critically necessary to shift the HRD paradigm from the organizational level to focusing more on the human aspect. The organization should find the new HRD paradigm which create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systems to facilitate individual potentials and creativity. This study is proposing the new paradigm of HRD, as namely, The human focused paradigm.

      • KCI등재

        이해관계자중심 경영패러다임의 실천을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모형 탐색 연구

        하상균(Ha, Sang-Kyun),박용승(Park, Young-Sung)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이해관계자중심 경영패러다임의 실천 위한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이론적 모형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패러다임의 경영 원리를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모형의 도입 필요성과 전략적 운영 기조 그리고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주주중심 경영패러다임에서 이해관계자중심 경영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실질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해 종업원들의 태도와 가치체계의 변화 그리고 그 제도를 실천할 종업원의 역량이 개발되도록 하고, 패러다임의 전환이 상징적 구호와 레토릭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이해관계자중심전략경영,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지속가능 경영 및 깨어있는 자본주의, 학습조직, 시스템이론 등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종합하는 탐색적 수준의 질적 연구를 통해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패러다임 실천에 기여하는 새로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모형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중심 경영패러다임을 조직에 내재화하여 실천에 기여하는 생태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Eco-HRM System)을 제안한다. 주주중심 경영패러다임의 가치와 원리에 갇혀 있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비전과 실천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이론적 시사점은 기존연구에서는 거의 논의가 없었던 이해관계자중심 경영패러다임 실천에 기여하는 인적자원관리시스템(Eco-HRM System)의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새로운 이해관계자 경영패러다임의 현장 실천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재설계를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Conceptual Model of Eco-HRM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s to explain a new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model that strategically supports the stakeholder-centered management paradigm. In order to change from a shareholder-centered management paradigm to a stakeholder-centered management paradigm, the attitudes of employees in the enterprise must change. [Methodology] This paper carried out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on the new paradigm of corporate management, including stakeholder-centered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cious capitalism, learning organization and system theory.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qualitative methodology this paper proposes a new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model that contributes to the practice of stakeholder -centered management paradigm. [Finding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co-HRM system that contributes to the practice of the stakeholder-centered management paradigm. The Eco-HRM system is an evolutionary model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Implications]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that the conceptual model of the Eco-HRM System, which contribut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keholder-centered management paradigm.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it provides ideas for redesigning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