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앙과 언어

        한춘기 국제기독교언어문화연구원 2005 기독교언어문화논집 Vol.9 No.-

        18세기를 자연과학의 시대라고 한다면, 19세기를 역사학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고, 20세기 후반은 언어학의 시대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20세기 후반에는 인문사회과학 뿐만 아니라 자연과학까지도 언어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글에서는 신앙성숙에 있어서 언어의 역할과 또한 언어와 신앙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성경에서 신앙이란 말은 "믿음"과 같다. 곧 신앙을 나타내는 라틴어는 "credo"인데 그 의미는 '나는 믿습니다'이다. 이 단어의 일차적인 의미는 '신뢰하다, 위임하다, 어떤 사람에게 맡기다, 빌려주다'등을 의미 하며, 이차적인 의미로는 '신뢰하다, 의지하다, 신임하다'등이다. 특히 세례와 같은 기독교 의식에서 '신앙'이라는 말이 사용될 때는 '내 마음을 정하였다. 내 마음을 드린다'는 뜻을 가진다. 다시 말하자면 '내 마음을 그리스도께 드립니다' 또는 '내 마음을 하나님 아버지께 드립니다'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신앙'은 '신념'으로부터 구별되어야 한다. 그렇게 구별해야 할 필요성은 무엇인가? 그 첫째는, 신념들이 설명하려는 하나님보다는 인간이 만들어 놓은 신념을 더 신뢰하게 될 위험을 갖고 있다는 것과 둘째는, 우리의 삶에서 신앙의 범위를 제한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언어는 인간이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들과 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의사소통 수단이다. 시민교육을 위해서 그 사회의 언어가 중요하듯이 신앙교육을 위해서는 성서언어가 중요하다. 린드백(George A Lindbeck)은 현대를 언어의 위기시대로 진단하고 그 원인을 성서언어의 퇴조현상에서 찾았다. 그러므로 교회는 다시 성경언어를 배워한다. 그 이유는 우리의 성경언어의 한계는 우리의 신앙의 한계가 되고 우리의 메시지의 한계가 된다. 신앙교육은 성경적 지식과 성경적 가치관을 전수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핵심적인 교육의 수단은 언어이다. 그러므로 일반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앙교육에 있어서도 언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신앙은 교육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한 전제들이 있는데 신앙은 발달, 변화 혹은 성숙할 수 있느냐에 대한 물음이다. 그러므로 신앙의 교육가능성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신앙의 발달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을 통한 성숙을 주장하는 이론은 현대 심리학의 이론에 근거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 핵심원리와 적용은 이미 여러 성경구절들에 함의 되어 있다. 다음에서 성경의 몇 구절들을 그 예로서 제시할 수 있다. 첫째는, 바울서신에 나오는 말씀으로서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아이의 일을 버렸노라"고 말하는 고린도전서 13장 11절이다. 이 구절은 생물학적인 연령에 따라 인지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말한다. 두 번째는, 고린도전서 3장 1하-2절로서 "그리스도안에서 어린아이들을 대함과 같이 하노라. 내가 너희를 젖으로 먹이고 밥으로 아니하였노니 이는 너희가 감당치 못하였음 이거니와 지금도 못하리라"는 말씀이다. 이 구절은 사람들의 영적인 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말해줄 뿐 아니라 영적 차이에 따라 다르게 교육해야 할 것을 말하고 있다. 세번째 구절은 잠언 22장 6절로서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이다. 이 구절은 발달의 목표 그리고 결과를 보여주는 구절이다. 다시 신앙발달의 개념을 생각해보자. 신앙발달이라는 개념이 타당한가? 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대답을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람은 영적인 또는 신앙적인 존재로 지음을 입었다는 말씀 뿐 아니라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롬 12:2)는 구절에서도 볼 수 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교회 성도들에게 다음과 같이 권면한다: "그런즉 아볼로는 무엇이며 바울은 무엇이뇨 저희는 주께서 각각 주신대로 너희로 하여금 믿게 한 사역자들이니라.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되 오직 하나님은 자라나게 하셨나니 그런즉 심는 이나 물 주는 이는 아무것도 아니로되 오직 자라나게 하시는 하나님뿐이니라"(고전 3:5-7). 먼저 인용된 로마서의 구절이 신앙의 발달가능성에 대한 일반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고린도 교회에 보낸 바울의 글은 신앙발달의 주체에 대하여 정확하고 명확하게 말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말은 신앙의 발달가능성을 전제하고 포함하는 진술이다. 다시 말하면, 바울은 이 말에서 고린도교회 성도들의 '신앙이 자랐다'고 말함으로써 신앙발달이 가능성만이 아니라 신앙이 발달되고 성숙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의 심는 사역과 물주는 사역을 인간의 교육사역으로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신앙교육에서는 성령교사가 주체자이지만 인간교사를 그 도구로 사용하시기 때문에 교육은 '하나님과 동역하는 인간의 사역'이라고 할 수 있다. 행위와 더불어 가르침은 신앙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제시한다. 여기에서의 가르침은 언어를 그 수단으로 사용한다. 언어를 사용하는 가르침은 두 가지 곧 상황적인 가르침과 계획된 가르침으로 나눌 수 있다. 상황적인 가르침이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을 통하여 가르침으로 자녀들의 신앙이 자라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미리 계획되고 정해진 가르침을 통하여 자녀들의 신앙교육을 할 수 있다. 학교교육, 교회교육,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을 말한다. Prof. Choon Ki Han Ph D. 2005 On Faith and the Language. Collected paperson Christian Language Culture. The 18th century is called 'the age of natural science', the 19th century 'the age of historical science'. and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is called 'the age of linguistics'. For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human beings ahve concerned about language as well as social and natural science. In this paper, I shall peruse the role of langu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faith. The word 'faith' in the Bible has the same meaning with the word 'belief'. Faith is 'credo' in Latin which means 'I believe'. The primary meaning of the word is 'to entrust, to commit, to trust something to someone', and the secondary meaning is 'to trust in, to rely upon, to place confidence in'. The word 'faith' has a meaning of 'I set my heart on. I give my heart to' when it wes used in the liturgical rites. In other words, it denotes the meaning of 'I hereby give my heart to Christ' or 'I herein give my heart to God the Father'. 'Faith' ought to be distinguished from 'belief'. What is the necessity of this distinction? Firstly, It had a tendency to trust the man-oriented belief rather than God who belief attempts to explain. Secondly, it has a possibility to limit the scope of faith in our lives. Language i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cooperate each other between human beings in order to maintain the social life of human beings. Bible language is very important for education of faith as language is important for liberal education. George A, Lindbeck who evaluated modem society as the crisis of language, suggested one of the reasons in the decline of the bible language. He urged the church is expected to learn the Bible language again. The reason is that the limitation of the Bible language causes the limitation of faith which causes the limitation of message. Faith education in church aims to transmit the knowledge of the Bible and the biblical perspectives. The core means in education is language. Therefore, language is a vital factor in faith education of church as well as hi the secular education. Can faith be educated? There are a few presuppositions such as 'can faith be developed, progressed, or matured?' So, it need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faith development before discussing the possibility of faith education. Theories which emphasized the maturity of man through education put its foundation on the modern theory of psychology but its cor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are implied in the Bible passages. Following scripture verses are those. Firstly, in the 1 Corinthians 13:11 Paul says that “when I was a child, I talked like a child, I thought like a child, I reasoned like a child. When I became a man, I put childish ways behind me.” This Bible verse recognizes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 biological age. Secondly, 1 Corinthians 3:lb-2 saying “mere infants in Christ. I gave you milk not solid food, for you were not yet ready for it. Indeed, you are still not ready” implies that the teaching level should be differed upon the spiritu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of spiritual ability. Thirdly, Proverbs 2:6 states that “Train a child in the way he should go, and when he is old he will not turn from it”. This verse implies the purpose and the end of development. I attempted to discuss the concept of faith development. Is the word of faith development valid? We can say “yes”. There are some Bible verses which imply that such as 'human beings are created as an spiritual and religious being', and Paul's saying such as “Do not conform any longer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Then you will be able to test and approve what God's will is -his good, pleasing and perfect will.”(Rom. 12:2) Paul admonishes to the saints in Corinth as followings. "What, after all, is Apollos? And what is Paul? Only servants, through whom you came to believe -as the Lord has assigned to each his task I planted the seed, Apollos watered it, but God made it grow. So neither but only God, who makes things grow”(l Cor. 3:5-7). The verse quoted above from the epistle of Romans provides the general basis of the possibility of faith development, and Paul's writing to the church of Corinth states clearly about .the subject of faith development. These verses imply and presuppose the possibility of faith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Paul's word 'to grow' indicates the maturity and development of faith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faith development. The ministry which plants and waters is paralleled to the educational ministry. Because religious education or faith education in church which the Holy Spirit is teacher has human teacher as a means, christian education can be defined as 'the ministry of human teacher cooperating with God'. Teaching is a vital element of religious education. Teaching uses language as its means. Teaching using language as its means can be divided into two such as situational teaching and planned teaching according to Norman Harper. Both teachings which attempt to develop and mature faith, adopt language as their means.

      • 세계관과 문화, 그리고 언어 : 기독교 사상을 중심으로

        한만수 국제기독교언어문화연구원 1997 기독교언어문화논집 Vol.1 No.-

        Man Soo Han. 1997. Worldview, Culture, and Language. Collected Papers on Christain Language Culture. The purpose of this is to restore morality in language based on living sacrifices in pious, biblical and social-ethical dimensions. And, on the basis of this Purpose, this paper also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worldview which is the central systematization of Christian culture from which stems its values and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makes an introductory remarks in chapter 1, In chpater 2, this paper argues that worldview functions as congnitive foundation and emotional security. And it integrates culture and monitor culture change based on validation of the deepest cultural forms. In chapter 3, Christian worldview has some words about the cross, reconcilation, life and salvation on the basis of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our own, such as " I have been redeemed" " I have been called.", and " I am His." Besides the worldview, Christian culture is argued here that its core is the very understanding that we must live a life of living sacrifices in faith, hearing the word of God. In chapter 4, biblical language and morality are argued. It is argued that Jesus is a perfect communicator, a persuasive speaker with consummate skills of speech. It is also proposed that morality is restored only through Jesus as a perfect communicator. And, morality is also restored through our purification and beautification of our language lives. Animal-like language is to be changed into the language of making humans human. In chapter 5, our abstaining from profanity of our sacred words and not to tell a lie in the presence of God and in human society are proposed. In chapter 6, biblical language are proposed. They are symbolic, dialogical, and praying languages. Finally, in chapter 7, this paper proposes that restoration of morality in language is carried out only through the faith that it is not we who speak, but the spirit of our Father who speaks in us. With the help of the spirit we must speak with each other in our Christian culture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Director of the Institute)

      • 생명과 언어

        한춘기 국제기독교언어문화연구원 2008 기독교언어문화논집 Vol.12 No.-

        사람을 살리는 말이 있고 사람을 죽이는 말이 있다. 곧 말은 사람에게 생명과 활기를 주는 힘도 있고, 사람을 죽일 힘도 있다. "다툼과 시기와 분냄과 중상함과 수군수군하는 것과 거만함과 어지러운"말은(고후 12:20) 사람을 죽이는 언어이다. 그러나 참되며 경건하며 옳으며 정결하며 사랑하며 칭찬하는 말은(빌4:8)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언어가 된다.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하고 과격한 말은 노를 격동하느니라"(잠 15:1)고 한 것처럼 분노를 쉬게 하는 말이 있는가 하면 분을 격동케 하는 말도 있다. 이렇게 언어는 마음을 부드럽게 해줌으로 생명을주는가하면 반대로 언어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줄 수도 있다. 생명언어란 사람의 내면의 상처를 치유해주고, 활력을 북동아주며, 새사람이 되게 해주는 언어를 말한다. 이러한 언어는 연약한 사람을 강하게, 무능한 사람을 능력이 있게, 좌절에 빠진 사람을 용감하게 만들어준다. 이 글에서는 먼저 생명의 개념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생명과 언어의 관계를 살펴보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