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속학의 생활사료 인식과 역사학의 통섭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15 韓國民俗學 Vol.61 No.-

        민속학은 현장학이자 민중학이며 전승학이므로 통섭학으로서 자질을 갖추고 있다. 연구대상이 여러 영역을 두루 포괄하고 있는 까닭에 기존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선다. 따라서 민속학의 특성상 여러 분과학문의 통섭적 연구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통섭학은 분과학문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공시적 횡단의 통섭이 주류를 이루지만, 민속학은 전승학이기 때문에 시대를 넘나드는 통시적 종단의 통섭연구를 새로 개척할 수 있다. 통시적 종단의 통섭은 역사학의 사료 확장을 시도하는 종적 통섭이다. 일정한 시기에 고정되어 있는 문헌사료와 유물사료를 넘어서 현재 생활세계 속에서 지속되고 있는 민속의 전통을 생활사료로 주목하고 역사 해석의 시대적 통섭을 시도한다. 고조선 시대와 현대를 통섭하는 생활사료로 식생활과 동물상징의 전통이 있다. 단군신화에서 쑥과 마늘을 먹는 식생활의 전통은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중국은 마늘만 먹고 일본은 쑥만 조금 먹는데, 한국은 쑥과 마늘을 중요한 식문화로 전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전통은 지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의 식생활로 고조선의 역사를 입증하는 것은 물론 미래의 식생활까지 전망할 수 있다. 고조선 시대의 민족 구성을 곰과 범 등 짐승으로 기록한 것도 허구적 상상이 아니라, 실제 역사라는 점을 생활사료로 입증한다. 중국 고대사 서술에도 종족을 짐승으로 기록했을 뿐 아니라, 퉁구스족이나 부리야트족 등 아직도 많은 종족들은 짐승의 종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 전통은 현대 국가는 물론 정부 조직, 스포츠팀, 유명 상품의 브랜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문자보다 시각적 이미지를 지닌 동물상징이 정체성을 나타내는데 더 효과적이므로 시대를 초월해서 인류문화 일반에 널리 통용된다. 따라서 단군신화의 곰과 범은 짐승이 아니라 특정 종족의 집단 정체성을 나타내는 동물토템으로서 역사적 사실이다. 그러므로 민속을 생활사료로 주목하면 고대와 현대, 미래의 역사를 통섭하는 연구가 가능하다. Folklore is at once field study, demotics and lair study, so it has a quality of Consilience study. Folklore goes beyond the boundary of the traditional academic disciplines since it encompasses a number of areas. Thus, Folklore, by its nature, requires the researches of consilience concerning a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Consilience study mainly features the consilience of synchronic cross-section across the boundaries of academic disciplines. However, Consilience research of diachronic longitude could be developed since Folklore is a kind of lair study. Consilience of diachronic longitude is a longitudinal consilience trying to extend the historical materials in history. It goes beyond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relic historical materials which are fixed at a certain time, taking note of the folk tradition which has persisted in the present world of life as living historical material and attempting the periodical consili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There is a tradition of eating habit and animal symbols which integrates the Kojoson and the modern era as living historical materials. Tradition of eating mugwort and garlic in the myth of Dangun has continued until now. Chinese eat only garlic and Japanese only some little mugwort while Koreans has handed mugwort and garlic down as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food culture, which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history of Kojoson can be proved and even the future diet can be expected from the current diet. It can be proved from living historical materials that the ethnic composition in the Kojoson era is recorded of bears, tigers, and other animals, which is not a fictional imagination but real history. Not only did the Chinese ancient history describe the tribe as animal but also the Tungus, the Buryat, and many other tribes are still called the species of animals. This tradition is widely used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sports teams, the brands of famous products, and the like. It transcends the ages and is widely accepted in the general human culture since animal symbols with visual images are more effective to represent the identity than characters. Accordingly, it is historical fact that bears and tigers in the myth of Dangun are not animals but animal totems which represent the collective identity of a tribe. Therefore, attention to folk as living historical materials would make possible the consilience research of the ancient, modern, future history.

      • 통섭(統攝)의 관점에 따른 교육공학 접근 방법의 재조명

        권성호(Sungho Kwon),신종호(Jongho Shin),정태희(Taehee Chung),오현숙(Hyunsook Oh),문수진(Soojin Moo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7 학습과학연구 Vol.1 No.-

        통섭(統攝)은 진리를 향한 하나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각되면서 제학문의 연구에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통섭이라는 개념과 이에 근거한 방법론이 교육공학이라는 학문 연구에 의미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통섭의 관점은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교육공학의 개념 및 연구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교육공학은 단순한 학제간 (Inter-disciplinary) 연구를 뛰어 넘어 각 학문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학문의 개념과 방법론들이 녹아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범학문적 연구(trans-disciplinary study)를 지향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공학의 개념 및 연구영역을 통섭적 개념에 근거하여 재탐색하였다. 교육공학이 타학문들과 적당한 수준에서 혼합 활용될 경우, 특히 문제해결 도구 및 기술로 인식될 때 교육공학은 학문으로서의 정체를 밝힐 수 없으며,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통섭적 관점에 근거하여 교육공학의 내부적 통섭과 외부적 통섭을 추구할 때 극복될 수 있다. 교육공학이라는 이론적?실천적 목적 해결을 위해서는 외부적으로는 다양한 학문 영역의 본질적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주어진 연구문제를 파악해나가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한 분야에서의 영역 간의 상호보완과 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 즉, 외부적 그리고 내부적 통섭의 관점이 필요한 시기이다. As consilience emerges as a new method to seek after the truth, it draws considerable attentions for studying all related subjects. Then, what does the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 method based on this concept imply in terms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concepts and there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that consilience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diversity. Thus,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be heading to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 and concept of each discipline beyond simpl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rough which it should be intended to pursue trans-disciplinary study developing new ideas by blending them. Accordingly,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concep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from consilience perspective. Educational Technology cannot only establish its identity as the discipline, but also limit its development in case that Educational Technology is blended with other disciplines and applied just at the proper level and especially that it is considered as one of problem-solving tools and techniques. These problems will be resolved when Educational Technology expands a view from internal and external consilience perspective. To achieve theoretical and practical purposes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is the time that externally need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als of various disciplines and grasp the research subjects and that internally needs experiments to support and comprehend boundaries in the same field. That is the perspectiv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silience.

      • KCI등재

        통섭론의 비판적 이해를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통섭 논의의 방향 탐색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1

        이 글은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통섭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이를 통해 교육에서의 통섭 논의에 적합한 통섭의 개념과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통섭을 통섭(統攝)으로 개념화하고 이해하고 있는 세 관점과 통섭(通攝)으로 개념화하고 있는 세 관점을 비판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통섭(統攝)은 창조적 통섭(統攝)으로, 통섭(通攝)은 비판적 통섭(通攝)으로 개념화해야 함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에서의 통섭 논의는 통섭의 대상에 따라 차별화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교육학 기초학문분야 내의 통섭, 교육실천 학문분야의 통섭, 교과교육학을 위한 통섭, 교육이론과 실천의 통섭은 창조적 통섭(統攝)으로 방향을 잡아야 하며, 교육학 기초학문분야 간의 통섭, 교육학 기초학문분야와 실천학문분야의 통섭은 해석학적ㆍ비판적 통섭(通攝)으로 방향을 잡아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학과 타학문분야와의 통섭, 교과내용학의 통섭은 해석학적ㆍ비판적 통섭(通攝)과 창조적 통섭(統攝)의 두 차원에서 모두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에서의 통섭을 위해서는 통섭 목적의 수립, 조심스러운 개인 간 통섭, 진정한 개인내 통섭의 순차적 과정을 밟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연의 확대와 함께 내연의 충실이 통섭성공의 조건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present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lanations on consilience, and to provide appropriate concept and theory for consilience in education studies. So, it is explored that consilience theory of Wilson, Wilber, Whitehead, Deleuze, Wonhyo, Park Younggun. And it is provided that consilience as integration of knowledge is same creative consilience, and consilience as communication of knowledge is same critical consilience. Also, and it is proposed that used different consilience concept and theory following target of consilience for education studies. Consilience for foundational area of education, practical area of education, subject-educatio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re oriented towards creative consilience as integration of knowledge. But consilience between foundational area of education, and consilience for foundational and practical area of education are oriented towards hermeneutical-critical consilience as communication of knowledge. Also, consilience education and various disciplinary, consilience of curriculum are oriented towards both hermeneutical-critical consilience and creative consilience. Finally, it is proposed that solve the questions in consecutive order as check consilience's purpose, consilience of interindividual and consilience of intrapersonal for consilience of education studies. Also, it is proposed that strive to secure and deep educational studies in company with consilience.

      • KCI등재

        통섭과 융합의 학문으로서 구비문학 연구의 실천

        임재해(Lim, Jae-Hae)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구비문학을 문학작품의 범주로 가두지 말고 구어문화와 구술문화로까지 확대해야 기존의 문학적 연구성과를 극복할 수 있다. 연구대상과 함께 연구방법까지 확대해야 구비문학의 통섭적 연구와 융합적 연구로 나아갈 수 있다. 민속극과 민요, 설화, 건국신화 등의 연구에서 실천한 연구방법의 사례를 근거로 통섭과 융합의 구비문학 연구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민속극연구는 구비문학이자 민속학이며 연극학이라는 기존 연구방법을 넘어서 민속극을 전승하는 집단의 사회학적 성격, 특히 남녀의 지위 관계를 중심으로 문학사회학적 시각에서 분석함으로써, 전승주체의 민중의식은 물론 여성주의적 의식까지 해명할 수 있게 되었다. 민요연구는 현장에서 민요를 부르는 사람과 함께 농작물도 민요 향유의 주체로 주목하게 되면 자연히 식물학과 생태학을 통섭하지 않을 수 없다. 생태학을 근거로 일노래가 농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 민요생태학의 가능성을 열고 나아가 민속생태학의 전망까지 개척했다. 설화연구는 서사문학의 범주에서 벗어나 미디어라는 개념으로 설화를 주목하여 설화의 다양한 기능을 포착하고, 구비종교와 구비역사, 구비철학 등 다학문적 방법을 통섭하여 더 융합적인 학문으로서 ‘구비학’의 새로운 영역까지 전망하게 되었다. 건국신화연구는 역사학과 고고학 영역으로 나아가 고대사 연구의 불모지를 개척하고 금관의 시베리아기원설을 극복하며 태양시조신화로서 구조적 동질성을 입증하게 되었다. 굿문화의 논리로 본풀이사관을 수립하고, 기존 사료와 다른 ‘생활사료’ 영역을 새로 설정하여 고대와 현대, 미래를 아우르는 종적 통섭의 논리로 새 통섭학의 지평을 열었다. 그러므로 인접학문의 불모지를 개척하는 노마디즘과 다른 분과학문의 방법을 끌어오는 통섭학은 둘이면서 하나로 융합될 때 가장 바람직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The results of the existing literary researches can be overcome by not confining the oral literature to the category of the literary work but expanding it into the culture of spoken language and the oral culture. The consilience research and the convergence research on the oral literature can be conducted by expanding its research method as well as research subject. Based on examples of research methods practiced in the folk drama, folk song, and state-founding myth, the possibility of studying the oral literature of consilience and convergence is investigated in details. The study of folk drama can elucidate the feminist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popular consciousness of transmission subjects by applying the view of literary sociology to the sociologic nature of the group handing down the folk drama, in particular, the status relationship of men and women beyond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of folklore and dramatics. In folk song research, botany and ecology are to be naturally converged when attention is paid to agricultural crops as a subject of enjoying the folk songs as well as to people who sing folk songs in the field. Based on the ecology, work songs a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growth of the agricultural crops, which opens up the possibility of folkloric ecology, further pioneering the prospect of folk ecology. The researches on the folktale have captured a variety of functions of folktales focusing on the folktales in terms of the concept of media beyond the category of narrative literature and a new area of "science of oral traditions" as more integrated study converging the multidisciplinary methods, including oral religion, oral history, oral philosophy, etc., can be foreseen. The researches on the state-founding myth towards the historical sciences and archeology have paved the way to the barren land of research on the ancient history and overcome the theory of the Siberian origin of golden crown, proving the structural homogeneity as the myth of Sun founder In the logic of gut culture, a new frontier in the new consilience study based on the vertical consilience logic encompassing the ancient times, the present, and the future has been opened up with "Bonpuri’ concept of history and the area of "living historical material" different than the existing historical material established. Therefore, the consilience study converged into one at the same time as two drawing the methods of the other disciplines with the nomadism pioneering the barren land of the related studies is expected to accomplish the most desirable outcome.

      • KCI등재후보

        교과통합의 관점에서 본 ‘통섭’의 의미와 한계

        김정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이 논문은 '통섭' 의 개념이 교과통합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통섭'의 의미를 '정합', '합치', '통일', '통합' 등의 유사어와 관련하여 분석한 다음, '환원적 통섭'과 '가법적 통섭'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전자는 '본유의 통합'에, 후자는 '배움의 통합'에 적합한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마음의 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은 문명의 발달과 맥을 함께 한다. 이 점에서 문명의 발달은 의식고양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의식고양의 과정으로서 '분화'와 '통합'의 의미를 살펴보고, 교과의 특성에 비추어 환원주의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환원주의는 세상을 설명하는 데 요구되는 '본유의 통합'이라는 관점을 제공해 준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인간 활동의 영역이 존재하며 이들 영역이 환원적 통섭의 대상이 되기 어렵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희랍의 '프락시스'(praxis)와 '포이에시스'(poiesis) 영역이나 유학(儒學)의 '인설'(仁說)의 경우, 환원적 통섭을 가지고 설명하기 어려운 영역이거나 개념이다. 이를 토대로 교과통합의 관점에서 환원적 통섭[統攝]의 한계와 가법적 통섭[通涉]의 실제적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테면, 교과내용 중 언어화(articulation)되지 않는 영역 문제와 오우크쇼트(Oakeshott)의 '경험의 양상' 문제는 환원적 통섭의 핵심인 '설명'의 기능을 가지고 다루어질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 결론적으로, 교과통합의 논점이 '통섭'이 지향하는 '본유의 통합'보다는 '배움의 통합'에 맞추어진 것이라면, 교과통합 논의는 '환원적 통섭'이 갖는 결정적인 단점인 '학습영역의 축소' 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경계할 필요가 있다. 즉 교육과정 논의에서 '학습영역의 축소'를 경계하기 위하여 '통섭'의 의미는 아이들을 편협한 심성에 매이지 않게 한다는 교과통합 원래 취지에 비추어 '환원적 통섭'보다는 '가법적·융합적 통섭'의 의미를, '수직적 통섭'보다는 '수평적 통섭'의 의미를, 그리고 '統攝'보다는 '通涉'의 의미를 우위에 두고 교과통합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tried to show whether the sense of consilience can contribute to the problems of curriculum integration. For this, the concept of consilience is to be examined as two forms of it: the additive or confluent consilience and the reductive consilience. As a result of argument in this paper it concludes that there is the limit and pitfall in the concept of reductive consilience to apprehend the curriculum integration. The adoption of reductive consilience for curriculum integration can actually reduce the scopes and boundaries of the contents the pupils should learn in the light of the idea of liberal education. Thus our concern should be focused on the sense of additive or confluent consilience rather than reductive one that Edward O. Wilson has emphasized. As shown in the paper, there are some activities and the fields of knowledge that cannot be reduced to any other activities, and hence ones that we should treat as separate and independent subjects. The concept and the discourse of ren (仁), as adopted in the classical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is to be a quite example for the counter-argument against the Wilsonian consilience. In a word, the argument for curriculum integration under the name of consilience should be tackled not to lessen but to enlarge the scope of various fields and forms of knowledge that pupils have to learn, as it initially aims.

      • KCI우수등재

        형법의 통섭적 발전가능성 -자연과학을 토대로 한 인간본성과 인간중심적 사고

        김혜경 한국형사법학회 2020 刑事法硏究 Vol.32 No.4

        In recent, consilience or grand integration of knowledge is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in academic field. In order to accept consilience in the criminal law or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nsilience development, the following must be decided. First, it will be how to accept the meaning of consilience itself. Consilience, interdisciplinary fusion, convergence, and knowledge congruence, etc. may be used in various terms, but even the same term will be the essence of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opinion that criticizes consilience as reductionism, it is argued that the body cannot be the mind no matter how much analysis it is. In other words, because existence and reason are different in dimension, understanding nature and understanding culture and reason are not at the same level. Second, what does it mean to do or accept consilience? So far, two different studies have merged to create a new academic field. For example, it is not new that law and economics meet to create a discipline called legal economics or ‘law and economics’. Next, it is the question of how consilience achieves academic change or development or retreat. When the criminal law develops consensually, the concept of the criminal law is the same as in the past, but does the system of the criminal law change, or does it have to change the meaning of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rime to create a system that is different from now? Until now, it has been understood that consilience centers on science, as if all roads lead to Rome. However, if you still have a consilience perspective with the criminal law in mind, should not rule out “human-centered think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human-centered at this time is not exclusively thinking about things other than humans, but human-centered as a part of nature, including the community to which humans belong. 학문의 대통합을 주장하는 통섭이 주류인 시대에서, 통섭이 무엇인지, 그리고 법학에서 특히 형법에서 통섭적 발전을 한다는 것이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하지는 않은 듯하다. 그런데 형법에서 통섭을 받아들인다거나 통섭적 발전가능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가지가 선결되어야 한다. 첫째, 통섭 그 자체의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일 것이다. 통섭, 학제간 융합, 융복합, 지식의 합치 등 여러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동일한 용어라도 그 해석을 달리하는 바로 그것의 본질일 것이다. 환원주의라는 비판을 앞장세워 통섭을 부정하는 대다수의 입장은 몸(體)이 어떻게 마음(心)이 될 수 있는가를 반문하지만, 이에 대하여는 환원주의라 하더라도 나쁜 환원주의는 없다는 입장에서는 상생하는 통섭을 강조한다. 둘째, 받아들인다는 것, 통섭을 한다는 것이 어떻게 한다는 것인가? 이미 기존에도 두 개 이상의 영역을 아우르는 학문영역이 존재하였다면 통섭이 그리 새삼스럽게 화두가 될 필요가 있겠는가이다. 셋째, 그리하여 어떻게 학문적 변화 또는 발전/후퇴가 이루어 진다는 것인가의 문제일 것이다. 형법의 개념을 전면적으로 재편하여야 할 것인가, 아니면 형법의 개념은 두되 형법의 체계를 조정하라는 것인지 또는 범죄성립의 구성요건들의 의미를 변화시켜서 범죄성립이 현재와는 다른 방향으로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인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문제이다. 결론적으로 숙고해야 할 바는 그와 같은 통섭의 궁극적인 함의가 무엇인가이다. 지금까지 통섭은 과학을 중심으로,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처럼 모든 학문은 과학을 중심으로 긴 팔을 뻗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형법을 염두에 두고 통섭적 관점을 가진다면 ‘인간중심적 사고’를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때의 인간중심적이라 함은 인간이외의 것에 대한 배타적 사고가 아니라, 인간이 속한 공동체를 포함하여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중심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통섭의 개념 및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간의 지식의 통합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고(Ⅱ), 통섭, 그리고 자연과학적 발전에 대한 형법의 태도는 어떠하여야 하는지 검토한 후에(Ⅲ), 죄형법정주의, 책임주의 등 형법의 기본이념을 통해 형법이 자연과학과 조우하는 법에 관하여 아주 단편적으로 검토를 한 후에(Ⅳ), 인간본성과 형법의 인간화라는 문제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Ⅴ).

      • KCI등재

        통섭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매체예술의 의미와 특성-아방가르드 예술과 디지털 매체예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경아 ( Kyung A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매체예술의 의미와 특징을 아방가르드 예술과 관련지어 통섭의 관점에서 연구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디지털 매체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목적의 디지털 매체예술 작품을 통섭의 관점으로 분석하되 아방가르드 예술작품에 나타난 통섭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매체와 매체예술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아방가르드의 예술작품과 디지털 매체예술의 사례를 통섭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 뒤 두 분야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아방가르드예술은 1)인문학과 시각예술의 통섭, 2)과학기술과 조형예술의 통섭, 3)예술과 반예술의 통섭, 4)복합예술로 인한 예술장르 간 통섭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디지털 매체예술은 1)작품과 관객의 통섭, 2)순수예술과 상업예술의 통섭, 3)다학제, 학문의 통섭, 4)디지털 기술 통섭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두 분야 간 관련성을 끌어내기 위해 본 논문은 객관적분석 틀로 ‘통섭’의 개념을 사용하였고 그 정신이 실천된 대표적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아방가르드 예술정신이 디지털 매체예술의 다양한 실험정신과 맞닿아 계승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는데, 그 특성은 1)개념의 통섭, 2) 지식의 통섭, 3)형식의 통섭으로 정리되었다. 이로써 시대별로 제시된 두 개의 작품군은 개념과 지식, 형식의 차원에서 그간 이분법적으로 대립되었던 영역 간 경계를 허물어 하나의 큰 줄기로 포섭함으로써 시대가 요구하는 올바른 통섭의 의미를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매체예술은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다학제 학문이 대등한 위치에서 접속하고 소통함으로써 보다 폭넓고 심층적인 방법으로 통섭의 의미와 개념을 실험하고 있고, 동시에 상호작용과 가상성등 디지털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섭의 가능성과 미래에 도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the direction digital media art should pursue moving forward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t in its relation to the avant-garde art in the consilience perspective. The study subjects were digital media art works for various purposes, and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s in comparison with the consilience examples that appear in the avant-garde art works. The study process first looked at the media and their formation processe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xt, the examples of the avant-garde and digital media art were analyzed in the consilience concep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ields was studi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ant-garde ar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1) consilience of humanity studies and visual art, 2) consilience of science technology and sculpture art, 3) consilience of art and anti-art, and 4) consilience among different art genres due to complex art. Digital media ar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1) consilience of the art work and audience, 2) consilience of pure art and commercial art, 3) consilience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and 4) consilience of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draw out the relevance between the two fields to an ideal level, this study utilized the concept of “consilience” as the objective standard of analysis, and conducted comparison analysis of representative cases in which the mentality was put into practice.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the avant-garde spirit of art has joined various spirits of experimentations of digital media art in its success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settled as 1) consilience of concept, 2) consilience of knowledge, 3) consilience of form. Thus, by t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fields of genre suggested for each of the period, which has been in dichotomous opposition up to this point, in the dimensions of concept, knowledge and form, and including them into a single large stem, it was evident that the correct meaning of consilience demanded by the current period is being sought. In particular, digital media art was seen to allow for access and communication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tudies, science, and the arts among others at an equal level, thus carrying out experiments of meaning and concept of consilience through a more extensive and in-depth method, while taking on challenges on the possibilities of new consilience and the future with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interaction and virtuality.

      • KCI등재

        유비쿼터스시대 한국의 유아교육, 통섭의 과제와 Reframing 방향

        김경중 ( Kyung Jun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시대 한국 유아교육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조망하였다. 첫째, 다양한 학문의 통섭을 통한, 유아교육 이론적 배경의 변화; 둘째, GNR혁명과 유아교육 현장의 변화; 셋째, GNR혁명과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확대; 넷째, 풍부속의 빈곤: 창의성과 인성의 필요성 증대; 다섯째, 자연환경 기후에 대한 관심과 자연에서의 생활과 체험활동 그리고 이러한 예상되는 변화들을 바탕으로 한국유아교육의 통섭을 통한 Reframing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통섭의 철학 방법 방향; 통합적 학문연구와 통섭의 기본방향은, 미분화된아메바적 통합이 아니라, 제 부분들이 분화된 기능을 맡으면서도, 유기적으로 결합해 협동 작업을 수행하는 유기체처럼, 분화에 기초한 고차원적인 통합을 추구해야 한다. 그리고 통섭의 중요한 출발점은``목적`` ``동기`` ``가치``를 탐구 하는 인문학적 성찰과 비판적 사유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둘째, 보육과 교육의 통합과 통섭; 진정 바람직한 통섭은 어느 일방의 승리나 패패를 통한 통합이아닌, 관련 분야 간에 학문적 통섭의 방향을 먼저 도출하고 유치원 단체와 보육인 단체 간의 통섭도이끌어 내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이것을 바탕으로 관계법과 기관의 통섭을 통해 의회와의 통섭을 통해서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 그리고 통섭의 본질과 원리에 관한 보다 많은 연구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셋째, 통섭을 통한 홀리스틱교육; 홀리스틱교육은 어느 특정한 기술(technique)이거나 교육과정(curriculum)이 아닌 全人의 계발에 역점을 둔다. 따라서 홀리스틱 교육은 어느 한 가지 이론 혹은개념에만 국한하지 않고 균형, 통합, 연계라는 비유와 틀로 설명될 수 있다.넷째, 현대 유아교육 이론을 통합한 멀티-뎁(Multi-DAP); 이영석(2012)은 현대 유아교육이론을 NAEYC의 DAP개념, 비곳스키의 ZPD발달이론, 신피아제 이론, Miller의 홀리스틱 유아교육 접근,Gardner 의 다면적 지능이론, Goldman/Bar-on의 감성지능이론, Sternberg와 Wagner의 실천적 지능이론을 근거로 한 발달적 유아교육 모형을 구체화 하여 멀티-뎁(Multi-DAP)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한국의 유아교육은 인접 학문과의 학제적 연구측면에서 매우 제한적이었다. 분과 학문의 견고한 칸막이를 치고 안주하면서 편협한 교육을 수행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유비쿼터스사회에서는 더 이상 이러한 편협한 인위적인 장벽은, 우리가 원하든 원치 않던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통섭을 통해 서로 하루빨리 이질적 학문 분야와 만나야 한다. 그렇지만 이 같은 통섭에는 명확한 통섭의 원칙과 철학이 있어야 한다. 특히 자연과학과 손을 잡고 통섭하려 할 때, 인간의 삶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해석과 비판을 과제로 삼는 "해석학적 비판과학"의 철학적 인식론적 관점을 견지해야 할 것이다. 유아교육에서 보육과 교육의 통합 문제도 앞에서제기한 통섭의 원칙과 철학에서 사유하게 되면 누리과정처럼 자연스럽게 풀리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섭을 통한 한국 유아교육의 리프레이밍 방향은, 홀리스틱 교육이 추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을 통해서, 그리고 다양한 현대의 유아교육 이론적 체계를 통합한 멀티-뎁(Multi-DAP)프로그램과 같은 모형도 좀더 다양한 학문분야와 통섭함으로서 유비쿼터스 사회에 걸맞는 질 높은 유아교육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mainly argu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biquitous era in South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s direction. The key points were indicated in the followings. First,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consilience should be ``objective,`` ``motive,`` and ``value`` of the humanities to explore the reasons for critical reflection and should be started from. Second, to achieve truly desirable consilience, consilience between the academic and kindergarten, between groups and organizations should be unified. Moreover, the government on the basis of it with the Congress through laws and institutions consilience, and consilience on the nature and principles should be more research efforts. Third, holistic education focused on the whole development rather than specific skills (technique), or education (curriculum). Thus, any one kind of holistic education theory or concept were not limited to the balance, integration and linkage with a non-frame can be explained. Fourth, multi-Depp(Multi-DAP) that integrated the modern the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새로운 학문통합 프로젝트로서의 통섭에 대한 철학적 반성

        오용득(Oh, Yong-deuk)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윌슨이 제안한 통섭은 사실상 계몽주의와 논리실증주의의 학문통합 이념을 계승한 새로운 학문통합 프로젝트이다. 『통섭』에서 윌슨은 모든 학문의 주제들을 진화생물학의 원리에 따라 설명할 수 있도록 그 기초를 다시 조직함으로써 계몽주의와 논리실증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명실상부한 학문통합을 성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통섭에 대한 많은 반론들이 제기되었다. 환원주의에 대한 반론, 학문들의 기능 통합에 대한 반대, 통섭의 정치적 함의에 대한 비판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반론들은 모두 통섭의 이론체계 외부의 논거에 의거한 반론들이며 통섭과는 다른 언어게임에 준거하는 주장들로서, 통섭에 대한 결정적인 반론이 될 수 없다. 이에 논자는 통섭의 논리에 내재하는 하나의 난점에 주목했다. 윌슨은 통섭이 인간 종의 진화적 이점을 제공한다고 주장하지만 진화생물학의 원리에서 볼 때 그런 식으로 학문을 통합하는 것은 오히려 인간 종의 진화적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 그것이었다. 통섭이 이러한 내재적 난점을 극복한다 하더라도, 다른 언어게임에 준거한 반론들이 제기될 수 있다는 사실은 또 다른 의미에서 통섭의 한계를 드러낸다. 통섭이 그러한 반론들에 대해 자기 자신을 규정하는 언어게임에 입각하여 재반박하는 것은 원리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통섭은 유일한 통합학문이 아니라 진화생물학이라는 하나의 언어게임에 입각한 하나의 세계관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자연과학·사회과학·인문학의 모든 문제들이 진화생물학의 원리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사실이 진화생물학에 준거한 학문의 통합을 정당화하는 충분한 근거가 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consilience proposed by E. Wilson is in fact a new project to unify sciences. The consilience, as it were, succeed to the idea of the unification of sciences executed by the Enlightenment and the Logical Positivism. But these two had ended in a failure. Hence the consilience tried to unify sciences in conformity to the evolutionary biology, to overcome the weak points implicated in the theoretical systems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Logical Positivism. Nevertheless this consilience project has been confronted by many kinds of the objection: refutation to the reductionism, opposition to abandon traditional division of labor in various sciences, criticism on the political ideology implicated in that project etc. But these are not sufficient to pull down the consilience project. For these are based on the other language game than what the consilience is based on. If we would raise an objection to the consilience, we ought to work out a strategy by which the logical aporia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consilience disclosed. In this paper I pointed out a logical incoherence involved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consilience. It was that the consilience contains two theses incompatible: the one is that the unification of sciences will give an evolutionary benefit to human species and the other is that the consilience may incur an evolutionary loss to human species. Even though the consilience overcomes the very logical incoherence, it surely confronts with another fault: the consilience can not make a counterattack the objections based on the other language game than what the consilience is based on. In this respect, the consilience seems to be not an unified science but a science founded on a language game.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통섭 교양 과목은 왜 필요한가 -지적 통섭과 실천 통섭을 중심으로

        신종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5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consilience and concretizes consilience liberal arts into intellectual consilience and practical consilience, in order to consider why the sort of liberal arts that applies consilience thinking is necessary in the post-human era. Consilience refers to a harmony between discipline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a method that achieves convergence between disciplines, and a tool that connects life and disciplines. Convergence as a result and consilience as a process also make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talent a person possesses. Convergence-type talent refers to a resultant human who can precisely design linkages with other fields based on expertise in one field, whereas consilience-type talent refers to a generative human who finds issues around them, focuses on those issues, and derives solutions by combining studies and data in various ways. Here, consilience-type talents create questions by observing certain phenomena, combine seemingly unrelated things in their own way, and develop a new framework to answer the questions. Their thinking flow is defined as ‘consilience thinking’. Therefore, consilience liberal arts education focuses on the acquisition of consilience thinking and allows students to reduce their prejudices and fears about other departments or other disciplines, lower the barriers to entry into other departments or other disciplines, and further deepen and broaden convergence thinking in their majors. However, in order to have such an effect in the post-human era, it is necessary for consilience liberal arts to divide into two parts: ‘intellectual consilience’ and ‘practical consilience’. The purpose of intellectual consilience is to make students realize that they can acquire consilience knowledge related to our lives and solve problems around us through consilience knowledge, whereas practical consilience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consilience thinking while creating results centered on actual activities by exploring the problems around them and analyzing the data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본 연구는 통섭적 사고를 적용하는 교양 과목이 포스트휴먼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왜 필요한지를고찰하기 위해, 교양 교육의 의미를 통섭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와 관련된 통섭 교양 과목을크게 지적 통섭과 실천 통섭으로 나누어 구체화한다. 통섭은 결과로서의 융합으로 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문간 교류와 화합을 의미하는 동시에 학문간 융합을 이루기 위한 일종의 방법론으로서 삶과학문을 연계시키는 도구이기도 하다. 결과로서의 융합과 과정으로서의 통섭은 인재의 유형에 있어서도차이를 만든다. 융합형 인재가 자신이 갖고 있는 전문성을 중심으로 융합 가능한 범위를 미리 상정하고그 결과를 예측하는 결과지향적 인간을 말한다면, 통섭형 인재는 자신이 공감하는 문제에 따라 융합가능한 범위를 변화시키면서 솔루션을 도출하는 문제지향적 인간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통섭형인재는 어떤 현상을 보면서 질문을 생성하고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서로 연관이 없어 보이는 것들을나만의 방식으로 조합하고 재배열하며 새로운 틀을 구상해내게 되는데,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사고의흐름을 통섭적 사고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통섭 교양 교육은 통섭적 사고의 체득에 초점을 맞추어학생들로 하여금 타 계열 또는 타 학문에 대한 편견과 두려움을 줄여주고 나아가 타 계열 또는 타학문으로의 진입장벽까지 낮춰 전공에서의 융합적 사고를 깊고 넓게 만들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만, 통섭 교양 과목이 복잡한 관계적 특성을 갖는 포스트휴먼의 시대에 그와 같은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지적 통섭’과 ‘실천 통섭’의 두 파트로 나누어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지적 통섭이 학생들로 하여금우리 삶과 관련된 통섭적 지식을 습득하고 우리 주변의 문제를 통섭적 지식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깨닫게 만드는 것이라면, 실천 통섭은 학생들 스스로 자기 주변의 문제들을 탐색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실제 활동 중심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면서 통섭적 사고를 체험하게만드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