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학생선수 관련 연구동향 분석

        강유정,오현정,이병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생선수 관련 국내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자료수집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23년 3월까지 국내 등재지에 게재된 학생선수 관련 논문 912편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텍스톰과 유시넷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N-gram 분석,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기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출연한 키워드는 학교운동부, 운동선수, 경기력, 진로, 지도자로 확인되었다. 이들 키워드는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도 연결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매개 역할을 하는 주요 키워드임을 알 수 있었다. N-gram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선수와 학교운동부가 결합하여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NCOR 분석 결과에서는 비슷한 특성을 가진 키워드를 중심으로 지도자, 학교운동부 정책, 운동수행능력, 진로라는 총 4개의 군집이도출되었다. 둘째, 시기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제1시기를 제외하고 제2, 3, 4시기에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학교운동부, 운동선수, 진로, 경기력, 지도자임을 확인하였다. 시기별 연결 중심성의 경우 제1시기부터 제4시기까지 학교운동부와 지도자가 가장영향력이 있는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의 경우 제1시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기에는 학교운동부와 경기력이 다른 키워드사이에 위치하여 중개자 역할을 하는 주요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학생선수와 학교운동부, 학생선수와 지도자, 학생선수의 경기력과 진로 교육의 주제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되어야 할 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papers related to student-athlet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data collection, we collected 912 papers related to student athletes published in domestic registration journals from 2000 to March 2023 using domestic databases. Textom and Ucinet were used for conducting data analysis, including keyword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during the entire period, the keywords that appeared the most were identified as school sports team, athlete, athletic performance, career path, and leader. In the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se keywords not only had high connection strength, but were also major keywords that play a mediating role by being located between other keywords. The results of the N-gram analysis confirmed that the combination of student-athletes and school sports teams appeared most frequently. In a total of four clusters were derived in the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which were centered on keyword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leader, school sports team policy,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nd career path. Second, as a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by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keywords that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2nd, 3rd, and 4th periods excluding the 1st period were school sports team, athlete, career path, athlete performance, and leader. In the case of degree centrality by period, from the 1st period to the 4th period, school sports team and leaders appeared as the most influential keywords, In the case of betweenness centrality, except for the first period, in the remaining periods, school sports team and athlete performance were identified as the main keywords acting as mediators as they were located between other keywo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on the subject of student-athletes, school sports teams, student-athletes and leaders, student-athletes performance and career education, and suggested themes and direction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적구조 규명을 위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이재윤,정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22 정보관리학회지 Vol.39 No.1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which quantitatively identifies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sub-domains of fields, has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nalysis techniques traditionally used to conduct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research include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co-citation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an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a novel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method,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KBCA). The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KBCA) is a variation of the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which targets keywords instead of authors. It calculates the number of references shared by two keywords to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two keywords. A set of 1,366 articles in the field of ‘Open Data’ searched in the Web of Science were collected using the proposed KBCA technique. A total of 63 keywords that appeared more than 7 times, extracted from 1,366 article sets, were selected as core keywords in the open data field. The intellectual structure presented by the KBCA technique with 63 key keywords identified the main areas of open government and open science and 10 sub-areas. On the other h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network of co-occurrence word analysi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in the overall structure and detailed domain structure.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because the KBCA sufficiently meas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using the degree of bibliographic coupling. 학문의 구조, 특성, 하위 분야 등을 계량적으로 규명하는 지적구조 분석 연구가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적구조 분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분석기법은 서지결합분석, 동시인용분석, 단어동시출현분석, 저자서지결합분석 등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서지결합분석(KBCA,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을 새로운 지적구조 분석 방식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은 저자서지결합분석의 변형으로 저자 대신에 키워드를 표지로 하여 키워드가 공유한 참고문헌의 수를 두 키워드의 주제적 결합 정도로 산정한다. 제안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Web of Science에서 검색된 ‘Open Data’ 분야의 1,366건의 논문집합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366건의 논문집합에서 추출된 7회 이상 출현한 63종의 키워드를 오픈데이터 분야의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63종의 핵심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으로 제시된 지적구조는 열린정부와 오픈사이언스라는 주된 영역과 10개의 소주제로 규명되었다. 이에 반해 단어동시출현분석의 지적구조 네트워크는 전체 구성과 세부 영역 구조 규명에 있어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키워드서지결합분석이 키워드 간의 서지결합도를 사용하여 키워드 간의 관계를 풍부하게 측정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양육기 결혼만족도 연구 분석

        이도경(Lee, Do Kyung),김형빈(Kim, Hyung B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한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청소년, 자녀, 양육, 유아, 부모 역할, 취업모, 출생 등의 키워드가 같이 포함되어 있는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양육기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여러 키워드를 도출하여 양육기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키워드의 빈도 분석과 TF-IDF를 통해 어떤 주제가 많이 연구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키워드의 연결중심성을 확인하여 다른 주제어와 많이 연결되어 있는 키워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를 주제어로 하는 논문 132편을 수집하고 270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후 NOTEPAD++를 사용하여 키워드를 1차 정제한 후 텍스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어 재정제하였다. 이후 정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빈도분석과 Textom 프로그램의 TF, TF-IDF, N-gram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첫째, 2000년대 이후 매년 이루어져 오던 연구가 2010년 이후부터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 연구는 52개의 학술지에 총 132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한국가족복지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아동학회지,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등 가족관계 및 아동, 영유아를 연구하는 학술지에서 주로 활발하게 연구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의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는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어머니’, ‘양육참여’, ‘자녀’, ‘부부갈등’, ‘양육효능감’, ‘문제행동’, ‘우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TF-IDF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는 출현 빈도 순위와 거의 유사하나 ‘결혼만족도’는 상위 키워드 안에 들지 못한 것이 확인되었다.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어머니’,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양육참여’, ‘자녀’, ‘부부갈등’, ‘문제행동’ 등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N-gram 분석에서는 주요 키워드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혼만족도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 순으로 나열하면 ‘자녀’, ‘우울’, ‘아버지’, ‘양육태도’ 등이 각각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아버지’와 ‘양육참여’로 ‘결혼만족도’에는 ‘아버지’와 ‘양육참여’가 같이 많이 연관되어 언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네트워크로 표현한 연결정도 중심성은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결론 양육과 관련된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더욱 정교히 하여 다양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Objectives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rough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 extracted and analyzed the keywords of studies on marital satisfaction that contain keywords such as youth, children, parenting, infants, parental roles, working mothers, and births. By deriving several keywords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and TF-IDF, which topics were studied the most, and by confirming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s to identify keywords that are highly connected to other keywords.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132 papers with the theme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parenting’ were collected and 270 keywords were derived. After that, the main word was first refined using NOTEPAD++, and then the word was re-refined using the textom program. Afterwards, based on the refined keywords, frequency analysis and TF, TF-IDF, and N-gram of the Textom program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Results First,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every year since the 2000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10 onwards. Second, a total of 132 papers were published in 52 academic journals regarding the study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that study family relationships, children, and infants,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amily Welf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Family Socie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mily Relations, the Journal of the Children s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ant Car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major keywords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father’, ‘mother’, ‘parenting participation’, ‘children’, ‘marital conflict’, ‘Parenting efficacy’, ‘problematic behavior’, and ‘depression’ appeared in the order. Fourth, as a result of TF-IDF wei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it was derived almost similar to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but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enter the top keywords. Keywords with high weight were identified as ‘mother’, ‘father’, ‘parenting stress’, ‘parenting participation’, ‘child’, ‘marital conflict’, and ‘problematic behavior’. fifth,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keywords was confirmed in the N-gram analysis. When the keywords that are high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re listed in order,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depression’, ‘father’, and ‘parenting attitude’ appeared respectively.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weight were ‘father’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father’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were mentioned a lot in ‘marital satisfaction’. Sixth, the centrality of the degree of connection expressed through the network was connected centered on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Conclus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studies on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are increa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further elaborated and suggestions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were made.

      • KCI등재후보

        중국 유아 창의성의 연구동향 분석

        김경철,딩슈잉,심효영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이루어진 유아 창의성 관련 연구들의 키워드와 키워드 간 네트워크의 특징, 하위 네트워크를 파악하여 향후 유아 창의성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논문 사이트 知网(CNKI)에 게재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392편 논문에서 2,144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키워드들을 정제한 후 키워드 매트릭스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키워드 매트릭스는 UCINET 6를 활 용하여 키워드 동시출현 분석, 밀도분석, 매개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키워드 하위 네트워 크를 알아보기 위해 CONCOR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Net Draw로 시각화하였다. 빈도 분석 결과 첫째, 상위 30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미술’, ‘놀이’, ‘교수 법’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결과, 유아 창의성 관련 키워드들의 밀도는 비교적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관련 키워드들 중 매개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교수법 (16.082)‘, '배양(13.867)’, '심리(11.963)', '놀이(9.880)', '창의적 사고력(9.880)'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키워 드를 중심으로 CONCOR 분석을 실시하고 시각화 한 결과 총 4개의 하위 네트워크 집단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 of Chinese young children’s creativity. To do this, keywor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keyword network and sub network was analyzed. 2,144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392 articles and theses related young children's creativity posted on the CNKI paper search system in China. 2,144 keywords were refined and matrix was constituted by refined keywords. After this, co-appearance analysis,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was conducted by utilizing UCINET 6 program. Lastly, to identify sub network of keywords,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visualized the result by Net Draw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upper 30 keywords were extracted, and the most frequently extracted keyword was 'art', followed by 'play' and 'teaching method'. Second, density of keyword network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research was relatively low. Third, the highest betweenness centrality keyword was 'teaching method(16.082)', followed by 'cultivation(13.867)', 'psychology(11.963)', 'play(9.880)', and 'creative thinking(9.880)'.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4 sub network groups were appear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분석(2008∼2022)

        권경인,김민향 한국상담학회 2024 상담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난 15년간 집단상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2년까지 KCI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집단상담 연구 682편에서 463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Excel 2019와 NetMiner 4.0을 활용해 중심성 분석과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1기(2008∼2012)와 2기(2013∼2017), 3기(2018∼2022)로 나누어 시기별 연구의 특징과 흐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난 15년간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자아개념, 청소년, 대학생, 대인관계, 초등학생 순이었다. 이들 키워드는 시기별로 약간의 순위 변동은 있었으나, 모든 시기에서 중심성이 높은 핵심 키워드였다. 둘째, 시기별 특징을 보기 위해 해당 시기에만 중심성 상위순위에 오른 키워드를 따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1기에는 적응 및 대인관계 관련 키워드가 많았고, 2기에는 범죄행위자, 공격성 등의 특정 문제나 위기 상황이, 3기에는 비대면화상과 함께 집단원경험, 상담자교육 등 집단상담 당사자들의 경험에 관한 키워드들이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 관련 키워드 3개를 선정하여,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시기에 따라 각각의 키워드에 연결된 키워드와 네트워크에 차이가 있어, 동일한 키워드일지라도 시기에 따라 다른 의미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이상의 분석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집단상담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rends in group counseling studies over the past 15 year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o accomplish this, 463 articles were extracted from 682 group counseling studies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from 2008 to 2022. Centralization analysis and ego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Excel 2019 and NetMiner 4.0.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hree perio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research over time (1st phase (2008-2012), 2nd phase (2013-2017), and 3rd phase (2018-202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over the past 15 years, keywords with the highest centrality included self-concept, adolescents,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child. Although there were slight variations in rankings across periods, these keywords consistently held high centrality in all periods, indicating their significance. Secondly, to explore period-specific features, keywords that ranked high in centrality exclusively during a particular period were identified. In the 1st phas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related keywords were prominent. In the 2nd phase, specific issues such as offenders, aggression were highlighted, while the 3rd phase emphasized keywords related to online/virtual settings and the experiences of group members, and of those involved in group counseling including counselor education. Finally, an ego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ree selected keywords related to research topic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ven the same keyword could have different semantic structures depending on the time frame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keywords and networks connected to each keyword depending on the perio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s, implications for future group counseling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박언하(Eon Ha Park)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0 No.-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연구가 포함한 키워드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연구의 내용과 흐름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개재논문의 연도별, 논문별 동향을 파악하고 논문의 키워드들을 수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분석절차는 분석대상 논문선정, 키워드 추출 및 코딩, 키워드 네트워크 구축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 과정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에서 2019년까지 총 72편의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이 게재되었다. 논문 별로는 등재학술지와 석사학위논문에 가장 많이 개재되었다. 둘째, 키워드는 학교적응, 사회적응, 문화적응, 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키워드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의 키워드 연결정도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적응, 사회적 지지, 문화적용의 순으로 중심성 지수가 높았으며, 의미연결망 분석결과 연구방법, 학교적응, 사회 및 문화적응, 학교적응에 대한 방법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Keyword network analysis is a metho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keywords included in the research and to analyze the content and flow of the current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of the papers on adaptation to North Korean youth. To do this, we grasped trends in each year and thesis of master 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10 to 2019. The analysis procedur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object thesis selection, keyword extraction and coding, keyword network construction,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2010 to 2019, a total of 72 papers related to North Korean youth adaptation were published. By thesis, it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the journals and master s thesis. Second, keywords showed high frequency in order of school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cultural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entrality of keyword connection degree in the North Korean youth adaptation related papers, the centrality index was high in the order of school adaptation, social support, and cultural application. Appeared as a cluster of methods f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research trends related to North Korean youth adaptation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항공우주산업 분야 과학기술의 연구 동향 분석

        김희수 ( Hee-su Kim ),김재현 ( Jae-hyun Kim ),황인서 ( In-seo Hwang ),이동훈 ( Dong-hoon Lee ),최원석 ( Won-seok Choi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4

        연구 동향 분석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연구 분야의 동향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문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구 분야의 동향을 살펴본다. 항공우주산업은 주목 받고 있지만 항공우주 산업의 근간이 되는 과학기술에 대한 특징을 데이터에 근거해 분석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2009년~2020년 발행된 항공우주산업 관련 3편의 SCI 저널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IEEE Transaction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PAS에서 168편, AST에서 844편, TAES에서 2627편 총 3639편의 논문에서 5026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키워드는 정제하여 하나의 논문에서 생성된 키워드들을 링크로 서로 연결하며, 이렇게 구성된 키워드 링크 데이터를 UCINET 툴을 이용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 분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항공우주 기술 분야의 키워드 네트워크는 평균적으로 하나의 키워드가 8.788개의 키워드와 연결되어있고, 밀도는 0.002 값을 가지며, 클러스터링 계수는 0.451로 매우 낮다. 이는 항공우주산업 기술에서는 항공기 기체, 비행체 제어, 공력, 환경규격, 항공 전자 및 소프트웨어, 인공위성, 추진, 항공기 엔진, 항공기 인증, 발사체, 무인기, 탐지 추적, 광학 등의 다양한 분야가 연구 및 통합되기 때문이다. 또한, 키워드 간 평균 거리가 4.05 값을 가지는데 이는 항공우주기술 분야가 좁은 세상 네트워크(small world network)를 이루고 있으며, 멱함수의 법칙의 특징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에서 중심성이 높은 노드는 중요한 위치를 가지며 다른 노드들에 많은 영향력을 끼친다.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지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중요 키워드들을 분석하고 키워드들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항공우주산업의 연구동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요한 키워드로 ‘수신기(Receiver)’, ‘평가(Estimation)’, ‘탐지 및 추적(target track)’, ‘공기역학(aerodynamic)’, ‘궤적(Trajectory)’,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등의 키워드가 선정되었으며, 이들 키워드는 항공우주산업 과학기술의 근간에서 중요한 키워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키워드를 중심으로 중요하게 선정된 키워드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Research trend analysis is a method of analyzing trends by using data in a specific research field. In this study, trends in the research field are examined and evaluated with thesis keyword network based on characterize the subject and keyword semantic analyze. Although the aerospace industry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field of studies, science and technology characteristic analyzing in the aspect of data has not been frequently researched. For this study, 3 SCI journals papers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IEEE Transaction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 related to the aerospace industry were selected, which were published from 2009 to 2020. And we collected a total 3639 papers that contains 5026 keywords which are 168 papers form PAS, 844 papers from AST and 2627 papers from TAES. The collected keywords from each paper were connected as one link, and performed network configuration with a linked keyword data set by using UCINET tool. Constructed keyword link data set was analyzed for aerospace trend research.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 single keyword from aerospace technology field was connected with 8.788 keywords in average, the network keyword density had a value of 0.002 and the clustering coefficient was very low as 0.451. This is because various fields such as aircraft airframe, vehicle control, aerodynamics, environmental standards, avionics and software, satellite, propulsion, aircraft engine, aircraft certification, launch vehicle, unmanned aerial vehicle, detection and tracking and optics are researched and integrated in the aerospace industry technology. In addition, the average distance among keywords has a value of 4.05, which means that the aerospace technology field forms a small world network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power law. A node with high centrality in the network link has an important position and has a lot of influence on other nodes. 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aerospace industry is analyzed per important keywords in the network using the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 centrality indicators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From this study, important keywords such as ‘Receiver’, ‘Estimation’, ‘target track’, ‘aerodynamic’, ‘Trajector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ere selected. And it confirms that these keywords appeared as important found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erospace industry. For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selected as centering keywor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작업치료 분야 연구동향 분석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오진석,전병진,손성민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2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의 키워드를 분석대상으로 그 관계를 분석하여 작업치 료 분야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분석 대상은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93년 창간호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총 721편의 논문이 며, 논문의 키워드를 분석 단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고, 네트워크 분포의 지표로 밀도, 포 괄성, 고립정도를 분석하였고, 중심성 지표로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은 1단계(1993-1999), 2단계(2000-2009), 3단계(2010-2019)로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중복 포함된 키워드는 총 2,835개, 독립적 개별 키워드는 총 1,453개로 나타났다. 네트 워크 분포 분석결과 밀도는 .182, 포괄성은 100%로 나타났으며, 고립된 노드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심 성 분석결과 연결 중심성이 높은 상위 키워드는 1단계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손기능, 뇌성마비, FIM, 2 단계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상지기능, 강제유도운동치료, 3단계 작업치료, 뇌졸중, 체계적 고 찰, 참여, 노인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이 높은 상위 키워드는 1단계 뇌졸중, 손기능, 스트레스, 뇌 성마비, 발달장애, 2단계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치매, 뇌성마비, 3단계 작업치료, 뇌졸중, 체계 적 고찰, 인지기능, 참여 순서로 나타났다. 위세 중심성이 높은 상위 키워드는 1단계 그룹치료, 양육자. 정신사회적발달, 애착, 반응성 애착장애, 2단계 신뢰도, 타당도, 평가, 뇌손상, 뇌졸중, 3단계 신뢰도, 타 당도, 참여, 우울, 인지기능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였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를 지니며, 이를 통해 작업치료 분야에 대한 이해와 연구 동향과 주제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trend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KNA). Methods: Study subjects were the keywords i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KJOT) studies conducted from 1993 to 2019. The analysis period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1993-1999, 2000-2009, and 2010-2019, and the analysis was set to a total of 10 years. Through the KNA, the network distribution was analyzed based on density, inclusiveness, and isolation, and the centrality was analyzed based on degree, betweenness, and eigenvector centrality.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KNA indicate, a total of 2,853 duplicate key words and a total of 1,453 independent keywords were found, with a density of .182 and inclusiveness of 100%, and there were no isolated keywords. Keywords with a high degree of centrality appeared in order of stroke, ADL, and hand function during phase 1; stroke, ADL, and OT during phase 2; and OT, stroke, and systemic review during phase 3. Keywords with a high betweenness centrality appeared in order of stroke, hand function, and stress during phase 1; stroke, ADL, and OT during phase 2; and OT, stroke, and systemic review during phase 3. Keywords with a high eigenvector centrality appeared in order of group therapy, caregiver,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during phase 1; reliability, validity, and assessment during phase 2; and reliability, validity, and participation during phase 3. Conclusion: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based on the overall analysis regarding occupational therapy when using the KNA. Based on this study, this results should be used to understand occupational therapy and to confirm the research trend and theme.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관계중독 연구동향 분석

        조지현(Ji-Hyeon Jo),도수정(Soo-Jung Do),이옥순(Ok-soon Lee),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23 영재와 영재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Net-miner를 활용하여 관계중독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5년부터 2022년까지 KCI에 등록된 학위논문 및 국내 학술지 중 ‘관계중독’ 키워드로 검색된 133편의 논문을 발췌 후 Net-miner 4.5를 이용하여 빈도수 상위 35개의 키워드 간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클라우드 분석, 연도별 발표 논문 수 추이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와 더불어 근래 사회적 이슈이자 관계중독의 발현으로 보이는 스토킹 및 데이트폭력에 관한 뉴스를 수집 후 키워드 분석을 통해 해당 키워드의 노출이 많아진 시기와 관계중독 연구의 증가 시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관계중독과 관련해서는 2005년 이후부터 연구가 이루어져 2022년까지 13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추출된 단어의 빈도는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 ‘초기성인기’, ‘상관’, ‘경험’, ‘심리’, ‘변인’ 순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연도별 발표 논문 수는 2014년부터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19년 한 해에만 26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넷째,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부모, 변인, 경험, 상관, 설문, 심리, 정적, 초기성인기 등의 순으로 나타나 다른 키워드와 그만큼 함께 연구되는 빈도가 높은 핵심 키워드로 파악되었으며, 매개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부모, 불안, 경험, 성향, 지각, 정적, 행동, 변인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계중독 연구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tilize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program, Net-miner,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relationship addiction and provid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achieve this goal, a total of 133 selected papers, extracted from Korean Citation Index (KCI) database, including dissertations and domestic academic journals, with the keyword “relationship addiction”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4.5. The analysis included cloud analysis,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by year, word network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Additionally, news articles on stalking and dating violence, which have emerged as recent social issues and potential manifestations of relationship addiction,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or their correlation with the increase in relationship addiction research. The results revealed that research on relationship addiction has been conducted since 2005, with a total of 133 papers published until 2022. The most frequent extracted keyword was “mediating effect,” followed by “parents,” “early adulthood,” “correlation,” “experience,” “psychology,” and “variable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tarting from 2014, with a peak in 2019 when 26 papers were published. The keywords with high connectivity centrality included “parents,” “variables,” “experience,” “correlation,” “survey,” “psychology,” “static,” and “early adulthood,” indicating their strong association with other keywords and their relevance as core keywords in related research. The keywords with high intermediary centrality were “parents,” “anxiety,” “experience,” “tendency,” “perception,” “static,” “behavior,” and “variables,” indicating their frequent occurrence as mediators between different keyword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relationship addiction research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남규,김유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와 그림책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학술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발행된 유아와 그림책과 관련 1,195편의 학술논문에있는 키워드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키워드 출현빈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유아와 그림책 관련 키워드 중 창의성, 친사회적행동 키워드는 출현빈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에서 모두 높은 순위를 나타냈다. 반면, 연구동향, 문학, 그림책만들기, 읽기흥미 키워드는 빈도수에 비해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둘째, 유아와 그림책 연구의 시기별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1기(2001-2010년)와 2기(2011-2020년) 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키워드 출현빈도는 1기와 2기 모두 창의성, 언어능력, 언어표현력, 그림책읽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1기는 이야기구성능력, 이야기이해력 등 언어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기는 정서지능, 조망수용능력, 자아존중감 등 사회⋅ 정서와 관련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키워드 연결중심성은 1기에는 언어능력관련 키워드와 그림책만들기, 그림책 읽기의 키워드가높게 나타났으며, 2기에는 연구동향, 사회⋅정서관련 키워드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유아와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은 그림책의 문학적 본질과 관련된 연구들이 다각도로 이루어진 경향성을 볼 수 있었으며,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서 나타난 키워드는 시기별 네트워크 분석에서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시대별로 중요하게 요구되는 주제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