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료교육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의 욕구 조사에 관한 연구

        전병진,이지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 장애아동 부모들의 치료교육에 관한 욕구 조사를 통하여 현재 치료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작업치료계 입장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402부를 회수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여러 전문가들에게 점검받아 수정하였다. 결과 : 부모들이 가장 원하는 치료교사로는 전문 치료 영역을 가지고 있는 치료사이며 77%의 부모들이 택하였다. 한 학교에서 치료교육을 받는 경우는 27%이며 사설기관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이 55%이고 두 곳 모두에서 치료교육 및 치료를 받는 아동이 65%였다. 이로 인한 사치료비는 가구당 월 평균 49만원 정도였다. 사설치료를 받는 부모들의 79%가 치료교육의 질적인 문제를 지적하였다. 결론 : 치료교육의 주체인 장애아동과 부모들이 요구하는 부모들이 요구하는 치료교육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세부 전문영역을 가지는 치료교사를 양성하여야 한다. 또한 전문 영역의 치료사를 관련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치료교육의 질적, 양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rapeutic education by investigating needs of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on the therapeutic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distributed towards nationwide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and 402 copies were returne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12.0 and including descriptive test. The measuring instrument,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corrected by several experts in order to secure the content validity, and used after being revised through pilot study of 20 researchers. Results : Regarding the demand on therapeutic groups, 77% of respondents wanted therapists who possess professional therapeutic skill. And 27% of all handicapped students received therapeutic education in school; 55% of students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private institute. The fee of private therapy was 490,000won per month; 72% of respondents pointed out the lower quality on the problems of therapeutic education. Conclusion : In order to develop the treatment education required by parents, it was developted to therapist who possess the specific therapeutic skill as therapeutic teacher.

      • KCI등재후보

        재활치료사의 사회학적 변인이 근무지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작업, 물리치료사를 중심으로

        전병진,문정인,이경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3

        목적 : 재활치료사들의 근무지향-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가장 효과적인 조직 문화 유형을 구축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는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34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근무지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근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인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분배정의는 조직몰입에 대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절차정의는 외생변인 중에서 가장 강하게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직업결사가 강할수록 직무만족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자율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지만 조직몰입에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 조직몰입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직무만족도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절차정의, 직업결사, 분배정의, 교육수준 순으로 중요한 설명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most effective organization type by grasping the effect factors on the work orientation of rehabilitation therapi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Methods :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wards 340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Measurement instrument was composed of questions on the work orientation. Validation was condu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 was confirmed through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causality of factors, influencing the work orient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Results : Division justice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but does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Procedure justice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Job association is strong, it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Autonomousness is high, it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but doesn’t effect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Conclusion :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was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sequences of important explanation factor were procedure justice, job association, division justice, and education.

      • KCI등재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병진,이재신,이옥자,심문숙,한수정,장윤승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체적, 심리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들 변인들간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고, 매개변인인 이동기능을 통한 영향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9월 3일부터 2009년 5월 30일까지 논산지역 13곳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29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신체적 요인은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InBody 720을 사용하여 하지근육량과 비만도를 측정하였고, 심리적 요인은 통증과 우울에 관한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동기능은 이동능력(Timed Up and Go: TUG)과 선따라 걷기 검사가 실시되었고 낙상효능감에 대한 자료는 낙상효능감 척도(Fall Efficacy Scale: FES)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신체적, 심리적 요인들을 외생변인으로 선정하여 중간 매개변인인 기능이동능력과 최종 내생변인인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Amos 7.0의 ML(Maximum Likelihood) 추정절차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이동하기, 복부비만과 내장비만, 통증,우울 그리고 연령에서 부적(negative)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지의 근력과 성별에서는 정적(positive)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매개변인인 이동능력에 유의미한 인과 영향을 갖는 요인으로는 하지근육량(β=-.352), 비만도(β=.159), 심리적변인(β=.240)이었고 통제변인에서는 연령(β=.424)이었다. 최종내생변인은 이동기능(β=-.524)과 심리적 변인(β=-.152)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간접영향과 직접영향을 고려한 전체 영향에서 절대적 크기 순서로 나열하면, 이동기능(-.524), 심리적 변인(-.236), 연령(-.164)이다. 결론 :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동기능, 하지근육량, 심리적변인, 비만도, 연령이다. 따라서 작업치료에서 노인의 낙상효능감을 증진시켜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상의 요인들을 고려한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CIMT)와 뇌졸중 환자의 삶의질(SS-QOL)에 대한 사례연구

        전병진 대한작업치료학회 200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목적 : 본 연구는 첫째, 건측상지 제한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가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건측상지 제한치료 효과의 지속을 위해 가정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상지기능의 향상이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치료 과정은 3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병원에서 건측상지 제한치료 시기이다. 둘째는 스스로 건측상지 제한치료 시기이다. 셋째는 가정프로그램으로 건측상지 제한치료 시기이다. 자료 수집은 젭슨 상지기능 검사(Jebsen Hand Function Test)와 뇌졸중환자 삶의 질 평가도구(SS-QOL), 캐나다 작업수행모델(COPM)을 이용하여 기초선을 측정하고 각 시기별 검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 치료결과 환측 상지의 기능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작업수행(occupational performance)의 수행도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가정프로그램은 환측 상지기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켰으며 건측상지 제한치료의 효과를 지속시켜 주었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이상의 치료들이 효과적이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건측 상지 제한치료가 환측 상지의 기능적인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삶의 질과 작업수행의 만족도에 좋은 결과를 주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가정 프로그램 진행시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게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CIMT 및 삶의 질을 연구할 때 심리적인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인 SS-QOL 척도에 대한 국내 상황에 맞는 타당도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in person with hemiparetic stroke. Methods :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onsisted of 3~4 hours of daily upper-limb training for 10 months at the hospital and home(from Nobemver 17, 2003 to August 21, 2003). Restrictive splint was worn on the nonparetic limb during waking hours. Outcomes were evaluated Jebsen Hand Function Test, SS-QOL, and COPM. Results : As a result, CIMT led to the functional enhancement of the patients’ upper limbs. It also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execution and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 The family program turned out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improvement of the patients’ upper limbs and thus to the continuation of the therapy’s effects. Finally, the treatmen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stroke patients. Conclusion : Future treatments and studies need to contain the confirmation process, which will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of the family, who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therapy. In addition, motiv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should be included in the studies. And verification efforts should be made in future studies of the indexes of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since those indexes have not been verified in the nation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 KCI등재

        공공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전병진,김희웅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정보화정책 Vol.24 No.3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대두됨과 함께 공공 빅데이터 활용을 활성화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공공 데이터 공개 의무 확대와 법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문헌연구에 따르면, 공공 빅데이터 개방을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한 연구는 있지만, 실제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람들의 입장까지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공공 데이터 개방 생태계에 대해 파악하고, 공공 빅데이터 개방의 주체인 제공자 입장(정부, 공공기관)과 사용자 입장(기업, 민간)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공공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활성화의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 간의 인과관계분석을 통해 이슈를 도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공공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함께 고려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가지며, 도출된 이슈와 대안은 국내 공공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활성화를 도모하는 이해당사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ig data, various policies are being developed for facilitating the use of public open big data, which are leading to a wide range of added values created from use of such data. Despite the expanded requirements for public data disclosure and the legal system improvement, however, the use of public open big data is still limit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there are studies on policy proposals for the government guiding directions for public open big data,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handle the issue from the users' viewpoi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ublic open data ecosystem in Korea and to analyze public open big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roviders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nd users (private sector companies and citizens). This way, the study finds inhibition factors and facilitation factors, draws out issues and suggests solutions through a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each factor. Being a research on finding measures for facilitating both public big data release and use,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e meanwhile, the derived issues and alternative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lso for stakeholders who are planning to facilitate release and use of public open big data.

      • KCI등재

        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개발 연구

        전병진,박경영,임승건,정승원,이기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분류-배열 능력을 평가하는 Korea Employment Agency forthe Disabled(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도구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우선, 장애, 직업재활, 직업평가, 작업표본검사, 분류-배열작업과 관련한 이론 및 국내외 관련 연구 검토하였고, 직업재활 및 직업능력평가와 관련된 전문가 집단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현황 파악 및 도구개발 제안사항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사용자 대상 면담조사, 자문회의와 연구진 회의를 통해 검사도구의 형태, 검사 매뉴얼을 완성한 후 도구의 예비제작과 수정과정을 거쳐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를 제작하였다. 이 후 일반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평가를실시하여 검사실시방법과 검사결과해석에 대한 매뉴얼을 수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항목으로 단순분류, 복합분류, 배열(크기, 길이,숫자, 문자), 복합배열(한글과 숫자 혼합)이 포함되었으며,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결과 단순분류와 복합분류는 검사자간 피어슨 상관계수가 높았으며, 배열 항목의 신뢰도는검사자간 일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 타당도 검증에서단순분류와 복합분류는 모두 분류라는 1개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크기와 길이, 문자와 숫자, 복합배열의 총 3개의 항목 마찬가지로 배열이라는 1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분류 항목의 경우에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와의 상관계수를 통해서 기준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비구조화와 구조화 모두에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분류·배열 능력을 포함한 KEAD 작업표본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어 향후의 분류-배열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KEAD Worksample test including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function and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Method: We searched thesis and books, scientific treatise related to disabled, occupationalrehabilitation, job evaluation, worksample test, 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with literatureresearch. Second, we examined present condition and various opinions about tool developmentin-depth interview with the specialist related to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ability evaluation. Third, we made worksample test including composition of test items, testadministration, test scoring system, a general design of test. We reflected various aspect ofworksample te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spot inspection and interview with user,advisors meeting and researchers meetings. Fourth, we made the preliminary manufacture ofthe tool and undergone modification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and then user’smanual was made. Results: The KEAD Worksample test developed by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highinterrater reliability in all caterogization and arrangement items. Next, for construct validitywe perform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we confirmed that two factorsmodel was valid for simple categorization and complex categorization test and three factorsmodel was valid for arrangement items in Goodness-of-fit model. Third, for thecriterion-related validity we established that KEAD arrangement worksample test had moderatecorrelation with structured Riska sub-item and unstructured Riska sub-item of LOTCA. Conclusion: The KEAD worksample test including 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function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tool had been established. we will look forward to having clinical utility of this tool inoccupational ability evaluation.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개인정보 관리를 위한 IPIMS 설계

        전병진,신승수,이준연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체의 정보보안 관리자가 모든 임직원들의 개인정보 보유 현황을 인지해야 하는 한계성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안 관리자와 부서별 정보보안 담당자가 개인별, 부서별 개인정보 보유 현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개인정보 보유 현황 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보유 현황의 대상이 되는 점검대상 컴퓨터와 개인정보 보유 현황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결과를 PVA 시스템으로부터 효율적인 개인정보 보유 현황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확인된 개인정보 보유 현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기존 PVA 시스템을 정보보안 관리자가 관리하는 One channel 방식을 정보보안 관리자와 정보보안 담당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Two channel 방식으로 변경하여 개인정보 보유 현황을 최소화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limitations that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r of company should recogniz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all employees. In this study, we propose efficient personal information retention status management system to minimize information retention statu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epartment by information security manager and departmental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To do this, we study the method of transferring the check result from the PVA system to the efficient personal information retention management system, also study ways to minimize the amount of personal information we hol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e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by changing the one channel method managed by the information security administrator of the existing PVA system to the two channel method so that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r and the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can manage it.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통해 본 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의 24시간 작업연결망 비교 연구

        전병진,박한글,오진석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4

        목적:본 연구에서는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작업치료 분야에서 최초로 작업연결망(occupational network)을 구성하여 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의 24시간 작업(occupation)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특성을 분석하고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분석 대상은 통계청의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의 전기고령자 331명과 후기고령자 331명의 24시간 행동 항목들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작업연결망(occupational network)을 구성하고 네트워크 분포의 지표로서 고립 정도, 밀도, 포괄성과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을 NetMiner 4.0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SPSS ver.25.0으로 독립표본 t 검정(two-sample t-test),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결과:네트워크 분포 분석결과 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의 밀도는 0.793, 0.649, 포괄성은 100%로 나타났으며, 평균 거리는 1.207, 1.351이며, 고립된 노드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심성 지표 분석 결과 연결 중심성과 근접 중심성이 높은 작업으로는 전기고령자는 교제활동, 스포츠 및 레포츠,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 음식준비, 개인위생 및 외모 관리, 후기고령자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 개인위생 및 외모관리, 식사 및 간식 섭취, 수면, 청소 및 정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는 2019년 생활시간 조사 자료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최초로 작업연결망을 구성하여 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 집단 간의 작업 수행의 차이를 분석하고 시각적으로 파악하여 제시 및 분석하였다는 점에 학문적인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작업치료 분야에서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