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얼리 브랜드 이미지와 Web Color System의 관계성 연구

        하상오,송영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1

        근래에 이르러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의식 또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 있으며, 소비자들은 과거의 소비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들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 등에 따라서 소비방식이나 소비의식이 결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소비는 명품 족 혹은 L세대(Luxury Generation)로 언급되는 소비층이 새롭게 부상하게 되고 어떤 제품을 소비하느냐에 따라 그들의 가치관이나 욕구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만족감을 느끼는 소비자 집단이 등장하게 된다. 그 가운데서도 최근 소비자들의 중요한 소비영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영역 중의 하나는 주얼리라고 할 수 있다. 주얼리 제품은 신세대 소비자, 특히 여성층에 가장 큰 소구력을 발휘하고 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특히 국내에서도 주얼리 시장의 급속한 확장과 외국 유명브랜드의 국내진출로 인하여 주얼리 시장에서의 경쟁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주얼리 브랜드의 디자인 경쟁력 제고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요즘 같은 브랜드 홍수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차별화가 더욱 중요해지면서 브랜드의 시각 아이덴티티의 핵심이 되는 브랜드 로고와 브랜드의 컬러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와 소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최근에는 컴퓨터 사용 환경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웹사이트가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급부상하고 있으므로 웹사이트 디자인의 정체성과 효율성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환기시켜야 할 시점이다. 더욱이 웹사이트에서 메인페이지는 브랜드의 얼굴이며 로고마크, 브랜드 컬러, 패키지디자인 등에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떠올리고 구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메인페이지의 컬러시스템을 중심으로 주얼리 브랜드 이미지와 컬러 시스템과의 관계성의 고찰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와 컬러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컬러 시스템을 중심으로 주얼리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을 분석하여 주얼리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컬러 디자인시스템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Recently, in line with changes in the social & cultural environment, consumers' consumption consciousness is also changing, consumers, without sticking to the past consumption patterns, tend to decide their consumption methods or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ir values or way of thinking. Especially,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Among them, one of spheres appearing as an important consumption one of consumers can be said to be jewelry. Jewelry products are those new generation consumers, especially a women class most purchases. Especially, even in the domestic markets, as competition in jewelry products is increasing day by day owing to rapid expansion of the jewelry market and foreign brands penetrating into the domestic market, raised competitive power in the design of jewelry brand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o survive in excessive brand days like today, differentiation of a brand becomes more important and the logo and color of a brand, which are essential to visual identity of a brand, became a very important elemen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pany, it became a very important task to effectively communicate such an element to consumers. 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use environment and network technology, a web site rapidly comes to the fore as a strong communication tool spreading over various spheres, so that it is time to call our attention to the identity and effectiveness of a web site. Furthermore, the main page in a web site is the face of a brand and can lead to purchase, bringing the image of a brand in logo mark, brand color, color design, etc. to consumers' mind. So, it is urgent to establish a brand desig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seeking establishment methods of a color design system for a jewelry brand image by re-establishing relation between an brand image and brand color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a jewelry image and color system centering around color system of the web site main pate, and by analyzing jewelry brand design system centering around color system.

      • KCI등재

        퍼스널컬러의 정량적 진단 모델 연구

        정윤석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컬러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퍼스널컬러용 색채 시스템들은 퍼스널컬러 진단 유형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거나, 진단 유형간의 객관화 된 차이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를 보완한 새로운 색채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논리적 배색이 가능한 PCCS 색체계를 도입하고, 색이 가지는 주요 4속성을 토대로 재분류하였다. 기존 색채 시스템보다 다양한 20개의 진단 유형을 제안하였으며, 정량적 방법을 피험자와의 어울림 정도를 평가하여 최적화된 유형을 찾을 수 있게 하였다. 평가 결과를 기호화하여 대입하면 피험자에게 맞는 유형이 도출되는 매트릭스를 고안하여 실험자의 개별 역량과 주관의 개입을 최소화하였다. 최종적으로 속성진단, 기호화, 계절진단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 퍼스널컬 러의 정량적 진단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는 기존 진단 방법에 다양성, 신뢰성, 정확성을 부여할 것이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del that can quantitatively diagnose personal color. Representative color systems for personal colors have limitations in that it oversimplify personal color diagnosis types o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objective differences between diagnosis types. To develop a brand new color system that enhances this, a PCCS color system capable of logical color was introduced and reclassified based on the four main properties of color. Twenty diagnostic types, which are more diverse than the existing color system were proposed and a quantitative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harmony with a subject to find an optimized type of subject. The experimenter's individual competency and subjective intervention were minimized by devising a matrix in which a type suitable for the subject is derived when the coded evaluation result is substituted. Finally a quantitative diagnosis model of personal color consisting of three stages: property diagnosis, coding, and seasonal diagnosis was constructed. It can be seen that this will give diversity, reliability, and accuracy to the existing diagnostic methods.

      • KCI등재

        퍼스널컬러 진단시스템의 네일아트 적용에 관한 연구 : 네일볼 디자인 제작사례를 통하여

        유은경 (You, Eun Kyoung),김학민 (Kim, Hak Mi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3

        개성발현이 중요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개인에게 어울리는 컬러를 찾아주는 퍼스널컬러 시스템은 자아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뷰티산업 분야에서는 편리하고 체계적인 퍼스널컬러 진단시스템인 페이스보드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세분화된 뷰티산업 분야에 적용되기에는 그 범위가 너무 보편적이고 형태적으로도 비효율적인 점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컬러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과 조형적 특성에 대한 연구, 그리고 신체적 분석을 통한 3D 컬러 진단시스템을 개발하여 네일리스트들이 더욱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으면서도 고객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진보된 퍼스널컬러 진단시스템의 개발은 물론 디자인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modern society where individuali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personal color system that finds a color that suits the individual is becoming a way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 In reflection of this situation, in the beauty industry, a convenient and systematic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a faceboard, has been developed and used, but it is known that its scope is too common and has many forms of inefficiency to be applied to the subdivided beauty industry. I can. Therefore, by developing a 3D color diagnosis system through overall analysis of color, research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nalysis, we proposed a new design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y nailists and meet customer need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desig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advanced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can contribute to solving social problems.

      • KCI등재

        주얼리브랜드와 컬러마케팅의 상관성

        최지아,안일훈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Background Among various consumer goods products, jewelery products are a representative product group that can express consumers' consumption sensitivity, and the interest of diversity of preference is increasing. As the competition in the jewelery market expands, it is very importan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sign of the jewelry brand. However, color marketing of domestic jewelery brands and creation of brand value through them are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in view of foreign jewelery brands. As a result, it is a reality that the brand recognition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are not secured. Methods Eight brands with high recognition and preference among jewelery brands were selected and color analysis was conducted.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color sampled in five areas of CI, web, advertisement, package and interior of each brand. Through this, we try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jewelry brand and color marketing. Resul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brand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famous brands, and the consistent color was used for the design elements of CI, web, advertisement, package and interior of the jewelry brand. It has been concluded that companies with color marketing through a consistent color system can increase their awareness and preference, and that brand image can be imprinted on consumers. Conclusion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differentiated jewelery marke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int the brand image with color marketing through systematic and consistent color system construction. The color of the beginning and the foundation of every design is a very important part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the brand to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domestic jewelery brand with low recognition and preference will be reborn as a luxury jewelery brand through systematic color system management. 연구배경 다양한 소비재 상품 중에서 주얼리 상품은 소비자의 소비 감성을 표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 군으로, 기호의 다양성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주얼리 시장에서의 경쟁이 확대됨에 따라 주얼리 브랜드의 디자인 경쟁력 제고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현재 국내 주얼리 브랜드의 컬러마케팅과 이를 통한 브랜드 가치창출은 외국의 유수 주얼리 브랜드에 비추어 볼 때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며 그 결과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고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연구방법 주얼리 브랜드 중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8개사를 선정하여 컬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브랜드의 CI, 웹, 광고, 패키지, 인테리어의 5영역을 대상으로 샘플링한 색채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주얼리 브랜드와 컬러마케팅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유명 브랜드의 인지도·선호도와 컬러는 상관성이 있으며, 주얼리 브랜드의 CI, 웹, 광고, 패키지, 인테리어의 디자인 요소에 동일 색상을 사용하여 일관된 컬러를 사용하고 있었다. 일관된 컬러 시스템을 통한 컬러마케팅이 확보되어 있는 기업은 인지도와 선호도를 높일 수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가 각인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결론 앞으로의 차별화된 주얼리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일관된 컬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컬러마케팅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킬 필요가 있다. 모든 디자인의 시작이자 근간이 되는 컬러는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의 정체성을 인식시켜주는 장치로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지도와 선호도가 낮은 국내 주얼리 브랜드도 체계적인 컬러 시스템 관리를 통해 명품 주얼리 브랜드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컬러 시스템 분석

        유민호(Minho Yoo),민미경(Mikyeong Mi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0 애니메이션연구 Vol.6 No.1

        애니메이션 전반에 걸쳐 필름 룩(Film look)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컬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은 자연주의적 세계관을 토대로 환경적 요인에 근거하여 전체적 스토리를 구성하는 경향이 있다. 그는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배경, 장면, 컬러 등에서 계산된 균형감을 추구한다. 따라서 콘셉트 단계인 이미지 보딩(image-boarding) 프로세스에서부터 캐릭터, 미술, 색채 등 각 부분별 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 작화감독, 미술감독, 색 지정 담당자와 긴밀히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령공주〉의 경우, 스토리 전개에 따라 컬러 시스템을 적용한 측면이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초록색군(G)을 배치한 상태에서 스토리의 발단, 전개, 절정, 결말에 이르는 과정이 초록색군(G)-주황색군(YR), 노랑색군(Y)-빨강색군(R), 보라색군(P)-파랑색군(B)의 순차적 컬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캐릭터를 강조하기위해 인접보색을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배경은 중성색의 단계적 톤(Tone)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런 컬러 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미야자키는 이차원적 공간을 삼차원화시키는 효과를 만든다. 미야자키의 애니메이션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설립을 기점으로 크게 변하는데 과거 단순 원색에 의존하던 컬러 시스템이 저채도 사용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변하면서 컬러 표현이 다양해진다. 또한 파스텔 톤을 배경에 적용함으로써 여성성과 자연주의 경향이 증폭된다. 〈원령공주〉는 미야자키가 컬러 시스템의 변화를 완성시킨 애니메이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원령공주〉의 컬러 시스템을 분석함으로써 미야자키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컬러 시스템의 특징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색채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분석기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olid color systems in order to maintain a consistent look of an animated feature film. Miyazaki Hayao’s Animated Films tend to form a story based on environmental elements stemming from naturalist’s ideas. He is in pursuit of calculated balance in characters, backgrounds, scenes and colors. Therefore, he is renowned in making fluid communications with authors, art directors and colorists to successfully convert his concepts; thus, begins character design, artwork and color settings at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Mononoke-hime” is known as an example successfully demonstrating this calculated balance. This animation unfolds a story in sync with the changes of color systems. In general, the green (G) system appears dominant; however, following the sequence of introduction, rise, climax and denouement, the sequential color systems unfold in the orders of green (G), orange (YR), red (R), violet (P) and blue (B). Furthermore, contiguous complementary colors are used to emphasize characters and the backgrounds are colored in gradating tones. This color composition creates an effect which converts two dimensional images into three dimensional spaces. His animated feature films drastically changed at the point of founding “Studio Ghibli”. In the past, his animations depended upon simple and primary colors but low chroma color systems were introduced after “Studio Ghibli” and it create far more variety in colors. Adapting pastel tone colors made his animation more feminine and naturalistic. “Mononoke-hime” is the one that demonstrated Miyazaki’s color system in full scale for the firs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or system of “Mononoke-hime” in order to understand color systems in Miyazaki animation and suggest a methodology to study ani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omatology.

      • KCI등재

        국내 보험사의 C.I 컬러 시스템 연구

        이희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2

        오늘날 사회는 종전의 경영 방식으로는 더 이상 고객들에게 경쟁사들과의 차별성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보험 서비스 차이는 줄어들어 고객들이 쉽기 이해하지 못하는 복잡성 등으로 인해 보험사의 기업 이미지가 상품을 선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보험사 내부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의 다양화로 인해 각각의 목표와 전략 수립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처럼 보험사의 내부와 외부적인 환경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 보험사도 기업 이미지 형성과 이를 위한 구체적 전략이자 행동 지침인 C.I(Coporate Identity)의 필요성이 크게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I의 구성 요소 가운데 컬러를 중심으로 국내 보험사의 C.I컬러 시스템 현황과 특성을 탐색하고, 컬러를 통한 보험사의 인지 정확성과 호감도를 조사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C.I에 어떠한 컬러 시스템이 고객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는데 있다. 연구 범위는 국내 보험사 매출 상위 20위까지의 C.I 디자인과 컬러 시스템이 중심이다. 연구방식은 논문, 월간지, 인터넷 자료검색 등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보험사가 활용한 컬러는 블루, 레드, 옐로우, 그린 계열로 크게 4가지로 분류 되었다. 20가지의 보험사 컬러를 기억한다는 의견은 설문 대상을 각각 백분율로 나눈 평균 60%에 불과 했다. 또한 인지도가 높은 컬러는 청색과 붉은색의 C.I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호감도 높은 보험사 C.I의 컬러 시스템은 붉은색이 46%, 녹색 계열 컬러가 32%로 그 뒤를 이었으며 청색, 노란색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보험사의 필수 덕목 중 5가지 윤리성, 도덕성, 신뢰성, 신속성, 책임성 에 관련 하여 모든 것을 충족하는 컬러로는 블루 컬러가 58%, 그린 컬러가 19%로 조사 되었다. 연구 결과 에서 확인 된 바와 같이 기업 이미지에 맞는 C.I디자인을 했다 하더라도 적절한 컬러를 선정 하지 못했다면 소비자들에게 기업의 인지도를 제대로 심어 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보험사 덕목에 맞는 연상 컬러를 적절히 활용해 디자인 개발에서 강조 되어야 할 부분이다. In today's society, companies cannot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 with their customers by existing methods. The gap in service between companies has become reduced. Accordingly the image of insurance company highly influences on choice of insurance products. And as value and behaviour style in insurance company have become diversified, it comes to be difficult to establish each goal and strategy. To face with these changing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companies, the necessity for C.I(corporate identity) is high for insurance company. C.I is made to form corporate image and includes specific strategy. Accordingly, as insurance companies increasingly adopt C.I, this research analyzed C.I color system used in some insurance companies focused on color which is a composition factor of C.I.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at factor positively influences on corporate image, when customers recognize and remember color used in C.I. For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upper 20 domestic insurance companies in preference from consumers, and through analysis of corporate status and actual cases, colors used in C.I design were analyzed.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colors with high preference by manipulating and distorting colors of C.I.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lors used in the companies were classified to 4 colors: blue, red, yellow, and green. The customers who remember the colors of 20 insurance companies accounted for 60% only. C.I with blue and red was highly recognized. Colors with high preference were 46% for red, 32% for green type, and then blue, yellow follow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5 virtues were known among necessary virtues for insurance company - ethic, moral, trust, speed, responsibility. The color satisfying all these 5 virtues were 58% for blue, 19% for green. As the research results, it was a C.I design for a corporate image, but if colors were not proper, it couldn't be recognized by consumers. therefore making the best use of reminiscent colors for the insurance company is important in the design development.

      • KCI등재

        모바일 앱을 위한 배색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머티리얼 디자인 컬러 시스템의 색채 추천 방법을 중심으로

        황승현,이현진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0

        This study is for the use of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the color combination of mobile application. For this study, color combination methods of a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that recommends harmonized colors automatically and of a mobile web application were applied to a mobile application design and a color combin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n for a survey on the experiment using the two methods, color combinations, selected colors and satisfaction with outputs were investigated on a 7-point Likert scale. And color combination characteristics of output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design color palette made it easy to select colors by systematizing the regular coloring stages of fixed colors automatically,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or compositions and color scopes of dominant color, assort color and accent colors, which are three-color combinations of mobile web application and accent color selection function was required for each design, since only primary colors and secondary colors could be selected. Moreover, chromatic colors were used a lot in the material system because of the fixed color scopes and color combination scopes and images of color combination outcomes varied depending on the color combination scopes, even when tones with a big contrast or complementary colors were selected. The role of color composition was important according to the color combination scopes. 본 연구는 모바일 앱 배색을 위한 색채 추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택 색상에 조화되는 색채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머티리얼 시스템과 모바일 웹 앱의 3 배색을 모바일 앱 디자인에 적용하여 배색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방법의 실험에 대한 설문으로 색상 구성과 선택 색상, 결과물의 만족도에 관한 정도를 리커트 7점 척도로 알아보았고, 결과물에 따른 배색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머티리얼 컬러 팔레트는 정해진 색상의 규칙적인 색조 단계를 자동으로 시스템화하여 색상 선택을 쉽게 하였지만, 모바일 웹 앱 3 배색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에 대한 색상 구성과 색상 범위가 다르며, 프라이머리 컬러와 세컨더리 컬러만 선택 가능하여 디자인에 따라 강조색의 선택 기능이 필요했다. 또한 머티리얼 시스템은 색상 범위와 배색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채색의 사용이 많았고, 대비가 큰 색조나 보색을 선택해도 배색 범위에 따라 배색 결과물의 이미지가 달라져서 배색 범위에 따른 색상 구성의 역할이 중요했다.

      • KCI등재

        서울시 환경위생차량 디자인 개선을 위한 컬러시스템 연구

        김학민(Kim, Hak Min),은덕수(Eun, Duk S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본 논문은 맑고 깨끗한 서울의 도시정체성을 확립하고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서울시 환경위생차량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디자인개선을 위한 컬러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환경위생차량의 청결한 이미지 제공과 함께 시민과 환경미화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환경미화시스템은 시민의 위생과 안전에 가장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공디자인임에도 불구하고 기능적, 심미적 사각지대에 놓여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서울시 환경위생차량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고, 국내외 주요도시들의 환경위생차량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한 후 도시정체성과 공공디자인과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도출된 문제점과 승계점을 바탕으로 이미 개발되어진 서울시 대표색을 바탕으로 서울시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환경위생차량의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컬러적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 개념의 컬러시스템의 이론과 적용을 통해 공공디자인으로써의 일반적 방법론 또한 충족시킬 수 있었다. 환경위생차량의 의미적, 업무적 특성을 고려한 시인성과 안전성, 그리고 야간식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컬러시스템은 다른 공공디자인차량의 이미지개선을 위해서도 반드시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and street cleaners along with providing clean images of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eoul’s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and proposing color systems for new design improvement in order to establish clear and clean urban identity and strengthen urban competitiveness. It is true that the beautification system has been placed in functional and aesthetic blind spots, despite being a public design that has the most direct impact on the hygiene and safety of citize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in Seoul, conducted a case study on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in major cities at home and abroad, and then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identity and public design. Based on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have already been developed based on the problems and succession points derived, a color applic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image of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while maintaining the city’s identity. Through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ncept color system in this process, the general methodology of public design could also be satisfied. A systematic color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gnificance and work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into account, the visibility, safety, and night identification must also be applied to improve the image of other public design vehicles.

      • KCI등재후보

        컬러와 형태에 기반을 둔 상표 영상 검색 시스템

        신성윤(Shin Seong Yoon),표성배(Pyo Seong Ba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1 No.3

        영상 검색 시스템이란 영상이 갖는 다양한 특징을 바탕으로 똑같거나 유사한 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컬러와 형태를 기반으로 한 상표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시한다. 영상을 영역별로 분할하고 영역별 컬러 분포 히스토그램을 추출하여 컬러 정보로 이용한다. 경계면 추출, 무게 중심 추출, angular 샘플링 등의 전처리 과정과 무게 중심으로부터 경계면 까지 거리의 합, 표준 편차, 장/단축 비율을 계산하여 형태정보로 이용한다. 이렇게 추출된 컬러와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성 측정을 통한 검색을 수행한다. An image retrieval system retrieves and offers same of similar image based on various features of image. This paper present a brand image retrieval system based on color and shape of image. We use the image for a color information by dividing into the area and extracting the area color distribution histogram. We use for the shape information by preprocessing of the boundary extraction, the centroid extraction, angular sampling etc. and calculating of the sum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roid to the boundary,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rate of long axis to short axis. We accomplish the retrieval through a similarity measurement by using the color and shape information which is extracted in this way.

      • KCI등재

        YUV컬러 공간변환에 의한 잡음환경의 차량번호판 영역추출

        김재남,최태일,김병기,Kim Jae-Nam,Choi Tae-Il,Kim Byung-Ki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1

        현재의 차량번호인식 시스템은 외부의 잡음환경 때문에 안정적인 추출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YUV컬러 공간변환을 이용하여 잡음환경에서도 인식률과 안정성이 높은 차량번호판 영역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번호판 컬러에서 RGB컬러 모델이 처리 시간은 빠르나 잡음환경에서는 인식률이 저조하고 밝기 정보가 별도로 표시되는 인자가 없으므로, RGB형식보다 빛에 둔감하고 데이터 량이 적은 YUV컬러 공간의 U채널과 V채널을 단계별 또는 재조합하는 방법으로 차량번호판 영역을 추출하였다. 차량번호판 영역은 라벨링된 영상의 기하학적 특성인 크기와 위치로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 잡음환경에서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는 차량번호판을 모두 추출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The existing recognition system of license plates cannot get the satisfactory result in noise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algorithm that can recognize the region of license plates accurately in a noise environment. The algorithm is formulated by reorganizing the U- and V-channels of YUV color space as YUV is insensitive to light and carries less data than RGB color information. The region of license plates has been extracted by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sizes, and places of labeling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was found to improve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region of license plates in various noise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