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추리소설과 문학교육

        조현일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본고는 추리 소설의 장르적 특성에 주목하여 그것의 문학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추리 소설은 한편으로는 대중소설의 일반적 특성, 즉 기분전환을 위한 오락물이라는 특성을 갖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추리라는 고유의 정신활동을 요구하는 지적 장르라는 특성을 갖기도 한다. 지적 특성으로 인해 추리소설은, 대중소설의 독서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본격소설의 독서에 이르는 매개적 단계의 독서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추리소설을 서스펜스 소설이나 범죄 소설과 구별시켜주는 본질적 표지는 '탐정'과 '탐정의 '발견의 행위', 즉 추리이다. 홈즈, 뒤팽 등의 추리는 기호학자 퍼어스가 지적한 바 있는 가정적 추론, 즉 가추법에 해당 하는 논증 방식으로서, 지나치게 규범화된 가추법, 덜 규범화된 가추법, 창조적 가추법 등 매우 다양한 차원의 가추법을 모두 보여준다. 추리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독자 역시 다양한 차원의 가추법을 실행하고 지적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특히 두 번째 가추법과 세 번째 가추법은 각각 문학 작품의 개연성과 창조성에 관련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추리소설을 매개적 단계의 독서물로 설정할 때, 주의할 점은 추리소설의 부정적인 이데올로기적 기능이다. 추리 소설은 직접적인 방식으로 이데올로기를 강요하지는 않지만 장르의 형식적 특성 자체가 보수적 이데올로기와 사물화된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고전적 추리 소설 에서 탐정이 상류계층 출신으로서 보수적 이데올로기를 대변하고 있다면 그 후계자라고 할 수 있는 비정파 탐정소설은 자기 위안적 허무주의의 반복적 소비를 조장하고 있다. 그로 인해 추리소설을 읽을 때, 끊임없는 비판적 거리 취하기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ive stories(ta1es of ratiocination) and their literary educational roles. The tales of ratiocination(reasoning) gene-rally have an entertaining function as a genre of popular novel, that is. providing readers with amusement and relaxat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detective genre requires a very intellectual reasoning of the readers and for this reason the tales of ratiocination are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bridge of the literary history due to thier transitional status from the popular novel to the serious novel. The tales of ratiocination can be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he other horror storiednovel of suspense) and crime stories in terms of a presence of a detective in the story and his reasoning(ratiocination), as it is, an action of discovery for a final solution. Holmes and Dupin, two famous detectives, show their way of assumptions, as Semiologist Perce indicates, reasoning of abducion, with diversity including overcoded, undercoded, and creative abduction. Readers also use their own reasoning, various kinds of abduction, in order to solve a problem. The undercoded and creative abductions are very important as they are involved in the probability and originality of the stories. The negative aspect of the detective stories(the tales of ratiocination) should be examined when they are defined as a transitional medium to the serious novel. The characteristic of the detective genre itself is based on the conservative and material viewpoint, though it does not impose this negative ideology upon the readers by force. For example, while the classical detective stories are proceeded by a detective from a noble birth with a very conservative ideology, those of the contemporary hard-boiled detective stories reveal their nihilistic view of the world. For this reason, the critical distance should be required when we read these detective stories.

      • KCI등재

        송사소설계 추리소설과 정탐소설계 추리소설 비교 연구

        이정옥 대중서사학회 2009 대중서사연구 Vol.- No.21

        본 논문은 이해조의 『쌍옥적』을 한국 추리소설의 효시로 보고, 개화기의 추리소설을 서구에서 일방적으로 이식된 결과물로 여기는 단일한 시각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나아가 개화기 추리소설은 조선조의 송사소설에 뿌리를 두고 있는 송사소설계 추리소설과 서구 추리소설의 영향을 받은 정탐소설계 추리소설이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주목하여, 개화기 추리소설이 출현하게 된 사회적 의미망과 관련시켜 그 서사적 특질과 존재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정탐소설계 추리소설은 타인의 재산권이나 생명권을 노린 근대적 범죄 유형을 주로 다루고 있는 반면, 송사소설계 추리소설은 가정이나 향곡 등 공동체 내에서의 갈등과 원한에 의한 패륜적인 범죄사건을 그리고 있다. 또한 개화기 추리소설에서는 서구의 추리소설과 달리 직업적인 탐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정탐소설계 추리소설에서 탐정은 경찰, 어사, 군수 등 공적 영역에 속하는 인물인 반면, 송사소설계 추리소설에서는 등장인물 중의 한 사람이 일시적으로 탐정의 역할을 대신하여 범죄사건을 해결한다. 또한 정탐소설계 추리소설과 송사소설계 추리소설의 두 유형 모두 인과관계의 도치, 즉 도서법(到敍法)을 활용하여 독자들의 호기심을 촉발하는 서사 전략을 취하고 있다. 탐색의 서사가 우세한 정탐소설계 추리소설은 탐정이 조각난 정보를 찾아 마치 퍼즐을 맞추어가듯이 가추법을 동원하여 범죄사건의 동기와 원인을 밝혀내는 정탐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독자들로 하여금 범죄사건의 전말을 파헤치는 탐정의 탐색활동에 강한 호기심을 가지고 서사를 끝까지 읽도록 유도한다. 반면, 범죄소설적 요소가 강한 송사소설계 추리소설에서는 범죄사건의 인과관계가 부분적으로 도치되는 서사구조를 취한다. 이에 따라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정보의 성격은 작품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서사적 긴장감도 떨어진다.

      • KCI등재

        중국추리소설을 통해 본 국내독자들의 중국현대소설 수용규범 - 『13.67』을 중심으로 -

        최은정 ( Choi Eun-je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5 No.-

        본고는 최근 3년간 중국현대소설의 국내수용에서 나타나는 장르문학의 약진에 주목하고, 특별히 국내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중국추리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중국현대소설에 대한 국내독자들의 수용규범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추리 소설에 대한 국내독자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내가 경험하는 현실과의 등가성, 개인적인 경험과 연관된 동질성 내지 이질성, 이와 관련하여 내재된 어떤 인식이 작품 수용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물론 중국추리소설이라는 매우 한정된 대상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국내독자들이 중국현대소설을 수용하는 방식의 보편성 내지 일반성을 설명할 수는 없다.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중국추리소설의 약진이 내포하는 의미이다. 하나는 베스트셀러의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추리소설이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중국어권 추리소설”이라는 한계를 극복한 데에는 이야기의 힘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는 텍스트 본연의 내적인 요소가 외적인 개입보다 우선함을 증명한다. 다른 하나는 대중서사로서 장르문학에 대한 편견을 깨고 있다는 점이다. 독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중국추리소설의 공통점은 추리소설이라는 장르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그 사회가 안고 있는 아픈 지점을 드러내고 있다는데 있다. 이로부터 ‘추리’소설로서 ‘재미’와 추리‘소설’로서 ‘의미’를 성공적으로 구현해내고 있으며, 국내독자들은 이 부분에 대해 매우 공감을 표명한다. 이는 중국추리소설에 대한 국내독자들의 수용규범을 넘어서서, 문학이 보다 폭넓게 수용될 수 있는 지점이 어디인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중국추리소설의 국내 수용에서 나타나는 특징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manuscript notes quick developments of literary genres shown in modern Chinese novels’ national acceptance in the last three years, and examines national readers’ acceptance norms on modern Chinese novels through Chinese mystery novels, receiving good responses throughout the nation. Common grounds of Chinese mystery novels receiving good responses from readers, are that such novels are fun to read as ‘mystery’ novels, and meaningful as mystery ‘novels’ which have resulted in the success of these novels. If there is only a fun element, novels don’t endure. If the meaning is excessively emphasized, it is difficult to attain popularity. Chinese mystery novels quietly gaining popularity throughout the nation, prove that these two key factors are what readers anticipate experiencing through reading such novels. Because this is about finite objects within Chinese mystery novels, national readers can’t explain the universal appeal of modern Chinese novels. However, readers’ responses on Chinese mystery novels imply that literary genre reading doesn’t seeks fun as well as the meaning of such literature. This also explains why the two key factors in such literature, can be more widely embraced, beyond national readers’ acceptance norms on modern Chinese novels. That’s why the two key factors noted, relative to national acceptance of such novels, should be noted.

      • KCI등재

        公案小說과 推理小說 비교 연구 -『三言』 속 公案小說과 程小青 中短篇 推理小說集『霍桑探案』을 중심으로-

        이선미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7

        推理小說은 외국에서 들어온 수입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화의 시기에 서구에서 들어온 推理小說은 1920년대에 번역문학으로 시작하여 점차 중국식 推理小說이 등장하게 된다. 推理小說은 에드가 앨런 포로부터 시작하여 중국에 들어왔는데, 그 역사가 깊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크게 유행을 일으켰다. 그 당시의 혼란스러웠던 사회상에서 범죄를 다룬 推理小說이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이미 중국에 推理小說과 유사한 자생장르인 公案小說이 있었기 때문이다. 公案小說의 영향을 받으면서 중국식 推理小說은 程小青의 활발한 번역작업과 창작을 통해 유행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 公案小說과 推理小說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推理小說이라는 용어의 정의를 살펴본다. 다름으로는 推理小說과 公案小說의 관계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인물형상과 판결과정의 묘사, 줄거리 상의 특징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두 장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본고에서 분석하는 대상은 『三言』 속의 公案小說과 程小青(程小青)의 中短篇 推理小說집 『霍桑探案』을 중심으로 한다.

      • KCI등재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이주라 ( Ju Ra Lee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1

        이 논문은 1910년대와 1920년대 번역?번안 추리소설이 누구를 통해 소개되었는지 그때 어떤 작품들이 선택되었는지를 살피면서 근대 초기 한국에 도입된 추리소설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특히 1910년대 후반에서 20년대 초반으로 넘어가면서 `detective novel`의 번역어가 `정탐소설’에서 `탐정소설’로 바뀌는 데에 주목하여 근대 초기 번역?번안소설을 소개하는 작가들의 태도와 독자들의 취향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번역·번안소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1930년대 창작 추리소설이 나오기 전까지 추리소설을 읽고자 하는 독자들의 욕망을 충족시켜 준 것이 번역·번안 추리소설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한국의 추리소설 형성에 번역·번안 작품이 얼마나 큰 역할을 담당했는지 알 수 있다. 번역·번안 소설은 중세 시대의 수수께끼 담과 송사소설을 근대적 추리소설로 재배치하여, 근대적 추리소설 독자의 취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때문에 근대 초기 추리소설의 흐름을 살펴볼 때, 번역·번안소설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한국에서 추리소설이 어떻게 도입되었고 형성되었는지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1910년대와 20년대에 어떤 추리소설이 번역·번안되었는지 그 변화 양상을 살피면서 한국 추리소설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번역·번안된 추리소설은 처음에는 정탐소설로 소개된다. 정탐소설은 눈물에 호소하는 남녀의 연애 이야기에서 벗어나 새로움을 추구하던 독자들에게 신선하게 받아들여졌다. 초창기에 번안된 정탐소설은 일본의 대중적 번안 작가 구로이와 루이코의 작품을 중역한 것이었는데, 그 작품들은 대개 브랜든이나 보아고베와 같은 영국과 프랑스의 대중 작가들의 소설이었다. 특히 모험담이 중심인 뒤마의 소설이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시기 정탐 소설은 위기에 처한 주인공이 우여곡절을 헤쳐 나가는 모험담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1918년 이후 유학파 지식인들 중심으로 포우나 코난 도일, 르블랑의 작품 같은 고전적 추리소설이 소개되면서 추리소설의 수용층은 학생이나 지식인으로 옮겨간다. 이들은 정탐소설이라는 명칭 대신 탐정소설이라는 장르 명을 선택하면서 이전과 다른 추리소설의 취향을 형성한다. 이들은 논리적 추론을 통한 사건의 해결이 추리소설의 핵심임을 지적하면서 모험담 중심의 정탐소설을 배제한다. 그러나 정탐소설이라는 용어는 탐정소설과 혼용되어 쓰였으며 추리소설의 창작자나 독자들도 정탐소설을 중심으로 형성된 추리소설의 취향을 쉽게 바꾸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20년대 후반부터 나타나는 창작 추리소설에도 반영되어 이지적이기보다는 주정적인 탐정이 자신이 감정적으로 연루된 사건을 추론이 아닌 행동을 통해 해결하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한국적 탐정소설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과학적인 수사와 합리적 사유, 논리적 추론을 통해 사건을 해결하는 고전적 추리소설의 지적인 특징에 매료된 지식인층들은 자신들이 창작한 추리소설을 평가절하하고 번역·번안소설을 통해서 자신들의 지적 욕구를 만족시키려고 하였기 때문에 외국작품들을 도입한다. 이런 번역·번안소설은 지식인뿐만 아니라 대중 독자들까지도 매료시키는데, 대중들은 서구의 탐정소설을 통해 근대적 물질문명에 대한 동경과 열망을 드러낸다. 지식인들의 지적인 취향, 대중들의 근대적 서구 문화에 대한 갈망이 만나면서 한국의 추리소설 장르에서 번역·번안소설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features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s in Korea in early modern era through reflecting who have introduced detective novels and what kind of novels they have chosen.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nge of genre name in translation - from ‘Jeongtam(偵探) novel’ to ‘Tamjeon(探偵) novel’,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ranslators and adaptors’ thought about detective novel and change of readers’ taste. Until nowadays, little studies on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s exist. But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Korean detective novels. Translated and adapted novels arranged riddle tales and lawsuit type stories in middle age for modern detective novels, so they could help to form the taste of detective novel. Therefore when we pursuit detective novel`s formation in Korea, if not consider translated and adapted novel, we couldn`t figure out how detective novel was introduced and formed. So this paper will pursuit the chang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1910`s and 1920`s to show up the features of Korean detective novel. At first,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s were introduced as ‘Jeongtam(偵探) novel’. ‘Jeongtam novel’ were accepted freshly to ‘choson’ readers who were pursuing something new without love story in tears. `Jeongtam novel` in early modern era was re-translated from adapted works of Kuroiwa Ruiko, the Japanese popular translator. His works were mostly adapted from English and French popular novels by M. E. Branddon or F. Boisgobey, etc. Especially A. Duma`s adventure novels made a great hit. So I could say that `Jeongtam novel` must have been stories about adventures. In before or after 1918, some elites studied abroad introduced western classical detective novels that were known as ‘Tamjeong(探偵) novel’. The elites emphasized that ‘Tamjeong(探偵) novel’ was different from ‘Jeongtam(偵探) novel’; the later was rather adventure novels than detective novels and the former was mystery novel that based on reasonable deduction. Although western classical detective novels were translated, Korean detective novel`s readers wanted emotional detective and adventure story. Therefore Korean original detective novels formed the story, as a detective involved in a case because of his love and then made a serial thrilled adventures and finally solved problems with his own act not a brain. In other hands, the elites wanted to satisfy their intellectual desire through translated detective novels. And popular readers were fascinated to western civilization. That leads readers of Korean detective novels to choose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s, so they have had a important role in detective genre in Korea.

      • KCI등재

        1970년대 후반∼1980년대 한국 추리소설 붐과 그 사회적 맥락

        안혜연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5

        This paper focuses on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970s and 1980s, when the detective novels created the biggest boom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term from ‘a detective novel’ to ‘a mystery novel’, and analyze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that drove the mystery novel boom. In the 1970s and the 1980s, Korean mystery novels reached their greatest golden age after the nation’s liberation. With the emergence of a popular writer named Kim Seong-jong, a complete collection of mystery novels was published, and the mystery novel became a bestseller. In addition, TV dramas based on mystery novels were produced as well, and the reproduction of the genre in other media is also active. The fact that these changes occurr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werful ruling ideology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that created the Yushin (Revitalizing Reform) Constitution was in operation and when the nation entered into a high-growth and consumer-capitalist society raises the need to explain the blossoming of mystery novels in this period in a socio-cultural context. This paper has first analyzed the change in the image of Korean mystery novels as the term ‘detective novel’ was replaced with the term ‘mystery novel’. In particular, through the change from a famous detective to an ordinary cop, the mystery novel could demonstrate its appeal to the public while ssecuring dailiness and sociality. In addition, I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rity of popular novels that started in the early and mid-1970s and the boom of mystery novels, and explain that the popularity of mystery novels influenced the sense of the advent of mass society. I also pointed out that through the boom in the collection of mystery novels, readers could come in contact with mystery novels of various genres, and that there was an aspect of mystery novels being used in the context of the popularity of success literature at the time.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the emergence of the new popular media outlets in the form of sports newspaper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popular mystery novel writers and male fans as the main readership. 본 논문은 해방 이후 최대 추리소설 붐이 일었던 1970년대 후반∼1980년대에 주목하여, ‘탐정소설’에서 ‘추리소설’로의 용어 교체 과정을 살피고, 추리소설 붐을 추동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1970∼80년대 한국 추리소설은 해방 이후 최대 황금기를 맞이한다. 김성종이라는 인기 작가의 등장과 함께 추리소설 전집이 출판되었고 추리소설이 베스트셀러에 오른다. 또한 추리소설을 원작으로 한 TV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하는 등 다른 매체로의 전환도 활발해진다. 이러한 변화가, 유신이라는 군사독재의 강력한 지배 이데올로기가 작동한 시기이자 고도성장과 소비자본주의사회로 진입한 시대에 일어났다는 점은 이 시기 추리소설을 사회문화적 맥락 위에 놓고 해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논문은 먼저 ‘탐정소설’이 ‘추리소설’이라는 용어로 교체되면서 한국추리소설의 상(像)이 변화하였음을 분석하였다. 특히 명탐정 중심에서 평범한 직업형사로의 변화를 통해 추리소설이 일상성과 사회성을 확보하면서 대중 소구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또한 1970년대 초중반부터 시작된대중소설의 유행과 추리소설 붐의 관련성을 이야기 하며 대중사회의 도래라는 감각이 추리소설 유행이 영향을 주었음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추리소설 전집 붐을 통해 독자들이 다양한 장르의 추리소설을 접할수 있었고, 당시 자기 개발서의 맥락 속에서 추리소설이 통용된 측면이 있음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신문이라는 새로운 대중지의 등장이 인기 추리소설 작가의 등장을 추동했고, 남성들을 주요 독자층으로 하여 성장하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 KCI등재

        근대 추리소설의 기원 연구

        오혜진 ( Hye Jin Oh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9 No.-

        우리나라 추리소설이 가지고 있는 여러 특징들을 두루 살펴본다면 조선 후기 유행했던 송사소설(訟事小說)에서부터 그 맹아가 엿보인다. 송사소설이란, 송사사건의 발생과 해결이 소설작품의 발단과 결말에 대응되는 구조를 지니고 전개되는 고소설로 근대 추리소설과의 공통점을 쉽게 유추해 낼 수 있다. 또한 1930년대부터 본격화된 추리소설이 미스터리 추리소설(Mystery)의 형식을 띠면서도 범죄 추리소설(Crime novel)의 성격을 상당 부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송사소설과 범죄와 탐색의 신소설과의 맥락 안에서 살펴보는 것이 요구된다. 송사소설의 기본적인 사건 발생과 해결은 추리소설의 `사건 발생- 사건 의뢰- 탐색, 수사 - 사건의 공표`와 흡사하다. 그렇지만 송사소설과 추리소설의 가장 큰 차이점은 형식보다 소설을 대하는 작가의 태도이다. 송사소설이 유교 이념을 기본 바탕으로 하여 당대의 현실과 질서 회복, 도덕의식의 확립이라는 측면이 강했다면, 추리소설은 비밀과 수수께끼와 같은 범죄를 해결하는 지적 유희의 측면이 앞선다. 따라서 송사소설은 사건에 접근하는 작가나 독자의 태도가 범죄 추리소설 쪽에 가깝다고 봐야 할 터이다. 송사소설이 신소설로 옮겨진 대표적인 작품은 구한말「신단공안(神斷公案)」 (1906년)이다. 이어진 이해조의 「쌍옥적(雙玉笛)」은 송사소설이 근대적 추리소설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추리서사의 기법과 특성이 일정 부분 삽입되어 독특한 서사 구조를 발휘한 작품이다. 부제명으로 명시된 `정탐소설`이란 호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별순검등이 등장해 사건을 해결하고 있는데, 주인공들이 겪는 신산스러움은 범죄추리소설의 내용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어 흥미롭다. 박병호의 「혈가사」는 이해조의 「쌍옥적」이 나온 이후 `探偵小說`이라는 부제가 붙은 최초의 소설이긴 하지만, 범죄와 탐색이 주를 이루는 신소설에 가깝다. 「쌍옥적」에 비해 「혈가사」는 진일보한 모습이 뚜렷하다. 신분에 얽매여 자유로운 활동에 제약을 받았던 순검들에 비해 「혈가사」의 `계약과 의뢰`로 사건을 맡은 탐정들은 거리낌 없는 활약과 추리로 재빠르게 사건에 대처한다. 또한 이중 플롯과 악녀형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근대 추리소설과의 관련성을 내포하고 있다. Our Mystery according to many unique characters were most likely to root Chosun `Song-sa` novel. `Song-sa` novel is classical story that a lawsuit of a crime accident make up opening and ending. It own crime novel`s character as well as 1930`s our Mystery`s character. Our Mystery`s distinctive feature were mix to Mystery, Crime novel, Thriller, Suspense and so on. `Song-sa` novel was very similar Mystery`s formation, <occurrence of a crime accident - an formal request - search and investigation - crack open>. For all that, it differ from Mystery on writer`s attitudes. It was based on Confucian ideas of reinstating law, order and morals, but Mystery emphasize investigation and course made account of logig and reason. Lee-Hae-Joe`s the new-style-fiction `Double jade-flute` was peculiar text that `Song-sa` novel transfer modern Mystery. It had detective-narrative character and setting similar to crime novel. Park-Bung-hoe`s `Bloody Monk`s robe` was the novel for the first time attached title `detective story` in Chosun, however it is close to the new style fiction of crime and search. For all that Park`s work distinguish Lee`s novel. The former`s detective act free, fast and deductive rather than the latter`s detective bounced by government office rule. Moreover the former`s double plot and fatal-women was related to modern 1930`s Mystery.

      • KCI등재

        한국과 스페인 추리소설의 서사화의 가능성: 『최후의 증인』 vs 『남쪽바다』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김선이 ( Kim Seonyi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2

        한국과 스페인은 지리적으로는 먼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역사적으로 살펴보면 공통점이 많은 나라이다. 특히 현대사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데, 물론 그 구체적인 시기의 차이는 있다고 할지라도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두 나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인 내전을 겪었고, 내전이 끝나고 1인 독재시대를 경험하였으며, 독재시대가 끝나면서 민주화 과정으로 인한 사회적 진통을 겪게 된다. 이 두 나라의 70년대는 `성장 통`을 겪는 시기였으며, 특히 이 시기에 두 나라에서 `추리소설`이 성행하게 되는데, 이 시기의 추리소설들은 그 구조적 특성을 잘 이용하며 이러한 두 나라의 변화하고 있는 사회를 잘 반영해주고 있다. 흔히 추리소설은 명쾌한 탐정의 논리로 살인사건이 해결되며 독자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카타르시스를 제공해주면서 그 대중성을 확보해 왔지만, 이러한 추리소설은 `탐정-살인사건-문제해결`이라는 장르적 특징으로 인해 곧 한계에 부딪치게 되었고, 똑같은 패턴이 반복되면서 서사적인 발전이 불가능한 흥미위주의 하위문학으로 치부되어 왔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두 나라의 70년대에 폭발적으로 등장한 추리소설은 사회소설의 경향을 보여주며 추리소설의 장르적 한계를 뛰어넘어 추리소설의 서사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추리소설을 한국에서는 `변용추리소설`, 스페인에서는 `흑색소설`이라 칭하며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리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잘 살려 사회를 반영하고 있는 한국의 `변용추리소설`의 대표작인 김성종의 『최후의 증인』(1979) 과 스페인의 `흑색소설`의 대표작으로 마누엘 바스케스 몬탈반의 『남쪽바다』(1979)를 중심으로 두 나라의 추리소설 형식의 탄생 배경과 사회 반영 양상을 살펴볼 것이며, 이 두 소설이 어떻게 추리소설을 서사화 시키고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본다. 두 작품 모두 기본적인 추리소설의 장르적 특징에 주인공인 형사 혹은 탐정의 서사화를 통한 인간적인 고민과 번뇌, 그들이 직접 대면하는 사회의 민낯과 정치·사회적 이데올로기의 충돌 양상, 추리소설의 중심이 되는 사건의 해결 그러나 상황 개선의 여지가 없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 회의, 반성 등이 작품의 골자를 이루며 기존의 추리소설과는 차별화 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추리소설과는 다르게 인물의 서사화와 작품의 사회성을 담아내며 모순적 현대사에 대한 사유를 접합시켜 놓았다는 점에서 닮아있는 두 작품에 대한 연구는 추리소설의 또 다른 형태의 본격 소설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먼 나라인 한국과 스페인이라는 두 나라에서 비슷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적·문화적 비교연구 또한 가능하게 할 것이다. Korea and Spain are countries that are geographically distant but have a lot in common in terms of culture and history. In particular, the contemporary history of the two countries is remarkably similar. Of course, even though the specific period is different, the two countries have experienced civil war, a big tragedy in the 20th century, and a dictatorship period after the civil war, resulting in a common social pain. These two countries in the 1970s were undergoing a period of “growing pain”, and in particular, the detective stories became popular in the two countries during this period, reflecting well the society of that moment utilizing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detective stories have secured their popularity providing a catharsis that comes from solving the murder case that provokes the reader`s curiosity. Usually the case is solved with the logic of a clever detective. This type of stories i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genre like “detective - murder case - solution of case”. It soon became confronted with limitations, and as the same patterns were repeated, it was regarded as an interest-oriented subordinate literature that could not be developed as a narrative. However, unexpectedly, the detective stories which appeared explosively in the 70s in both countries show the tendency of social novel and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beyond the limit of the genre. These are called “metamorphic detective novel” in Korea and “black novel” in Spain respectively.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look at the backgrounds of the birth of the detective stories from both countries and the reflection of the society focusing on Kim Sung-jong`s The Last Witness(1979), representative work of the Korean metamorphic detective novel, and Manuel Vazquez Mortalban`s Southern Seas(1979), representative work of the Spanish black novel. And I`ll also examine how these two novel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Both of these works are based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mystery genre. In addition to that, they show the problems of human anxiety and agony, the confrontation of th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and the society they meet face to face, the critical point of view and reflect the reality that there is no room for improvement of the situation. These are the main featur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conventional mystery novels. Unlike the conventional mystery novels, this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novels, containing the narrative of the characters, the sociality and the reason for the contradictory contemporary histor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as an another type of mystery novel. By extension, cultural and comparative studies will also be possible in that they are born with similar social backgrounds in two countries, Korea and Spain, which are geographically distant countries.

      • KCI등재

        한국 역사추리소설에 투사된 대중의 서사적 욕망

        김영성 ( Kim Young-s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3 No.-

        이 논문에서는 역사추리소설에 투사된 대중의 욕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추리소설의 유행을 비판할 것인가 아니면 향유할 것인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역사추리소설의 유행은 포스트모던 역사학에 의해 시도된 역사적 상상력의 복원과 맞닿아 있다. 포스트모던 역사학에서는 실증적 과학으로서의 역사를 거부하고 허구로서의 역사를 강조함으로써 역사와 허구의 경계를 해체한다. 이러한 입장을 문학적으로 수용한 역사추리소설은 추론에 의지해 `가능성의 역사`를 재현하고자 한다.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사실은 추론이 역사소설과 추리소설의 장르적 혼합을 가능하게 한 핵심적인 연결고리라는 점이다. 고전적 추리소설은 `서술되지 않은 공백`을 탐정의 추론을 통해 해결하는 것으로 서사가 완결된다. 역사추리소설에 존재하는 역사와 추리, 사실과 허구라는 이질적 요소들은 바로 이 공백의 서사학을 통해 결합된다. 역사적 공백과 서술되지 않은 공백을 일치시킴으로써 독자인 대중이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역사추리소설에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지가 사건을 해결하는 중요한 해석적 코드로 작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게 역사추리소설이 쓰여질 경우, 필연적으로 하드보일드형 추리소설의 서사적 특성이 강화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서사적 특성으로 인해 탐정의 지위 또한 변하게 된다. 사건과 실존적으로 연루되어 있지 않은 고전적 추리소설의 탐정들과는 달리, 역사추리소설에 등장하는 탐정들은 사건에 직간접으로 연루되어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탐정의 지위가 변화되면 그것을 읽는 대중들의 독서 체험 양상도 달라진다는 데 있다. 역사추리소설에서 탐정은 더 이상 대중들로 하여금 죄의식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알고 있다고 추정되는 주체`가 아니다. 대중들은 자신들과 유사한 탐정의 모험에 참여함으로써 감정적 동일시와 감동을 체험하게 되고, 이러한 체험을 통해 소설 속에서 재현된 가능성의 역사를 현재의 역사로 인식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현재를 투사하는 거울로서 역사가 기능하게 될 경우 역사추리소설은 개혁에 대한 편향적 시각과 민족주의 담론의 옹호로부터 벗어나야만 한다. 그 벗어남을 위해서 역사추리소설은 대중의 서사적 욕망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역사추리소설에서 재현된 가능성의 역사는 비판의 대상이 아니라 향유의 대상으로 대중들에게 인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한국 역사추리소설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보수와 개혁에 대한 객관적 평가, 민족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 등과 같은 현상들은 그러한 맥락에서 의미하는 바가 있다. This research analyzes narrative desire of the mass projected on historical detective novel and objected to judge whether to criticize or enjoy trend of historical detective novel. Trend of historical detective novel meets restoration of historical imagination by attempt of post-modern historical science. In post-modern historical science, it refuses history with scientific prove but emphasize fabricated history and dismantle the border of history and imagination. In this aspect, historical detective novel that accepts this situation as literally is trying to reenact `possible history` using deduction. The most important fact here is that key factor that combines two genre of historical novel and detective novel is deduction. As it is well known, classical detective novel is narrated `unnarrated blank` by deduction of a detective. Inhomogeneity facts lieinside the historical detective stories such as history and deduction, truth and imagina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epic of `unnarrated blank`. Historical blank and unnarrated blank are united and let mass, readers, cannot recognize border of truth and fiction. Also, it is another reason why the main reason for recognition of historical event is the key factor to resolve the mystery in historical detective novels. On the other hand, when the historical detective novel is written, is must unfold as hard-boiled detective story. Due to this epic characteristic, status of detective inside the story also changes. Not like detectives inside the classical detective novel where they are not related to the incident, detectives inside the historical detective novels are indirectly related to the incidents. The problem lies where readers` reading experience aspect changes as states of detective changes. Inside the historical detective novel, detective is not the `le sujet suppos savoir` who frees mass from sense of guilt anymore. Mass recognizes fabricated written possible history as true history as they participate in the adventure of the detective and experience emotional regard and sensation. Although, historical detective novel faces two different criticizes when history is functions as mirror that projects present. They are biased angle of reformation and protection of nationalism argument. But, mass`s desire on reformation and nationalism is only imaginative and fabricated hallucination. To be free from these criticisms, historical detective novel should reflect epic desire of mass. In that way, reenacted possible history of historical detective novel cab be acknowledged to the mass as object of enjoyment. Recently, there are many historical detective novels are written in Korea. And it is meaningful in presenting various viewpoints of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along with argument of nationalism.

      • KCI등재

        한국 근대 추리소설 장르의 젠더 지리 연구

        이은선(Lee, Eun-Se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2

        이 논문은 한국 근대 추리소설을 젠더 지리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궁극적으로 근대 추리소설 장르의 젠더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사건을 발생시키는 범인과 그를 뒤쫓는 탐정 사이의 추격전은 서사를 추동하는 동력이 된다. 기법으로서의 ‘추리’와 지리학적 사유가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에 추리소설을 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이 논문의 시도는 근대 추리소설의 내재적 서사 원리를 해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근대 추리소설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는 일관된 기준으로 ‘젠더’를 제시할 경우 각 텍스트가 보이는 특징과 이질성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한국 근대 추리소설을 여는 텍스트인 『쌍옥적』과 장편소설 『혈가사』에서와 같이 초기 추리소설은 ‘남성’ 탐정이나, ‘남성’ 범죄자의 독무대가 아니었다. ‘여성’ 탐정과 ‘여성’ 범죄자의 등장으로 시작되었다고 이야기하는 편이 더 정확할 것이다. 반면 1930년대 추리소설에 이르러서는 ‘남성성’을 획득한 ‘남성’ 탐정의 활동이 전면에 부각된다. 이 이행 과정을 그리고 있는 방정환의 소년탐정소설은 ‘소년’이 탐정 활동을 통해 어떻게 ‘남자’가 되는가를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적 장르라 할 수 있는 신소설에서 출발하여 남성의 서사로 귀착되는 한국 근대 추리소설의 이행 과정을 살피고, 그와 같은 변화가 발생한 이유를 해명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modern mystery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geography and to subsequently, compile the obtained results in order to identify the gender of the genre of Korean modern mystery novels. The chase of a criminal - who has caused the inciting incident - by the pursuing detective becomes the motive power driving the narrative. Since “inference” as a technique and geographical thinking are closely related, this study’s attempt at analyzing mystery novels from a geographical viewpoint can contribute to the explanation of the immanent principle of narratives concerning modern mystery novels. When “gender” is presented as a consistent standard for examining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of modern mystery novels, the characteristics and heterogeneity shown by individual texts are more clearly exposed. As with Double Jade Flute, which is a text that opens mystery novels, and Bloody Monk"s Robe, which is a full-length novel, early mystery novels were neither monopolized by “male” detectives nor “male” criminals.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those mystery novels began with the appearance of “female” detectives and “female” criminals. Additionally, from the mystery novels written in the 1930s, the activities of “male” detectives who had acquired “masculinity” came to the fore. Bang Jung-hwan"s juvenile detective novel, which depicts this transitional process, shows how a “boy” becomes a “man” through his detective pursuits.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ition process of modern Korean mystery novels that began with “new-style” novels,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feminine genre, and which was reduced to comprising male narratives; and explained the reasons as to why such a change had occurred.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examining the radical aspects and the conservative nature presented in Korean modern mystery no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