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비교문학회와 국제문화교류사업: 재건 이전 한국비교문학회의 문학사적ㆍ제도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최진석 ( Jinseok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국제문화교류사업을 검토함으로써 한국비교문학회의 초기사와 관련된 문학사적ㆍ제도사적 맥락을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비교문학회는 1959년 창립된 학회이지만, 그로부터 1975년에 재건되기 이전까지의 학회 활동 연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이 시기에 이하윤, 이근삼 등 한국비교문학회 회원들이 관여했던 비교문학 연구 관련 사업 및 국제문화교류사업 등을 검토함으로써 재건 이전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 연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계승하여 펜클럽 한국본부 등이 추진했던 국제교류문화사업이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에 미친 직간접적 영향을 살피는 한편, 록펠러재단의 동국대 비교문학연구소 지원 사업 관련 문서철을 발굴함으로써 1960년대 초 한국 비교문학자들의 활동을 일부 복원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하여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과 관련하여 그간에 알려지지 않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는 한편, 차후 보다 본격적인 학회사 서술을 진행하는데 있어 참고가 될 방법론적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reorganize the literary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KCLA), by examin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between late-1950s and mid-1970s. the KCLA was founded in 1959, but it is little-known what activities it did until 1975. In order to collect the sources for writing history of the KCLA, this study examine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of the Korean P.E.N. and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of the KCLA’s lead actors, including Lee Hayun and Lee Gunsam. By using the papers of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kept in the Rockefeller Archive Center, this study demonstrates the KCLA’s activities in early 1960s. According to these documents, the KCLA’s members, including Lee Hayun and Lee Gunsam, tried to establish the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 Center in Dongguk University in early and mid-1960s, but the project ended in failure. It shows that the KCLA may have tried any other scholarly projects.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found some historical records of the KCLA’s early activities and lay pilot studies preliminary to a full-scale writing of history of the KCLA.

      • KCI등재

        비교문학이 생산하는 지식: ICLA 2010 세계 비교문학대회가 남긴 한국비교문학자의 과제

        조성원 ( Sung Won Cho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이 글은 내재적 성찰의 입장에서 2010년 8월 15일 서울 중앙대학교에서 개최되었던 제19차 국제비교문학회 세계대회가 한국비교문학자에게 남긴 과제가 무엇인지 찾아 보는 글이다. 이 대회에 참가했던 외국 비교문학자들은 이 대회를 매우 성공적인 대회로 평가한다. 아울러, 이로 인해 한국비교문학의 국제적 위상도 어느 정도 격상된 듯 하다. 그러나 이 대회를 개최했던 한국비교문학자의 시선에서 보았을 때 이 대회가 우리에게 가져다 준 실익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다. 이 대회를 통해 한국비교문학자들은 한국에서 비교문학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연구적 상황이나 학문후속세대들이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여실히 개선되기를 기대했으나, 여전히 그 현실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국인의 시선에서는 성공적으로 보이는 대회가 국내학자들에게는 그리 큰 성과를 가져다 주지 못했다면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이에 대한 대답을 찾아, ICLA 2010 서울 세계대회의 명암의 의미를 살펴 보고, 그 자성적 평가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비교문학하기’의 어려움을 극복할 실천적 전략을 모색해, 21세기 한국비교문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그리고 그 탐구의 결과로, 이 글은 한국의 비교문학이 현재의 위기상황을 극복할 실천적 방안으로서, 문학의 국제적 관계에 바탕을 둔 전통적 비교문학연구방법에 대한 가치를 새로이 인식할 것과, 외국어능력, 특히 영어능력의 함양을 통해 한국비교문학자의 국제경쟁력을 기를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retroactively discusses the underlying significance of the internationally approved success of the 19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ICLA), held in Seoul, Korea, from August 15 to 21, 2010, in order to shed some lights into the future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Korea. For that purpose, an introspective approach is adapted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the problems that the ICLA 2010 Seoul Congress has exposed to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 this study offers some critiques on the disciplinary premises upon which the Korean Special Forum of the ICLA 2010 Seoul Congress was organized, it will eventually raise two points of urgency: firstly, the traditional, transnational approaches of comparative literature should reenter the academic arena of Korean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in order to foste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secondly, Korean scholars in Comparative Literature should endeavor to acquire a good knowledge of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of English, for their global scholarly competency.

      • KCI등재

        비교문학의 정전화와 교육: 미국비교문학회 ‘10년 보고서’를 중심으로

        이형진 ( Hyung-jin Lee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본 연구는 6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국내 최초의 비교문학 학회 ‘한국비교문학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국내 비교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비교 대상으로 ‘미국비교문학회’의 ‘10년 보고서’의 비교문학 정전화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문학 학술 담론을 주도하는 ‘미국비교문학회’가 10년마다 미국 내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에 관한 진단보고서 성격으로 준비하는 ‘10년 보고서’는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에 역사성과 전통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학문적 정전화를 주도해 왔다. 국내 인문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제간 연구 분야인 비교문학 연구의 학문적 체계화와 정전화를 위해서는, 첫째, 그동안의 학회의 비교문학 학술 결과물에 대한 분석과 체계화를 통해 학문적 역사성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비교문학 연구에 관한 학회 차원의 학문적 진단과 방향성 점검의 노력이 필요하며, 셋째, 다양한 국가와 문화의 경계를 교차하는 비교문학의 특성상 해외 비교문학 주요 학술서의 적극적인 한국어 번역과 비판적 수용이 필요하며, 넷째, 미국 비교문학의 정전화 기반 구축에 기여한 ‘미국비교문학회’ ‘10년 보고서’의 비교문학 교육방법론과 교과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로부터 한국 비교문학의 지속가능성과 확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고민과 방법론이 부재한 학문은 학문적 지속가능성을 구축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and analyze the function of the Americ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ACLA)’s ‘Decennial Reports’ in the canonization proces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US and identify and provid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For the goal of the solidification and canonizat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Korea, first, the comprehensive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the scholarly achievements by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KCLA) which was founded in 1959 is needed in order to build up the historic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Second, the KCLA should be responsible for periodically reviewing and evaluating the status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and providing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Third, there is a critically growing urgency for the Korean translation of contemporary global scholarly references on comparative literature discourses, published abroad to be share with comparative literature scholars in Korea. Fourth,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educational value and methodology of the teaching of comparative literature with a priority in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which is expected to enhance the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The vitality and sustainabil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its education lie in the discipline’s inherent expansionality which will provide the discipline of comparative literature with a renewed identity as well as an academic motivation, driven by a creative and productive sense of inquietude.

      • KCI등재

        김병철의 이입사 연구에 나타난 한국비교문학 연구 방법론

        박성창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7

        It is well known fact that translated literatur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at the influence of acceptance and translation of Western literature was especially crucial to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im Byung-chul, professor and translator of English literature, has gave his lifetime to the study of how Western literature has been introduced through the ‘mediators’ such as translators, literary critics and literary journals in th contex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is works include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translated literature during modern period of Korean literature. Examining how Western literary works were accepted in th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studying how they were translated and introduced would be main focus of Kim Byung-chul’s works. This study of ‘importation’ and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initial phase of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Consequently,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has limited its studies only in the function of the influence of European literature in relation to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final goal of this article would be to understand the aims of ‘acceptance study’, examine limits of ‘influence study’ and finally cast new lights on the research method of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한국비교문학은 어떤 지식을 생산해왔으며, 핵심적인 방법론은 무엇인가를 살피는 일은 한국비교문학의 문제의식을 더욱 날카롭게 다듬는데 필수적인 작업이다. 한국비교문학의 기본적 이론체계의 확립과 외국문학이 들어오는 실증적 작업에 대한 요구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이입사 혹은 ‘이입과 영향’ 연구의 필요성이 생겨난다. 김병철은 영문학자로서 영문학 연구와 번역에 관련된 작업과는 별도로 <한국 근대서양문학 이입사 연구>를 필두로 거의 사 십년 가까운 시간을 서양문학 이입사 연구에 바친 이입사 연구의 개척자라 할 수 있다. 이입사 연구는 한국근대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의 기초 작업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작업이다. 김병철의 이입사 연구가 갖는 실증적 작업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 학문적 의의와 방법론적 한계를 두루 살피는 일은 한국비교문학이 앞으로 생산해야 할 지식의 향방을 가늠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 AT 613 두 여행자 > 설화 비교 연구: 서사 구조와 모티프를 중심으로

        김환희 ( Kim Hwan Hee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이 글의 목적은 세계광포설화인 < AT 613 두 여행자: 진실과 거짓 > 유형에 속하는 한국 각편들과 프랑스 각편들을 비교해서 두 나라의 설화가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아직 국내에서 연구된 적이 없는 < AT 613 > 유형은 1897년부터 지금까지 채록된 구전 자료가 약 27편에 이를 정도로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어온 설화이다. 스티스 톰슨은 < AT 613 > 유형의 기본 서사 구조를 (1) 실명한 남자, (2)비밀 대화 엿듣기, (3) 비밀을 활용하기, (4) 벌 받은 악인으로 요약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유형에 속하는 27편의 한국 각편과 13편의 프랑스 각편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 글에서 프랑스 각편을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외국학자들이 소개한 수많은 외국 각편들 가운데서 프랑스 각편이 한국 각편과 가장 유사한 서사 구조와 공통 모티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프랑스 각편들이 보여주는 공통모티프는 거지, 실명, 유기, 치유의 물, 신성한나무, 물줄기 탐색, 여성의 치유, 결혼 등으로 간추릴 수 있다. 한국과 프랑스 각편들의 대다수는 거지 모티프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두 거지는 자신의 힘으로 살아갈 능력을 갖추지 못해서 동냥하면서 목숨을 연명한다. 질투심 또는 탐욕 때문에, 한 사람이 다른사람의 눈을 멀게 한 후 숲 속에 유기한다. 주인공은 나무 위에 올라가서 동물 또는 정령들의 비밀 대화를 엿들은 후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한다. 세 가지 과제는 신성한나무의 잎으로 눈을 비비거나 신이한 약물을 사용해서 눈을 치유하는 것, 가뭄으로 고생하는 마을 사람들을 위해 물줄기를 찾아주는 것, 악독한 동물 때문에 병든 부잣집 딸 또는 공주를 치유하는 것이다. 이 세 과제를 완수한 착한 아우(동료)는 자신이 치유한 여성과 결혼을 한다. 악인은 주인공의 성공을 시기해서 같은 장소에 가서 동물이나 정령들의 대화를 엿듣지만 끔찍한 최후를 맞이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서사 구조가 한국과 프랑스의 각편에 공통으로 발견된다. 한국과 프랑스의 < AT 613 > 설화는 서사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는 공통점이 크지만 세부 화소에 있어서는 여러 차이점을 보여준다. 한국 설화에서는 맹인이 된 주인공이 도깨비나 호랑이의 대화를 엿듣고, 프랑스 각편에서는 늑대나 여우의 대화를 엿듣는다. 한국 설화에서는 치유의 힘을 지닌 신성한 나무가 복숭아나무, 프랑스 설화에서는 참나무로 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성을 병들게 한 동물이 한국 설화에서는 부잣집지붕 밑에 사는 지네, 프랑스 설화에서는 공주의 침대 밑에 있는 두꺼비이다. 특히 두꺼비는 한국과 프랑스의 상징체계의 차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한국의 <지네 장터>설화에서는 박해받는 여성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는 조력자로 나타나는 두꺼비가 프랑스 설화에서는 여성을 괴롭히는 악독한 동물로 등장한다. 한국 각편에 나타나는 금은보화 모티프도 프랑스 각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악인의 징치도 한국 각편보다는 프랑스 각편에서 더 철저하게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Versions of "AT 613 the Two Travelers" with its French counterparts and comprehe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between the versions from each country. Stith Thompson defines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s of AT 613: (1) The Blind Man, (2) The Secrets, (3) Use of the Secrets, (4) The companion Punished. I have analyzed 27 Korean versions and 13 French versions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AT 613. Both Korean and French versions have the following common motifs: beggars, blindness, abandonment, healing water, sacred tree, lack of water, healing sick princess, marriage, and so on. In the majority of Korean and French versions the story begins with the motif of beggars. Two brothers (or companions) live off the charity of others. For jealousy or greed, one puts out the other`s eyes and abandons him in the forest. The blind man climbs into the branches of a tree and overhears the secrets of animals or spirits. The good one performs the three tasks by using the secrets: (1) he restores his eyes by rubbing the leaves of the sacred tree or by using magic water; (2) opens a dried-up well or new spring by cutting the tree in a certain village whose people have suffered from the lack of water; (3) heals a rich man`s daughter (princess) who has been sick because of a demonic animal. After completing these three tasks, the good brother(companion) marries the woman who he has healed. The wicked man goes to the same place and attempts to overhear the secret from animals. He is severely punished. These basic narrative structures can be very commonly found in most of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etails between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In most of the Korean versions, the blind man overhears the secrets of Dokkaebies(Korean demonic spirits) or tigers whereas in its French counterparts he overhears the secrets of wolves or foxes. In the Korean versions, the sacred tree having healing power is a peach tree whereas in the French ones an oak tree. In the Korean versions, the demonic animal that makes the maiden get sick is a centipede under the roof or ceiling while in the French ones it is a toad hidden under the princess`s bed. This symbolism of the toad in Franc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ne in Korea. In the Korean tradition, the toad appears not as an evil creature but as a helper or savior who sacrifices himself/herself to emancipate the persecuted heroine. The motif of unearthing the treasures of gold and silver can be commonly found in the Korean versions, but it is hardly found in the French versions. The punishment of the evil man is more severe in the French than in the Korean tales.

      • KCI등재

        일본 비교문학 연구 동향 - 도쿄대학 비교문학비교문화코스를 중심으로

        이병진 ( Lee Byungji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근대일본은 도쿄제국대학을 중심으로 일본 각지에 산재한 제국대학들은 선진 유럽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초빙해서 그들의 문화를 일본에 소개하고 현지화 했다. 당시 일본은 정부주도하의 전략적인 서구 문화를 수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러시아의 철학자이자 음악가였던 라파엘 폰 케벨(Raphael von koeber, 1848-1923)은 메이지(明治)정부의 고용외국인 자격으로 1893년부터 도쿄제국대학에서 21년간 철학과 서양고전학을 강의하며 많은 일본인 학생들을 양성했다. 그로부터 미학, 철학, 그리스 사상 등의 폭넓은 지식을 교육받은 일본인 제자들은 후에 일본문단을 대표하는 문학가와 사상가로 자리를 잡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구축은 서구 중심의 교양과 철학을 중시하고 섬세한 감수성을 중시하며 스스로 원전(原典)을 읽고 해독하려는 학문적 풍토에 이바지한다. 그 연장선에서 1930년대부터 일본은 자각적으로 비교문학연구를 시작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세계문예대사전』(1935-37년)에서 시마다 긴지(島田謹二, 1901-1993, 비교문학연구자, 도쿄대교수, 비교문학연구 영역을 개척)가 집필한 「비교문학」, 「포우와 보들레르-비교문학사적 연구」 항을 보면 프랑스 비교문학의 변천과 현황 및 비교문학의 일본에서의 의미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아마도 자각적으로 서구의 비교문학을 일본에 소개하고 그 필요성을 강조한 최초의 언급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의 비교문학연구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대학 연구기관으로서는 1953년 도쿄대학 대학원에 비교문학비교문화과정이 처음으로 만들어지고 시마다 긴지가 강좌주임을 맡는다. 다음 해 東大比較文學會가 결성되어 기관지 『比較文學硏究』를 창간한다. 같은 해 도쿄여자대학에도 비교문화연구소가 창설되어 『比較文學』이 창간된다. 이후 1962년에는 와세다대학에도, 대비(對比)연구 노작인 『롤랑의 시와 헤이케(平家)이야기』를 집필한사토 데루오(佐藤輝夫, 1899-1994, 중세 프랑스문학연구자)를 실장으로 하는 비교문학연구실이 만들어지고 1965년 『比較文學年誌』를 창간한다. 이 밖에도 많은 대학에 비교문학 강좌가 개설되고 계몽활동적인 공개강좌와 강연회가 각지에서 개최되기에 이른다. 일본의 비교문학은 이처럼 종래의 문단적 문학을 대상으로 하는 틀에서 벗어나 비교문화사, 국제적 문화관계사와 같이 독창적인 새로운 영역에까지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한 배경에는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세계 속의 일본이라는 자국중심의 비교문학 비교문화의 논점이 강한 일본 중심의 성향과, 외래문화와 학문에 대한 개방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학문적 풍토가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Japan is the starting point of comparative literature generally around 1890 Tsubouchi Shoyo (坪 內 逍遙, 1859-1935, novelist, critic) under the name "Treviso (比照) literature at the Tokyo College (now Waseda University) poses four ( looking into a river in the center of "comparative literature (comparative literature)" (1886) of HM Posnett). Bow River is a value used in the Japanese market spirit of the European City (詩歌) spirit, it recognized the need for a comparison of European and Japanese literature and literary history and comparative literary composition hayeotdago climate. It thus starting a comparison of Japanese literature gave vital help to reach a global awareness across the country of Japan can come up with the presence of foreign hydrologist (ohgeoseu Tuscan wood, Lafcadio one) who hold the teaching, etc. at the time of the University of Tokyo, they received training in earnest from a variety of disciplines such as systems of Western modern literature and art Ogai Mori (森鷗外, 1862-1922, writer), Natsume Soseki (夏目漱石, 1867-1916, English scholar and novelist), empty Ueda (上田敏, 1874-1916, is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scholar of English literature, poet, etc.). At the time of the Imperial University in Japan it centered around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and had a role to introduce and localize the Japanese culture of the West actively by inviting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advanced Europe. At the time of Japan`s modernization was accepted under a government led by aggressive Western culture was performed at the same time faithfully serve to propagate Western culture, one is selected government agencies and Imperial College to the inside Japan. For example, the Russian-born philosopher, who was a musician Rafael kebel phones (Raphael von koeber, 1848-1923) has taught Meiji (明治) Foreign Employment Eligibility 21 years philosophy and classics at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since 1893 by the government and a number of Japanese students It was a positive. Kebel from aesthetics, philosophy, ensuring a wide field of view than a wide and deep range of knowledge transfer through the Japanese students, such as Greece will ever have after working as a literary and thinkers representing Japan paragraphs. The educational foundations of Western center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mission of intellectuals to the delicate sensitivity and importance and emphasis on reading their own nuclear power plants (原典) decrypts the culture and philosophy of the western center. Since its extension in 1930 Japan will begin a comparative study of literature as subjective. For example, each time in a comparative literary intentions strong in Japan, "Dictionary of World Literature" (1935-37) is long (島田謹二, 1901-1993,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er, University of Tokyo professor, pioneered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area), "who wrote the comparative literature "," Poe and Baudelaire - comparative literature and look at the historical study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term in Japan and in France compared to transition into literature and comparative literature wonderfully. This compares with the activation of the research institutes of the University of Literary Studies in Japan As a cross-cultural comparative literature courses are founded in 1953, The University of Tokyo Graduate School of Shimada is long is the course supervisor struggled to reverse development. The following year formed the 東大比較文學會 and will constitute the bulletin "比較文學硏究". And compared to the same cultural institute in Tokyo Woman`s Christian University is the creation of "比較文學" is launched. Since in 1962 in Waseda University, that is mounted against (對比) research nojak the "Kerala Hay and when Roland (平家) story," Sato, author of Teruel five (佐藤輝夫, 1899-1994, medieval French literature researchers) comparative literature lab has been created, and in 1965 founded the "比較文學年誌". In addition, it leads to the establishment comparative literature courses at many universities and enlightenment activities of public lectures and seminars held in the country. Comparison of Japanese literature is thus to advance in the prior paragraph of the enemy ingenious new areas such as comparative cultural history and international culture in the subsidiaries outside the framework to target the literature. Such a background would have been possible, with the modernization of Japan in the iteotgie always keep this in mind, the nationalist tendencies in the world, Japan, strong academic culture in Japan.

      • KCI등재후보

        Korean Values

        Choi, Park Kwang 韓國比較文學會 2002 比較文學 Vol.29 No.-

        본 논문은 한국인의 가치에 대해 논한 글이다. IMF시기를 전후로 하여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규명과 그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의 가치에 대한 개별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1970년 이후 소위 아시아 신흥 공업국(Nics)이라고 불렸던 한국, 대만, 홍콩,싱가포르 등. 아시아 4개국의 눈부신 경제 성장은 세계 경제학자들의 주목하는 바가 되기에 족했다. 이 같은 경제 성장에 대한 칭송은 1997년 말 아시아에 밀어닥친 경제 위기 이후, 유교자본주의의 거품현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여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논쟁이 재차 쟁점화 되었다. 그러나 이들 논쟁의 대부분이 아시아 각국들의 지리적, 문화적, 종교적, 사회적 특성은 고려하지 않은 채 서구의 기독교 문명과 대칭적 개념에서 서술된 일반론에 근거한 것에 그치고 만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국의 가치에 대해 일괄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가치형성에 크게 작용한 것으로 가(家)제도를 들 수 있다. 가란 좁게는 가족이란 개념이기도 하지만, 이를 확대하면 사회, 국가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종래의 가는 가장을 중심으로, 죽은 조상과 현재의 가족 구성원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구성원간의 윤리, 도덕은 삼강과 오륜에 바탕을 두면서 동시에 예에 근거한다. 예란 본래 곡례(신에게 제사지내는 예)에서 비롯되었지만, 윤리 도덕 사상의 중핵으로 인간관계의 질서를 유지하는 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가는 근대에 접어들면서 가족으로, 또는 가정이란 개념으로 변모하면서 그에 따라 가치 또한 변모를 거듭했었다. 전통적 가제도 이외에도 한국은 개항이후 국가 체제는 물론, 계층 간의 변동도 극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오늘날의 한국인의 의식 속에는 종래, 가를 중심으로 한 가치관은 사회변화와 함께 변화를 계속 하였지만, 그러나 한국인의 의식 속에 여전히 전통적 가치로 자리 잡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가치는 윤리 도덕과 예가 그 중핵을 이룬다. 아시아적 가치에 대해 언급한 논자들의 주장처럼 한국은 혈연, 지연, 학연 등을 통해 인간관계가 보다 긴밀하게 형성되어 왔었다. 그런 면에서 글로벌 사회의 보편적 가치에서 보면, 혈연, 지연, 학연을 통해 형성된 권위주의, 패거리주의, 정실주의, 이중규범 등등은 긍정적 요소보다는 부정적 요소가 더욱 부각 될 수 있다. 그러나 서구 사회와는 달리 오랫동안 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왔던 한국 사회 구성에서 보면 이점들은 한국인의 가치이면서 활력소적 역할을 해 왔던 것도 사실이다. 권위주의적이면서 민본에 바탕을 둔 박애정신, 가족 중심적 상부상조와 겸양의 정신, 금욕적인 청빈, 현실적 이해에는 초연한 선비정신, 경로·효 사상 등등, 전통적으로 지속되어오던 가치는 서구의 보편적 가치와의 접목을 통해 보다 조화를 이루어가야 할 것이다. IMF체제로 접어든 지난 2년 간, 그리고 그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기업은 물론 심지어 대학에까지 시장원리를 앞세운 서구의 보편 가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IMF시기 외국계 자본에 매각된 서울 은행장으로 최초로 취임한 호리에씨의 도중하차는 서구의 보편 가치가 한국사회에서는 일석일조에 통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따라서 한국적 가치는 서구 보편적 가치와의 상호보완적 접목을 통해서 다원사회의 가치 규범으로 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소설의 프랑스 수용의 문제: 소설의 장⋅단편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정은진 한국비교문학회 2020 比較文學 Vol.0 No.80

        The current study concerns the reception of Korean novels in France with a specific focus on “how translated literature is introduced,” a relatively overlooked issue. In Korea, short stories dominate in both quantity and prestige due to a unique debut system firmly in place since the Modernist Period and the role literary magazines play as important media in publishing. This phenomenon is often considered to be a barrier to the distribution of Korean literature overseas – the West, in particula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o what degree this observation reflects reality and how this manifests itself in detail. Probing beyond the textual dimension and focusing on the entirety of the book itself, the study considers various paratextual elements, such as genre designation, and how these elements shift based on the local publication strategies and horizon of expectation. During this process, the literary genres in the source context and the target context – Korea and France in this case – are compared, which is necessary when grappling with literature in translation.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obvious fact that translation is, first and foremost, a transfer from one cultural structure to another cultural structure before it is a transfer from the particular to the universal. The study aims to bring a new balance to the discussion of Korean literature’s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by considering how translated literature gets absorbed into the French literary field. 본 연구는 프랑스에서의 한국소설 수용 양상과 관련하여 비교적 관심의 사각지대에 있었다고 판단되는 ‘번역물이 소개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춘다. 한국은 근대이후 굳어진 등단 제도와 주요 출판 매체로서 문예지의 역할 등 문학 장의 여건으로 단편소설이 수도 많고 위상도 높은 편이다. 이러한 현상이 한국문학의 해외-특히 서구-진출에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 자주 표명되는 견해인데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로 범위를 제한하여 이러한 생각이 어느 정도로 현실을 반영하는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본다. 텍스트의 차원을 넘어 책이라는 실체를 대상으로 그 구성, 즉 한 편의 소설이냐 소설집이냐의 문제, 그리고장르명 같은 파라텍스트적 요소 등, 현지의 출판 전략 및 기대 지평과 연관되어원작에서 변화되는 요소들에 주시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과 프랑스의 문학 장을비교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교적 시각은 번역문학을 대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이는 번역이 특수성에서 보편성으로 나아가는 것이기 이전에 하나의문화 체계에서 다른 하나의 문화 체계로 옮겨가는 것이라는 사실에 근거한다. 한국문학을 보는 타자의 시선에 만족하지 않고 특수한 외국 문학 장에서 번역문학이 흡수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세계와의 소통에 관한 논의에새로운 균형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비교문학과 아날로지

        신정환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7

        The comparative literature has been caught in a crisis because its contents and methodology were not clearly established. This is due to the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comparison act itself. If we perceive the nature of the act of ‘comparison’ clearly, the question of “what, how and why we compare” will be resolved.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ontology and ethics of comparative literature by relating ‘comparative’ behavior to the principle of ‘analogy’ and ‘irony’, the contrastive framework of world recognition. Analogy, like the comparison, is the kind of rhetoric that puts the bridge through similarities between different things. However, unlike comparison, analogy is not an apparent ‘similarity’, but a belief in the organic relationship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interconnected. However, with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the harmony between human and world, words and meanings, and appearance and reality is broken by an irony. As the absolute truth is scattered in relative truth, the god hides himself, and the human alienation begins, the novel is born to make up the lost totality of the world. In addition, comparative literature is born with the emergence of nation states and nationalism. The comparative literature that attempts to establish the Weltliteratur is an integrated analogy for treating separative irony. Comparative literature refrains from chauvinistic national literature and serves as a tool for mutual understanding that transcends national borders. It is an antidote to the reductionistic nationalism and the cure of the irony which has torn and divided the world in the name of modernity. Therefore, the comparative literature aims at the totality that disseminates a cosmic harmony in the coexistence of mankind. This, however, is a spiritual and poetic totality unlike the historical and prosaic totality. Poetic totality connects beings and things torn by irony while prosaic totality pursues order and unification. According to Octavio Paz, God creates by talking, and man connects by talking. In a similar sense, Korean philosopher Daseok Yu Youngmo maintains that human being(있음) means connecting(잇음/이음) in Korean language. Man makes everything exist by connecting. Here the act of connection, that is, the act of comparison sublimates into an ontology.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analogy becomes the ethics of globalism which respects the ‘otherness’ against exclusive globalization. 비교문학은 구체적 내용과 방법론이 확실하게 정립되지 않아 곧잘 위기설에 휩싸이곤 했다. 이는 ‘비교’ 행위의 본질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만일 이에 대한 확실한 인식이 정립된다면 무엇을, 어떻게, 왜 비교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이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비교’ 행위를 세계 인식의 상반된 틀인 ‘아날로지(analogy)’ 및 ‘아이러니(irony)’의 원리와 관련시켜 보면서 비교문학의 존재론 및 윤리학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비교와 마찬가지로 다른 사물들 사이의 유사성을 통해 다리를 놓는 아날로지는 수사법의 한 종류라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교와 달리 아날로지란 외형적 ‘유사성’이 아니라 우주 내 모든 존재와 사물들이 맺고 있는 유기체적 관계에 대한 믿음이다. 그런데 근대의 도래와 함께, 인간과 세계의 조화가 깨지면서 말과 의미, 현상과 실재가 어긋나고 있음을 인식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절대 진리가 상대적 진실로 흩어져 버리고 신이 모습을 감춘 가운데 인간 소외가 시작되면서, 상실된 세계의 총체성을 문학적으로 구현하는 임무를 맡은 소설이 탄생한다. 또한 유럽에 국민국가가 등장하고 국가주의가 득세하면서 비교문학이 탄생한다. 상실된 ‘세계문학’을 복원하려 하는 비교문학은 분열적 아이러니를 치료하는 통합적 아날로지이다. 비교문학은 국수주의적 국가문학을 지양하고 국경을 초월하여 상호 이해의 도구로 기능한다. 이는 근대 이후 찢고 나누었던 아이러니에 대한 치유이자 환원적 민족주의에 대한 해독제이다. 따라서 비교문학의 도달점은 인류 공존 속에 우주적 조화를 전파하는 총체성이다. 그러나 이것은 질서와 통일을 추구한 역사적이고 산문적인 총체성과는 달리 아이러니로 찢긴 존재와 사물들 사이를 잇는 영성적이고 시적인 총체성이다. 다석(多石) 유영모의 철학에 따르면, 인간의 존재를 말하는 ‘있음(being)’은 본래 ‘잇음’이다. 즉 인간은 본성적으로 사이를 이어서 모든 것을 있게 한다. 여기서 ‘잇는’ 행위, 즉 비교 행위는 인간 존재론으로 승화된다. 또한 계(界)를 가로지르며 조화와 융합을 추구하는 비교문학의 아날로지 원리는 독점적 세계화에 맞서 타자성(他者性)을 존중하는 세계시민주의 시대의 윤리학이 된다.

      • KCI등재

        비교문학에서 본 독일 문헌학의 현재적 의미- 아우어바흐와 슈피처를 중심으로

        이경진 ( Kyoung Jin Lee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4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문학과 세계문학론의 관점에서 독일 문헌학이 어떤 현재적 의미를 담지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성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비교문학의 대표적인 건립자로 거론되는 에리히 아우어바흐와 레오 슈피처의 공적을 조명한다. 독일 문헌학은 종종 서양의 비교문학, 특히 미국의 비교문학의 기원으로 지목된다. 그러나 최근에 독일 문헌학은 세계문학과 탈식민주의, ‘문화 연구’를 지향하는 현 비교문학의 관점에서 보기에 지나치게 정전중심적이고, 유럽중심적인 학문이 아닌가 의심받고 있다. 예컨대 프랑코 모레티는 세계문학 내지는 비교문학의 중점이 ‘근거리 읽기’에서 ‘원거리 읽기’로 이동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문헌학의 정전중심적인 ‘근거리 읽기’ 방법론을 간접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식민주의의 정립자 중의 한 사람인 에드워드 사이드 같이 문헌학을 변호하는 입장들도 있다. 사이드는 아우어바흐가 유럽중심적인 시각을 극복할 수 있었던 계기를 그가 겪었던 망명과 고향 상실의 경험에서 찾고 있다.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지식인에게 필수적인 외부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을 제공해 주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교문학의 건립자인 아우어바흐와 슈피처 모두 유럽이 아닌 곳에서 망명생활을 했다는 사실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이것은 서구 비교문학이 망명과 비유럽에서 기원했다는 대단히 중요한 사실을 시사한다. 한편, 에밀리 앱터는 비교문학이 태어난 장소라 할 수 있는 이스탄불이 외부나 변두리가 아니라 오히려 대단히 국제적이고 세계시민적인 문화 교류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주면서 ‘외부자’로 남았던 아우어바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그 문화 교류의 현장에 뛰어들었던 ‘슈피처’야말로 세계문학적인 비교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사한다고 본다. 사이드는 서구 오리엔탈리즘의 전형적인 태도가 바로 문헌학적 태도였다고 주장하면서 문헌학과 보수적인 민족주의 및 유럽중심주의와의 연계를 인정하면서도 20세기 초 문헌학에서 보편적이면서도 문화상대주의적인 ‘다른’ 전통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아우어바흐와 슈피처는 모두 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존중하고 중시하는 민족주의적 전통에 바탕을 둔 세계시민주의적인 비교문학을 구상하였다. 말년의 아우어바흐는 자신의 시대를 ‘문헌학자들의 적기’로 선언하면서 세계문헌학을 제창한다. 그는 세계문헌학의 고향이 더 이상 민족이 아니라 지구이자 세계라고 주장함으로써 인문주의적이면서 세속적 비평의 이념을 정립한다. 슈피처 역시 ‘먼 것에 대한 사랑’을 문헌학자의 모토로 설정함으로써 문헌학에 내재한 비교문학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그는 다양성에 대한 인정과 자문화에 대한 거리 두기, 타문화와의 내적이고 열렬한 씨름 없이는 문헌학이 진정한 문헌학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이러한 문헌학적 행위의 기초는 바로 말에 대한 사랑이며, 그것은 타자의 텍스트의 살갗에 접촉하는 경험이다. 세계문학의 거시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비교문학 연구자들이 힘들고 더딘 ‘근거리 읽기’를 포기해야 한다는 모레티의 주장은 비교문학의 목적이 담지하는 중요한 윤리성을 놓칠 수 있다. 즉 타자의 언어에 밀착하여 독해하는 경험은 그 타자의 세계관과 상상력을 배우는 중요한 경험이며 세계화 시대에 이 경험은 더욱 절실하게 요청된다. 이런 의미에서 스피박은 문헌학의 근거리 읽기의 장점은 계승하되, 이 근거리 읽기의 대상을 서구 정전이 아니라 세계문학계에서 주변화된 언어와 문학들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텍스트-언어에 묶인 인문주의’의 유산은 앞으로의 비교문학에서 반드시 계승되어야 하는 문헌학의 유산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role of philology in the transnational and postcolonial orientat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by illuminating two foundational figures of comparative literature, Erich Auerbach and Leo Spitzer. Even if German philology conducted an important role in the origin of western comparative literature, it is now somehow regarded as outdated, conservative, eurocentric, canon-oriented, so it seems to be no longer suitable for the current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For example, Moretti``s provocative proposal that the focus of world literature and comparative literature has to be shifted from the so called close reading to distant reading is understood as an indirect criticism of the philological method. However, there are perspectives which advocate the values and relevances of German philology. E. Said points out that the experience of exile allows Auerbach to gain an objective perspective on Europe and to overcome his eurocentric perspective. It is then no coincidence that the two fathers of comparative literature were emigrants. The two German-Jewish Philologists were forced into exiles during the Nazi era, first to Turkey and later to the United States, and the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for Europ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the first western university in Turkey. From this historical fact, an important insight can be derived: The western comparative literature has its origins in the exile and non-Europe. From this moment, the philology as exilic and transnational humanism can provide a valid model for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Although the German philology of the 19th century was involved in western Orientalism and nationalism, it has been developed into an universalistic and cultural relativistic humanism. Auerbach introduces a concept of the humanistic and ``secular`` Weltphilologie by claiming that the home of the philology is now no longer the nation, but the earth, the world. Spitzer appropriates the "Amor de lonh" as the motto of the philology. According to him, there is no true philology without acknowledgment of the diversity of the world, without confrontation with foreign cultures. The foundation of the philological activity lies in the love for words, namely, in the close, intensive reading of foreign text. Moretti``s claim seems to be suspicious because it is based on a problematic division between national literature studies and world literature studies. The experience of close reading is even more necessary in our globalizing world, because it provides us with the imagination and the views of the Other, and offers the possibility to contact with the foreign culture intensively. In this sense, G. Spivak proposes the close reading as a postcolonial and transnational practice. This intimate experience of foreign language and literature is the invaluable legacy of philology for the coming comparativ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