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문화와 창조도시론

        이현식(Yi Hyun-Sh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5 No.-

        이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창조도시론의 합리적 핵심을 정리하고 그 성과와 한계점을 서울과 성남의 사례를 통해 살펴 본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조도시론은 도시가 서로 연관된 하나의 전체이고,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이며 동시에 오랜 시간 그런 삶의 과정이 축적된 역사적 공간이라는 점을 중요시 여긴다. 창조도시론은 그동안의 단선적인 발전패러다임과는 달리, 도시를 인간 중심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창조도시론은 도시를 하나의 전체로 인식하고 도시 내부도 서로 관계된 유기체로 보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도시를 폐쇄된 하나의 단위로만 인식하고 있을 뿐이다. 아울러 창조도시론은 오늘날의 도시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성공적인, 그것도 파편적 사례들을 성공의 사례로 나열할 뿐이지 문제에 대한 근본적 진단과 해결을 위한 방법론, 나아가 실천의 주체에 대해 고민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창조도시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서울의 문화정책은 다른 어느 도시의 문화계획과 견주어 보아도 정책의 선택과 집중의 논리가 뚜렷하게 관철되고 있다는 차별성이 있다. 더 나아가 서울시의 이런 문화계획은 정책 담론의 중심에 문화를 올려놓았다는 의의도 있다. 그렇지만 컬쳐노믹스라는 말이 상징하듯이 서울시의 문화계획은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과 도시의 발전이라는 요소가 문화와 창조의 외피를 걸친 것이다. 나아가 서울이 이렇게 공격적으로 문화산업을 집중 육성시킨다면 주변 도시들은 더욱더 문화적으로는 왜소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서울의 문화계획은 다른 도시와의 상생을 고려하기보다 수도로서 울이 지닌 장점을 살려 서울중심의 발전적 사고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셋째, 수도권의 전형적인 위성도시인 성남은 ‘문화예술 창조도시’를 지향한다. 그런데 성남이 지향하는 도시의 상은 시민에 초점이 놓여 있다. 문화 정책의 중심에 시민이 서 있으며 시민의 창의성을 최대한 진작시켜 그것을 문화도시의 구현으로 연결시키겠다는 것이 성남이 지향하는 방향이다. 이는 수도권 위성도시로서 성남의 처지를 고려하면 창조도시론의 긍정적 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이 컬쳐노믹스를 표방하면서 문화를 통해 경제적 성장과 도시 발전을 이루겠다는 비전과, 서울의 위성 도시로 시민의 창의성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시민이 문화 발전의 중심이자 도시의 중심으로 서도록 하겠다는 성남의 계획은 지역 문화 정책이 당면한 두 양상을 매우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아울러 그것은 창조도시론의 현실적 가능성과 문제점을 모두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것이다. This paper sums up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 of the theory of Creative City through the case study of Seoul and Seongnam. The point will be as follows. First, the theory of Creative City regards a city as one where diverse elements coexist, people live together, and historic memory is accumulated. Unlike the traditional development paradigm, the theory of Creative City focuses on human beings as playing a vital role in developing a city. However, it fundamentally understands city as a closed unity. Rather than investigating structural problems of a city, the theory tends to list up successful cases. It means that the theory does not provide an in-depth analysis as well as solution to the problems of a city. Second, Seoul accepts the theory of Creative City as its cultural developing policy, which is based on the logic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Furthermore, Seoul places culture at the heart of its developing policy. As symbolized by "culturenomics", a new slogan of Seoul's cultural policy, the cultural plan of Seoul only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economic valu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ity. If Seoul continues to promote its cultural industry in that manner, its peripheral small cities cannot help lessening the merit of their cultural achievement. Rather than pursuing a win-win policy benefiting Seoul and its neighbor cities together, the cultural plan of Seoul only focuses on its development as it is the capital of Korea. Third, Seongnam, as a typical satellite city of Seoul, pursues the policy of 'Arts creative cities'. The focus of the policy lies on citizens. By enhancing the creativity of its citizens, it tries to materialize the plan of culture city. As a satellite city of Seoul, Seongnam well takes its policy basing on the theory of Creative City. Also it can be said that these two cases show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Creative City Theory.

      • KCI등재후보

        도시 창조성의 지역별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용일,이주형 대한지방자치학회 201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3 No.2

        도시 발전을 주도하는 요인에 많은 변화가 있는 가운데, 최근 도시 창조성이 도시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국내 69개 도시들의 창조성에 대한 부문별 특성을 분석하고, 도시 창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각 지역별로 도시 창조성을 구성하는 부문들 중 특화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문별 상관관계 또한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도시 창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관용 부문과 세부 요인들 중에는 고급 인력 부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면, 첫째, 지역의 특성에 따라 강하게 나타나는 창조성이 다르므로, 향후 국내 도시들의 창조도시를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창조성을 구성하는 세 부분이 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각 지역에서 잘 되고 있는 부문에 대한 집중뿐만 아니라, 부족한 창조성 부문에 대한 투자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향후 고급 인력과 첨단 서비스업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들의 창조성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마지막으로 고급 인력이 많은 지역들이 관용 수준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창조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창조적 특성을 통해 도시의 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방정부의 도시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 도시창조성을 활용한 창조도시 전략을 중심으로

        이형욱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5 국가정책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도시발전 전략으로 창조도시 전략이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그 유용성을 타진하고 실제로 어떠한 요인을 강화해야 창조도시로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선진국들은 경제 활성화와 도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도시의 창조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경제정책들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창조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전통적 방식으로는 기존산업을 대체하여 지속가능한 고용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이끌성장동력 산업창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정부도 창조경제 정책을 통하여 기존의 추격·모방형 경제에서 첨단과학기술과 ICT 등을 기반으로 산업과 기술이 융합한 선도·창의형 경제로 한국경제의 질적 도약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도시발전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의 정체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이에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이끌어온 산업도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정책방향과 그 역할들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창조도시를 통하여 도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ICT와 문화를 융합한 창조산업을 육성하여야 하며 둘째, 창조도시를 견인할 창조계급을 적극 육성하여야 한다. 창조도시는 창조계급이 지역의 자원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키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셋째, 다양성과 개방성이 풍부한 문화예술 인프라가 잘 구축된 도시환경을 조성하여 창조계급이 많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지역협력체계 구축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거버넌스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창조계급들은 ICT와 융합하여 기존산업을 다각화하고 기술을 고도화하는 한편 지역의 문화와 융합한 미래 성장산업들을 육성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문화융성을 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것이다.

      • KCI등재

        창조지구 조성과 도심문화공간 확충을 통한 창조적 도시재생

        박은실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09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2 No.1

        본 논문은 창의문화 시대를 맞아 도시환경이 변함에 따라 기존의 개발주의식 도시재생 방식이 아닌 새로운 유형의 도시재생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쇠퇴하는 지역의 물리적인 재건만으로는 공간의 창의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아파트와 상업지역의 개발, 거리환경개선 사업에 의한 도시재생은 공간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지 못한다. 즉 도시의 창의성, 지속성, 경제적 발전은 지역가치의 상승과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도시가 창조적으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창조지구를 도심기능 속에 조성해야 한다. 창조지구는 창의계층의 전문성, 문화적 수월성, 지속적인 시장기능을 보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심 곳곳에 새로운 유형의 문화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심 문화공간을 확충하기 위한 근본방안으로서 지식?정보?창조산업과 기초예술 전통이 결합한 창조지구의 조성, 새로운 문화형성의 인큐베이터로서 장소의 다양성, 독특성, 독창성의 보호, 도시계획 당시부터 문화시설 도입으로 생활권 문화기반 조성, 유휴시설과 근대산업문화유산의 활용과 재생을 통한 문화공간 형성, 공개공지를 활용한 도심 문화공간 확충 등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더불어 새롭게 등장하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예술경영의 역할과 도시큐레이터 같은 전문인력의 양성을 시급한 해결과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창조도시의 도시경쟁력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김정호(Kim, Jung-Ho)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1

        창조도시는 어떤 메카니즘을 가지고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창조도시의 도시경쟁력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우선 도시경쟁력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그 요인들 간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창조도시의 경쟁력은 독립변수인 투입과정에서 창조도시의 내부자산요인으로 창조계급이라는 인적 자산과 도시에 독특한 문화·예술적 자산이 투입되고, 창조도시의 외부환경요인으로 외부환경에 대한 개방성에 근거한 사회적, 문화적 다양성에 의하여 도시의 활력과 효용성을 증대하며 새로운 연결과 통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투입된 내부자산요인과 외부환경요인을 매개변수인 전환과정에서 내부관리요인에 의하여 도시성과를 창출하여 도시경쟁력을 제고하는 메카니즘을 가지게 된다. 여기에서 창조도시의 내부관리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진다. 즉, 창조도시는 혁신적이고 유연한 도시경제시스템를 가지고 있으며, 유연한 조직과 수평적인 네트워크, 즉흥적이고 혁신적으로 변모하는 유기적인 조직과 조직문화를 지니고 있어 유기적인 네트워크와 다양한 구성원 참여를 통한 창의성이 발현되고 있다. 또한 창조도시는 주민의 자발성과 창조성을 고양하는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있으며, 도시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하는 도시관리시스템에 의한 도시경쟁력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sm to strengthen the city competitiveness of a creative city. First, the study explores determinants of city competitiveness and their relations. There are three determinants, internal assets, external environment, internal management. The city competitiveness of a creative city in the process of input as an independent variable depends on internal assets(creative class and cultural infrastructure) and external environment(openness and diversity), and in the process of conversion as a medium variable on internal management(flexible, innovative urban economic system, organization culture,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creative solutions of urban problems). The mechanism of input process to strengthen the city competitiveness of a creative city is as follows: in internal assets term, to cumulate the human assets called creative class and to formulate a unique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in external environment term,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vitality of the city through the social, and cultural diversity based on openness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internal asset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ocess of input are converted into urban performances of a creative city through the parameters of the process of conversion. The parameters a creative city has are as follows: innovative and flexible urban economic system, flexible and organic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ve governance to enhance the spontaneity and creativity of the residents to build a creative city, and city management system to solve urban problems creatively.

      • 창조도시 요코하마의 도시재생정책을 통한 부산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이광국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3 부산연구 Vol.11 No.2

        지금까지 부산의 도시발전은 압축 성장을 통한 도시의 과밀을 의도적으로 추구하여 최소한의 기반시설 설치와 주거공간 확보가 도시발전의 핵심이 되었다. 그 결과 인구과밀, 교통체증, 탁한 공기, 고층아파트 밀집이라는 자연친화적인 공간은 찾아볼 수 없는 삭막한 모습으로 도시가 변해버렸다. 이러한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 기존 도시개발에 대한 반성의 대안으로 채택한 것이 ‘창조도시(creative city)’ 개념이다. 본 연구는 창조도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창조도시의 개념 이해와 부산과 인구규모가 비슷한 일본 요코하마시의 창조도시 정책을 살펴봄으로서 부산의 도시발전을 위한 정책으로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사례로 살펴본 요코하마시의 경우 시민 참여형 문화시설과 조직을 활성화하여 시민이 문화․산업․복지․환경 등 비영리 영역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도시 역량을 창조적으로 발전시키고 시민, 지역기업, 지방정부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내재적 발전을 꾀하고 있다. 사례분석 결과 부산의 경우 독자적인 문화를 육성하고 지속가능한 내재적 발전을 통한 새로운 문화중심의 창조도시 지향에 기반을 둔 도시발전을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창조도시 자체가 고정된 목표가 아닌 과정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창조계층’이 유입되어 생활할 수 있는 창조공간, 창조문화, 창조산업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도시발전을 위한 창조도시 발전전략 접근의 유용성

        강인호,이계만,신영순 한국거버넌스학회 201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0 No.2

        In this study, various Creative City theories are explored for urban renewal strategy, to define the meaning of creative city. R. Florida asserts that connecting creative talents to new ideas, high-tech industries, and regional growth would be the key of creative economic growth. However, this kind of creative city strategy may not be the sustainable option in terms of negative externality such as deeping social and political polarization as time passes. The target areas of this study are Busan, Barcelona, Kanazawa and Jeonju.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factors of urban renewal strategy in target cities.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cultural industry induces capital and people into the target areas.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creative of cities c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ime and place might not be examined. 본 연구는 도시재생전략으로 창조도시전략이 각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그 유용성을타진하고 실제로 어떠한 요인을 강화해야 창조도시로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살펴보기 위해 창조도시의 유형을 도시재생형 창조도시와 문화친화형 창조도시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로 국내외 사례를 비교 검토하였다. 도시재생형 창조도시로는 바르셀로나와 부산, 문화친화형 창조도시로는 가나자와와 전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도시들이 가지고 있는 창조도시전략의 구성요소가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인재유치, 장소메이킹, 도심의 역사․문화적 공간 재생, 시민친화적 공간 활성화, 도시관광자원 마케팅 관리, 창조도시의 공식적 선언, 공간․사람․산업의 네트워크 구축 등을제시하였으며, 창조도시로서의 창조적 환경 조성이 지역 내 창조산업과 연계되면서발전하는 순환구조를 상정하여 비교도시들이 현재 어떠한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 KCI등재

        창조도시의 발전과 도시문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원도연(Won, Do-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2

        창조도시가 도시문화의 핵심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창조도시론은 이미 수년 전부터 도시정책의 트랜드로 소개되어 왔다. 그러나 창조도시는 여전히 논쟁중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창조도시에 대한 개념이나 구조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창조도시가 문화도시로부터 영감을 얻은 것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문화도시는 유럽의 산업도시 모델이 실패하면서 생겨난 새로운 지역발전모델이었다. 유럽에서 시작된 문화도시는 아시아와 미국 등 전세계로 퍼져나갔지만 결과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무엇보다 많은 도시들이 문화도시를 꿈꾸었지만 물리적으로 어려웠고, 성공의 기미를 보인 몇몇 도시들도 지속적인 수익의 창출에 실패하면서 발전모델보다는 공간기획의 성격으로 변화했다. 그 과정에서 유럽의 일부 도시들이 문화 자체의 성공보다는 문화를 통한 새로운 성장의 자극에 눈뜨기 시작했다. 문화도시가 아니라 도시의 문화를 성장시키고 자극함으로써 도시의 창의성이 높아지고 이것이 결국 도시의 경쟁력을 높인다는 인식이 창조도시라는 새로운 흐름으로 나타났다. 창조도시는 문화 자체보다는 그것을 통해 창조적 인간들이 모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도시의 경제력이 성장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창조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창조성이다. 지금 창조도시는 새로운 도시형태를 만들고 있으며 빌비오, 가나자와, 쉐필드와 같은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Creative city is emerging as the core issue of the urban culture. The Creative city theory has been introduced as the trend of urban policy for many years now. However the creative city is an issue which still being disputed.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concept of the creative city is unclear. It seems very clear that the Creative city was inspired by the Cultural city. The cultural city is a new region development model which was created when the Europe’s industrial city model failed. The cultural city which started in Europe spread to Asia, USA and around the world but the result wasn’t too successful. Most of all, many cities dreamed of being a cultural city but it was physically difficult and some cities which showed signs of success failed to yield continuous profits and hence transformed it’s characteristics as space planning rather than a development model. During the process, some cities of Europe become aware of the stimulation of new growth through culture instead of success of culture itself. Awareness that not the cultural city itself but increasing the creativity of the city by growing and stimulating the city’s culture will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as a result led to new flow of the Creative city. The creative city focuses not on the culture itself but on the process of gathering creative people through the culture and as a result the economic power of the city growing. Most common form of creative industry is shown as the combination of cultural industry and IT. Such industry is not shown as a complete modern labor process but as a “Hollywood system” in which planning, producing and retail all becomes the system and operates.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Creative city is creativity. Gateshead, UK regenerated the city with the method of increasing creativity of the city and Gateshead is considered to be one of representative creative cities who gained back it’s energy through it. Now, the Creative city has been constructed as one of paradigm. The Creative city is a urban model which developed the cultural city industrially. From this perspective, modern Creative city can be classified as landmark type such as Bilbao, endogenous development type such as Kanazawa and High-tech industry type such as Sheffield.

      • KCI등재

        중국의 도시화와 창조산업클러스터의 특징에 관한 고찰

        이동훈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1

        21세기 중국의 도시화는 가속단계에 진입했다. 미래 중국의 경제성장을 위한 중요한 원천으로, 투자의 증가를 만들어내며, 도시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해 경제구조를 개선하고, 3차 산업의 발전과 내수시장의 촉진제로서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개발지상주의적 사고가 중심이 되어 근시안적인 안목으로 급조된 도시들이 많기에, 개발·발전 위주의 사고 중심을 인간중심적, 문화예술적, 창조적, 생태적 발전 중심으로 전환하고, 이에 맞는 도시화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즉 창조도시 건설은 중국 도시화 전략의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 있다. 창조산업은 창조도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중국 역시 창조산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조산업 클러스터 형식을 차용하여 도시를 재정비 해나가고 있으며, 창조산업이 창조경제로 전환해나가는 핵심 산업임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의 창조산업클러스터는 21세기 들어 본격적인 정책지원을 통해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주로 경제와 문화가 발달한 베이징 상하이, 심천, 광조우, 천진 등과 같은 동부 연안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창조산업클러스터의 양적인 성장이 질적 성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재 드러난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세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중국의 창조산업은 비옥한 문화자원의 토양위에서 정책적인 지원과 시민의 참여를 통하여 혁신을 이루어내고, 국제적인 협력과 글로벌 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해 중국만의 고유한 창조적 콘텐츠를 개발하여 세계 시장에 나가야 한다. China’s urbanization in the 21st century has accelerated. It has been in its process, taking an important part for economic growth of future China, inducing increases in investment, improving the economic system through restructuring urban industry, and promoting the progress of tertiary industry and domestic market. However, because there are many cities that have been conducted in haste by shortsighted, development-oriented plans, it becomes necessary to convert those development-oriented ideas into creative and human-, culture-, and nature-oriented one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the urban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version. Thus, establishing creative cities can become the ultimate purpose of strategies for the urbanization. Creative industry is the main element that composes creative cities. China realigns its cities through the cluster of creative industry in order to lay a foundation for the industry, perceiving that it is the key to creative economy. China’s cluster of creative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in major cities of developed economy and advanced culture on the eastern coast such as Beijing, Shanghai, Shenzhen, Guangzhou, and Tianjin, through support polic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For the cluster of creative industry to grow in quality, rather than in quantit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detailed policies that can improve problems already found. China’s creative industry is expected to bring about an innovation through support policies and participation from citizens, to develop creative contents that represent China’s characteristics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and finally to advance into the global market.

      • KCI등재

        창조도시 담론의 비판

        박규택(Kyu Taeg Park),이상봉(Sang Bong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1

        창조도시 담론이 서구 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된 세계화 혹은 탈산업화 사회 속에서 도시 발전 혹은 재 생을 위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됨에 따라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현실적으로 세계의 많은 국가의 도시들이 창조 도시에 관한 충분한 검토를 결여한 채 도시 발전 혹은 재생 정책으로 채택하여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조도시, 특히 창조산업과 창조계급에 관한 문헌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새로운 틀로 생성의 로컬리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틀은 창조성 혹은 창조도시와 관련된 문화?예술, 창조 행위자, 장소에 토대를 두고 있으며, 기존의 창조도시 논의를 생성하는 로컬리티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나아가 도시 및 지역이 직면한 현실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생성의 로컬리티로서 창조도시는 세 가지 요소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향후 제시 된 틀은 다양한 창조도시 이론의 비판적 검토와 사례 연구를 통해 보완되고 정교화될 필요성이 있다. The discourses of creative city have been developed as a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policy or plan in the contexts of globalization or deindustrialization society mainly progressed by Western capitalist nations and there are a variety of effec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city in different national and local conditions. Many nations or cities have adapted and practiced the idea of creative city as a policy of development or rehabilitation without its critical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ceptual framework of newly interpreting creative city particularly focused on creative industry and class. The framework of creative city as a becoming locality consists of culture and art creative actor and place continuously interacting and it will take an active role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in the cities or regions due to globalization or deindustrialization. Creative city as a becoming locality should be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 with the real situatio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