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유휴 산업시설의 문화공간 재활용 계획방향 연구 : 부산의 산업 인프라시설을 사례로

        이광국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4 부산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유휴 산업시설 중 산업 인프라시설의 재활용을 통한 문화공간을 조성할 경우 계획방향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조성된 문화공간은 지역주민의 문화향유의 기회 증대관점의 '문화예술기능'과 지역의 활성화와 경제적 부흥이라는 '지역경제 기능', 지역의 문화 활동 지원과 연계라는 관점의 '지역사회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인프라 시설이 도심과 도시 외곽에 입지하느냐에 따라 문화예술, 지역경제, 지역사회 기능의 계획방법은 다르게 적용된다. 연구 결과, 도심형 인프라시설을 재활용하여 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경우 '로컬리티 추구', '문화산업의 배양', '주민 커뮤니티의 형성'을 도모해야 하며, 도시 외곽형 인프라시설을 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경우 '로컬리티의 추구', '관광상품을 창출', '지역 네트워크 구축'에 주력해야 한다.

      • KCI등재

        국가전략적 특화공간으로서 부산 차이나타운의 기능 부여에 관한 연구 : 법정계획을 중심으로

        이광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6

        본 연구는 공간적 특수성을 가진 차이나타운이 특화공간으로서 주요 자원임과 동시에 국가 전략적 관점의 개발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교 거주지로서 자생적 발전정도가 미약한 현실에서 출 발한다. 연구대상지는 부산 차이나타운이며, 연구 방법은 부산 차이나타운이 국가 전략적 관점에서 특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이 부산시와 동구에서 지난 20년 동안 수립한 각종 법정계획에 부여되어 있는 지를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부산시에서 수립한 상위계획인 도시기본계획(1996, 2004, 2011)과 관광개발계획(2001, 2006, 2012) 등에서 차이나타운에 대한 기능 부여는 전무하며, 차이나타운이 입지한 동구에서 수립한 특구기본계획(2008)에서 유일하게 차이나타운에 대한 기능 부여가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 차이나타 운은 국가 전략적 관점에도 반하며, 특화공간으로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향후 부산 차이나타운의 정책방향 설정에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의 한계로는 정책 수립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점이며, 향후 연구는 차이나타운 내 특화가로별 이미지 연출을 유도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관광레저형 기업도시건설의 실현가능성 분석

        이광국,윤상복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tourism-leisure city project with the achievement of balanced regional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40 specialists living in Busan for actual research. First I analyzed the primary element to find consistency and validity of the survey about feasibility of balanced regional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roject would bring about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papers. Next I made and analyzed an assumption to know ab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project with the achievement. As a result, I came to know that correspondence of the project with tourism-convention industry and harmony of it with natural environment had to be considered to boost balanced regional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ity with the project can advance to a self-sufficient city by attracting private corporations with facilities of mixed functions and controlling land prices: namely, it was analyzed that the sustainable tourism-leisure city could be constructed and moreover realized through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meaning in suggesting the feasibility of constructing the tourism-leisure city by having a thorough grasp on the characteristic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aused by the tourism-leisure city project. 본 논문은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건설에 따른 지역균형발전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여부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실증조사를 위하여 부산시에 거주하는 14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회수된 설문을 바탕으로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건설에 따른 지역균형발전, 지속가능한 개발, 실현가능성에 대한 설문의 일관성과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하였다.다음으로 지역균형 발전과 지속가능한 개발이 관광레저형 기업도시건설의 실현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균형발전이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관광컨벤션산업과의 부합성과 자연환경의 친화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또한 복합기능 시설을 갖춘 민간기업의 유치와 지가관리를 통해 자족도시로의 발전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지역균형발전을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건설과 나아가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로서의 실현 또한 가능하다고 분석되었다.

      • KCI등재

        3차 운형함수 모델을 이용한 공간구조 변화분석

        이광국 한국자료분석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5

        Busan has already been extended for 16 times spatially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urban space. So, the population and the scale of an employment are growing continuously. In these metropolitanization processes, activities of each city usually pass through re-adaptational processes by several factors. Finally, each city is accompanied with a lot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 and various urban problems.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hat the structure of urban space in Busan is experiencing multi-cored phenomena, how multi-cored phenomena are gone, how much a regional differentiation of the function is proceeded by multi-cored phenomena, and that the changes are gone to efficient way. And I wish to supply the subject on wa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of the space through this study.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changes of various form were appearing in 9 axises of analysis. Comparatively speaking, the density of population of the region where is at a short distance from center was high. A curved line of a density is gone from the form of two tops to the form of one top gradually. In other words, the top of outer block and the scale of the center are dwindling. And it means that the phenomenon of decentralization is gone to grow the area between center and the top of the outer block. A density of an employment and price of land are concentrated on downtown up to now, but the scale is decreasing. In this study, we can know that the structure of the space in Busan has been experiencing the phenomenon of decentralization from 1991 to 2000 for 10 years. And In the process of the phenomenon of decentralization, we can know that population, an employment, and price of land are different from time and space. 본 연구는 부산을 대상으로 도시공간의 외연적 확산, 도시기능의 입지변화 등에 따라 나타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즉, 다핵화의 진행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도시 내 인구·고용밀도, 평균지가의 자료를 이용하여 1991년과 2000년 두 년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은 3차 운형함수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모델의 적용을 위한 분석축은 주요 간선도로축을 따라 도심-도심간, 도심-부도심간의 6개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그 결과 분석지표별, 분석축 분석에서 인구밀도의 경우 부분적으로 도심정점의 위치가 외곽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외곽정점은 모든 분석축에서 나타나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도심정점의 규모와 외곽정점의 규모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외곽정점과 도심정점 사이 지역에서의 성장이 일어나는 분산화를 통한 다핵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반면 고용밀도와 지가의 경우 도심정점이 외곽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중심축에서의 첨두현상이 뚜렷이 유지되고 있었다. 따라서 부산의 도시화에 따른 공간구조는 단핵화 분산화 다핵화의 일반적인 변화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다핵화로 가기 위한 분산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밀도분포에 의한 부산의 다핵공간구조 변화 특성 분석

        이광국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5

        Since 1970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s rapidly increased the population of Busan and has developed the transportation of the city, and this consequently has caused it's urban space to be enlarged and many centers to be needed in it. It is this time that we are suggested to plan Multi-core city in Busan's general planning.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city had some multi-cores as the result of it's spacial chang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developing the study, I used population and employment as indexes for analyzing it and utilized the density distribution method which is technical analysis method by divided distances along the axes of the four main roads from the civic center Seomyeon. Finally I could find that the decentralization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toward the outskirts of the city from the civic center was going on in progress. But I had limitations in explaining that the city had some perfect multi-cores, because it was analyzed that the climax of the density didn't conspicuously appear in it's outskirts. 부산의 도시공간은 1970년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 결과 부산의 도시 공간은 확대되었고, 성장과 변화를 수반하게 되어 도시 내 다수의 중심지들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기본계획'에서 중요하게 제시하고 있는 다핵도시공간의 골격구상에 대하여 다핵화의 진행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분석지표로는 인구와 고용지표를 이용하여 1991년, 1999년, 2007년의 3개 년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기술적 밀도분포 방법인 밀도 분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모델의 적용을 위한 분석 축은 도심인 서면R를 중심으로 도심-부도심간의 4개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개축을 기준으로 3개 년도의 고용밀도에 대한 일치성 즉, 일치한지(비슷하다)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SPSS의 비모수통계 검정을 통한 Kendal의 W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분석 축 모두 고용밀도는 1991년, 1999년, 2007년 모두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해 볼 때 부산의 경우 서면R를 중심으로 외곽지역으로 인구와 고용의 분산이 진행되고 있으나 밀도의 정점이 외곽 지역에서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용밀도에 의한 3개 년도의 중심성 이동 또한 두드러진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부산은 몇 개의 완벽한 다핵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다소의 한계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