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 방법론과 회계학연구

        김석웅(Kim Seok-wo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도 질적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질적 연구가 사회학, 간호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회계학계에도 일부가 발표되고 있지만, 질적 방법론의 분야에서 방법론, 이론, 연구방법, 자료조사방법, 자료해석방법 등에 관한 개념들이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고 혼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질적 방법론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 연구현황을 살펴서 한국의 회계학계에 질적 방법론과 연구방법의 이해와 확산을 촉진하고자 한다. 질적 방법론은 비판적 방법론과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해석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자의 체험을 통해 경험현실을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질적 방법론인 해석적 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은 해석학과 현상학이고, 주로 이용하는 이론은 사회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화이론, 일상생활방법론, 제도이론, 행위자연결망이론 등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민속지학, 실행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이고, 자료수집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현장연구, 문헌조사 등이며, 자료분석방법은 해석학, 서사분석, 기호학(내용분석, 대화분석, 담론분석) 등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내용분석해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지학(ethnography)은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종족지학이라고도 하는데, 연구대상인 사람(회계담당자)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배경에 대해 연구자가 (비)공개적으로 그들의 삶에 일정한 기간동안 참여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방법이다.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실행연구에서는 연구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해석적 방법론의 사례연구(case study)는 연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해석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주관성, 일반성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결합하는 Q방법론, 삼각측정(triangulation) 등의 혼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Nowadays, Qualitative method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Nursing, Education in Korea. In Accounting, Although som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their concept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 method, theory, data researching method and data interpreting method have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method in the Korean accounting community through clarifying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methodology by content analysis of prior accounting researches. The qualitative methodology means both the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owever it mean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in a narrow sense. It is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the researched and to interpretat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experiencing through lived experienc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r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Theories used in qualitative methodology are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symbolic interactionism, structuration theory, ethnomethodology, institutional theory, actor- network theory. The research methods are action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In this paper, the research methods of qualitative methodology are the research focus. The ethnography i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life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d people(accountants) through lived experience participating the phenomena and life of them during some periods. The action research is the process to pursue th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at the field. The case study of interpretive methodology is to research the case at which the researcher have participated during some period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as some problems such as subjectivity and lack of genera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Mixed methods such as Q methodology, triangulation have been used.

      • KCI등재

        특수체육학에서 전통적인 질적연구방법의 실천적 적용

        오광진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ed in adapted physical activity/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d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he study. First, the cultural description research refers to a report that describes the actions, beliefs, interests, attitudes, and values ​​of the members of the participating group that are foun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clud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cess and its results. Second, the phenomenology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methodology that explores the consciousness experienced by the cognitive subject, and aims at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in which the subject lives, and describes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includ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t is a research metho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ssence as it is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Third, the biography refers to the recording of personal behavior in private interest or literary interest, and is divided into life history, autobiography, and personal biographical research. Fourth,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explores the life that people live by investigating deeply the practices, behaviors, beliefs, and attitudes of individuals and groups. It is a research methodology for theoretical explanations of the special phenomena obtained from the research and consequently development of data-based theories. Fifth, the qualitative case study refers to collecting data in detail and depth on specific phenomena, social units, and cases, in which researchers explore a case with one boundary over time or cases with boundary, collect detailed and in-depth including observations, interviews, audio-visual materials, documents, reports, etc. and reports on topics based on the case description and cases. Based on these traditional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it is significant for researchers who want to conduct the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mentioned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and carry out qualitative research appropriate for their research purposes. 본 연구는 한국 특수체육학에서 사용하는 질적연구방법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질적연구방법의 다섯 가지 특성을 정확히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견하였다. 첫째, 문화기술 연구란 연구과정과 그 결과의 산물을 포함하며, 참여과정에서 발견한 참여집단의 구성원들이 지니는 행동, 신념, 이해, 태도, 가치 등을 기술한 보고서를 의미한다. 둘째, 현상학 연구는 인식주체가 경험하는 의식작용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에 그 바탕을 두고 그 주체가 살아 있는 경험을 지향하며 그 경험의 의미를 포함하여 구조, 즉 현상의 본질을 밝혀 기술하는 것으로 우리가 일상 생활세계에서 겪는 대로 본질의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는 연구방법이다. 셋째, 전기 연구(biography)는 개인의 행적을 사적 관심 혹은 문학적 관심에서 기록한 것을 의미하며, 생애사(life history), 자서전(autobiography), 개인 일대기 연구로 구분한다. 넷째, 근거이론 연구란 개인이나 집단의 실무, 행동, 신념, 태도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을 탐구하는 것으로, 연구에서 얻은 특별한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결과적으로 자료에 근거하는 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말한다. 다섯째, 질적 사례연구란 연구자가 시간 경과에 따라 하나의 경계를 가진 사례 또는 경계를 가진 여러 사례들을 탐색하고, 다양한 정보의 원천, 즉 관찰, 면접, 시청각 자료, 문서, 보고서 등을 포함하여 상세하고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며, 사례 기술과 사례에 기반한 주제들을 보고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질적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향후 장애인체육과 관련된 질적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질적연구방법의 특성들을 잘 숙지하여 연구목적에 알맞은 질적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관광학연구의 접근방법으로서 사례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 『관광학연구』지 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

        심원섭 한국관광학회 2010 관광학연구 Vol.34 No.9

        The study analysed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the case studies which appeared in a major tourism academic journal in Korea. In this context, first,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ase study method were presented, and the function of each method was closely examined. Then, using the meta analysis approach, 18 case studies which appeared in th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between 2005 and 2009 were evaluated based on the three criteria: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the logical process of research design,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showed that most of articles examined were exploratory and descriptive level research. Results also indicated many of the cases studies had lack of reliability and validity.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Korean tourism researchers need to design a case study after recognizing the various different types and roles of case study methods, particularly the role of discovery and confirmation of theory. Results also propose that precise diagnos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case study is need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design. 본 연구는 응용사회과학으로서 관광학연구의 현장성 부족, 행태주의에 치우진 기존 연구의 변화를 유도하고 관광학연구의 새로운 연구방법으로 사례연구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최근 관광학연구지에 게재된 사례연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어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례연구방법론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사례연구의 특성과 유형, 절차와 방법, 그리고 사례연구의 논리적 기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학연구와 관련된 사례연구를 관광학 사례연구의 특성과 유형, 체계성에 입각한 연구의 논리적 전개과정, 그리고 연구설계 측면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특성과 유형측면에서 관광학연구지에 게재된 사례연구는 특정 이론에 기반하기 보다는 무이론적, 해석적 사례연구의 특성이 강한 기술적, 탐색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논리적 전개과정 측면에서는 독특하거나 극단적인 사례의 선정보다는 일반적인 사례를 선정하는 경우가 많았고, 연구질문이 불분명하거나 명제 또는 가정, 그리고 가설설정과 관련해서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하는 논문은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방법의 선택배경을 분명히 밝히거나 다양한 자료수집을 통해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은 부족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타당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수집된 자료의 체계적 연계를 통한 구성타당성 확보가 부족하고, 단일사례에 집중함으로써 외적 타당성이 부족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광학연구의 새로운 논문쓰기의 방법으로 사례연구방법의 확대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례연구방법의 특성을 이해하고 연구특성에 입각해서 과학적 추론을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종합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고, 연구자는 사례연구의 객관성, 신뢰성 및 타당성 등 과학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설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관광학연구에서의 사례연구의 확대는 관광학 연구주제의 다양화와 연구내용의 심화, 그리고 연구의 현장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하리라 본다.

      • KCI등재

        연구자의 역할과 담론적 사례연구: 행정학자들의 사례연구 논문 검토를 중심으로

        윤견수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9 정부학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ase study paper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s. Reviewing the papers contributed to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types of case studi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ory-oriented, data-centered, and researcher-driven. Among the three types, the most frequently used classification was the theory-oriented case studies. Many studies emphasized theories first and data were used as only small examples to validate or invalidate those theories, such as the analytic procedure of hypothesis testing. Very few studies have conducted the inductive process of describing and categorizing data. Noteworthy is that there have been many forms of research that are not traditional case studies. It is a form of study in which data and theories on specific issues in a particular context are combined by researchers. The study named this type of research a discursive case study. The discursive case study uses logic of abduction rather than deductive or inductive logic. It also emphasizes the interpretive role of researchers who bridge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worlds. 이 연구는 한국 행정학자들이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해 완성한 논문들에 대한 리뷰논문이다. 최근 5년간의 한국행정학보에 기고된 사례연구논문들을 검토한 결과 사례연구의 유형을 크게 이론중심 사례연구, 자료중심 사례연구, 연구자 중심 사례연구로 나눌 수 있었다. 3가지 유형의 사례연구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이론 중심 사례연구였다. 상당수의 연구가 가설검증 연구처럼 이론을 먼저 제시하고 자료는 이론을 확인하거나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자료를 기술하거나 요약하면서 귀납의 과정을 거치는 연구는 극히 드물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전통적인 분류 방식으로는 사례연구에 속하지 않는 형태의 연구들이 꽤 있었다는 점이다. 그것은 특정 맥락 속에 존재하는 구체적 이슈에 대한 자료와 이론이 연구자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의 연구다. 이 연구는 이런 유형의 연구를 담론적 사례연구라고 이름을 붙였다. 담론적 사례연구는 연역이나 귀납보다는 귀추의 방법론을 사용하고, 법칙보다는 맥락화를 염두에 둔 연구자의 해석을 강조한다.

      • KCI등재

        미술치료를 활용하는 상담자의 사례개념화 기반 사례관리 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명우,박명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활용하는 상담자가 사례개념화 기반 사례관리 교육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전의 관련된 사례개념화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사례개념화 기반 사례관리 교육안을 구성하였고, 이 사례개념화 기반 사례관리 교육을 8회기에 걸쳐 연구 참여자에게 실행하였다. Stake(1995)의 질적 분석방법에 따라 연구 참여자에게 사례개념화 기반 사례관리 교육 참여경험을 심층면접하고, 수집한 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는 사례개념화 기반 사례관리 교육을 통해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지도를 받았다고 보고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경험의 범주는 11개로 밝혀졌다. 논의를 통해 다음 네 가지의 의미있는 주제가 다루어졌다. 1) 현재 상태에서 사례개념화 기술 부족의 자각, 2) 상담이론과 상담실무 연결의 학습 기회, 3) 학습한 사례개념화 기술을 상담현장에 적용하려는 실천적 의지, 4) 사례개념화를 심화하는 과정에서 접하는 수퍼비전 이슈를 즉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현장 수퍼비전 욕구.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상담실무자에게 도움이 되는 실제적 제언과 연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experience of a counselor using art therapy through case management training which was based on case conceptualization. After examining the body of literature already on the topics of case conceptualization, the case conceptualization-based case management training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the research participant through eight sessions. Stake‘s qualitative methodology was used to guide interviews with a counselor using art therapy about her experience through case conceptualization-based case management training and to analyze data colle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ase management training was helpful in treating her clients, and 11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following significant topics were discussed: (a) being aware of her own lack of skill for case conceptualization on current status, (b) opportunity to learn counseling theory -counseling practicum connection, (c) practical willingness to apply the learned skills to her counseling site, (d) need for on-site supervision that can solve problems immediately in the process of deepening the skill for case conceptualization. Finally, some practical tip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tioners from the above discussions were proposed.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연구 방법의 새로운 대안 모색

        배영민(Bae Yung 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2

        이 글은 교실의 수업 사례를 내러티브 방식으로 연구하는 질적 사례 연구의 한 형태인 내러티브 사례 연구에 관한 논의이다. 필자는 내러티브 사례 연구라는 논의의 틀 속에서 사회과 수업 연구 방법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려 한다. 첫째 장에서는 논의의 배경으로 질적 연구의 위기를 초래한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하여 간략히 살펴본 후, 사회과에서 수업연구 방법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이유를 언급한다. 둘째 장에서는 내러티브 사례 연구를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 전략들을 검토한다. 셋째 장에서는 교실 수업을 연구함에 있어서 내러티브가 본질적으로 중요한 여러 이유들을 논의한다. 넷째 장에서 내러티브 수업사례 연구의 의의와 관련하여 연구의 일반화 문제와 더불어 교실 수업의 개선 및 교사교육과의 관련성에 관하여 논의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새로운 질적 연구 방법으로써 내러티브 수업 사례 연구가 어떤 점에서 사회과 수업 연구 방법에 기여할 수 있는 지를 논의하고 아울러 필자의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인다. This paper discusses the narrative case study, which is a form of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ing into a case of classroom teaching narratively.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narrative case study, I seek an alternative inquiry approach to studying social studies teachers' classroom practice. In the first chapter, I address the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enter into discussion about research method for social studies classroom teaching. In the second chapter,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describe how postmodernism is related to the cri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e third chapter, I define the narrative case study and discuss related research strategies. In the fourth chapter, I discusses why it is essentially important to study classroom practice narratively. In the fifth chapter, I address the issue of generalization and teacher education. In the final chapter, I consider contributions of narrative case study to research metho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propose some suggestions.

      • KCI등재후보

        박사학위 취득 신진연구자의 질적 연구 경험

        박정애,김갑선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4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applying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to deeply explore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of a new researcher who has obtained a doctoral degre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xperience of qualitative research at the individual level, the condition of <the beginning of qualitative research> promotes the interaction among <deepening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knowledge>, <perform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earch tool>, and <refining the research to introduce to the world>. These actions and interactions led to the result that <they go out and enter the field as qualitative researchers>. Second, interactions with social conditions affecting individual experiences are analyzed through contextual/conditional matrix analysis. It was explained in wide range from the macro-concepts such as <the sports culture that tolerates violence> and <the transition from quantitative paradigm to qualitative paradigm in science> to the micro-concept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of the people around the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was the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 generated from the interaction of personal experiences and external social condi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experience of a young researcher who acquired a degree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factors, to gain a holistic understanding on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It is meaningful as it can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for researchers who are conducting or preparing qualitative research. 본 연구는 박사학위 논문을 질적 연구로 수행한 신진연구자의 연구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적용한 단일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차원의 질적 연구 경험에서, <질적 연구의 시작>이라는 조건은 <질적 연구지식의 이해가 깊어짐>, <연구도구로 질적 연구를 수행함>, <연구를 세상에 내기 위해 정련(精練)함> 이라는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작용·상호작용은 <질적 연구자로 현장에 섬>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개인경험에 작용하는 사회적 조건과의 상호작용에서, <폭력을 용인하는 체육문화>, <학문의 양적 패러다임에서 질적 패러다임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와 같은 거시적 개념에서부터, ‘주변 사람들의 긍정적, 부정적 반응’에 이르는 미시적개념까지 설명되었다. 셋째, 질적 연구 경험은 개인적 경험과 외부에서 작용하는 사회적 조건과 의 상호작용에 의한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신진연구자의 개인적 경험과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질적 연구 경험의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거나 준비하는 연구자들에게 질적 연구수행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마약중독에서 탈출한 회복자들의 자기 삶 재건에 대한 연구 : 질적 사례연구접근

        강선경(Sun Kyung Kang),문진영(Jin Young Moon),양동현(Dong Hyun Ya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1

        본 연구는 마약중독에서 탈출하여 회복의 길을 걷고 있는 회복자 5명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마약 중독자들의 회복과 그 내용에 대한 이해는 사회적·실천적 효용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들의 지극히 사적이고 민감한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질적연구 방법이 적합하다. 연구자들은 질적연구 방법 중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구성하였다. 자료는 Creswell(2007)이 제안한 사례 내 사례 간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개별적인 사례를 기술하고 그들의 경험과 중독, 탈중독 과정의 주요 문제점들을 파악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사례 내 분석을 토대로 마약중독 회복경험 전체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주제들을 결집하여 공통주제로 전환하였다. 5명의 개별사례에서 마약중독 회복과 관련하여 총 19개의 주제를 도출했고, 이를 공통성 차원에서 결집한 결과, 첫째, 현실감각의 회복, 둘째, 자기실존 양식 떠안기, 셋째,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기 재구성, 넷째, 자기애의 4가지 공통주제를 발굴했다. 연구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마약중독자의 회복과 재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차원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5 substance abusers recovered from drug addiction. It is useful socially and practically to understand about the rehabilitation and its process of recovering from drug addiction. Since this study deals with very private and sensitive issues,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is suit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 to one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by using analysis within/cross cases suggested by Creswell(2007). 5 individual cases were presented including substance addicts experiences and recovery process through within-cases analysis. Based on the within-cases analysis, common themes were presented through cross-cases analysis. Total 19 themes, related with recovery from substance addicts, were derived from the five individual cases, and 4 common themes were classified. These 4 common themes were first, recovery of sense of reality, second, taking self-existing pattern, third, self reconstruction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 fourth, self-love.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discussion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help persons claiming recovery from substance addicts for their recovery and rehabilitation.

      •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한 성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양혜원 總神大學校 2019 總神大論叢 Vol.39 No.-

        본 연구에서는 “1차·2차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수행한 실습생은 실습과정에서 어떠한 성장을 경험하는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1, 2차 실습을 마친 총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한 성장 경험을 과정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현장실습을 통해서 의미 있는 성장을 경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3명의 재학생을 본 연구의 사례로 선정하였고, 사례별 심층면접기록과 실습과정에서 생성된 문서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장실습을 통해 실습생이 다양한 차원에서 성장을 경험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그 성장의 구체적 내용 및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차원뿐 아니라 개인적 차원의 여러 측면에서도 성장을 경험하였으며 미래에 대한 소망을 품을 수 있었다. 체계적 실습 준비, 적극적·긍정적 배움의 자세, 실수와 실패를 통한 학습 경험 등이 이러한 성장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사례들은 두 차례의 실습을 거치면서 이러한 성장이 가속화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었다.

      • KCI등재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을 통한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Reconnection) : 질적 사례연구 중심으로

        주상락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is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ssinoal Public Church Type’ among four types of Missional Church in South Korea that I found in my former study. A study of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in South Korea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early 2000s. However, I am able to recognize a lack of qualitative study of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For this reason, I had visited twenty five models of missional church in 2018-2021, analyzed the models, and found four types of missional church(the Missional Village Communiy Type,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pye, The Missional Discipleship-Culture Type, and The Missional Alternative Community Type) by employing o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for carrying out reconne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 try to accept triangulation for increasing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research findings such as interviews, participant-observation, and library research. I select three models of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to follow up John W. Creswell’s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Especially,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within-case and across-case analytic methodologies are integrated. I fi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through within-case analysis. I am also able to get ten key words through across-case analysis: 1) common good, 2) the Kingdom of God, 3) the missional grassroot movement, 4) Considering locality(incarnational mission), 5) publicness, 6) social entrepreneurship, 7) village ministry, 8) lifestyle, 9) storytelling, and 10) Relationships with municipality. In order to reconnect with unchurched and dechurched people who live in their communities, ‘The Missional Public Church model’ is practicing communication, listening, publicness, and missional life by overcoming the attractional church mindset. 이 연구는 ‘한국형 선교적 교회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2000년대 초 한국교회에 ‘선교적 교회’라는 개념이 소개된 후 선교적 교회 담론은 최근까지 계속 발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형 선교적 교회 연구’가 부족한게 사실이다. 필자는 한국형 선교적 교회모델 특징들을 발견하기 위해 2018-2021년 (3년간) 25개의 모델들을 직접 방문하고 분석했고, 한국형 선교적 교회의 네 가지 유형으로 ‘선교적 마을공동체 유형’, ‘선교적 제자도-문화 유형’, ‘선교적 공공교회 유형’, 그리고 ‘선교적 대안공동체 유형’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이 선행 연구 중에서 ‘선교적 공공교회 유형 모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에 집중하였고,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을 위해 노력하는 모델들을 발견했다. 사례연구를 하면서 주관적 편견이 들어가지 않도록 인터뷰, 참여관찰, 그리고 문헌 검토와 같은 삼각측정법으로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다. 선행 연구에서 총 6개 교회(부천 새롬교회, 군산 행복한교회, 군포 갈릴리교회, 안산 밀알침례교회, 더불어숲동산교회, 보령밀알교회)의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들을 발견했으나, 존 크레스웰(John W. Creswell)의 제안을 수용하여 부천 새롬교회, 안산 밀알침례교회, 더불어숲동산교회 (총 3개)의 모델 연구에 집중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사례의 맥락을 보여주는 사례 내 분석(within- case analysis)과 사례들이 비슷하게 다루는 주제들을 분석하여 선교적 공공교회의 특징들을 발견하는 사례 간 분석(across-case analysis)을 동시에 수행했다. 필자는 세 가지 모델들의 ‘사례 내 분석’을 통해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의 특징을 발견했고 크레스웰이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 중 ‘사례 간 분석’을 적용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총 10개의 사례 간 통합주제들을 추출했다: 1) 공동선, 2) 하나님의 나라의 현재성, 3) 선교적 풀뿌리 운동, 4) 지역을 고려(성육신 선교), 5) 공공성, 6) 사회적 기업가 정신. 7) 마을 중심(목회), 8) 라이프 스타일, 9) 스토리 텔링, 그리고 10) 지자체와의 관계. 이 통합 주제들을 발견했고 질적 연구, 분석을 통해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이 세상과 소통, 경청, 그리고 재연결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