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생 대상 진로준비행동검사 개발 및 타당화

        박완성 한국교육방법학회 2003 교육방법연구 Vol.15 No.2

        이제까지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주제들은 대부분이 개인의 인지나 태도에 관련되는 사항이었고 반면에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서 수행해야 하는 행동이나 혹은 진로결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그 결정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행동 등을 포함하는 진로준비행동(career preparation behavior)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집중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준비기에 있는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개발하고 이 검사를 타당화하였다. 진로준비행동 문항을 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이나 진로에 관하여 하였던 행동이나 현재 하고 있는 행동 그리고 할 계획으로 있는 행동을 자유 응답하도록 하였는데 255명의 고등학생과 42명의 대학생을 합하여 총 29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 54문항을 도출하였고 이 중 43문항을 추출하여 진로준비행동을 요약 정리하고 전문가 평정을 거쳐 39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또, 진로준비행동 본검사 제작을 위해 모두 403명의 남?녀 고등학생을 다양하게 표집하였다. 진로준비행동 목록에서 해석 가능한 요인을 밝혀내고 이들 요인들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서 주축 요인법을 사용하였고 요인 스크리 검사를 참조하여 잠정적인 요인으로 4개를 추출하였고 요인을 산출한 결과 9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최적의 요인을 찾고 유의미하게 해석 가능한 요인패턴을 찾기 위해 회전을 실시하였는데, 배리맥스 회전법을 사용하여 요인 부하량이 0.3이상인 문항을 추출하여 4개의 요인과 22문항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4개의 요인은 ‘정보수집활동(10문항)’, ‘직업 학과 결정활동(5문항)’, ‘직업체험활동(5문항)’, ‘취업준비활동(2문항)’으로 명명하였다. 고등학교 진로상담에 있어서 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로준비행동검사를 실시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탐색해 보고 정보를 수집하며 직업체험을 해보며 직업에 대한 준비를 하는 진로준비행동이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겠다. In the carer guidance and the career counseling, there was focused on the cognition and the attitude, not focused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validate the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Korean high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55 highschool students and 42 college students. They list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they have done, which they doing and will be done about the occupation and the career. In this process 54 items were driven. And career preparation scale which was composed of 39 items was made. In the second steps, total 403 highschool students have been participa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was composed of the 4 variables and 22 items. ① Collecting job information behavior(10 items), ② Occupation?major decision behavior(5 items), ③ Job experience behavior(5 items), ④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2 items), and it's item inter consist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0.89.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which is composed of exploring career paths, collecting job information, doing job experiences, doing employment preparation is to executed systematically for helping the high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성격유형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운,윤명희,서희정,박성실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BTI type and career decision type of female college stud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problems of this study were first, were there differe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MBTI type of female college student? Second, were there differe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career decision type of female college student? And third, how far can the MBTI type and career decision type of female college stud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312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Kim & Sim's questionnaire(1990) on personality type, Go's questionnaire(1992) on career decision type and Kim's questionnaire(1997)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re used.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Chi-square analysis,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 (1) Female college student of E type rather than I type, female college student of J type rather than P type are high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so, in gener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 was insuffici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econd-year grade was poor. (2) It showed a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rational style was highest level and in regular sequence intuitive style, dependent style. (3) Among the 4 preference indexes of MBTI E-I index and among the career decision rational style was found positive influence a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sequently It meants that the differentiative career guide program need on Female college student.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성격유형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여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여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여학생의 성격유형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여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김정택․심혜숙(1990a)의 MBTI GS형과 Harren(1984)이 개발한 진로결정척도를 고향자(1992)가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김봉환(1997)이 개발한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본 연구에 적합한 문항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검정, t-test, F-test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향형(I)보다는 외향형(E)의 여학생이, 인식형(P)의 학생들보다는 판단형(J)의 학생들이 진로준비행동의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전반적으로 여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미약하였으며, 특히 2학년의 진로준비행동이 다른 학년에 비해 저조하였다. 둘째, 합리적 유형의 진로준비행동이 가장 높았으며,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의 순으로 진로준비행동 점수가 나타났다. 셋째, MBTI 선호지표 중 E-I 선호지표와 진로의사결정유형 중 합리적 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여학생의 성격유형 및 진로의사결정을 고려한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의 적절한 개입은 진로준비행동에 의미 있는 효과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진로관련 준비활동에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학년에 따른 차별화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용준(Kim, Yong-j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21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취업준비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취업준비를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효율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을 두고, C시의 M대학과 C대학의 졸업예정 학생인 2학년과 3학년과 1학년 중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요약과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정서적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1단계에서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 2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종속변수인 진로준비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면서 2단계보다 감소하였고,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취업상담시 사회적 지지체계를 충분히 개발해 주어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 프로그램 개발 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ith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among the second, third, and first year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graduate from University M and University C in C city. A summary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ffe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 parameter in the first stage, which met the mediating condition, and in the results of the second-stage parameter analysis,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met the mediating condition. In the results of the third-stage parameter analysi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significant and decreased compared to stage 2, and the paramet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showing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cial support system during employment counseling to support career prepar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help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increas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en developing career program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성식,박인숙 한국취업진로학회 2024 취업진로연구 Vol.14 No.1

        본 연구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간호대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 기 위한 서술적 조사·양적연구이다. 본 연구방법은 G도 J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23년 12월 4일부터 8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진 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 효 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단순·다중 회귀분석(Simple·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가 나타나는 지를 검정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진로준비행동 이 높아질수록 취업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질수록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증가하였다. 셋째, 간호대학 생의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취업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 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해서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비 해서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간호대학생의 진 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학문적으로 졸업반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및 선택과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을 고 려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실무적으로 실무적 취업을 준비하는 졸업학년을 대상으로 취업준비에 적용을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함양을 위한 실천적 지원 방안 및 실제적인 스트레스 상황을 고려한 대처전략이 필요하고, 양적 및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job search stres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s well as to explo re the impa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job search stress. This descriptive and quant itativ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en nu 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fluence job search stres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administered to 250 graduating nursing studen 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J province, from December 4th to 8th, 2023. Data analy 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software.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 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job search stres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urthermore,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 cacy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higher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 rs among nursing students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job search stress. Secondly, incre as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 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Thirdly,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 y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job search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Fourthly, in infl uencing job search stres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ppeared to have a greater impact co mpar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ifthly, wh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fluenced job search stres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is relations hip.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intervention programs addressing st ress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and decision-making among graduating nursing students. It suggests the need for strategic interventions targe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alleviate job search stress. Practic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t ailored to real-life stressors are essential. Additionally, the study recommends both quantitati 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area.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박지연(jiyeon Park),조경덕(Kyungduk C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성남 등 수도권 지역에서 통학하는 학생과 각 지방출신의 기숙사 거주학생 334명의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공만족도는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준비행동의 탐색행동과 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기능적 진로사고는 진로준비행동의 탐색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탐색행동과 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탐색행동으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즉, 전공만족도는 진로에 대한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영향을 미치고 역기능적 진로사고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에서의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334 junior college students commuting to from Seoul, Gyeonggi, Incheon, and Seongnam metropolitan areas and dormitory residents from each province were surveyed using the scale of major satisfacti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nd career prepar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1.0 and the AMOS 21.0 program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First, the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search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preparatory behaviors. On the other hand,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arch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ut it had a direct effect on the preparatory behavior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search behaviors of career reparation behavior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the prepared behaviors of career reparation behavior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major satisfaction had an influence 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bout career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areer cou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

        박완성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gure out the elements that impac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analyze developmental aspects abou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rom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o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e material for this research was that panel information of KYPS(Korean Youth Panel Survey), about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ir 3 years. There were 3,449 students in my analysis and the method of statistics were the logit-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ch they show very different and unique aspects; especially seventh preparation behavior about the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areer related lecture, the students who have more study pressure and more high grades did higher performance than others throughout their 3 years, in addition, in career aptitude test, the students who have more career maturity, more study pressure and more high grades do higher performance throughout their 3 years. Only study pressure had an impact in career counseling and the student who have lower academic achievement did more career counseling in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more career maturity, more study pressure are more likely to d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reading activity about career-related books and magazines. Second, in this research that most secondary students try out the perform activities related to career aptitude test in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perform activities related to career aptitude test are the most actively implemented than other preparation behavior field. The rat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areer training was analyzed 6.5%, so that was the most poorly and the chart show that below 8.1% of students di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self-career experience programs. There are lowest rate(9.5%) in career-related lectures or classes, while there are the highest rate(33.2%) in third grade of middle school's small group activities related to career. thus method of career education moves depending on grade from lectures or classes to small group activities. Therefore, we have to operate programs which have many concerning for each grade's psychological variables, in order to increase secondary school student's behavior for career preparations and it has to be done for career education that includes variou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탐색하고, 중학교 2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 발달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한 연구 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학교 2학년 패널에 대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패널자료이다. 분석에 포함된 연구대상은 3,449명이며, 사용된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에 이어 로짓회귀분석, 상관분석 등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하여 7가지 준비행동의 있어서 각각 다르고 독특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진로관련 강의나 수업에 있어서 3개년 모두 공부압력,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그 수행을 많이 하며, 진로관련 적성검사활동은 3개년 모두 진로성숙도, 공부압력,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수행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관련 상담에 있어서 3개년 모두 공부압력 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고, 중학교 3학년에서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진로상담을 더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진로관련 책/ 잡지 열독에서 3개년 모두 진로성숙도, 공부압력이 높을수록 그러한 진로준비행동을 할 확률이 높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 발달양상은 7가지 준비행동 중에서 진로관련 적성검사 수행활동이 가장 많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진로준비활동에서 적성검사 수행활동이 다른 영역의 준비행동보다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직업훈련에서 진로준비행동 참여율은 6.5% 이하로 7가지 준비행동 중에서 가장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업생활 직접체험 프로그램 수행은 8.1% 이하로 낮은 진로준비행동을 나타내고 있다. 진로관련 강연이나 수업은 중학교 3학년 때 가장 낮은 수행(9.5%)을 보이고 있으며 진로관련 소집단 활동은 중학교 3학년 때 가장 높은 수행(33.2%)을 보이고 있어 진로교육의 방법이 학년에 따라 강연이나 수업에서 소집단 활동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차후 중·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년별로 심리적 변인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하며 더욱 다양한 진로준비행동을 하도록 하는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진희,김봉환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emale college stud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problems of this study were first, how far can the psychological sepa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 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how far can the career identity of female college student 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how far ca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emale college student 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th, how do psychological separation factor,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actor of female college student have rela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using instruments to measu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sychological separati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385 students at two women's university in Seoul. As for statistical method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Father- emotional independ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 prove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father-emotional independence level is lower, it confirmed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rises. Second, the career identity of female college student prove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areer identity level is higher, it confirmed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rises. Third, Information gathering-efficacy, career planing-efficacy and problem solving-efficacy of female college student prove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formation gathering-efficacy, career planing-efficacy and problem solving-efficacy level is higher, it confirmed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rises.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actor,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actor of female college stud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the information gathering-efficacy have a higher effect with the father-emotional independence and career identity.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여대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2개 여자대학 385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 정도를 측정하고, SPSS 12.0을 사용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의 하위 변인 중 부-정서적 독립이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예측하였다. 부-정서적 독립 수준이 낮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여대생의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예측하였는데 진로정체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 중 정보수집-효능감, 진로계획-효능감, 문제해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예측하였다. 정보수집-효능감, 진로계획-효능감, 문제해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보수집-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 변량의 16.4%를 설명하였고, 부-정서적 독립이 결합되면서 19.6%, 진로정체감이 결합되면서 22.2%, 모-갈등적 독립이 결합되면서 25.1%, 문제해결-효능감이 결합되면서 최종적으로 진로준비행동 변량에 대해 26.3%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정보수집-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박신영,이동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1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CPB)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CDL)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SAC) in multiple domains. Th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rvey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5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one of four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SAC was measured in four domains including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of CDL and CPB,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DL and four SAC domains. Correlations between CPB and SAC domains, except for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were also positiv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P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DL and SACQ were significant in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whil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academic adjustment was significant only if CDL was very high or low (not moderat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college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when CDL was very high.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DL, but not CPB,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on social adjustment. Finally, CDL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and CPB had a unique negative effect on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consistent positive effects of CDL on SAC domains, the nature of effects of CPB can vary across different CDLs and SAC domain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in detail.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과 다양한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역할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4 영역)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진로발달의 이차원적 개념화에 기초하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그리고 진로결정수준과 모든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도 개인·정서적응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는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 영역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학업적응이 뚜렷하게 높아지는 반면, 진로결정수준이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대학환경적응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진로결정수준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대학환경적응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동시에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진로결정수준만이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인·정서적응에 진로준비행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진로결정수준의 전반적인 긍정적 효과와는 달리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그 크기와 방향에 있어서 개인의 진로결정수준과 구체적인 적응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인식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백사인,김경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지각에 따른 진로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취업장애 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 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즉 취업장애 지각이 높으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이 낮으며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5개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 요인만 유의미하게 정적영향을 미쳤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학 졸업반 학생의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서 목표설정(β=.322)만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으 로, 취업장애 지각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 변인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두 번째 회귀식에서 취업장애의 영향력(β=-.24)보다 세 번째 회귀식에서 취업장애의 영향력(β=.01)이 줄어들고 유의미하지 않는다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 다. 따라서 취업장애의 영향력이 β=-.24에서 β=.01로 줄어들었고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취업장애와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목표설정이라는 차원은 자신의 장기적인 미래설계와 관련되는데, 특히 취업준 비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 성공적인 역할모델, 장기적인 자신의 미래 계획과 관련하여 도움을 줄 수 있다면 노동시장의 불안에도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일 수 있 을 것이다. 또한, 취업준비생이 인식하는 취업장애가 높을지라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진로준 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취업준비생의 취업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능동적이며 유연한 취업행 동을 돕기 위한 취업상담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배경 속에서 대학생들에 대한 검증작업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대학 졸업반 학생 및 취업준비 생에 적합하게 개발할 필요와 취업과 진로의 차이점을 고려한 현실적인 척도개발이 요구된다.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의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보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effective 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eniors and provide 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ling and career counselling programs to career search and career decision. So among influencing variables of role performance and tasks that only University seniors ha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 chose employment barrie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variables and confirmed tasks of this study as following sentences. Here are the results of study: First, the perceived employment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enior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r perceived employment barrier is, the lowe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Second,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enior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only creating goals among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meaningful influences. Th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the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Third, we confirmed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employment barrier percep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barrier perception has meaningful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mediat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Unless they perceive employment barrier higher, if they hav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turned out to b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효과분석

        윤준현(Yoon, JunHyun),최지영(Choi, Jiyou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2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둘째, 진로장벽의 하위요인별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진로장벽은 성별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전 소재 4년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24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 및 AMOS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학생들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떨어지고 이러한 요인들이 진로준비행동을 낮추게 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은 학생들은 진로준비행동을 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로장벽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성숙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끼치는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은 자기명확성 부족과 직업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 여학생은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직업에 대해 흥미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 진로준비행동을 덜하게 된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에게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을 하는데 항상 방해요인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며 대학생의 진로상담에 있어서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남녀에 따라 진로장벽요인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d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a mediating effec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each sub-factor of the career barrier?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en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college students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Korea and 224 data were collected and verified by SPSS and AMO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tudent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as high have a low degree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maturity, and these factors lower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students with hi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found to be good at career prepar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recogni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career attitude maturity differed by gender. When male students feel lack of self-determination and a lack of job information, female college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or a lack of interest in the job, they engage in less career prepara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grea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male students. This means that career barriers do not always act as a hindrance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uring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areer barrier factors individually for male and fem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