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사회적지지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김남경,정진철,장창용,이근춘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9 직업과 자격 연구 Vol.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사회적지지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들이다. 이에 전국을 네 개의 권역, 16개 지역으로 나누고, 도시와 농촌의 비율을 고려한 군집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12개 초등학교로부터 자료수집을 거쳐 실제 분석에 사용된 유효자료는 640부이다. 이 연구에서 상정하는 연구문제는 첫째, 지지원별에 따른 사회적지지와 직업가치관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직업가치관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사회적지지와 부모의 양육태도가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향관계가 검증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적지지와 직업가치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지원별 사회적지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내적 직업가치관에는 친구, 교사, 부모 중에 친구지지의 영향만이 유의하였으며, 외적 직업가치관에는 부모지지의 정적 영향만이 유의하였다. 다음,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직업가치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직업가치관에 대한 애정성의 정적 영향 및 자율성의 부적 영향은 유의하였다. 반면, 외적 직업가치관에 대한 성취성의 정적 영향 및 애정성의 부적 영향은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내적 직업가치관과 관련하여서는 친구들의 적절한 조력이 필요하고, 외적 직업가치관과 관련하여서는 부모의 바람직한 성취압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arental attitude, and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5th-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12 elementary schools in the urban and rural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parental attitude on work value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social support by supporters, only the effect of friend support was significant on intrinsic work values. On the other hand, only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was significant on extrinsic work value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work valu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ositive influence of affection on intrinsic work values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negative effect of autonomy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 of achievement on extrinsic work values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we found that friend support is a major variable affecting students' intrinsic work values. On the other hand, parent support was found to be a major variable influencing students' extrinsic work valu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per support of friends is needed in relation to intrinsic work values, and that parents' appropriate achievement pressures are important in relation to extrinsic work values.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김경아(Kyounga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1, 2, 3학년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유효한 264명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활용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직업가치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업가치관은 고려하지 않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 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에 따른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함께 투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가치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직업가치관은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가치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검증한 결과에서 내재적 직업가치관(적성, 성취감, 능력)은 내재적 동기(적성, 흥미, 재능, 미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진로탐색 활동을 향상시킴으로써 구체적인 진로결정과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충족 될 때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으로 더 많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은 학생들의 개인특성 및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교육과 지원의 방향을 다각화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대학교 저학년 시기부터 학생들의 능동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하여 직업가치관을 확립하고 진로 확신을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37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university, of which 26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maj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cuupational values. Second, the total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without considering ocuupational value, and as a resul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ocuupational value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by inputting both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job value did not.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bootstrap verifica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t was found that ocuupational value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factors of job value, it was foun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ttitude, achievement, ability) mediates the influence of intrinsic motivation (attitude, interest, talent, and futur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can make specific career decisions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actions by improving career 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re satisfied,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leads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Therefore, people in charge of the university field need to diversify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ocuupational value and increase career confidence for students'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rom the lower grades of university.

      • KCI등재

        아동의 내적ㆍ외적 직업 가치관 결정요인 탐색: 성, 성취동기,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어윤경(Au, Yun-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敎育問題硏究 Vol.0 No.32

        직업 가치관은 아동기에 형성되어 미래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학령기 초기부터 세심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문헌연구에서 지금까지 직업 가치관과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어온 변인 중 하나가 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주로 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나 현재는 차이가 없는 추세라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진로성숙도와 성취동기도 아동의 직업 가치관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내적 직업 가치관 혹은 외적 직업 가치관 을 소유하는 결정요인으로 성, 성취동기, 진로성숙 수준을 고려하였다. 우선 전국적으로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학생 1,000명을 표집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 가치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실제로 내적ㆍ외적 직업가치관 집단에 속하는 424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내적ㆍ외적 직업 가치관 집단으로 구분하는 결정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의미한 결정 요인은 진로성숙도와 성취동기였으며, 진로성숙도와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아동일수록 내적인 직업 가치관을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진로교육을 통해 아동이 바람직한 직업 가치관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찾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to dec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about sex, career maturity, achievement motivation. In this study, utilized objects of the study was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1,000 students in the age range of 12 and 13. Acturally 424 students had intrinsic or extrinsic work values. The findimg from the current study reported that the factor to dec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was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Conclusio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early childhood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for children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가치관 변화추이와 부모애착의 시간효과 검증

        신혜진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학년 변화에 따른 청소년 직업가치관의 변화궤적을 탐색하고, 직업가치관의 변화추이에 부모애착이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중2부터 고3까지 5년간 반복 추적 조사한 3,499명의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부모애착의 시간 효과를 투입하지 않은 단순 선형모형에서 외적 직업가치관은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내적 직업가치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을 통제한 동시 및 지연효과 모형에서 외적 직업가치관은 변화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고 내적 직업가치관은 증가율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의 동시효과는 외적, 내적 직업가치관 모두에서 중2부터 고3까지 일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연효과는 외적, 내적 직업가치관 모두에서 고1시점까지만 유의하게 나타나고 고2와 고3 시점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부모와의 애착이 외적, 내적 직업가치관의 변화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동일시점에서의 부모애착이 청소년 시기 전반에 걸쳐 직업가치관의 명료화를 뒷받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on the change of work value during adolescence. Using 5-year longitudinal data from Korean Youth Panel Study (KYPS), the current study tracked changes of both the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in 3,499 nationally representative adolescents throughout their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Latent Growth Modeling (LGM) was used to evaluate potential 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work value. In the linear growth model, adolescents' extrinsic work value gradually decreased but intrinsic work value increased across participants' school grades. Controlling parental attachment positively affected the changing rates of intrinsic work value, but not in the case of extrinsic work value. Current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lasted for five years both in the chang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In contrast, lagged effects disappeared after participants reached their senior year of high school.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changing trajectory of Korean adolescents' work value,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parental attachment and the desirabl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work value.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 ( Joo Kim ),김명숙 ( Myoung Suk Kim ),송민경 ( Min Kyoung Song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직업가치관의 명료화는 발달과업 중의 하나임을 전제로, 청소년기의 진로발달 패턴을 이해하기 위하여 진로성숙도를 함께 고려한 연구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년패널조사 2012 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직업가치관의 순위 변화와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2012년부터 2017년 동안 평균적으로 직업가치관의 순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 중 하위의 세 집단으로 나뉘며, 각 집단 간의 직업가치관 구성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가치관은 진로성숙도 계획성과 독립성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진로성숙도 전체에는 직업가치관 상위집단에 속한 직업가치관(성취, 경제적 보상, 직업안정, 지적추구)은 정적관계를 보인 반면, 하위집단에 속한 직업가치관(개인지향, 신체활동)은 오히려 부적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모든 직업가치관의 상승이 진로성숙도 향상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님이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research model that considered work values and career maturity together to understand career development patterns in adolescence, while assuming that the clarification of work values in adolescence might be one of the development tasks. To this end, the 2012-2017 Youth Panel Survey was used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ranking of work values and examine the effects of work values on career maturity. We used the SPSS 21.0 program to appl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on average, the ranking of work values between 2012 and 2017 was divided into thre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s, and the composition of work values among the groups remained unchanged. In addition, work values had different effects on career maturity planning and independence. With career maturity (as a whole), the upper group (such as achievement, economic compensation, job security, and intellectual pursuit)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hereas, the lower group (individual orientation, physical activity) had the negative relationshi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e in all work values might not all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maturity.

      • KCI등재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신세인,이준기,하민수,이태경,정영희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2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 play a core role in formation of their career motivation. In particular, science gifted students should build sound values of career in science and technology so that our society can retain the human resources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job and values of career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ically, we first collected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careers and the reasons of the career choice using survey method. Then, we structuralize semantic network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their preferred career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identified the characters of networks that two different student groups showed based on the structure matrix indic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creativeness a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career. Secon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more diverse values of career than general students. Thir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self-realization such as displaying capability as a core value of career in STEM and medical science whereas general students considered the community service as a core value of the careers.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s. The structure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s can be used for teachers to counsel their students about students’ future careers. 직업가치관은 학생들의 직업동기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지속가능한 미래 과학기술인력 공급과 육성을 위해서 과학영재들의 이공계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형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자신의 희망 직업과 관련된 직업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과 그 직업을 선택한 이유에 해당하는 직업가치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한 후,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산출된 네트워크의 구조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학생들은 창의성을 가장 중요한 직업가치관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직업선택 과정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다양한 직업가치관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영재들은 이공계열과 의약계열 직업 모두에 대해서 능력발휘와 같은 자아실현 관점을 중심으로 직업가치관을 고려했으나, 일반학생들은 사회봉사를 가장 큰 직업가치관 요소로 보고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희망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구조가 일반학생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과학영재학생들의 진로․직업을 지도하는데 있어 직업가치관과 관련된 네트워크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Q 방법론을 활용한 육군 조기 전역 장교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조선웅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7 한국군사학논집 Vol.73 No.2

        This study analyzes work values of army officers from Korea Military Academy as many of them are getting early discharges now days. The work value is an individual's attitude and belief structure towards occupation and influences people significantly when they are changing jobs. The following are the hypotheses referr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First, the officers who are discharged early have work values that are more suitable to occupational model then institutional model. Second, army officers who get discharged early have work values that attach great importance to extrinsic values than intrinsic values. Due to the lack of related studies, the study utilized Q methodology, which is often used in exploratory research. 34 Q statements were used and 29 respon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ere are 4 types of work values. The first category is the "pursuit of social achievement type." The respondents were showing an interest in attaining social position, influence and admiration. However, they did not agree to statements related to economic factors. The second category is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and stability type." The statements that the respondents agreed to were related to professionalism in specific work, achievement through task and stable living. On the other hand, the respondents did not agree to statements related to economic factors and gaining social influence through occupation. The third category is the "self-directed type." The statements that the respondents concurred to were pertaining to achievement through work, practical tasks and discretionary power. Instead, the respondents contended with statements containing continuous service in one workplace and economic factors. The fourth category is the "seeking reward type." Respondents complied to statements concerned with fairness in performance review, adequate compensation and chances of promotion. On the contrary, they dissented to statements related to working outside office hours. The result rejects all the hypotheses that were set for this study. Which means, every responders' work value is rather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subjects. Thus, conventional phenomenons like the current military's trend of turning into a occupational model, and the increase of the importance of extrinsic value cannot explain the results of responders' occupational value. Even though there is a limit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insufficient amount of analysis on officers who are currently in active service to compare, the research has a slight meaning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a future research by categorizing officers who are early discharged from the service with the Q methodology. 본 연구는 육사 출신 장교의 조기 전역이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이들의 직업가치관을 분석하고 있다. 직업가치관은 개인이 직업에 대해 가지는 태도 및 신념체계로서, 직업의 선택, 만족, 이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 조기 전역 장교의 직업가치관은 제도적 군대보다 직업적 군대에 적합한 유형이 도출될 것이다. 둘째, 육군 조기 전역 장교의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보다 외재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유형이 도출될 것이다. 관련연구가 부족한 것을 감안하여 탐색적인 연구에 주로 쓰이는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4개의 Q 진술문과 29명의 연구 대상자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은 4가지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사회적 성취 추구형’이다. 응답자들은 직업을 통해 사회적 지위, 영향력, 존경을 받는 것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에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진술문 등에는 동의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은 ‘전문성 및 안정성 추구형’이다. 응답자들이 동의하는 진술문은 특정 업무에 대한 전문성, 업무를 통한 성취, 그리고 안정적인 삶과 관련된 것이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은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것과, 직업을 통해서 사회적 영향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은 ‘자기 주도형’이다. 응답자들이 동의하는 진술문은 업무를 통한 성취감, 실용적인 업무, 자유재량권 등과 관련된 내용이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은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는 것,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네 번째 유형은 ‘보상 추구형’이다. 응답자들이 동의하는 진술문은 업무 평가의 공정성, 적절한 보상, 승진 기회 등과 관련된 내용이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은 업무 시간 이외에 근무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모두 기각한다. 즉, 응답자들의 직업가치관이 일반적인 다른 대상과의 직업가치관과 다소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직업적 군대로의 변화, 그리고 외재적 가치의 중요성 증가라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응답자들의 직업가치관을 설명할 수 없다. 현재 복무중인 장교에 대해 분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의 준거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기 전역 장교의 직업 가치관을 Q 방법론을 통해 유형화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작은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전공 일치도와 전공적응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조명희,차윤미,이현우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맞춤형 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직업가치관-전공 일치도와 전공적응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업가치관-전공 일치도와 전공적응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전공적응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4년제 A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06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직업가치관-전공 일치도, 전공적응도, 학업성취도 간의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직업가치관-전공 일치도가 높을수록 전공적응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직업가치관-전공 일치도, 전공적응도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전공 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적응도는 직업가치관-전공 일치도와 학업성취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 ‘전공적응도’ 측정을 위한 간섭 없이 직업가치관-전공 일치도만으로도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방사선과 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김학성(Hark-Sung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과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전국에 소재한 7개 대학 방사선과 학생 79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직업가치관 유형을 추출하고, 직업가치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변인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방사선과 학생들의 외재적 직업가치관(지위, 경제적보상)은 내재적 직업가치관(사회기여, 성취, 능력, 직업흥미)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방사선과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가치관 유형은 경제적 보상, 지위, 성취, 능력, 직업흥미, 사회기여 순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types of work values of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and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from 7 colleges randomly chosen in the whole country. data collected from 791 subjects were used. Types of work valu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nd t-test between variables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Maryland Work Value Inventory(MWVI) designed by Meitus, R.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types of work values of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can b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social contribution, achievement, capability, work interest, social status, economic reward. 2. Social contribution, achievement, capablity and work interest were classified as ‘internal work values’, while social status and economic reward as ‘external work values’. 3. Work values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were economic reward, social status, achievement, capablity, work interest, social contribution in order. 4. External work values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got higher grade than internal work value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일희망과 구직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현숙(Hun-Suk Lee)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일희망과 구직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J도 소재 대학생 대상으로 하여 수집된 181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가치관과 일희망, 직업가치관과 구직효능감, 직업가치관과 진로준비행동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직업가치관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업가치관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가치관, 일희망, 구직효능감을 독립변수로, 진로준비행동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준비행동에 구직효능감, 일희망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MOS를 이용한 경로 분석 결과 직업가치관은 일희망과 구직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직업가치관, 일희망, 구직효능감 각각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계획과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job valu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edium of work hope and job seeking efficacy, and 181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students in province J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job value and work hope, and job value and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valu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respectively, and job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higher job value, the hig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job value, work hope and job seeking efficacy be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ing the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and the result showed that job seeking efficacy and work hope influenc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at order, and the path analysis using AMOS found that job value influenc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work hope and job seeking efficacy being the mediator variables. Accordingly, to increase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ill be necessary to plan and find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job value, work hope and job seeking efficacy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