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들의 창업체험활동 참여도 및 만족도, 기업가정신, 진로계획성 간 연관성에 대한 연구

        한가록,장유진,이재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창업체험활동 만족도 및 참여도, 기업가정신, 진로계획성 간의 연관성을 부모와의 대화빈도 및 능동적 학습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에서 획득한 중・고등학생 35,950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창업체험활동 참여도와 만족도는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은 진로계획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의 대화빈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와의 대화빈도는 기업가정신과 진로계획성 간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능동적 학습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능동적 학습태도는 기업가정신과 진로계획성 간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체험활동의 참여도 및 만족도가 기업가정신의 함양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진로계획성 간 연관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기 때문에 기업가정신 연구과 진로계획 연구 간 융합연구의 토대와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이 진로계획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부모와의 대화빈도 및 능동적 학습태도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는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experiences, entrepreneurship, and career planning for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e learning attitude and conversation frequency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35,9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quired in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youth s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you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areer planning.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e learning attitude, it was found that active learning attitude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planning in a positive (+) direction.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nversation frequency with the parents, it was found that the conversation frequency with the parents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planning in a positive (+) direction. This study can present meaningful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entrepreneurship experience can be an important preceding factor in cultivating entrepreneurship. Since this study has empiricall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planning, it can provide meaningful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can provide the basis and primitive for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career planning research. Finally, in this study,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in that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career planning can be reinforced by active learning attitudes and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s with parents.

      • KCI등재후보

        예비창업자의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진,김종성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0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4 No.1

        최근 실업 문제로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고, 전(全) 세계적으로 창업은 일자리 창출의 해결방안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활발한 창업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창업을 활성화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는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역량과 창업의지를 증진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 191명을 대상으로 창업역량(자기효능감, 창업효능감, 기회인식, 창업준비)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업가정신이 창업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분석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창업자의 자기효능감, 창업효능감, 창업준비 역량이 높아질수록 창업의지는 높아졌다. 둘째, 예비창업자의 창업역량은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교육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Employment cre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terms of employment from a national point of view, and it has emphasized start-ups worldwide as a solution to job creation. As a result, the government has created and implemented vigorous start-up policies as a means of recruiting youth unemployment and creating jobs. An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start-up is to revitalize its abilities and intention through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apability (self-efficacy, entrepreneurship efficacy, opportunity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start-up) on 191 prospective entrepreneurs. In addition, we verified that entrepreneurship plays a parameter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ain study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entrepreneurship efficacy and preparation for starting-u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the entrepreneurial capability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It is expected to introduce academically important implications by introducing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by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 KCI등재후보

        청년의 창업교육 참여가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유현경,남정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2

        청년을 대상으로 한 창업 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창업 교육이 자기효능감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가 창업교육과 기업가정신을 각각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창업 교육을 통해 기업가정신이 만들어지는 경로에서 창업 교육의 유형(정규교과 및 비교과 창업교육프로그램) 및 참여 횟수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와 기업가정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창업 교육의 참여는 기업가정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은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업도전감은 창업 교육 참여 횟수와 기업가정신을 매개한다. 정규교과창업교육과 비교과창업프로그램 횟수의 증가에 따라 기업가정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비교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은 기업가정신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창업 교육의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와 개인의 교육 참여 계획을 통해 창업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By analyz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self-efficacy on young people under 39, we studied how entrepreneurship affects self-efficacy and how components of self-efficacy mediates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respectively. The types of start-up education were divided into regular lectures, comparisons, and start-up programs to study whether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significantly increase with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affected entrepreneurship,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task challenge preference, self-regulation effectiveness, and task preference. In addition, the sense of self-regulation and task challenge mediates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gular curriculum start-up education and comparison and start-up programs ha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entrepreneurship, confidence, self-regulation, and task advancement. Especially comparison and start-up programs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tart-up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of curriculum which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start-up education and individual education participation plans.

      • KCI등재후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특성과 차이점에 관한 연구 : 대학평가순위 그룹별 비교를 통한 특성분석

        김성일,이우진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0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2012년도부터 2016년도까지 운영하였던「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에서 대학 내 창업교육을 총괄하기 위해 각 대학에 설치된 전담조직인 창업교육센터의 특성을 분석하고, 2017년에 새롭게 지정된 LINC+ 사업(2017년∼2021년) 창업교육 분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창업교육이 창업생태계 구성요소 중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창업교육센터 운영 관련 연구는 창업연구분야에서 간과되어 왔다. 창업교육이 대학뿐만 아니라 중고등학교 학생 대상으로 확장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 중심 창업교육센터의 바람직한 운영에 관한 연구는 실무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창업교육센터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에 대한 선행 문헌연구, 대학정보공시 DB 분석,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대한 구조적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를 분석하여 활성화된 대학 그룹과 비활성화 대학 그룹의 특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교육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 교직원, 연구자, 공무원, 학생 및 창업지원 기관의 이해 관계자에게 대학 창업교육 관련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which are organizations, established at universities in 2012 to take full charge of and suppor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LINC) Fostering Project(2012 to 2016)」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o extract differences between activated groups and nonactivated groups. This study is also focused on suggesting political implication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the new LINC+ project(2017 to 2021), designated in 2017. This study targets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while the preceding studies have suggested implications by integrating and comparing the findings, based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oriented analyses. For achiev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university groups and nonactivated university group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analyzed by examining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domes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analyzing database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vestigating the present state, revealed in the developed 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 management.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 would provide information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mplications to university faculty, researchers, public officials, students, and the persons involved of entrepreneurship support institut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 KCI등재후보

        지역연계형 창업교육 활성화 모델 연구 : 전문대학 창업교육 요구도 및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김용태(Yong-tae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4

        최근 국내 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 및 신기술 발전에 따른 청년 일자리 변화 등에 대비하여 교육 및 연구 역량 강화 노력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대한 경쟁력 강화 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갈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전문대학 재학생 및 교원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 실태조사 및 요구도 분석을 통해 지역 사회와 연계하는 전문대학의 창업교육 활성화 모델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136개 대학의 창업교육 정보공시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총 1,939명의 전문대학 재학생과 100명의 전문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창업친화적학사제도 및 창업교육전담조직, 창업교과 및 비교과, 학생창업 지원 등이 갈수록 축소되고 있어 대책이 요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전문대학 내부적으로 지속적인 창업교육과 지원 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며, 4년제 대학과 다른 특성을 반영한 창업친화적학사제도 등 새로운 규정, 제도 마련 등을 위한 고민과 추진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전문대학과 지역 연계를 통해 지역 생계계의 혁신 주체와 적극적인 연계 및 협력을 통해 부족한 역량 지원 및 보완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전문대학간의 연계 및 상호 협력을 도모하며, 공동 창업교육 콘텐츠 개발, 전문가 육성 등 추진이 요구되며, 전문대학 학제와 특성을 반영하여 4년제와는 분리된 별도의 창업교육 중장기 계획과 세부 추진 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domestic universities are required not only to strengthen their educational and research capabilities, but also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n preparation for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changes in youth jobs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model for activa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junior colleges connected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a survey on the statu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an analysis of their needs for domestic college students and teachers who are increasingly experiencing difficulties. We analyzed the information disclosure items for start-up education at 136 universities, a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a total of 1,939 college students and 100 college teachers, the start-up-friendly undergraduate system and organization dedicated to start-up education, start-up subjects and non-departmental departments, and student start-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ort, etc., was gradually reduced, and countermeasures were requir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tinuous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within the junior college,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promote new regulations and systems, such as a start-up-friendly undergraduate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a four-year university. Above all,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and supplement the insufficient capacity through active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innovative agents of the local livelihood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promote linkage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junior colleges, to develop contents for joint startup education and to foster experts. need to be prepared.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업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험형 창업교육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용태(Yong-tae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2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6 No.4

        글로벌 경제 침체 및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기술 등장 등의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방법으로 창업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대학에서 진로교육 활성화의 차원으로 다양한 창업교육 및 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이론 위주의 강의형 교육에서 진일보한 다앙한 창업교육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있으며, 최근 디지털 전환시대를 맞이하여 창업교육 효과를 제고하기위해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의 신기술 시대에 요구되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업효능감이 체험형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 첫째, 창업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 변수인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기기 활용역량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체험형 창업교육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창업효능감과 창업의도,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창업의도 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기활용역량과 창업의도 간에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 창업효능감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체험형 창업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창업의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체험형 창업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교수법과 콘텐츠 등이 개발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such as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ational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as a method of creating new jobs is increasing. is increasing In particular, various start-up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advanced from lecture-type education focusing on theory are being introduc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entrepreneurial efficacy, which are required in the new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rough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ial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use the device during digital literacy and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was not verified. Third, it was found that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between digital literacy,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since entrepreneurship efficacy and digital literacy can enhanc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experiential start-up education programs,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will need to be developed to activate experiential start-up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에서 진로 카오스 이론의 적용 방안 탐색

        김수란(Suran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진로 카오스 이론(Chaos Theory of Career: 이하 CTC)을 국내 대학의 진로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CTC 관련 연구들과 단행본을 토대로 CTC의 특성과 주요 개념들을 종합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CTC 진로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들을 분석해 CTC 기반 프로그램을 국내 대학의 진로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우리나라 대학의 진로교과목에서 다루었던 4단계 진로교육 모형(자기 이해,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계획, 진로준비)의 틀 안에서 다양한 CTC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CTC 기반 진로교육은 기존의 매칭 모델 기반교육에 비해 보다 맥락적인 관검에서 자기 이해를할 수 있도록 돕고, 급격한 직업세계의 변화속에셔 진로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이 밖에도 계획한 일과 우연한 일이 분리 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할 수 있다는 것과 현재와 같은 불확실한 상황을 오히려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촉진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haos Theory of Career(CTC) and to explore specific ways to apply it to career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and major concepts of the CTC were introduced based on CTC-related studies and book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studies tha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CTC career education and explored ways to apply CTC-based programs to domestic universities. As a result, a plan to utilize various CTC-based program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our- step career education model (self- 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the job world, career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operated in career education of most Korean universities was suggested. This CTC-based education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mselves from a more contextual point of view than the existing matching model-based education, and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in the rapid change of the job world.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the possibility that planned things and unplanned happenstance can coexist rather than separate, and to positively view the uncertain situation as it is now.

      • KCI등재후보

        비대면 온라인창업교육 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창업 및 창업교육 수강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용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0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4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dem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argeting non-face-to-face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learners, which are increasing recentl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s was requir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learners of non-face-to-face online entrepreneurship program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stablished entrepreneurs, the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is not high, so measures are required. Thir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requirements for the appropriate number of participants, training hours, lecture methods, and desired fields of the non-face-to-face online entrepreneurship training program,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lectures and courses desired to be opened according to the existing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entrepreneurship train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bject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suffici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designing future non-face-to-face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by separating non-face-to-face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learners according to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presence or abs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비대면 온라인 창업교육 프로그램 학습자를 대상으로 창업교육 만족도 및 학습자 특성에 따른 요구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온라인 창업프로그램 학습자의 특성의 차이에 따라 교육만족도 및 교육효과에 대한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창업자의 경우 비대면 온라인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내용 및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아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며, 비대면 온라인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적정한 수강 인원 규모, 교육 시간 및 횟수, 강의 방법 등에 대한 설문결과를 정리한 결과 기존 창업경험 및 창업교육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요구도 차이를 보여 학습자 특성을 세밀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창업교육 학습자를 창업경험 및 창업교육 유·무에 따라 분리하여 교육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비대면 온라인 창업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함에 있어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에 기반한 교육내용, 교수법 등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진로개입 우선순위 분석

        김보경(Bo-Kyung Kim),김미경(Mi-Kyung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2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6 No.4

        이 연구는 호텔·관광 전공 대학생과 진로 지도자의 관점에서 중시되는 진로 개입 영역의 우선순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호델·관광 전공 3∼4학년들과 전공 교수 및 진로/취업 관련 실무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과 진로 지도자 두 집단 모두 진로 역량 강화, 진로 기술 관리 요인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였으며, 진로상담 요인의 경우 가장 낮은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진로 지도자 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진로 개입 네트워크의 요인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호텔·관광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 및 취업 관련 의사결정 과정의 향상을 위해 학생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진로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ntervene with career paths systematically for career guidance targeting students by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order of priority of areas for career intervention stressed in the perspectives of undergraduates of tourism and career guides.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conducted an AHP-based survey on opin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stricted to juniors and seniors of tourism attending universities in Daegu or Gyeongbuk and also professors of the major and career/employment-related guides in the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findings, two groups, students and career guides, chose the factors of career competence enhancement and career skills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ones in comparison while career counseling-related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least important. Also, the group of career guides selected the factors of career intervention networks as crucial factors whereas the group of students evaluated the factors of career exploration relatively more importantly, which shows a gap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will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for universities having roles for manpower cultivation so that they can develop the curriculum based on not only social demand but students' needs and have opportunity to design and operate programs for career and employment conne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cess that undergraduates of hotels or tourism make decisions about their career paths or employment.

      • KCI등재

        창업 Micro Degree 비교분석 : 국내 5개 대학 창업 및 창업·경영융합 Micro Degree를 중심으로

        김재현(Jaehyun Kim),조세현(Sehyun Jo)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2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국내 창업 및 창업·경영융합 Micro Degree를 분석하여 특징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대학의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창업 Micro Degree 한남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목원대학교, 인하대학교와 창업·경영융합 Micro Degree 한양대학교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행 살펴본 국내 Micro Degree의 시사점은 첫째, 창업 Micro Degree는 가장 낮은 수준의 학습량을 요구하는 학위지만 특징 영역에서 전문성 높은 학위라는 이중적인 특성이 있으며 이런 특성을 갖는 창업 Micro Degree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합리적 근거 마련과 사회적 요구를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국내 창업 Micro Degree 추진을 위해서는 사회적 ·정책적 환경을 조성하고 공동의 목표를 도출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창업 Micro Degree의 사회적 인식 재고와 정책 환경을 마련한 이후에는 창업 Micro Degree 도입을 위한 정책 운용이 필요하며 대학 등에서 창업 Micro Degree를 구현하고 이후에 중장기적으로 학점은행제의 시스템으로 확대 및 일 경험이나 학습경험을 인증하여 통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5개 대학의 사례분석으로 일반화의 한계가 있지만, 일반화를 도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향후 대학의 창업교육의 다양한 활성화 모델 및 지원정책 등 창업 진화적 토대 마련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icro-degrees of domestic start-up, start-up, and management convergenc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poses a plan to revitalize start-up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ase analysis by selecting Start-up Micro Degrees Hannam University, Busan Catholic University, Mokwon University, Inha Universit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Start-up and Management Convergence) Micro Degrees Hanyang University. The implications of Micro Degrees in Korea, which passed through this study, are that Micro Degrees require the lowest level of learning, but they have a dual characteristic of professional degrees in characteristic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sonable basis for why Micro Degrees are needed. Second, in order to promote micro-degrees for domestic start-up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and policy environment and derive common goals. Finally, after establishing a social awareness inventory and policy environment for start-up Micro Degrees, a step-by-step approach is needed to implement start-up Micro Degrees in universities and other universities and expand them into a credit banking system and certify and integrate work or learning experience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due to case analysis of five universities, it provides a framework for deriving generalization and seeks to lay the foundation for start-up evolution, including various revitalization models and support policies for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