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기반 프랑스 문화교육 방안 연구

        김양희(Yang-Hee KIM)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프랑스어 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해항도시 ‘부산-마르세유’ 중심의 지역 기반 문화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 기반 문화교육은 학습 자와 관련된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 지역은 그곳에 속한 구성원들에 게 사람들과의 만남, 다양한 경험이 이루어지는 삶의 터전이기 때문이다. 지역 기 반 문화교육에서 학습자는 먼저, 자신의 출신 혹은 거주 지역인 부산과 관련된 문 화 지식과 경험을 공유한다. 그다음으로 부산과 지리적, 산업적, 도시의 위상 면에 서 유사한 점이 많은 프랑스 마르세유 지역의 문화를 편견 없이 접하고 발견한다. 마지막으로 두 지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토의, 토론하는 과정을 거쳐 자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 타 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상호문화적 인식을 함양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 기반 문화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ᆞ 학습 단계를 구성한 후,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내용과 프로젝트 학습 이라는 교육방법을 적용한 지역 기반 문화 수업을 제안하였다.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 proposer l’éducation culturelle par local centré sur les villes portuaires <Busan-Marseille> pour les apprenants majeurs en français à l’université. L’éducation culturelle locale commence par une compréhension de la culture locale liée aux apprenants. En effet, un loal est un lieu de vie où ses membres se rencontrent et vivent des expériences diverses. Dans l’éducation culturelle locale, les apprenants partagent d’abord des connaissances et des expériences culturelles liées à leur ville d’origine ou de résidence à Busan. Ensuite, ils rencontrent et découvrent la culture de Marseille, en France, qui présente de nombreuses similitudes avec Busan en termes de géographie, d’industrie et de statut de ville, sans préjugé. Enfin, à travers le processus de discussion et de débat sur les points communs et les différences entre les deux cultures locales, ils cultivent une compréhension objective de leur propre culture, une attitude ouverte aux autres cultures et une perception interculturelle. À cette fin, dans cette étude, après avoir défini les objectifs d’une éducation culturelle locale et organisé les étapes d’enseignement et d’apprentissage, nous avons proposé des leçons culturelles locales en appliquant un contenu éducatif qui reflète les caractéristiques culturelles locales et une méthode éducative appelée apprentissage par projet.

      • KCI등재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기반문화예술교육 실천 모형 탐색

        정옥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6

        The awareness of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spreading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future socie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suggests a strategy for activating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acticed based on local communities’s characteristics having cultivation of creative and innovative talents that contribute to mankind as education’s ultimate goal. First, this paper collects and finds the cases that result in successful practices by local communit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cond, through the implication founded in the cases, this paper finds directions for development conflicts so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ultimately develop into a successful future society by promoting global citizenship and community awareness simultaneously which can resolve cultural conflict. Lastly, this paper provides a way to establish culture and arts education oriented around communities that can be practiced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stitutions,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as a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정보통신, 인공지능, 빅데이터로 대변되는 디지털 환경 문화에서 지역 간, 인간 간, 사물과 인간간, 사물과 사물 간의 관계까지 확대되는 초연결 시대 글로벌 시민성의 중요성과 함께 지역 공동체 의식 함양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2004년 이후 추진된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개인적 차원에서는 폭넓은 미적체험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문화적 향유와 삶의 질 향상을 지향하고 국가적으로는 창조성과 상상력 부흥을 통한 경제성장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양적 확대에 초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소통과 공감, 연대를 통한 문화공동체를 실현하는 지역 공동체중심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추진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정부의 중안집권적인 획일화된 정책이 아닌 지역성에 기초하여 지역의 문화적 특수성을 적극 활용하는 미래지향적 지역사회 기반 문화예술교육 실천 전략을 모색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우선 그동안문화예술교육 정책 형성에서 대두된 문화예술교육의 실천 주체의 문제를 제기하고 미래사회 대비요구되는 인간상과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적 가치를 개인과 국가, 지역사회 차원에서 제시한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의 지역사회 기반 문화예술교육 정책 운영 사례를 조사하여 성공적인 실천 모델들을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그리고 교육청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추출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의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교육청, 학교와 연계하여 실현할 수 있는 지역 공동체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모형을 제시하고 실천 전략을 제안한다.

      •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향상을 위한 지역문화예술정책에 관한 연구

        이완복 한국이벤트학회 2014 이벤트학연구 Vol.13 No.2

        오늘날 많은국가들은 국제경쟁력 확보와 국가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예술정책을 추진 해오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발전의 맥락에서 문화예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육성하기위한 문화예술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제 지역문화예술은 예술정책 범주를 넘어서 지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발전을 위한 정 책으로서 보다 높은 위상에서 국가 문화예술정책의 일환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중앙정 부의 지역문화예술정책이 문화관련 하드웨어 조성과 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 등에 제한적으로 치우치거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수립 집행체계를 가지지 못하고, 산발적이고 지속성이 떨 어진 정책집행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참여정부이후 지역문화를 분명한 정책대상으로 상정하 고 중앙에 집중되었던 권한과 정책을 지방으로 이전하여 장기적으로 문화의 양극화를 해소하려 고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정주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화예술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국내외의 지역 문화예술정책에 대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지역문화 예술을 육성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하고 이를 위한 정책방향을 검토하였다. 특히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향상을 위한 지역문화예술정책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지역문화예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oday, many countries ha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o secure national identity policy to promote culture art, and the local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art in the context of the culture art for them to cultivate and promote a policy. Now the local culture beyond the scope of art is an art polic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higher than the regional development phase for the policy as part of the national culture and arts policy should be addressed. Meanwhile, the central government's local culture arts policy is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hardware composition and biased or limited scientific and systematic policy enforcement system does not, sporadic and persistent policy enforcement has been made away. However since Roh Moo-Hyun government, local culture assumes a clear policy targets and policy for centralized authority was transferred to the local culture in the long run trying to eliminate the polariz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improve settlement conscious. About domestic and foreign culture arts policies so that you can about the local culture and arts policy take a look at the literature, can foster local cultural arts to search for the potential was investigated for policy direction. In particular, for the residents of the settlements awareness of local culture and arts policies detailed discussion about the possibilities and directions to local cultural and artistic direction of this move was to propose. In particular, for the settlement conscious Improvement of Local residents to local culture art awarenes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was.

      • KCI등재

        지역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에코뮤지엄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진 ( Sujin Kim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산업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국가, 도시 그리고 지역들의 경쟁력과 문화적 가치는 더욱 주목되고 있다. 이는 현대인들의 문화적 충족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증가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역의 정주적 환경 및 장소성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지자체들은 지역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 문화정체성 구축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문화와 장소성은 중요시되고 있으며 지역 활성화 전략의 핵심수단으로 에코뮤지엄을 도입하여 지역 가치상승의 다양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고유의 유산을 보존 및 개발하여 차별화된 지역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가치를 밝히고 지속적인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지역문화공간과 에코뮤지엄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여 에코뮤지엄이 장소성을 구축함을 파악한다. 구축된 장소성을 부각하기 위해 장소마케팅을 적용한 에코뮤지엄의 구성요소 5가지를 도출하고, 부각된 장소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적 특성요소 4가지를 제시한다. 앞에서 도출한 장소성 관련 요소들을 바탕으로 국내외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에코뮤지엄 조성의 가치적방안을 검증한다. (결과)첫째, 대부분의 에코뮤지엄은 지역의 유·무형의 유산을 보존·활용한 장소 자산과, 지역주민의 능동적 참여, 그들에 의해 주도되는 네트워크, 박물관 및 연구 활동을 가지고 장소성을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소마케팅을 적용한 에코뮤지엄은 지역문화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이룩함으로써 지역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장소성을 부각한다. 셋째, 에코뮤지엄의 지속가능적 특성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교감, 소통, 공감, 공유할 수 있는 끌림이 있는 매력적인 공간을 조성하여 부각시킨 장소성을 유지한다. (결론)본 연구에서 지속적인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에코뮤지엄의 조성으로 지역과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관광증진으로 경제적 효과를 얻으며, 지역민의 교육과 문화의 장이 되고, 쾌적하고 윤택한 환경의 조성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어 사회적·문화적·경제적·환경적인 가치가 창출되었다. 장소에 내재된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과거에 뿌리를 두고 미래를 위해 현재를 연결하는 에코뮤지엄은 사람과 공간을 잇는 정서적 문화공간으로써 지역의 장기비전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지역발전의 대안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 도시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문화적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기대 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With the paradigm shift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competitiveness and cultural value of the countries, cities and regions are picking up more attention. This is due to the growing desire for cultural fulfillment and quality of life in modern people and the growing interest in local settlement environment and place that can satisfy them. Therefore, to have locally cultural uniqueness and competitiveness,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interest over the strategy of “Place Marketing” through cultivating cultural identity. In the modern society, culture and place are important, and the eco museum is introduced as a key means of regional activation strategy, showing various achievements of local value enhan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eco museum in terms of location marketing that can enhance differentiated regional image by preserving and developing local heritage. (Method)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ultural space and the eco museum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eco museum`s strategical effectiveness.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structed place, five element of eco museum are derived from applying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and four elements of sustainable space composition are proposed to maintain the highlighted property of place. We analyz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ccess stories bas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place of locality derived from the above and verify the value of the eco museum. (Results)First, I found out the majority of the eco museums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created the places with the well-preserved of local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network led by them, and research activities. Second, the eco museum, which uses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not only promotes local culture but also promotes local economy, thereby creating a synergy effe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the place. Third,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eco museum strengthen its locality by creating charming space that engenders atmosphere suitable for exchange of feelings, communicate, share common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 people around them. (Conclusions)In this study, the eco museum for the continuous innovation of the local culture has l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local and local residents, better off the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promoting regional tourism, the education of the local people and culture. As a result,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s are enhanced. The eco museum is an cultural space and a communication platform that links people and space to discover the potential value inherent in the place, create new value, and connect the present to the future roots in the past. Creating such future-oriented region will serve as another form of communal development, and serve as a cultural asset to strengthen c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역할 고찰 : 공주아리랑을 중심으로

        이주영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0 글로벌지식융합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역할을 공주아리랑을 중심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 의의와 무형문화유산 특징, 상관성, 공주아리랑 의의와 전승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탐색한 후, 무형문화유산 특징에서 추출한 무형문화유산 기반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 특질 3대 요소를 추출했다. 3대 요소는 ‘지역 고유성’, ‘민족 대표성’, ‘예술 전승성’ 등이다. 이를 문화콘텐츠 관점에서 논의해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공주아리랑 역할을 모색했다. 첫째, 지역 고유성 특질 기반 역할이다. 지역 고유성은 지역브랜딩과 상관성이 높은 점에 착안해 정체성, 지역 자원 유기적 결합, 스토리텔링 측면에서 공주아리랑 역할을 제시했다. 둘째, 민족 대표성 특질 기반 역할이다. 민족 정서의 콘텐츠 유입, 세계화 전략과 연결시킨 공주아리랑의 창조성 발현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예술 전승성 특질 기반 역할이다. 예술성의 생명은 해당 음악이 가진 핵심 요소가 중심을 잃지 않도록 유지, 발전시키는 것이 다. 전승체계의 구심점 필요, 공주아리랑의 다각적 홍보와 실생활에 반영되는 실천의 장 확대가 긴요하다. 요컨대,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공주아리랑의 핵심 역할은 무형문화유산이라는 가치와 의의를 담지한 특질이 수용된 문화콘텐츠화다. 지역에 충분히 착근되고, 확산될 수 있도록 이상의 제언이 수용되길 바란다.

      • KCI등재

        지역민속문화자원의 박물관 교육

        이윤서(Lee, Yoon-Seo)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운영된 지역문화 교육은 지역의 환경과 역사, 전설 등을 마을 주민들로부터 듣고 보고 관찰한 뒤 체험이 이루어져 문맥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해 에코뮤지엄의 개념도 찾아볼 수 있었다. 에코뮤지엄의 요소로 특정지역과 문화유산의 보존, 주민의 참여, 박물관 활동이 전제되는 것으로 어린이박물관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민속’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역문화 교육 또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둘째로, 유․무형유산의 보존이라는 목적 아래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마을에서 전승되는 민속문화 또는 마을의 무형문화재와 경험담이 교육의 핵심 주제이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참여가 이루어진다. 민속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마을 주민들이 교육 진행자로 나서 참가자들에게 마을의 역사와 환경, 이야기 등을 들려주고 체험 활동도 진행한다. 넷째로, 지역문화 교육은 전시기반학습에서 나아가 현장학습으로 이루어지는 박물관 활동이며, 지역민속문화의 해 특별전이 개최되면 적극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어린이박물관에서 운영된 지역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우리의 옛집을 찾아서> 교육은 참가자들이 앞으로 다른 고택에 방문을 했을 때에도 고택의 건축적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에 대해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며 또 그들이 갖고 있는 이야기는 무엇이 있을지 고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그러한 점에서 이 교육이 갖는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가자! 1박 2일 민속마을로 떠나요>, <민속마을을 찾아서> 교육은 지역 주민들을 진행자로 내세워 참가자들에게는 민속현장에서의 문맥적인 이해를 통해 새로운 경험의 장이 열리고 지역 주민들에게는 마을 문화 주권 실현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앞으로 주체적으로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마을 자체 문화관광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지역문화 교육이 갖는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National Folk Museum of the region operating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children"s museum is organized after the observation to see, hear and experience the history and legends of the region, including villagers from this experience consists of a contextual understanding is possible. There was also the concept of eco-museum can be found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operating practices. Conservation, participation of reside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Museum of activities that case that the premise of the specific areas and cultural heritage as an element of eco-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folk" is also training local culture is centered around a particular area because it is based on the area. Seco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xperiences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under the objective of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lk tradition in the village or town that is the central theme of education. Third, it achieved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Villagers who enjoy folk culture to hear the history and environment, such as the story of the village to the participants after a training facilitator also advances Activities. Fourth, the regional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museum is further composed of a field study in the exhibition based learning, and help actively watch when the local folk culture exhibition to be held. The analysis of the local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at the Children"s Museum of the results <locate our old house> Training people participants lived there, not looking forward to only the architectural beauty and historical value of gotaek even when visiting the different gotaek is some people are expected to be able to talk again worry whether they have is what was found with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in this respect. <Let"s go! 1 night, 2 days leave in Folk Village, "" Find the Folk Village> Education naesewo local residents to host participants had opportunity of open chapters of the new experiences through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folk scene local residents for town cultural sovereignty realized have the significance which can be a. It could also look for cultura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gion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is activated and the town itself independent cultural tourism program that goes forward.

      • 지역사회의 정체성이 문화적 갈등 해소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김학용(Kim Hag Yong) 한국갈등관리학회 2014 한국갈등관리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논산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정체성 및 문화적 갈등의 해소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도출을 위한 실증적 연구로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의 정체성 인식은 예학 충절지역과 도농복합적 특화지역, 정체성의 필요성은 자긍심 고취와 상생?협력의 기반, 정체성 약화ㆍ훼손이유는 세대간 인식격차와 도시화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민의 문화적 갈등 분야는 사회생활분야와 지역개발분야, 갈등 야기요인은 지역간 불균형 개발사업과 학연ㆍ지연ㆍ특정화 등 분파적 갈등, 문화적 갈등의 영향은 주체성 약화와 시민 자긍심 훼손과 세대간 소통단절, 문화적 갈등의 해소ㆍ극복방안은 상호 이해ㆍ절충노력과 대화ㆍ소통 활성화, 갈등해소ㆍ극복을 위한 주체는 지역사회와 시민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갈등이 많이 존재할수록 정체성이 필요하며, 문화적 갈등이 심각하다고 느낄수록 정체성이 지역사회 발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정체성 관련 시사점은 의식 행태 차원에서는 애향심 내지는 자긍심 고취, 시민참여와 협력, 상호존중과 시민의식 개선이, 제도 정책 차원에서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역특성화, 정체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미래비전과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적 갈등 및 해소 인식 관련 시사점은 의식 행태 차원에서는 소통?공감 및 상호이해, 시민생활화 운동 전개, 상생?협력의 지역 문화 조성이, 제도 정책 차원에서는 지역균형발전 추진, 교육(학습) 강화 및 협의체 구성, 문화적 갈등의 조정 해소 메카니즘 구축이 필요하다. 한편, 지방정부의 문화정책의 체계적 진단?분석 및 합리적 발전방안 수립, 제3의 갈등전문가의 참여와 역할을 위한 공공갈등관리 차원의 접근, 논산시와인접하고 있는 계룡시, 공주시, 부여군 및 익산시 등과 지역간 협력이 요구된다. This paper summarized the main results as empirical research for impact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on the cancellation of a focus on community and identity, and cultural conflict Nonsan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the citizen awareness, ritual study and loyalty complex urban and rural areas and specific areas, the need for identity and self-esteem and cooperation based on mutual inspiration, weakening and undermining of identity was recognized because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urbanization net. Second, the cultural conflict areas and sectors of civil society living area development, conflict factors causing regional imbalance development and Gakken and characterize such delay and sectarian conflict, the impact of cultural identity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weakening and undermining civic pride communication disconnected, the elimination of cultural conflict and ways to overcom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and dialogue and communication efforts enabled, the subject for conflict resolution and overcoming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community and the citizens. Third, there are many more cultural conflict requires identity was more serious cultural conflict feel that identity is perceiv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Fourth, identity-related implications is the consciousness, behavior-dimensional aehyangsim and inspire pride, civic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mutual respect and civic consciousness improvement, institutions, policy-dimensional area characterized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identity strengthening programs, future vision and sustainability possible regional development is needed.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cultural conflict and resolving related implications in consciousness, behavior-dimensional communication. Empathy and understanding, civic development exercise daily life, local culture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institutions,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dimension in policy, education(learning) strengthening and the council, the adjustment of cultural conflict, resolving mechanism is needed to build. On the other hand, a systematic diagnosis of the local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nalysis and rational development plan in place, a third of the conflict expert involvement and conflict management dimension to the role of public access, Nonsan and in adjacent Gyeryong City, Gongju City, Buye-gun, Iksan City as regional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is required.

      • KCI등재

        지역문화거버넌스 활성화에 있어 관계적 지역문화자원의 역할: 서울시 자치구 문화 분권형 사업참여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나보리,성연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2 문화정책논총 Vol.36 No.2

        본 연구는 관계적 지역문화자원이 지역문화 거버넌스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관계적 지역문화자원이란 예술가, 행정가, 지역주민 등 지역 현장의 주체,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관계망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지역문화자원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차원을 의미하였지만, 최근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주체 발굴 및 양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되며,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제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계적 지역문화자원을 예술가 및 예술단체, 전문가, 주민, 시민사회, 지역문화재단의 5개 그룹으로 설정하고, 이 자원의 구축 정도가 지역문화 거버넌스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서울시의 자치구 분권형 사업참여자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지역문화 거버넌스 활성화 수준을 조직 구조 및 체계, 공동의 목표, 참여 및 커뮤니케이션, 지식 및 역량의 4개 차원으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지역문화재단이 모든 차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술가 및 예술단체의 영향력도 일부 확인되었고, 주민은 참여 및 커뮤니케이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문화재단 설립 및 사업 활성화가 지역 현장의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는 데 가장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문화유산 인식, 지역애착도, 지역공동체 간의 구조적 관계

        채경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2 문화정책논총 Vol.36 No.3

        최근 들어 문화유산 역할이나 가치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문화유산에 대한 주민의 인식이나 이것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주민의 시각에서 문화유산의 관리 인식이나 이에 대한 태도가 지역의 애착도나 공동체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했다. 이를 위해 ‘문화유산 인식 요인(문화유산 관리, 문화유산 태도)’, ‘지역애착도’, ‘지역공동체’간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유산 관리’는 ‘지역애착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를 매개해 ‘지역공동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유산 태도’ 역시 ‘지역애착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를 매개해 ‘지역공동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유산 지역주민의 인식, 지역애착도의 매개역할 등 주요 쟁점에 대해 논의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정책 및 역할의 중요성, 지역 특성을 고려한 각종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 문화유산 경관 및 관람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제안했다.

      • KCI등재후보

        지역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문화관광상품 개발 - 전주한옥마을 문화관광상품을 중심으로 -

        진혜련,김경미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지방자치제도는 지역 간 경쟁구도를 견인하였고, 각 지역은 강력한 지역아이덴티티 구축 및 강화를 위한 차별화 전략을 필 요로 하게 되었다. 지역의 차별화란 지역고유의 역사, 자연, 산업, 생활, 문화, 가치 등의 요소를 통해 형성되는 특성화 이미 지 구축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지역의 특성화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은 지역을 이해하는 연상 이미지 형성의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관광활동 중 체득된 체험요소들을 기억하게 도와주는 회상자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고유성을 대표하는 관광자원의 특성화 이미지 발굴 및 이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독창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아이덴티티 강화 전략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핵심평가지표로 제시하고 있는 국제슬로시티의 기준을 통과하고 재지정에 성공한 전주한옥마을을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관광목적지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상품들이 그 독창 성과 차별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하였으며, 특히 전주한옥마을의 지역아이덴티티 강화는 물론 오랜 시간 축척되 어온 도시브랜드 전략의 일관성을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전주한옥마을의 문화적 정체성과 연결되는 대표자원을 선정하 고, 특성화 이미지 요소 발굴을 통한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실제 판매유통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문화 관광상품 예시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와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Local autonomy system, led the competition composition between regions, each region, began to require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strengthening and building of strong regional identity. The differentiation of the area, region-specific history, nature, industry, life, culture, can be strategically understanding to build a characteristic image that is formed through the element, such as a value. In such a context, cultural tourism products that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 image of the area, recalls resources that will help to be able to store the experience element is not been mastered in tourism activities only play a role of associative image formation to understand the region It focused on the point that it may become. Presented this way, as one of the strengthening strategy of conducting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product characteristics image excavation of tourism resources and utilizing this to represent the uniqueness of the region, creative and sustainable regional identity try to. In the space range of research, through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Cittaslow presenting the identity of the local culture as the core evaluation index, it was selected the successful Jeonju Korea to re-specified. Most of the goods that are distributed in tourist area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field surveys, reflects the reality that does not exhibit-discrimination and its originality, of course, in particular strengthening of Jeonju Hanok village of regional identity, long time I made an effort to Serve with rice the consistency of the city brand strategy has been of the scale. And selecting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 connection has been representative of the resources in the village of Jeonju Hanok, to derive the design strategy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image elements of the property, to take advantage of this, so as to enable the actual sales distribution in that proposed a variety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illustration, we can confirm the discrimination of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