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s apprenants sud-coréens de FLE et leur propre culture: une relation dissymétrique au niveau secondaire

        김진하(Kim Jin-Ha)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1 프랑스문화연구 Vol.51 No.1

        한국 고등학생은 무엇 때문에 한국에서 프랑스어를 배우는가? 한국문화에 대해 그들은 무엇을 어떻게 프랑스어로 말할 수 있는가? 이런 물음들은 한국의 프랑스어 교육에서 한국 상황에 맞는 문화 내용과 상호문화적 태도에 대해 고려하도록 이끈다. 하지만 교육부의 교육과정에는 문화를 비교하여 교육한다는 목표가 제시되어 있지만 한국인 학습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상호문화적 요구를 반영하는 교과서들은 거의 없으며 또한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출제되지 않는다. 그런데 외국어 학습자의 주체성은 타자의 발견과 동시에 자기 성찰에 대면한다. 관건은 중등학교의 프랑스어 교수-학습 안에서 프랑스문화와 한국문화 간의 비대칭적 관계를 넘어 대칭적 균형을 만드는 것이다. 자기 문화에 대해 외국어로 말하는 것은 자기 문화를 외국어로 해석하는 능력에 기반을 둔다. 우리나라 중등수준의 FLE 교육에서도 프랑스의 문화 지식을 배우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문화를 해석하고 표현하며 상호문화적 이해를 배워야 한다. Si l’on prend en considération le rapport contrasté entre la culture cible et la culture propre de l’apprenant, il accuse un certain retard dans la situation pédagogique de l’enseignement du FLE en Corée du Sud. Bien que la méthode communicative et l’approche actionnelle se justifient aujourd’hui dans le contexte d’ouverture et d’échanges entre la Corée et la France, il faut reconnaitre un certain oubli et manque d’envisager l’aspect culturel et la reconnaissance de soi chez les apprenants de FLE. Autour de la contextualisation dans la didactique du FLE, il serait surtout utile d’employer l’expression décalage horaire entre l’Occident et la Corée du Sud. Si l’on considère l’évolution des didactiques des langues étrangères, il reste toujours un fossé entre les deux pratiques. Tous les éléments, les enjeux et les circonstances qui conditionnent la création du renouveau didactique en FLE sont conçus de manière très éloignée de la péninsule coréenne. Cependant, en Corée du Sud, la France et la langue française sont très présentes dans tous les secteurs culturels, du savant au quotidien, bien qu’elles soient enfermées dans des images fantasmées. Les images de la civilisation française sont toujours illusionnaires et les représentations en sont stéréotypées en Corée du Sud notamment lorsqu’il s’agit de faits historico-culturels. C’est pour cette même raison que même dans l’enseignement du FLE, les images de cette France fantasmée n’échappent pas à la règle, comme on l’a vu longtemps déjà depuis la méthode Cours de langue et civilisation françaisesG. Mauger, Cours de langue et civilisation françaises, Paris, Hachette, 1967. de G. Mauger. Cependant, on ne peut pas nier le changement des objectifs et l’évolution de la didactique des langues étrangères sur cette question. Et la notion de culture à l’instar de la civilisation s’est imposée graduellement dans le curriculum coréen. Ainsi, aujourd’hui, le terme « culture » est l’un des plus usités et prend le premier rang dans les objectifs de l’enseignement du FLE. Enfin, la culture et son enseignement semblent être au cœur de l’enseignement du FLE en Corée du Sud. Et il va sans dire que les textes en prose littéraire, très prisés dans Mauger, sont remplacés par des dialogues du quotidien et que les thèmes des dialogues tournent autour de la vie de tous les jours dans le cadre de la culture quotidienne. Toutefois, les items culturels sont décrits de manière très floue et confuse dans les manuels scolaires coréens. Les termes concernés font l’amalgame d’éléments culturels issus de diverses sections. De plus, alors que la comparaison culturelle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prend de l’importance dans le curriculum, les éléments concernés sont tout à fait absents des textes de dialogues et/ou de présentations. Surtout en ce qui concerne la culture coréenne dans les situations présentées, on ne peut trouver que des noms et prénoms coréens pour les personnages qui, seuls, démontrent de manière neutre une certaine rencontre entre Coréens et Français. Il s’agit donc de demander aux apprenants coréens de dire leur propre culture en français. Mais quoi et comment parler de sa propre culture en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

      • KCI등재

        주제어프로파일링 및 동시출현주제어분석을 통한 한국의 프랑스학 연구 학회들의 정체성 분석

        배진아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NodeXL을 활용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한국프랑스문화학회,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에서 2015년 이후 출간한 935편의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했으며, 이를 통해 각 학회의 연구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 학회 간 유사도를 분석함과 동시에, 학회 간 공통으로 연구된 주제어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고빈도 출현단어 분석에 있어서 세 개의 학회는 각 학회가 추구하는 학문 영역과 일치하는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 분석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세 학회 간 유사도 수치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학회별로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동시출현주제어분석을 통해 학회 간 공통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세 학회는 프랑스어 교육학, 프랑스 언어학, 문학, 문화 및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된 주제어를 바탕으로 연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les identités de recherche des sociétés liées aux études françaises, d’analyser les similitudes entre les sociétés et d’examiner les mots-clés communs étudiés entre les sociétés. À cette fin, les mots-clés de 935 articles publiés depuis 2015 par la Société coréenne de langue et de littérature française, l’Association culturelle Franco-Coréenne et la Société coréenne d’enseignement de langue et littérature françaises ont été collectés et analysés à l’aide du programme NodeXL. À la suite de l’analyse, il a été constaté que les mots-clés à haute fréquence de chaque société correspondent au domaine académique poursuivi par chaque société. Dans l’analyse de similarité, la similarité entre les trois sociétés n’était pas relativement élevée, ce qui a été interprété comme le maintien de l’identité de chaque société. Enfin, il a été constaté que les mots-clés communs dans les trois sociétés étaient dans différents domaines tels que le FLE, la linguistique, la littérature, la culture et l’art français.

      • KCI등재

        Expériences vécues à Busan

        Hubert SEVI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프랑스문화연구 Vol.10 No.-

        부산이라는 곳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도시이기는 하지만, 한국이라는 나라는 언뜻 보기에 그렇게 매력적인 나라로 비춰지지 않고, 진정으로 한국을 이해하는 외국인도 드문 것이 사실이다. 우선 한국인의 사고방식은 서구인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특히 종교가 한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한데, 점점 더 그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기독교에도 불구하고 불교는 특히 중요하다. 한국의 중요한 명절인 추석과 설날도 다분히 종교적인 면이 강하다. 전통은 특히 한국과 그 주변국과의 관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중국과 일본이라는 거대한 나라 사이에서 잊혀진 한국은 이 두 거인들과 경쟁하기 위해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한국에서의 여가 활동 역시 놀라운 면이 많다. 수많은 사람들이 등산을 즐기는 것도 놀랍지만, 더욱 특이할만한 것은 바로 낚시이다. 엄청난 사람들이 주말에 낚시를 즐기고, 심지어 TV 채널 중에는 낚시 전문 방송이 있을 정도이다. 이에 반해 젊은이들은 시골 생활에 매력을 잃고, 점점 더 도시 생활에 매료되어 간다. 또 하나 놀라운 것이 있다면 바로 한국 음식이다. 그 독특한 맛, 젓가락문화, 셀 수 없이 다양한 음식, 좌식 문화 등은 처음에는 외국인들에게 많이 생소하지만 곧 익숙해질 뿐더러, 한국 음식이 전세계 최고의 음식 중의 하나라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근로면에 있어서도, 그 리듬은 상당히 서구의 것과 대조적이다. 진행 중인 건설 현장, 24시간 내내 넘쳐 나는 차량, 프랑스의 주당 근로시간 35시간을 넘는 근로시간 등 한국은 늘 분주하게 돌아간다. 결론적으로 나는 음식 문화, 안정된 치안, 인정 많은 사람들이 공존하는 많은 장점을 가진 한국이라는 나라 안에 있는 부산은 그야말로 멋진 도시라고 생각한다. 불행하게도 한국말을 할 줄 모른다는 사실이 큰 장애였지만 말이다.

      • KCI등재

        19세기 프랑스 식도락 문화의 발전: 러시아식 테이블 서비스의 도입에 관하여

        이홍 ( Li Hong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프랑스문화연구 Vol.36 No.-

        프랑스 요리에 대한 평판은 이미 수세기 전에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고, 식도락은 프랑스 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리하여 2010년 11월 16일에는 ‘프랑스의 식도락 식사’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리스트에 등재되기에 이르렀다. 프랑스 식도락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초기 레스토랑이 등장하면서 프랑스의 요리 평판이 프랑스 뿐 아니라 유럽의 이웃 국가들에게까지도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의 일이다. 바로 이 시기에 식도락에 관한 수많은 개론서들이 발행되었다. 앙토냉 카렘Antonin Careme, 위르뱅 뒤부아Urbain Dubois 또는 쥘 고페Jules Goffe 같은 요리사들과 장 앙템 브리아-사바랭Jean Anthelme Brillat-Savarin, 그리모 드 라 레니에르Alexandre-Balthazar-Laurent Grimod de la Reyniere와 같은 전문가들이 식도락에 관한 저서를 남겼는데, 새로운 요리 및 음식문화를 개발하기 위한 비평과 조언 등을 전파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즉, 새로운 식도락의 규칙에 무지한 식당 손님들을 일깨워주고, 식탁에 제공되는 포도주와 음식의 질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켜야 할 식사 예절을 알리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그리모 드 라 레니에르는 소위 식도락의 ‘초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 당시 프랑스에 도입된 테이블 서비스의 유래 및 적용 과정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특히 여러 저술에서 언급된 주프랑스 러시아 대사인 알렉상드르 쿠라킨Alexandre Kourakine이 소개한 ‘러시아식 테이블 서비스’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다. 러시아식 테이블 서비스는 위르뱅 뒤부아에 의해 프랑스에 전파되어 유행하게 되었는데, 프랑스식 서비스와 달리 러시아식 서비스에서는 식사의 각 단계에서 개별 음식이 차례로 테이블에 차려졌다. 또한 러시아식 상차림에서는 테이블의 장식이 간소했기 때문에, 테이블에 도자기나 은으로 된 고급 식기들을 많이 올려두지 않았다. 두 가지 상이한 서비스에 관해서는 각각 옹호자와 반대자들이 존재했다. 전통적인 프랑스식 서비스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프랑스식 요리예술”의 장식 및 미학과 일종의 예식으로서 식사 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러시아식 서비스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요리사가 추천하는 적정 온도에 맞추어 요리를 맛보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간소한 방식으로 식사가 차려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 논쟁은 수 십 년간 계속되었고, 마침내 제2 제정이 시작되는 시기인 1850년 이후에 러시아 테이블 서비스가 프랑스에서 인정을 받게 되었다.

      • 언더레이 D2D 통신을 위한 딥러닝 접근법

        김민석(Minseok Kim),이홍주(Hongju Lee),엄수빈(Subin Eom),이인규(Inkyu Lee)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언더레이 D2D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sum-rate 을 최대화 하기위해 문제를 정의하고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기존의 딥러닝 학습법으로는 풀기 어려웠던 이진 할당 제약조건을 새로운 활성화 함수를 정의하여 기울기 소멸 문제없이 문제를 풀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기존 알고리즘 대비 훨씬 간단한 계산복잡도를 가지며 최적에 가까운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정의한 활성화 함수를 이용하여 다른 할당문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다른 신경망구조와 혼용하여 사용할 시 다른 복잡한 문제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보였다.

      • KCI등재

        Les stratégies d'apprentissage du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FLE) des étudiants coréens à l'université en Corée

        Michel Boudo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6 프랑스문화연구 Vol.12 No.-

        우리는 앞서 발표한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관한 논문에서 한국 학들과 관련된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학습 전략을 간략하게 다룬 바가 있다. 이 글은 이 문제를 상세히 다시 검토하고 있다. 우리는 “외국어 학습 전략”이 무엇인가를 정의한 뒤에, 교육학자 Paul Cyr, Oxford, O'Malley, Chamot들이 인지심리학에 의거해 행한 연구들을 참고하여 학습 전략들의 목록을 만들었다. 이 학습 전략들은 3개의 큰 범주로 분류되었다: “상위 인지적 전략”, “인지적 전략”, “사회 정서적 전략”. 이 논문의 제 3장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23명의 학생들(3학년생 11명과 4학년생 12명)의 학습 전략들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Paul Cyr, Oxford와 O'Malley의 설문 방식을 참조하여 프랑스어로 작성됐다. 조사 대상 학생들은 동아대학교 유럽어문학부의 프랑스어 전공 학생들로 2005년과 2006년 1학기에 설문에 응했다. 우리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상당수의 학습 전략들을 사용하지만, 어떠한 전략들을 다른 전략들에 비해 덜 이용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상위 인지적 차원에서 “주의 전략”은 너무 많은 학생들에게 외면됐고, 인지적 차원에서는 “언어 실습 전략”, “연계 합성 전략”, “메모 전략”, “복습전략” “포괄적 해석 전략”의 사용이 많이 부족했으며 사회 정서적 차원에서는 다수의 학생들이 프랑스어를 말하면서 실수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위험 감수 전략”의 사용을 꺼렸다. 이러한 현상들은 한국의 교육체계 상황, 위계적 인간관계를 야기하는 유교적 지배문화의 영향력과 그 밖에 학습자 개인에 고유한 요인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우리는 학습자들에게 특정한 학습 전략들을 강요할 의사가 없지만, 만일 그들이 사용하지 않는 어떤 학습 전략이 그들에게 적합한 것이고 그들이 거부하지 않는다면 외국어 교습자들은 문제의 학습 전략을 학생들에게 권유하여 개발시킬 기회를 주는 것이 유익한 일이다. 그러한 권유는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학습 활동에 있어서 학생들이 좀 더 폭넓은 자율성을 획득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프랑스의 지방분권 이후 문화정책

        배준구(BAE Jun-Gu)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0 프랑스문화연구 Vol.20 No.-

        L'objectif de cette etude est d'identifier depuis la decentralisation en France les reformes de divers institutions a propos de la politique culturelle et leurs caracteristiques, et d'obtenir des implications politiques. Basee d'une longue histoire et d'une tradition, la France menait une promotion a sa propre politique culturelle. Par la tradition de centralisation, le role de l'Etat etait fort sur la politique culturelle francaise et depuis la Revolution, la diversite de la region a ete peu a peu perdu. La France, sous la Ve Republique, a cree un ministere de la Culture(en 1959) et aussi a introduit de divers institutions pour permettre d'activer la culture regionale. Avec la mise en oeuvre de la decentralisation a partir de 1982, la modification de la relation entre l'Etat et la region a eu lieu et de me.me la politique culturelle a sensiblement change. Depuis la decentralisation, les caracteristiques principales des reformes institutionnelles a propos de la politique culturelle et les implications politiques sont les suivant. Premierement, la France, avec la decentralisation, mene une promotion constante de reformes des institutions de prefet et de 'deconcentration' qui delegue les competences des bureaux de l'autorite du gouvernement central aux services deconcentres de l'Etat. Surtout la loi d'Orientation du 6 fevrier 1992 relative a l'Adminstration Territoriale de la Republique et le decret du 1er juillet 1992 portant Charte de la Deconcentration a declare, sous le principe de subsidiarite et le prefet, une gestion integtee des services deconcentres de l'Etat, Cette deconcentration est un systeme typiquement francais qui permet la reduction de la distance entre l'administration nationale et les residents pour harmoniser l'autonomie regionale et l'integration du pays. Deuxiemement, depuis la decentralisation, le budget du secteur culturel a ete largement developpe(1% du budget total de l'Etat) et la politique culturelle du gouvernement regional a fait la promotion active. Toutefois, a travers de la legislation de mars 1982 et de janvier 1983, les transferts de competences de l'autorite du gouvernement central a propos du secteur culturel aux collectivites locales n'ont ete faits que partiellement. La France, par rapport a d'autres pays, affiche une grande importance au role de l'Etat et continue a promouvoir progressivement la decentralisation de la culture. Troisiemement, depuis la decentralisation, gra.ce a la signature des conventions de developpement culturel, des contrats de plan Etat-region, des contrats de villes etc, la France developpe les partenariats avec les organisations participant a l'affaire et contribue a assurer la coherence et la fiabilite de la politique culturelle. L'utilisation active de la France de ces accords et de contrats, a l'avenir, donne des implications pour promouvoir la politique culturelle de notre pays(la Coree du sud). Quatriemement, c'est que la politique culturelle du gouvernement francais a connu beaucoup de changements selon le gouvernement et a tente des experiences diverses(maison de la culture, charte culturelle, convention de developpement culturel etc...), mais a ete a la recherche d'une evolution graduelle tout en maintenant les principes fondamentaux de la politique culturelle.

      • KCI등재

        초기 용산 신학교 연극과 프랑스 선교사들

        이현주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2 No.1

        La situation des arts en Corée, - notamment des arts du spectacle vivant - au début du XXe siècle s’inscrit dans un contexte complexe et mouvant dont nous devons tenir compte pour comprendre l’enchevêtrement des éléments, géopolitiques, économiques, sociologiques, idéologiques qui font du théâtre et de sa pratique en Corée une sorte de maquette anthropologique des aspirations et des contradictions de l’époque. L’art théâtral, écrit en dialogue par les auteurs dramatiques, n’existait pas en effet en Corée avant le 20ème siècle. Cet art nouveau a été perçu comme symbole de la modernisation ou du patrimoine de la Civilisation notamment chez les jeunes élites coréennes. Ils ont voulu l’utiliser comme un outil politique, social et éducatif pour éveiller et réveiller la conscience personnelle et collective des Coréens. Or, les missionnaires catholiques français qui ont subi la Révolution française et ses conséquences dramatiques dans leur pays ne pouvaient pas être d’accord avec cet engouement des Coréens sur cet art nouveau. Leur position sur le théâtre était naturellement négative mais avec quelques exceptions quand même, notamment le théâtre édifiant et éducatif au sein de l’Église et des séminaires à travers les histoires bibliques et pieuses des saints et saintes. Ce manuscrit travaille sur quelques archives de l’Institut de Recherche d’Histoire de l’Église catholique de Corée concernant les premiers spectacles vivant au sein du séminaire de Yongsan afin d’examiner le rôle et les perspectives des missionnaires catholiques français au cœur de la réception de l’éducation moderne dans les années 1910-20. 19세기 말 프랑스의 전통 가톨릭 교육을 수용하여 한국에 적용, 교육한 용산예수성심신학교(용산 신학교)는 우리나라의 최초 서구 교육 기관 중 하나였다고 역사가들은 말한다. 그리고 그 장소에 관한 보다 역사적인 연구가 필요함도 강조한다. 주로 한국교회사연구소에서 이 주제를 연구하고 있으나 종교학을 넘어선 보다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래야, 이곳을 담당하고 지도하였던 프랑스 선교사들의 불편한 태도와, 일제강점기를 지내며 분명하지 않았던 그들의 입장과 자세도 보호 차원이 아니라 비평적 시각과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십년 정도의 오랜 기간 동안 용산 신학교 학생들은 일상생활 방식 (서구식 생활습관, 유럽식 식사 예절 등), 특정 언어사용 (라틴어 의무 사용), 교육과정(철학, 신학, 문학, 수사학)등을 통해 행동과 습관, 지식과 영성까지 서양식의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서구 교육 과정에서도 연극이라는 활동은 매우 중요한 과목이었고 학습 과정이었다. 그 서구의 공연 교육 문화가 -특히 프랑스의 문화가-프랑스 선교사들을 통해서 직접 한국에 수용되어 발전하고 토착화 되었음은 매우 새로운 발견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한국 연극사에서, 서구 연극 문화는 거의 대부분 일본을 통해서 혹은 일본에서 유학한 한국 엘리트들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한국에 받아들여졌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1910-20년대 프랑스선교사들이 가지고 있던 연극관과 그들이 지도하였던 용산 신학교 학생들의 연극아카이브를 통해 이 예술 활동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 그리고 연극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직, 간접적으로 프랑스 선교사들이 나타내 보이는 당시 우리나라의 사회 정치 상황 등에 관한 그들의 시각과 입장 등을 고찰하는 것이 이 원고의 목적이다.

      • KCI등재

        프랑스-독일 합작방송 아르떼(ARTE)를 통해 본 문화 간 시너지

        최진철(CHOI Jin Chul)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프랑스문화연구 Vol.38 No.1

        La chaîne de télévision ARTE qui se situe à Strasbourg, en France, ne dénote pas une approche négative comme celle des conflits mais une approche positive malgré la relation historique particulière qu’ont vécue la France et l’Allemagne. Aujourd’hui, le rôle des deux pays dans l’Union européenne est remarquable à travers des activités de collaboration telles que la radiodiffusion bi-nationale publique. En d’autres termes, la France et l’Allemagne ont décidé à partir d’une chaîne culturelle nommée « Arte » de se rencontrer et de mettre en place un laboratoire pour connaître les synergies culturelles entre les deux pays. Notre étude a pour but, au travers d’ARTE de comprendre les synergies interculturelles entre les deux pays, malgré les différences de culture, les façons de travailler etc. Dans notre article nous avons commencé par aborder la diversité culturelle, les différences culturelles, l’interculturalisme et finalement nous avons mis en évidence une “synergie interculturelle” en ce qui concerne la chaîne de télévision franco-allemande ARTE. En outre, nous avons pu confirmé que les membres français et allemands développent leurs compétences créatives en matière de résolution de problèmes et d’entreprise à travers un processus de négociation, de coordination et de coordination entre les cultures depuis 20 ans. Et l’organisation d’ARTE montre que la diversité culturelle doit faire face à un certain nombre de conflits et de conflits potentiels afin d’obtenir des résultats positifs en termes de créativité et de synergie.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프랑스의 문화적 대응과 동향

        민지은,박신의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2 No.1

        Cette étude aborde plusieurs cas tirés du secteur culturel que le gouvernement français a mis en place, en les traitant à travers l’accessibilité, concept de la démocratisation culturelle que prône la politique culturelle française. Elle vise ainsi à mettre en exergue le rétablissement et la solidarité sociale par le biais de la culture. Dans ce contexte, nous évoquons les notions de « développement culturel » et d’« activité culturelle » en examinant les vecteurs d’accessibilité nécessaires à la démocratisation culturelle, ainsi que l’utilisation à ces fins des outils numériques. Pour ce faire, nous analysons le fonctionnement de « #culturecheznous », une plateforme de ressources culturelles en ligne mise en place par des acteurs culturels et artistiques, ainsi que des exemples d’accès à l’éducation chez les enfants. Ensuite, nous examinons des cas d’expositions en ligne proposées par des musées, des participations de visiteurs, l’exemple du nouveau pionnier du musée numérique « Micro Folie » et de « Palais augmenté », festival dédié à la création artistique en réalité augmentée. Enfin, nous voyons comment les projets « Je reste à la maison » et « SOFA Festival » ne se contentent pas de simplement diffuser des concerts en ligne, mais font partie d’une véritable action sociale qui permet de se rendre solidaire, et d’offrir son soutien aux personnels médicaux comme aux plus démunis face à la crise de COVID-19. Il semble alors évident que ces initiatives, en permettant à chacun un accès à la culture sans inégalité économique ou sociale, jouent non seulement un rôle important sur l’enrichissement du quotidien, mais donnent également naissance à un nouveau paradigme qui comprend le développement social. 본 연구는 프랑스가 코로나19 대응으로 실시한 문화 분야의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면서 이를 프랑스 문화정책의 주요 기제인 문화 민주화가 구현하려는 접근성 개념으로 해석하고, 문화를 통해 치유와 회복, 나아가 사회적 연대를 이루는 지점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문화 민주화의 접근성과 디지털 도구의 활용 현황을 살핌에 따라 “문화개발”과 “문화활동” 개념을 설명하였으며, 실제 모두의 문화콘텐츠 향유를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문화콘텐츠 플랫폼 ‘#집에서 즐기는 문화’와 어린이의 교육 접근성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실제 박물관⋅미술관에서 보여준 온라인 전시와 관람객 참여사례와 함께, 디지털미술관의 새로운 시도로서의 미크로 폴리 사례, 그리고 증강현실 예술작품 페스티벌인 ‘팔레 오그망테’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공연계에서 시도된 다양한 홈 콘서트인 ‘집에서 즐긴다’와 ‘소파 페스티벌’ 등을 통해 단순한 공연만이 아니라 노숙자와 의료진에 대한 연대와 지지를 표현하는 식의 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짐을 소개하였다. 결과적으로 코로나19를 계기로 프랑스가 보여준 온라인과 디지털 도구 활용은 문화 ‘접근성’을 이루기 위한 것이었고, 이에 따라 경제적⋅사회적 불평등 없이 모든 사람이 문화예술을 접하고 향유하게 함으로써 삶을 풍요롭게 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능을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