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심로 교통류 안전성 분석 연구

        진혜련,김성훈,박형근,김태형,김미정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자율주행차는 4차산업혁명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동차 기술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국내 또한 자율주행 레벨 3, 4 수준(SAE 기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그러나 시스템 아키텍처, 시스템 요구사항, Use-case, Fail-safety 전략 등의 미정립으로 인해 국내 기술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국내부품으로 레벨 3, 4 수준의 기술개발은 전무하나 해외 센서를 기반으로 한 레벨 2 수준의 시스템 개발만이 가능하며, 현재 국내 기업과 대학 연구소에서 활용 중인 자율주행 시스템의 대부분은 해외 부품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센서를 기반으로 전용도로(레벨 4)와 도심로(레벨 3)의 자율주행레벨을 구축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자율주행차량의 도심로 교통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지역을 시뮬레이션 대상지로 선정하여 일반도로구간의 원활 및 정체, 분기 구간의 차로 변경, 합류 구간의 차로 변경의 세 가지를 분석구간으로 지정하였으며, 통신음영, 통신지연, OBU 단말기 비율, 센서 인지 범위, 교통량을 시뮬레이션 분석 변수로 선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교통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척도에는 차량간 상충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인 TTC(Time To Collision)을 활용하여 차량 추종과 차선 변경에 대한 교통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소비자 의식 성향 분석 - 농촌관광마을을 중심으로 -

        진혜련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1

        현재 농촌은 숙박, 체험 농특산품 생산 및 가공과 판매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소규모 경영체로 볼 수 있다. 농특산품 판매는 현장구매를 포함한 택배구매, 재방문구매 등 지속적인 농촌의 소득증가와 연계된다. 소비자들은 현장 직거래이기 때문에 농산물의 신선도를 기본으로 생산자정보, 필수표시사항 등을 포장디자인을 통해 정보를 신뢰하고 재구매에 참고하며 직접 운반하는 추세이다. 이에 포장디자인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소비자의 포장디자인에 관한 의식, 성향, 니즈 등을 조사 분석하여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에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 50개소의 농특산품 구매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구매현황, 소비자의식, 감성형용사이미지 의식으로 세분화 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이 구매활성화요인, 관련성, 중요도는 높게 의식하고 있으나 현재 포장디자인 및 단위에는 매우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과 포장디자인의 적합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이박스형의 일반판매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형용사 이미지는 현재 포장디자인 이미지는 어지러운, 칙칙한, 탁한, 감각적이지 않은 이미지로 인식하는 반면 선호하는 포장디자인 이미지는 안정된, 산뜻한, 감각적인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현황과 의식을 세분화하여 정량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는 향후 포장디자인 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로 주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current farming areas, farmers are producing, processing and selling their agricultural specialties themselves, which can be regarded as a small-scaled management system. The sale of agricultural specialties are associated with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ir income by means of the purchase through delivery system and re-visit including the spot purchase. Consumers come to trust the information of producers and the necessary marking contents and refer to it for their re-purchase while carrying the purchased for themselves. Consequently, the research of packing design is becoming important. And that is why consumers’ awareness, tendency and needs of packing design should be analyzed for application to the packing design of agricultural specialties. For this study, the awareness tendency of the 200 subjects of agricultural-specialty purchasers from 50 farming areas has been subdivided into purchasing status, consumer awareness and emotional-adjective im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ere considerably aware of purchase-vitalizing factor, correlation and significance of their packing design while they were found to be very dissatisfied with the current packing design and unit. Also the suitability of packing design and items were revealed to be very low. In addition, the purchasers were found to prefer the paperbox-typed common design. As to emotional-adjective image, the consumers looked upon the current packing image as untidy, dull, murky and insensuous. They preferred stable, delicate and sensuous image. This study has applied the quantitative method for analysis of the findings by subdividing consumers’ purchase-status, which is expected to be a key objective data that can be referred to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packing design.

      • KCI등재

        기계학습을 이용한 스마트폰 이용이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진혜련,도명식 한국ITS학회 2019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내의 보행로 2개소를 대상으로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이 보행속 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스마트폰 사용실태에 대한 영상자료를 취득하고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보행자 서비스수준의 보행밀도를 기준으로 보행속도를 산정하였다.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계학습을 통한 다중회귀분석과 의사 결정나무(Decision tree)를 활용하였으며, 설명변수로는 성별, 스마트폰 미사용, 청각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시각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서비스수준A, 서비스수준B, 서비스수준C가 선 정되었다. 분석결과 서비스수준C가 보행속도 변화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수준C에서 시각을 활용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여성그룹이 가장 낮은 속도로 보행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 감상이나 통화와 같은 청각을 이용한 유형보다 시각을 이용 하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행속도가 크게 저하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martphone usage on walking speed during walking on two pedestrian walkway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e analysis, the video data about the actual use of smartphone was acquired and the walking spee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walking density of the pedestrian Level Of Service(LOS) presented in the Road Capacity Manu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using machine learning were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smartphone usage on walking speed, an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gender, disable smartphone, use of smartphone using auditory function, use of smartphone using visual function, LOS A, LOS B, LOS C were adopted. The result showed that LOS C had the highest impact on walking speed change and the women’s group using their visual function was founded to have the slowest walking speed in LOS C. In particular, the author found that walking spee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use of visual function rather than listening to music or the hearing on the phone.

      • KCI등재

        농촌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현황 및 유형 분류체계 분석 - 농촌관광마을을 중심으로 -

        진혜련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4

        농특산품 판매 활성화에 따라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관심이 집중되어 포장단위, 포장디자인, 포장용도 등 다양한 관점에서 방안을 모색하여 전문연구도 다각화되어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활성화방안, 소비자욕구, 사례 연구등 주관적 관점의 연구에 치우침을 파악하였으며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관심도, 중요도, 요구도가 높은 반면 실제적 디자인관점의 체계적 연구가 미흡함을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농촌관광마을에서 판매되고 있는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현황를 직접 파악하고 샘플을 추출하여 객관적 디자인 체계화 연구를 위해 유형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촌관광마을 55개소를 선정하여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현황을 분석하고 12개 카테고리 항목의 59개의 속성과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샘플 300개를 추출하여 수량화Ⅲ류 분석을 통해 유형분류체계를 분석하였다. 현황결과 품목은 가공류, 잡곡류가 많았고 BI디자인은 네이밍, URL정도만 구성되어있으며 사각형태의 외포장 방식이 많았다. 재질은 종이, 플라스틱비닐이 많았고 컬러는 노랑계열이 가장 많았다. 용도는 일반판매용이 가장 많았고 지식재산부분에서는 거의 등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분류체계는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A 군집이 발효류, 원기둥형(항아리형)기성품 포장디자인 활용 유형 특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처럼 나머지 4개 군집이 품목, 형태, 디자인 활용방법의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짐을 도출하였다. 이는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연구의 디자인 체계화 연구의 객관적인 자료로 주효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 후 본 유형별 포장디자인 표준화 개선안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With the sales of agricultural specialties revitalized, the packing designs for them have been paid much attention to. Ideas from various viewpoints such as packing unit, packing design and packing purpose, therefore, have been sought for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professional researches.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has revealed that they were weighted towards researches of such subjective viewpoints as vitalization method, consumers’ desire and case study. It was also found that any systematic studies for practical perspective on designing were not enough even though the interest and significance of and the demand for the packing design of agricultural specialties were considerably high. Thu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status of packing designs for the agricultural specialties actually sold in rural tourism communities. And then the samples were extracted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type-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study of objective design-systemization. With 55 rural tourism communities selected, the status of packing design for agricultural specialties was estimated, and 59 properties of 12 categorized items and 300 samples of their packing design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ir type-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quantification theory of type III. The analysis of status showed that the items were made up almost of processed goods and miscellaneous grains while BI Design had only naming and URL along with many outer-packing with rectangular shape. Most materials for packing were paper and vinyl and have only one color of yellow. Its main purpose was for general sale, and almost all of them were not registered as intellectual properties. Their designs could be classified into 5 types, and the group A of packing design was analyzed as th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goods and ready-made goods of cylindrical type (type of pot). In this way, the other 4 group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items, the shape of design and the way of design utilization. These findings are thought to be valuable as objective materials in the studies on design systemization of packing for agricultural specialties. In addition, there will be another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standardization of packing design by typ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지역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문화관광상품 개발 - 전주한옥마을 문화관광상품을 중심으로 -

        진혜련,김경미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지방자치제도는 지역 간 경쟁구도를 견인하였고, 각 지역은 강력한 지역아이덴티티 구축 및 강화를 위한 차별화 전략을 필 요로 하게 되었다. 지역의 차별화란 지역고유의 역사, 자연, 산업, 생활, 문화, 가치 등의 요소를 통해 형성되는 특성화 이미 지 구축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지역의 특성화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은 지역을 이해하는 연상 이미지 형성의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관광활동 중 체득된 체험요소들을 기억하게 도와주는 회상자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고유성을 대표하는 관광자원의 특성화 이미지 발굴 및 이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독창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아이덴티티 강화 전략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핵심평가지표로 제시하고 있는 국제슬로시티의 기준을 통과하고 재지정에 성공한 전주한옥마을을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관광목적지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상품들이 그 독창 성과 차별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하였으며, 특히 전주한옥마을의 지역아이덴티티 강화는 물론 오랜 시간 축척되 어온 도시브랜드 전략의 일관성을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전주한옥마을의 문화적 정체성과 연결되는 대표자원을 선정하 고, 특성화 이미지 요소 발굴을 통한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실제 판매유통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문화 관광상품 예시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와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Local autonomy system, led the competition composition between regions, each region, began to require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strengthening and building of strong regional identity. The differentiation of the area, region-specific history, nature, industry, life, culture, can be strategically understanding to build a characteristic image that is formed through the element, such as a value. In such a context, cultural tourism products that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 image of the area, recalls resources that will help to be able to store the experience element is not been mastered in tourism activities only play a role of associative image formation to understand the region It focused on the point that it may become. Presented this way, as one of the strengthening strategy of conducting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product characteristics image excavation of tourism resources and utilizing this to represent the uniqueness of the region, creative and sustainable regional identity try to. In the space range of research, through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Cittaslow presenting the identity of the local culture as the core evaluation index, it was selected the successful Jeonju Korea to re-specified. Most of the goods that are distributed in tourist area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field surveys, reflects the reality that does not exhibit-discrimination and its originality, of course, in particular strengthening of Jeonju Hanok village of regional identity, long time I made an effort to Serve with rice the consistency of the city brand strategy has been of the scale. And selecting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 connection has been representative of the resources in the village of Jeonju Hanok, to derive the design strategy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image elements of the property, to take advantage of this, so as to enable the actual sales distribution in that proposed a variety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illustration, we can confirm the discrimination of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 KCI등재

        농촌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모델 개발을 위한 요소 분석 -로컬푸드직매장을 중심으로-

        진혜련,서지예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This study has analyzed the design elements for development of design models for exhibitionshops of agricultural specialties. The research with thirty rural tourism communities selectedas research objects produced insufficient findings, and also their suitability as the objectsfor analysis of design elements in order to develop any models was not thought be enough. Therefore, another 10 farmers’ local-food shops available for investigation, which are locatedvery near to rural communitie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amples for detailed researchanalysis of their status and design elements. Site-visit interviews and photo-examination wereemploy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in-depth analysis, which revealed that the shops of morethan 50 pyongs with 5 to 9 operators had the highest rate and that those with more than onemillion won of sales and 100 to 200 customers showed again the highest rate. The numberof participating farm-families was found to be various from 50 to 200 and the case with lessthan 150-200 farm-families showed the highest rate. There were the following display stands:grain display-stand, two-flighted stand, thre-flighted stand, flat sale-stand, corner showcase,four-flighted stand, and six-flighted stand. Their common shapes include Irish-type, centraltype and wall-type and in terms of their features there were encased type, versatile type andtransformative type. In addition, what items were displayed on each type of display stands wasexamined. This study has produced objective data which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modelsfor exhibition shops of agricultural specialties, and these data will be used for developing suchmodels as can be practically employed. 본 연구는 농촌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개선 및 모델 개발을 위해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는농촌관광마을 30곳을 조사한 결과 매우 미흡하였으며 모델개발을 위한 디자인 요소 분석 대상지로는 적합성이매울 낮음을 파악하고 농촌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농특산품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컬푸드직매장을 중심으로 조사 가능한 10곳을 대표표본으로 선정하여 운영, 구성 요소현황과 진열대 디자인 요소를세부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방법은 현장방문 인터뷰와 사진조사를 통해 빈도분석과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영현황은 50평 이상의 운영인 수가 5-10명 미만이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매출규모는 100만원이상, 방문객규모는 100-200명 미만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농가는 50-200농가까지 규모가광범위 하였으며 150-200농가미만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전시진열대는 크게 양곡진열대, 2단진열대,3단진열대, 평매대, 코너장, 4단진열대, 6단진열대로 나타났고 공통형태요소는 아일랜드형, 중앙형, 벽형이 포함되고 특성에 따라 세부적으로 매립형, 다용도형, 변형형이 추가적으로 나타났으며 진열대에 따른 농특산품 해당품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모델개발에 활용 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마련하였으며향 후 이를 참고하여 실용 가능한 실제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농업인 의식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식량작물 상품 포장 디자인 개선을 위한 교육 및 관리 방안 연구

        진혜련,유영석,김웅,김홍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전라북도는 미곡 생산량 기준 전국 약 374만 여 톤 중 60만 톤을 생산하며 전국 3위에 속해 있으며 전국 대비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다. 이에 전라북도는 쌀을 포함한 식량작물을 가공하여 상품화하기 위해 전라북도 지자체에서 사업을 추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판매 및 마케팅을 위한 포장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경영인 38명을 모집하여 포장 디자인 의식을 조사 분석하고 식량작물 상품 135개(한과63개, 누룽지72개) 샘플을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업인 의식 결과 상품 개발 시 상품 및 목표 고객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포장 디자인의 필요성이 92.1%로 높았다. 최근 포장 디자인 제작은 자비 비율이 68.2%였으며, 현재 포장 디자인의 만족도(5점)는 3.32점으로 낮았고 만족하는 비율이 38.4% 수준이었다. 포장 디자인 특성의 중요도 및 만족도의 차이가 5점 기준으로 1점 이상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보아 중요성은 충분히 감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품 현황 분석 결과 한과 샘플은 8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누룽지 샘플은 1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종합적으로 농업인의 포장 디자인 중요성 및 관심도는 높으나 전문가 부족, 비용 부담 등으로 애로사항을 겪고 있고 포장 디자인 현황은 대부분 종이류 및 플라스틱 비닐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관성 없는 컬러로 상품 차별화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원스톱 교육, 수준별 교육, 현장 교육 확대, 전문 멘토제, 그룹 스토리 미팅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여 농업인 역량을 강화하여 의식 수준을 높이고 경쟁력 있는 식량작물 상품화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Jeollabuk-do produces 600,000 tons of the country's rice production standard of about 3.74 million tons, ranks third in the nation, and produces more than the nation. Jeollabuk-do is promoting its business to process and commercialize food crops including rice,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for sales and marketing. ing. Therefore, in this study, 38 farmers were recruited and surveyed and analyzed for package design consciousness. A sample of 135 food crop products (63 Korean confections, 72 Nurungji) was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crowd analysis. An analysis of the situation was performed.As a result of research, the products and goals in product development and customer interest were high, and the need for package design was high at 92.1%. Recent package design production has a mercy ratio of 68.2%, and the current package design satisfaction (5 points) is 3.32 points, with a low satisfaction rate of 38.4% level.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features and satisfaction was more than one point based on the five-point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importance was sufficiently detected, but not actually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oduct status, the samples of Korean sweets were classified into eight groups, and the samples of Nurungji were classified into twelve groups. The importance and interest of package design for agriculture is high overall, but there are problems with lack of specialists and cost burdens, and the current state of package design mostly uses paper, plastic, and vinyl. It proved difficult to differentiate products with inconsistent colors. This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and interest of agricultural package design is high, but there are problems with lack of specialists and cost burden.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propose one-stop design education, level-specific education, expansion of on-site education, specialized mentoring agents, group story meetings, etc. as improvement measur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farmers,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and increase competition. Try to contribute to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powerful food crops.

      • KCI등재

        6차 산업형 농촌관광마을 활성화를 위한 농업인 공급자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의식 분석

        진혜련,조록환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At present, the Package Design for the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of rural sightseeing villages is of low basic-package completeness or most of them lack the proper identities of those villages. Furthermore, due to the high cost for designing resulting from their economic features, the products are packed mostly by their suppliers themselv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researched and estimated the awareness of Package Design and the current sales status of their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survey with 200 subjects (agricultural product suppliers) who are selling their products at the agricultural sightseeing villag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fermented (21%) and processed (21.5%) products were sold the most and that their sales period was all year round (71%), which was the highest, and 5 ~ 10 years (52%), the second highest. Among the purposes of those products which are being sold currently, that of general sale was the highest with 85%, while the purpose of home-delivery service among needed purposes was the highest with 63.5%.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ckage Design was very low with 1.5% while its necessity and significance were very high with 80.5% and 83.5% respectively. The research on features of designs showed that they thought regionality, positive feeling and convenience very important. The study has found that while the emotionality image of their current Package Designs was plain, rustic and simple, that favored by consumers is refined, clean and modern. 26.5% of them have been educated for packing bu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was very low with 26.5%. However, their intention to take the training course was found to be very high with 95.5%. Through this study, the suppliers’ awareness on Package Design of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ir strong will to be educated have been appreciated.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lans to educate the farmers on the Package Designing for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ir situation, which can be practically utilized,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promotion of their awareness on the Package Design. 현재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현황은 기본 포장완성도가 낮거나 마을정체성이 결여된 포장디자인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농촌관광마을 경제적 특성 상 비용부담 등으로 인하여 농업인 공급자 주도하에 포장디자인 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에서 농특산품을 판매하고 있는 농업인 공급자 200명을 모집하여 현재 농특산품 판매현황과 포장디자인에 관한 의식을 조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발효류(21%), 가공류(21.5%)가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었으며 판매기간은 5년-10년 미만(52%), 1년내내 판매(71%)하는 것이 가장 많았다. 현재 판매하고 있는 용도는 일반판매용이 85%로 높게 나타났으나 필요한 용도는 택배용이 63.5%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 포장디자인의 만족도는 1.5%로 매우 낮았으나 포장디자인의 필요도와 중요도는 80.5%, 83.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디자인특성은 지역성, 호감성, 편리성을 중요하게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감성이미지는 소박한, 촌스러운, 담백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반면 선호하는 감성이미지는 세련된, 깨끗한, 현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디자인 교육여부는 26.5%가 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있으나 교육의 만족도는 매우 낮았으며 향 후 교육 참여의향은 95.5%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농업인 공급자 의식과 높은 교육 의지을 파악하였으며 농업인 의식제고를 위해 농업인이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눈높이에 맞는 수준별 농업인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교육연계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