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공업 계열 특성화고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김대들,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rough estimating whether they have satisfied the purpose of the aids and analyzing the related factors. Amo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49 technical high schools which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Among the 49 subjects, 57.1%(28 schools) are reported to be suitable, 36.7%(18 schools) so-so, and 6.2%(3 schools) unsuitable for the curriculums. The curriculu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ere mostly associated with the local strategic business. However, many of them implemented the pre-existed curriculums because they didn't reflect the job analysis of the business properly. To establish more effectiv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most of all, guides for them should be prepared in its level. Also, mi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of school departments should be made to reorganize the current departments which hinder the specialization in curriculums by government or offices of education. Finally, a conference of government departments on the curriculum establishment should be organiz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의 해당 소관 산업 분야 및 지원 목적에 부합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별하고, 관련 내용들을 분석하여, 중소기업청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관련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특성화고 전체 계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49개의 공업 계열 특성화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질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자료 분석을 위한 결정표와 자료 분석 흐름도를 개발하였고, 자료 분석 위원에 의해 교육과정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육성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특성화 분야 및 학과 체제 구축 여부에 대하여, 대부분의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이 요구하는 지역 전략 산업에 부합하도록 학교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고 있었으나, 이와 연계된 학교 인력 양성 목표는 기존의 학교 인력 양성 목표를 그대로 제시하거나 일반 산업의 기능 인력 양성을 위한 목표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일부 학과 및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은 해당 특성화 분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거나, 소수 특성화 관련 교과목만을 교육 내용에 포함시켜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셋째, 내실 있는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①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핵심 산업 분야와 특성화고의 중장기 발전 방안과 연계된 맞춤형 특성화 교육과정이 개발·편성되어야 한다. ② 산업 기술 변화에 따라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 실태에 대한 개선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③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는 학교가 스스로의 자생력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 및 만족도 분석 연구

        이병욱,안재영,강철민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1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for total 166 teachers of schools so as to analyze validity and satisfaction for performance objectives of SMB administration subsidy the HRDP and the CEP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 that purpose of HRDP is to expand employ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and provide human resource of SMB. And, they recognize that HRDP is important to improve school outcomes and make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chool outcomes. Second, teachers recognize that objectives of HRDP are improvement of student's understanding for SMB, improvement of teacher's understanding for SMB, improvement of SMB's understanding of school, cultivation of student's occupational view, systematization of career guiding program based on employment process, strengthening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education, improvement of the level of student's skill, fulfillment of workplace experience and practice focusing workplace learning, training of customized human resource for SMB, improvement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workplace,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 for SMB, expansion of job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SMB, preparation of the base of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SMB, publicity of school,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cooperate between SMB and school,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among industrial association and school,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employment connective model for joint education and employment, strengthening of fiel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However, satisfaction for the achievement of objectives of HRDP except for strengthening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 for SMB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validity. Third, teachers in charge of human resource training business of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y's specialized high school recognize that objectives of CEP are expansion of job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SMB, excavation of good-quality SMB,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cooperate between SMB and school, fulfillment of workplace learning, improvement of student's major foundation and in-depth skill, improvement of literacy, math, teamwork and communication abilities for students' job performance, improvement of student's working attitude and student's proper career exploration·decision. However, satisfaction for achievement of objectives of CEP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validity.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와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107개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참여 학교(공업․농업 계열)의 담당 교원 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본 사업의 목적을 특성화고의 취업 확대와 중소기업의 인력 제공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본 사업이 학교 성과 향상에 중요하며 실제로도 성과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중소기업에 대한 학생의 이해 증진,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 학생의 직업관 함양, 취업 과정을 기반으로 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체계화, 산학협력 교육 강화, 학생의 기술수준 향상, 현장견학보다 현장체험 및 실습 위주의 현장학습 실시, 협약기업에 대한 맞춤형 기능인력 양성,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 중소기업 취업률 제고,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 학교와 중소기업 간 취업 연계 기반 마련, 자기 조직(학교)의 외부에 대한 홍보, 산학협력 기회 확대, 산업 업종별 협회 및 단체와 학교 간 협력 체계 구축, 공동 교육․채용을 위한 취업 연계 모델 도입 및 운영, 교원의 현장 전문성 강화가 본 사업의 성과 목표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 교육 강화, 중소기업 취업률 제고를 제외한 나머지 성과 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타당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셋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학생의 취업 기회 확대, 양질의 취업처 발굴, 산학협력 기회 확대, 현장 중심 교육 실시, 학생의 전공 기초 및 심화 기술 향상, 학생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문해·수리·팀워크·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학생의 업무 태도 향상, 학생의 바람직한 진로 탐색·결정이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성과 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타당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정책자금지원의 재무성과:자금별 분석

        노현섭,최상렬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9 No.3

        This paper examines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policy funding on small business. We test the differences of mean statistic between two business groups and which financial characteristic is the most important to discriminate between a firm before policy funding group and a firm after policy funding group. The firm's financial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25 financial characteristics. T-test was executed as an univariate analysis.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proven to be the most significant in the test were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LOGIT model.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 reveal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we find that 4 of 25 financial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 Therefore, 4 financial ratios play a role of making discriminations between 2 group. Second, as a result of multivariate financial LOGIT analysis, many financial ratios such as liquidity ratio, profitability and growth rate of policy funding firms are significant. Therefore, these financial ratios play a role of making discriminations between a firm before policy funding group and a firm after policy funding group. 본 연구는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구조개선자금,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중소․벤처창업자금, 중소기업 개발 및 특허기술 사업화자금, 중소기업 협동화자금을 지원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정책자금지원의 재무성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기업의 재무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재무비율을 사용하여 정책자금지원 이전연도와 이후연도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재무비율에 대한 t-test를 수행하고 검정결과 추출된 유의한 변수에 대해서는 로짓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비율에 대한 t-test 분석결과 4가지 재무비율이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짓분석 결과는 5가지 독립변수 중 유동성비율이 중소․벤처창업자금, 중소기업 개발 및 특허기술 사업화자금 지원기업에서, 수익성비율이 중소기업 구조개선자금 지원기업에서, 그리고 성장성비율이 중소기업 개발 및 특허기술 사업화자금을 지원받은 기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소기업지원기관의 유효성평가

        박동수(Dong Soo Park),정성한(Sung-Han Jeong),김기남(Kee-Nam Kim)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05 영상저널 Vol.13 No.-

        본 연구는 기존 중소기업지원체계와 관련 기관들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대구 경북 지역의 중소기업지원기관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중소기업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지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재미있는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대체로 여러 중소 기업지원기관들이 다양한 지원기능 또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지만 이들 기관이 제공하는 대부분의 지원들이 중소기업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지원분야에서 중소기업의 기대수준과 만족도간 격차가 상당 부분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중소기업지원체계와 각 지원기관들이 어떻게 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할지에 대한 규범적 방향을 제시해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build a knowledge base in establishing an effective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e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ose supportive institutions by compar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reported by small business enterprises which have been helped in one way or another by those existing supportive institutions: regional office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regional headquarter of small business corporation, and Daegu-Kyungbuk local government's service bureau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es. The result, among others, shows that there are some gaps in meeting the expectation of the small business enterprises across those three institutions. This implies that there should be some normative guidelines for those supporting institutions to go about implementing their functions in formulating an effective support system for small business enterprises.

      • KCI등재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 관련 법제 현황 및 개선방향

        이효경 한국경제법학회 2019 경제법연구 Vol.18 No.3

        The overall business innovation through digitalization is crucial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o lead the innovative growth. The digitalization helps business practices of SMEs to advance from a subcontracting manufacturing system in the industrial age to a customized service provider in the digital era. For SMEs, it is hard to obtain all capabilities and business resources on their own whic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 such as cutting-edge technology, logistics, technique and capital, accordingly sharing and combination is the key for achieving the competitiveness. And the growing interdependence with the outside entities in providing product, services and information data bears a higher probability of a rapid and wide spread of specific company’s hazard or accident through supply chain or network. Digital Transformation unfolds at rapid pace. In this situation, SMEs with business resources limit coupled with the information protection divide between the big businesses need th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information protection capability and the proactive response form the government. Under existing legislation which lacks clear basis for SMEs support, organized cyber safety net boosting project support has limit. Therefore laying the legal grounds for effective information protection is necessary. To this end, this article is for reviewing the discussion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SMEs information protection support legislation. 중소기업이 혁신성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화를 통한 경영 전반의 혁신이 필수적이다. 디지털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사업방식은 산업화 시대 하청 생산에서 디지털 시대 특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도약할 수 있다.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첨단기술, 물류, 기술, 자본 등의 경영자원을 독자적으로 모든 역량을 확보하는 것은 어려워지게 되며 공유와 결합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상품과 서비스, 정보데이터의 제공을 통한 외부조직과의 상호의존성이 증가함에 따라 특정기업의 장애나 사고가 공급망(supply chain)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의 흐름이 빠르게 전개되는 가운데 경영자원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의 정보보호 격차도 크게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보호 역량강화의 기반을 마련하고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에 관한 명확한 근거가 없는 현행법제하에서 체계화된 중소기업 사이버안전망 강화 사업 지원에 한계가 있고, 중소기업의 정보보호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중소기업을 둘러싼 정보보호 지원 관련 법제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 무역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유승균,박혜영 한국무역보험학회 2017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무역확대를 위해 대학교육의 무역전공자를 중심으로 무역교육과 중소기업에 대한 잠재수요를 파악하고, 무역유관기관의 지원방안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무역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으로 3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하다. 신설된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을 관리할 수 있는 일원화된 창구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다양한 무역유관기관과의 조율과 지원정책의 시너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대학교의 실무중심의 무역학 전공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론과 실무가 융합된 기존의 교과구성에서 벗어나 실무를 중심으로 한 교과목으로의 변화가 요구된다. 전자, 관세, 결제 등 중소기업의 무역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지식으로 무장한 인력의 배출이 필요하며, 무역전공 학생들에게 해외시장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실전형 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소기업과 지역 대학과의 산학협력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을 위한 인력양성과 지역대학을 위한 기업의 진출시장 확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정부주도의 산학협력 모듈을 개발해야 한다. 이는 시장 중심의 산학협력 전략 품목을 구축함으로써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를 통해 중소기업의 무역확대를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ve examined the potential demand focusing on the trade majors of university education in order to expand the trade of SMEs. Through this study, we have made three suggestions as a support plan for expanding trade of SME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new awareness of SMEs. The newly established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needs to act as a unified window to manage policies for SM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 trade education of the university.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hange from the existing curriculum which is a fusion of theory and practice to a curriculum focusing on practical work. Thir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etween SMEs and local universities is needed. Government-led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modules should be developed to combine the training of manpower for SMEs. As s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lead the trade expansion of SMEs by differentiated management according to domestic market and overseas market.

      • 중소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원 정책에 관한 검토 : 증거에 근거한 정책결정방법(EBPM)을 중심으로

        김성화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0 중소기업정책연구 Vol.5 No.3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dividual businesses suffered serious damage as individual outings or business operations were restricted by the COVID-19 incident in 2020. Accordingly, most countries implemented large-scale corporate support policies to prevent corporate bankruptcy and to reduce unemployment. In particular, unusual measures were taken against the subsidy system, such 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given that unlike the previous one, a subsidy support policy was proposed that exempts the repayment of loans. However, since such a subsidy system is gradually being converted into a form of exemption from repayment and changed to a simplified review system for prompt paymen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uppress it becaus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fraudulent recipients will occur. In addition, short-term and temporary subsidy policies could 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curb the bankruptc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others in economic crisis, and therefore should be developed by objective Evidence-Based Policy Making (EBPM) or to improve the quality of policy evalua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it considered the significance and policy effects of subsidy plan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discussed the problems of the rapidity and enforcement system of subsid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addition, the Data-Based Administration Act was enacted in 2020, and as the policy decision method EBPM was introduced. However, it sought to examine the problems and expand their application since there are still institutional limitations. Lastly, it also reviews the policy direction of grant plans under way in the urgent situation of COVID-19 as a policy implication for SMEs. Where EBPM could be applied to these grant policies, it would suggest implications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by dividing them into general situations (Ex Ante) and special situations (Ex post). COVID-19 사태에 의하여 개인의 외출 또는 기업의 영업이 제한됨에 따라 중소기업이나 개인사업자 등은 심각한 손해를 입 었다. 따라서 주요국에서는 기업의 도산을 방지하고, 실업을 억 제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기업 지원 정책을 실시하였다. 특히 종 전과 달리 대출의 상환을 면제하는 보조금 지원 정책이 제시되었 다는 점에서 중소기업 등의 보조금 제도에 대한 이례적인 조치가 이루어졌다. 다만 이러한 보조금 제도가 점차 상환이 면제되는 형태로 전환되고, 신속한 지급을 위하여 간이심사체계로 변경되 고 있으므로 부정수급자 등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 이를 체계적 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단기적이고 임시적인 보조금 정책이 경제적 위기에 놓인 중소기업 등의 도산을 억제할 수 있 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으므로 객관적인 근거에 입각한 정책결정방법(EBPM)에 의하여 중소기업을 위한 보조금 정책을 입안하거나 또는 정책평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보조금 제도의 의의와 정책적 효과를 검토하고, 주요국에서 중소기업을 위한 보조금 제 도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후 급부의 신속성과 집행체 계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2020년 5월에 제정된 「데이터 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서 증거에 근거한 정책결정방법 (EBPM)이 도입되었으나, 아직 제도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 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적용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검 토하였다. 한편,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COVID-19 사태에서 진행되고 있는 보조금 제도의 정책적 방향을 검토한 후, 이러한 보조금 정책에 EBPM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로서 일반적 상황(사전적 의사결정)과 특수한 상황(사후적 의사결정)으로 나누 어 살펴보았다.

      • 대 · 중소기업 생산성 분석과 동반성장 방향

        김승일 ( Seung-il Kim ) 한국중견기업학회 2010 중견기업연구 Vol.1 No.2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은 현재 한국 경제정책의 주요 이슈의 하나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익률, 생산성, 임금 등의 격차가 클 뿐만 아니라 확대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균형된 발전을 지원하려면 정책 목적과 수단을 바르게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노동장비율, 부가가치율, 노동분배율 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국가 자원 중 자본은 대기업에, 인력은 중소기업에 과다하게 배분되고 있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중소기업의 낮은 노동생산성, 대기업의 낮은 자본생산성은 이 같은 국가자원 배분 왜곡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균형된 발전은 이 같은 국가자원의 불균형적 배분을 개선하는 일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win-win relations between LEs and SMEs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Korean economic policy. It seems that the disparity of profit rate, productivity, wages between LEs and SMEs caused this policy. The designing of the purpose and choosing the policy tools in the government policy is very important for promoting the cooperation relations between two parties. Refering to this task this paper carried out the difference analysis of gross value-added per capita, productivity of capital, property and equipment per capital, gross value-added to output, employment costs to value-added, various income to sales between LEs and SMEs. Eventually I Confirmed the economic phenomena that more capital in the LEs and more personnel in the SMEs in Korea. I guess that This phenomena brought about such results like that the lower gross value-added per capita in SMEs and the lower productivity of capital in LEs. This implies that starting the improvement of disproportion between LEs and SMEs in national resources is very important to balanced progress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중소기업의 역량이 자체 브랜드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권호(Kim, Kwon Ho),강성호(Kang, Seongho)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7 기업과 혁신연구 Vol.10 No.3

        최근 브랜드 경영이 확산되고 있고 브랜드 효과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 브랜드를 개발하고 사업화는 것이 녹록치 않은 현실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브랜드 구축에 어려운 원인을 분석하고 브랜드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자원기반이론과 힘-의존이론을 토대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대기업 가전 1, 2차 협력 중소기업 81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동 자료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중소기업의 브랜드 개발 및 사업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표자의 브랜드 제품 개발의지, 중소기업의 판로확보 역량, 브랜드 구축을 위한 마케팅 전문 인력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제품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외적인 요인 중에 힘-의존 관점에서 대기업과의 거래 관계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요인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대기업과 거래 관계는 중소기업의 브랜드 제품 개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브랜드 제품을 개발하고 사업화 하는데 중요한 요인은 거래관계에 있는 대기업의 영향보다는 기업 내부 자원의 역할이 크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브랜드 구축을 위해 기업 내부의 물리적, 인적, 조직 자원을 확보하고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a brand is quite a challenge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lthough brand management is increasingly expanding, and the importance of brand effect is being emphasized these day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bstacles to brand building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o suggest the preceding factors influencing brand building based on resource-based theory and power-dependence theor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1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at are primary or secondary electronics subcontractors of conglomerates.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used in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formed for this study. The hypotheses test results showed that factor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the willingness of the business representative to develop brand products, the competenc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secure market, and the professional workforce for brand building. Among the extern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brand products, this study attempted to deduce the negative factors that may occur in business relations with conglomerates based on the power-dependence perspective. However, it was found that business relations with conglomerates do not have any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brand product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conclusion, the factors importan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brands are not so much the influences from conglomerates in business relations with them, but rather the satisfactory role and effective use of their own internal resources. In this respect, various policy support is necessary to help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cure their internal physical, human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for brand building.

      • KCI등재

        시스템 위기하의 포용적 성장 위한 중소기업 정책금융과 통화정책의 한계

        이종욱 한국중소기업학회 2018 中小企業硏究 Vol.40 No.4

        The system crisis in the US financial market in 2007 spread to Korea. and then external financing of SMEs became more difficult in 2009. This paper to analyze the effect to increase SMEs’ government-supported funds drasticall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literature in two ways. First, it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the current government-supported SMEs’ finance is insufficient for the inclusive financial level for SMEs in developed countr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academic literature, it explains the difficulty of SMEs’ accessing financial market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credit ratings instead of abstract market failure and asserts the need for policy funds. Second, by selecting only the manufacturing enterprises surveyed by four SMEs’ policy-supported institutions-Small and Medium Business Corporation (SBC), Korea Credit Guarantee Fund,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KIBO), and Kores Federation of Credit Guarantee Foundations-, their increases under the system crisis contributed greatly to external financing of SMEs. Before an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SMEs' government-supported fu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inancial access of SMEs, and these financial institutions increase the proportion of inclusive financing for SMEs in Korea. Empirical findings in this paper show that, in the 2009 system crisis, SBC’s’ funds and IBO’s fund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ank borrowings of SMEs. Government-supported SMEs’ funds can be interpreted as creating complementary effects in financial markets. Especially, SBC’s direct loan as well as Kibo’s guarantees and SBC’s surrogate loans made important contribution to recovering the financial intermediation for SMEs under the systemic risk. SMEs’ government-supported funds in 2009 in which systemic risk occurred were crucial in making their external financing and inclusive growth. They will also make future sytemic risk in the small open economy like Korea. 2007년 미국발 금융시장에서 시스템위기가 한국으로 전염되어, 2009년 정부는 과감하게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급격하게 증가시킨 정책효과 분석은 두 가지 시사점을 준다. 첫째, 현재 정책금융의 비중이 선진국의 중소기업 포용적 금융 수준에 미흡하며, 학술적으로는 처음으로 추상적인 시장실패 대신 신용등급의 분포를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의 필요성을 설명하게 된다. 둘째, 4개 중소기업 정책금융기관의 2009년 시스템위기 시기의 서베이 기업자료 중 제조업만 선별하여 분석해 보면, 시스템 위기 전후로 중소기업 정책자금이 중소기업의 외부 금융접근에 포용적 금융역할을 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진흥공단과 기술보증의 정책자금이 중소기업의 은행 차입금에 접근하는데 보완재 역할을 한다.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은 시스템위기를 극복 하는데 기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