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개발도상국 농촌의 재현과 현실

        김권호(Kim, Kwonho),권상철(Kwon, Sangcheo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3

        해외여행이 대중화된 이후 개발도상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외국에 대한 이미지는 방송, 여행기 등을 통해 확대되는데 개발도상국의 경우 가난한 나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이미지는 여행자, 해외봉사활동 참여자에 의해 반복되어 고착되고 국제개발 분야의 정책에도 개발도상국은 개발과 지원이 필요한 지역으로 재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오리엔탈리즘적 개발도상국 재현과 달리 생계유지, 지역 자산에 기초한 접근은 현실의 모습에서 가능성을 찾는 대안적 안목을 강조한다. 이 글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편견적 재현을 넘어 대안적 안목을 적용하는 시도로, 캄보디아 농촌 마을을 사례로 외부에서 만들어진 재현과 현지 조사에 기초한 현실을 이해하는 시도를 제시해 보았다. 캄보디아 농촌 지역은 취약한 공동체로 재현되지만 공동체, 종교적 전통에 기반한 사회적 자원 등 가능성을 가진 지역으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지 조사에 기초한 지역 가능성 찾기는 실제 외부의 지원과 내부의 수요를 연계해 개발협력 사업의 효과를 진작시키며 재현과 실제를 포괄하는 실천적 접근을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 Developing countries recently get attention as foreign tourism becomes popular. The images of foreign countries have been expanded by mass media and travel writing in which developing countries are portrayed as the poor in needs of help. These are representation oversimplified dualistic stance of the developed and the developing with power-laden Orientalism. Contrary to the imaginative geographies, developing countries in real have the livelihoods and possibilities with their assets. This paper deals with the representation and the real of the developing world, Cambodia. The rural regions in Cambodia are represented as fragile, but they could be considered as having possibilities with social capital based on communal and religious tradition. The alternative perspective and field study disclose the real from the imaginative geographies which overcome the representation and associate the representation and the real each other to make foreign assistance effective with local needs. To find the real is not an easy work, but a necessity to rectify the stereotypes and to begin a practical approach combining the outer and inner resources and the opposite perspectives together for the developing world.

      • 개발도상국 농촌 바로보기 : 캄보디아 트봉크뭄주의 종합적 농촌공간

        김권호(Kwonho Kim) 한국국제협력단 2019 국제개발협력 Vol.14 No.2

        본 연구는 할파크리(Halfacree, K.)의 농촌 공간 삼중모델(three-fold model of rural space)을 기반으로 캄보디아 트봉크뭄을 구성하는 세 가지 축(농촌 표상, 농촌 로컬리티, 농촌주민의 삶)을 분석했다. 장기간의 참여관찰을 기반으로 선행연구 및 관련자료 분석, 통계 분석, 설문조사 등의 출처가 다양한 정보를 지리적 안목과 논리로 조합했으며, 이를 통해 캄보디아 트봉크뭄 농촌의 다양한 배경을 포용했다. 일반적으로 농촌만이 아닌 캄보디아 전반에 대한 외부의 상상은 부정적 개념과 연결된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개발도상국 농촌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오늘날, 이러한 부정적 인식이 개발도상국 정부와 국민에게 불가피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캄보디아 정부는 농촌의 취약성을 강조하며, 지역 전반의 제약을 극복할 의지를 표했으며, 해외 원조기관들 역시 이에 동조하며 자기기관의 역할을 강조했다. 캄보디아 트봉크뭄 삼중모델의 각 축은 표면적인 외부의 상상과 일치하는 공간과 내재된 불일치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할파크리가 주장했듯 각 축은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닌, 상호관계를 통해 공간을 역동적으로 변화시킨다. 하지만 오늘날 농촌에 대한 접근은 농촌을 표면적이고 부분적이면서도 편향적으로 다루고 있어, 내면에 복잡하게 얽힌 상호관계와 역동성을 깊이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향후 농촌개발의 효과가 제한되거나 효율성을 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농촌과 농업이 갈등 없이 지역의 활력이 되기 위해서는 구성요소와 관계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rural areas and a method to approach them,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representation and reality. The three-fold model of rural space by rural geographer Halfacree forms the conceptual framework, with the totality of rural space integrating three facets of formal representations of the rural, rural localities, and everyday lives of the rural. Based on a year-long participatory observation from a geographic perspective, data and information were gathered across the research field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The outsiders’ conceptions of the rural area, and Cambodia overall, may commonly connect to negative notions such as poverty, shortage, vulnerability, and incompetence. The rural area, however, intrinsically retains diversity, incoherence, and tension, which a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singular generalization. The Tbong Khmum study reveals new understandings of the rural in the developing world. Each of the formal representations, rural localities, and everyday lives of the rural has an incongruent facet that has not and cannot be easily captured in outsiders’ imagination. It is time to move beyond hasty generalizations about rural areas and to increase the alienated and complicated inner rural geographic knowledge.

      • KCI등재

        중소기업의 역량이 자체 브랜드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권호(Kim, Kwon Ho),강성호(Kang, Seongho)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7 기업과 혁신연구 Vol.10 No.3

        최근 브랜드 경영이 확산되고 있고 브랜드 효과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 브랜드를 개발하고 사업화는 것이 녹록치 않은 현실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브랜드 구축에 어려운 원인을 분석하고 브랜드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자원기반이론과 힘-의존이론을 토대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대기업 가전 1, 2차 협력 중소기업 81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동 자료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중소기업의 브랜드 개발 및 사업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표자의 브랜드 제품 개발의지, 중소기업의 판로확보 역량, 브랜드 구축을 위한 마케팅 전문 인력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제품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외적인 요인 중에 힘-의존 관점에서 대기업과의 거래 관계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요인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대기업과 거래 관계는 중소기업의 브랜드 제품 개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브랜드 제품을 개발하고 사업화 하는데 중요한 요인은 거래관계에 있는 대기업의 영향보다는 기업 내부 자원의 역할이 크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브랜드 구축을 위해 기업 내부의 물리적, 인적, 조직 자원을 확보하고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a brand is quite a challenge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lthough brand management is increasingly expanding, and the importance of brand effect is being emphasized these day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bstacles to brand building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o suggest the preceding factors influencing brand building based on resource-based theory and power-dependence theor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1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at are primary or secondary electronics subcontractors of conglomerates.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used in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formed for this study. The hypotheses test results showed that factor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the willingness of the business representative to develop brand products, the competenc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secure market, and the professional workforce for brand building. Among the extern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brand products, this study attempted to deduce the negative factors that may occur in business relations with conglomerates based on the power-dependence perspective. However, it was found that business relations with conglomerates do not have any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brand product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conclusion, the factors importan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brands are not so much the influences from conglomerates in business relations with them, but rather the satisfactory role and effective use of their own internal resources. In this respect, various policy support is necessary to help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cure their internal physical, human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for brand building.

      • KCI등재

        공동체 기반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

        김권호(Kim, Kwonho),권상철(Kwon, Sangcheo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자본주의 사회의 확립 이후 전 지구적 차원의 환경오염과 경제적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자원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는데, 공유자원 관리의 제도적 원리를 분석한 엘리너 오스트 롬과 공동체 내부의 상호관계를 강조한 마리아 미즈가 대표적이다. 같은 맥락으로 이 논문에서는 과도한 자본주의 체 제 안에서 야기되는 사회문제를 공유자원 관리체계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공유자원제도의 원리를 파악함으로써 대량소비사회가 일으킬 자원부족시대의 대비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주해녀 공동체의 공유어장관리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원리를 분석하였으며, 질적 조사를 통한 추가적 인 원리 추출 및 확대적용 방법을 모색하였다. 제주해녀 문화에 대한 본질적 이해 및 향후 보전전략에도 일부 긍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economic bipolarization have become major issues as the aftermath of the globalizing capitalism. Commons have receiv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capitalistic use of resources. The most representative is the neo-institutionalist approach where Elinor Ostrom"s study summarizes fundamental principles of common resource management. Maria Mies also insists that co-relationship in a community is the most essential to manage common resource successful. In a similar vein,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that common resource management can create solutions to socioeconomic problems and ways to prevent resource scarcities in the future. Jeju-Haenyeo community is chosen as a successful case to be examined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ommons and community. Qualitative surveys have preceded for Jeju-Haenyeo to elaborate and extend the aspects of common resource use and management. This study can bring a positive influence on understanding the Jeju-Haenyeo community and other common resources management institution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