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경제적,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홍기석,홍정륜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4

        This paper examines how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affect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Chinese students in the future, and what countermeasures are necessary. The results showed that main purpose of studying in Korea for Chinese students was to get a job. In particular, the intention to work for a Korean company in China was higher than that for a job in Korea both before and after studying abroad. However, the perception of future expansion of Korean companies' investment in China was lower after studying abroad than b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conomic incentive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o decide to study in Korea is gradually weakening. In addition, Chinese students' perception of Korea is changing positively through cultural factors while studying abroad. However, in the prospect of expand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after studying abroad was lower than before studying abroad. It can be seen that China's restrictions on Korean culture and distorted perceptions of Korean culture have a negative impact. In order to attract Chinese students in the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will have to work together. First of all, it will be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to China that the COVID-19 situation has improved considerably. Second, considering that an economic factor is the biggest factor of studying abroad in Kore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ployment or internship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ird, the two governments of Korea and China should make joint efforts to expand pop culture exchange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existing policies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preparation for attract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inally, Korean universities should not only increase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quantity but also seek ways to attract excellent Chinese students. 본 논문은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 동기를 바탕으로 경제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이 향후 중국인 유학생 증감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며, 어떤 대응방안이 필요한지에 대한 살펴보고자 한다. 설문 분석 결과 중국인 유학생의 주된 한국유학 목적은 취업으로 한국내 취업 보다는 재중한국기업 취업의향이 유학 전과 유학 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확대에 대한 인식은 유학 후가 낮게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중국인 유학생이 한국 유학을 결정할 유인이 점차 약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은 유학을 하면서 문화적 요인을 통해 한국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한중문화교류 확대전망에서는 유학 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제한 조치와 한국문화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중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한국 정부와 대학들이 협력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선 단기적으로 중국인 유학생 급감 요인으로 작용한 코로나19 상황이 크게 호전되었음을 중국에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경제적 요인이 한국 유학의 가장 큰 요인인 점을 감안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취업이나 인턴십에 관련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중 양국 정부가 대중문화 교류의 확대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중국인 유학생 유치를 대비하여 기존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정책을 재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대학들은 양적으로 중국인 유학생을 늘릴 뿐만 아니라 우수한 중국인 유학생을 늘리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대학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상이몽; 서울과 지방 소재 사립대학 비교

        박소진 ( So Jin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이 글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와 불균등한 유학이라는 맥락 속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이 어떻게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과 맞물리는지를 밝힌다. 특히 한국대학 구조의 위계 속에서 다른 위치를 가진 서울의 B대학과 지방의 C대학 사례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 유치 동학(dynamics)을 비교·분석한다. B대학의 경우 대학평가, C대학의 경우 대학재정이라는 유치 동기를 가진다. 두 대학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 속에서 불안정한 위치를 공유하면서 입학의 문턱을 낮춤으로써 중국인 유학생이 약간의 경제력만 되면 손쉽게 한국 유학을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교육, 평가, 관리등에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공론화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어 습득, 한국 관련 관심, 학위취득이라는 주요 동기를 공유하지만, 대학 위계에 따라 한국 유학에 대해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B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들은 학교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지만 학업 능력이나 언어 면에서 한계를 느끼고,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지니는 한국 유학을 영어권 유학의 차선책으로 인식하였다. 위상이 낮은 C대학의 경우 적극적인 유치전략과 중도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방편적 평가를 하기에 중국에서 대학 입시에 실패하거나 전문대를 다니는 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손쉬운 대학 진학과 학위취득이 가능한 대안으로 선택하였다. 이는 학업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 목적을 가진 학생들이 유입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 글은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으로서 중국인 유학생 유치와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의 역동적인 관계를 함께 연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n universities` globalization strategies are articulated with Chinese students` choices of study in Korea in the transnational context of hierarchical global higher education and uneven flows of students who study abroad. I compare the dynamics of recruiting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in Seoul and C university in a provincial city, each of which occupies a different location in the hierarchy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B university recruits Chinese students to promote its own global competitiveness in relation to university evaluation, while C university actively recruits them motivated by financial gain. Because both universities admit Chinese students easily without many requests, Chinese students can choose study in Korea as an easy option, if economically feasible. Although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relation to teaching, evaluating and managing Chinese students, these issues are not publicized. Chinese students come to study in Korea in order to learn Korean and get a bachelor`s degree. Chinese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however, give study in Korea different meanings.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feel pride in the brand value of B university, even while they lack the confidence of academic capacity. They also perceive study in Korea as a second best choice because it has less relative brandname value than do institutions of stud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ecause C university with its relatively low-rated reputation actively recruits Chinese students and adopt a stopgap measure for evaluation, Chinese students who failed to enter university or else entered a third-tier or junior college in China, perceive study in Korea as an easy second chance to get into college and get a bachelor`s degree. This study draws ou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ies, and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 KCI등재

        청말 중국인의 일본 유학 연구

        김보림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청말 일본에서 공부한 중국 유학생은 서양의 문화와 기술을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3명의 학생들이 1896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이래 중국 중심의 역사관이 깨지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중국의 유학생들은 근대 중국을 세우는 데 앞장섰다. 그들은 처음에는 속성교육이라는 단기간 기술을 배우는 교육에 집중하였다. 중국의 유학생 정책은 청과 일본과의 관계, 또는 청과 러시아와의 국제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기본적인 정책은 높은 소양을 가진 유학생을 기르는 것이 목표였다. 1896년과 1906년 사이에 유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증가 추세에 있었다. 또한 외국에 유학생을 파견하는 중국 정부의 움직임도 활발하였다. 그러나 곧 두번째 국면이 찾아오게 되는데 중국은 여러 조항들을 만들어 수적으로 많은 유학생을 보내기 보다는 국내의 교육 활동을 보다 활발히 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소수의 유학생들을 파견하는 정책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는 과거제 폐지 등 신정의 부활과 신해 혁명 등의 정치적 변혁기에서 국내의 상황을 견고히 하려는 중국 내부 사정과 관련이 깊다. 중국 학생들은 일본인들에 의해 무시되어지고 정치적 변혁이 중국에서 일어날 때마다 중국으로 돌아가는 길을 택했다. 남은 유학생들은 공부와 정치적 활동을 병행하면서 학업을 끝낸 후 고국으로 돌아가 정치가, 번역가, 작가 등의 활동을 하며 여러 업적을 남기거나 일본에 체류하면서 교수가 되거나 정치적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을 끝으로 중국의 일본 유학생 파견은 종국을 맞았다. 결론적으로 일본 유학생 정책은 외국 문명에 대한 내부적 응답을 통해 제한되거나 지원되는 형태로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e late period of Qing(淸) played the important role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knowledge and skills. The 13 young students towards Japan in the late Qing were dispatched in 1896. The first dispatched students including 13 young students made a role to set up the modern Chinese like Japan fast. They pursued the first to take an accelerated education in Japan. The Chinese policy of study-abroad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like the war between Qing and Japan or Qing and Russia. But the basic idea of the policy was to make a high quality students. The first phase is between 1896 and 1906 when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increasing and the government activity about dispatching students to foreign countries were very aggressive. The second phase is the period that there were restriction of the dispatching students to other countries by the rule. Chinese students were despised by the Japanese, but when political reforms took place in China, they came back to study with interest. The remained students studied more and harder and made a big role in the Republic of China later as intellectuals. In conclusion, the studying abroad policy were supported or restricted through the internal response about the foreign country civilization.

      • KCI등재

        스포츠 활동 참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 및 유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마설려,윤인애 한국여성체육학회 2022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resilience recovery, and satisfaction in studying abroad were identified through whether Chines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14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SPSS WIN Ver 23.0 statistical progr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student activiti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non-participating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showed lower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an non-participat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showed higher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student activ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sili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refore,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strive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and increase their resilienc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o maintain a healthy international life. 이 연구는 재한중국인 유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여부를 통해 문화적응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및 유학생활 만족도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유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SPSS WIN. Ver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활동 참여 하는 유학생과 비참여 유학생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유학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유학생들은 비참여 유학생들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 과 유학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여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활동 참여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유학생활만족 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활동 참여유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유학생활만족 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학생들은 건강한 유학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스포츠 활동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스스로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데 힘써야 한다.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 광주의 대학교에 온 20대 유학생을 중심으로-

        나윤영,송선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poo habits, scalp and hair care state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hrough a self-adi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who are attending a university in Gwangju from April 5 to May 9, 2018. 300 people were to conduct the survey, which was us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e study a total of 275 peo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shampoo period of the day was highest in the ‘afternoon before sleeping’ (43.3%),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inking(p<.01).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you use for shampoo was highest in the ‘warm’(42.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ade, drinking frequency, the average sleep time(p<.05). The hair drying method after shampoo was highest in th ‘towel dry’(37.5%),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scalp and hair care methods was highest in the ‘food and lifestyle management’ (.54.9%),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frequency of drinking, and whether the opposite sex friends(p<.05). Scalp and hair care cycles and costs was highest in the ‘each time’(28.4%) and ‘less than 40,000 won’(54.9%) showed each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verage monthly pocket money, drinking frequency, exercise habits, and whether the opposite sex friends(p<.01, p<.05). In the above results, scalp and hair care of Chinese students were recognize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hampoo habits and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according to grade, frequency of drinking, and sex frie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calp and hair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twenties in China and the strategy for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샴푸습관과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2018년 4월 5일부터5월 9일까지 광주광역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법 설문방법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3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75명을 본 연구의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루 중 샴푸 시기는 ‘오후 자기 전’(43.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음주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샴푸 시 사용하는 물의 온도는 ‘따뜻하게’(42.5%)가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음주횟수, 평균수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샴푸 후모발건조 방법은 ‘타월 드라이’(37.5%)가 가장 높게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피⋅모발관리 방법은 ‘식⋅생활관리’(54.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음주횟수, 이성 친구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두피⋅모발 관리 주기와 비용에 대해서는 ‘시간이 날 때마다 한번씩’(28.4%), ‘4만원 이하’(54.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월 평균 용돈, 음주 횟수, 운동습관, 이성친구 여부에 따라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p<.05)). 이상의 결과에서, 중국 유학생들의 두피⋅모발관리에 대해서는 인식이 되어 있으나, 학년, 음주횟수, 이성 친구 여부에 따라서는 샴푸습관과 두피⋅모발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바탕으로 중국의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두피⋅ 모발 관리 교육프로그램과 제품 개발 및 마케팅을 위한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지역대학에 유학 중인 중국인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 변인 탐색

        박혜숙(Park, Hye-soo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국내 한 지역대학에 유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에서의 만족도에 미치는 여러 관련 변인들(성별, 자기조절학습전략, 부모의 정서적 지원, 한국인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 지각된 한국어 수준, 지각된 스트레스수준)과의 관계를 경로모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유학생이 인식하는 한국인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와 유학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이 대학생활 만족도와 통계정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자기조절학습전략은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만족도를 매개하였고 한국인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의 인지는 자기조절학습전략과 만족도를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다중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부모지원, 자기조절학습전략, 한국인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의 인지는 만족도와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학생이 지각하는 한국어 수준은 한국인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의 인지 및 만족도와는 부적관계가 있었다. 자기조절학습전략과 한국인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의 인지는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국내 대학에서는 유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역량강화와 내국인의 타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관한 교육지원을 고려해 볼 만하다. 이는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를 제고함으로써 추후 유학생 유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various factors (i.e., gender, self-regulation strategies, parental emotional support, Koreans' attitudes toward other cultures, their perceived Korean language skills/competence, and their perceived stress level) that are assumed to be related to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using path models. One hundred ninety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a local Korean university were surveyed on their college life.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at survey showed that parental support and self-regul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correlations with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 and three way interaction effects. The interaction effects of parental support, self-regulation, and Koreans' attitudes towards other cultures were positive.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tudents' perceived Korean language skill level and their evaluation of Koreans' attitudes toward other culture on satisfaction with life was negative. Self-regulation mediates the effects of Koreans' attitudes toward other cultures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it also mediates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ince self-regulation and Koreans' attitudes toward other cultur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by enhancing these factors via education, it is likely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ies would be enhanced. Utilizing this information would benefit universities that want to recruit more Chinese students.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부모ㆍ친구애착이 학업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상란(Sang Ran Lim),이지안(Ji An Lee),리만(Man Li)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7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rent and friend attachment on the academic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st Chinese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In particular, it attempted to search for a strategy to improve their academic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examining parent and friend attachments which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studying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283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t colleges in Seoul from February to March 2017 and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As parent and friend attachments increased, both academic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mproved.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parent and friend attachm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on positive support systems for school maladaptation such as school dropout and illegal stay after developing diverse plans to improve academic and life satisfactions among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analysis of their parent and friend attachments.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쓰기에 나타난 내용 조직 양상 연구

        전미화 ( Quan Mei Hua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5 No.-

        This study is aimed to look into aspect of contents organization appeared in writing of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 For that, I had comparison analysis in thirty three Korean-Chinese text whether paragraphs of the text are divided properly or not and how unitarity, coherence, completion, emphasis are realized in the contents. As a result, the problems that found in contents organization of Korean writing appeared in order of completion, coherence, emphasis and unitarity. The problems in contents organization of Chinese writing appeared in order of completion, unitarity, emphasis and coherence. The student`s awareness of text structure and paragraph composition is lacked in Korean writing, and they find it hard to express topic sentence clearly and arrange supporting sentences properly. In Chinese writing, the lack of awareness of paragraph composition was the biggest problem. To solve these problems in Korean writing, basic education about structure of writing and composition of paragraphs, and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composing contents in dimension of text and paragraph will be needed. (Paichai University)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조혁수(Hyuksoo Cho),전경태(Kyong-Tae Jo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사회과학연구 Vol.20 No.3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may face various difficulties. They, especially, have a difficulty understanding dasses and following other academic programs. According to the survey, many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re unsatisfactory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s (i.e., grade and class understanding). However, they find satisfaction in academic hardware and software systems (i.e., academic facilities and education softwares). Also, they adapt quickly to off-campus life in spite of some economic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survey, a personal relationship and a linguistic capability are closely associated with on-campus living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In particular, a personal relationship is considered a key determinant to improve their on-campus living satisfaction. Also, some other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off-campus living satisfaction such as a personal relationship, a linguistic capability, and a clear motivation to study aborad. Regarding off-campus living satisfaction, a personal relationship is still important rather than other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