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대한국 정치적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한중 정치적 관계를 중심으로

        홍정륜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2 중소연구 Vol.46 No.1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what percepti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have about Korea before and after study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have a favorable impression of Korea. Political factors have a relatively less influence 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before studying abroad, but a greater influence after studying abroad. Chinese students agree that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or missile launches pose a threat to South Korea's security, but say the THAAD deployment poses a threat to China's security. It also supports China's sanctions against Korean pop culture after the THAAD deployment, but hopes to improve bilateral relations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유학 전후 한국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에 의하면 한국에서 유학하는 중국인 유학생은 대부분 한국에 대해 호감이 있다. 정치적 요인은 중국인 유학생에게 유학 전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미치지만 유학 후에는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들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이나 미사일 발사가 한국의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점을 공감하면서도 사드 배치가 중국의 안보에 위협을 준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드 배치 후 중국이 자국내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해 취한 조치를 지지하면서도 향후 양국 관계가 개선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 KCI등재

        중국경제의 고도발전과 균형발전의 조화 문제

        홍정륜 중국학연구회 2006 중국학연구 Vol.- No.36

        How to Control Conflicts between Rapid Development and Balanced Development in Chinese Economy

      • KCI등재

        중국의 지역경제협력과 한중, 한중일 FTA에 대한 시사점

        홍정륜 중국학연구회 2007 中國學硏究 Vol.- No.39

        Th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of China and its Implications against Korea-China FTA and Korea-China-Japan FTA

      • KCI등재

        중국의 동아시아 자유무역협정 추진과 지역갈등

        홍정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3

        본 논문은 중국이 주도하는 동아시아 FTA가 추진과정에서 유발할 수 있는 갈등을 연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동아시아에서 적극적으로 FTA를 추진함으로써 중ㆍ홍콩(마카오) CEPA, 중ㆍ아세안 FTA를 체결하고 동북아에서도 한국으로부터 산학관 공동연구를 이끌어내는 등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중국의 입장에서 보면 기존 중ㆍ아세안 FTA 외에 한ㆍ중 FTA와 중ㆍ일 FTA가 체결될 경우 동아시아에서 <모델1>의 FTA는 기본적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모델2>의 FTA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상대적 이익에 대한 민감한 반응, 패권국의 부재, 제도의 부재 등 제약요인에 직면해 있다. 중국이 주도적으로 <모델2>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적 이익에 민감한 동아시아 국가들에게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양보하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패권국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은 스스로 패권국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국은 동아시아 국가의 협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구축하는 일을 해야 할 것이다. 중국 주도의 동아시아 FTA는 추진과정에서 개별국가와의 갈등을 극복해야 한다. 중국 주도의 동아시아 FTA는 일본, 아세안 등 역내 국가의 반발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특히 일본의 반발 내지 비협력을 극복하기 위해 일본에게 경쟁적 FTA를 유발하는 <모델1>보다는 일본을 포함하는 <모델2>의 형태로 동아시아 FTA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미국 등 역외국가도 중국 주도의 동아시아 FTA에 대해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역외국가의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동아시아 FTA는 장기적으로 지역성과 폐쇄성을 타파하여 개방적 지역주의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the conflicts that China-led EAFTA could bring about in the process. China has reached the CEPA between China and Hong Kong(including Macao) and the FTA between China and ASEAN and has drawn the agreement on studying Korea-China FTA among industry, scholars and the government. It can be said that China accomplishes <Model 1> in East Asia if it reaches Korea-China FTA and China-Japan FTA. The FTA of <Model 2> type faces the challenges such as the vulnerability against relative gain of East Asian countries, the vacuum of hegemony and the vacuum of institutions etc. In order to accomplish China-led <Model 2>, China should transfer more gain to East Asian countries vulnerable to relative gain. And then China should consider being a hegemonic country in itself in a bid to solve the vacuum of hegemony. Finally, China should build the institutions that can facilitate the cooperation among East Asian countries. China-led EAFTA will face the conflicts with each country in the process. The EAFTA is expected to face intra-regional conflicts with Japan and ASEAN. It will be desirable for China to prefer <Model 2> including Japan to <Model 1> causing Japan to form competitive FTA. And it is expected that offshore countries such USA also is against China-led EAFTA. In order to overcome conflicts with offshore countries, China-led EAFTA should develop into open regional community that excels exclusive regionalism.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변화 추세에 따른 정책 방안 도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홍정륜 한중사회과학학회 202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the situation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has changed since COVID-19 and attempts to derive a new policy plan suitable for the changed situation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existing policy related to foreign students fits the changed situation. It is not easy to predict how much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ill decrease at a time when it is unknown when the pandemic situation will end. Considering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sist on the existing method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but also to actively promote the attraction of foreign students onlin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o-called “diversific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policy that improves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a specific country and attracts them in various ways from various countries. Finally, it would be desirabl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and to attract more foreign students and the demand to attract excellent foreign students in a complementary manner. 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유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상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하고 기존의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이 변화된 상황에 맞는지 확인한 후 변화된 상황에 맞는 새로운 정책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팬데믹 상황이 언제 종식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얼마나 감소할지도예측하기 쉽지 않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여 기존의 오프라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온라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관련하여 특정 국가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것을 개선하여여러 국가로부터 다양하게 유치하는 소위 ‘유학생 다변화’ 정책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해야 한다는 요구와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해야 한다는 요구의 관계를 상충되는 관계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병행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후진타오정부의 균형 경제발전정책 연구

        홍정륜 한국중국문화학회 2007 中國學論叢 Vol.24 No.-

        A Study of the 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of the Hujintao Government

      • KCI등재

        강릉 단오제의 세계무형유산 등재 관련 한중 갈등의 발전적 전환과 응용

        洪廷倫 ( Hong¸ Jung Ryun ) 현대중국학회 2021 現代中國硏究 Vol.23 No.3

        본 논문은 한중 문화갈등의 원인과 해결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한류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난 반한류는 한류가 매우 흥행하는 중에 한류와 공존하는 형태로 나타났기 때문에 크게 문제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강릉 단오제 등재와 관련된 갈등이 중국에서 크게 일어났을 때는 중국인과 중국 정부가 모두 반발하였다. 한중간의 학술교류는 간접적으로 중국 정부가 강릉 단오제의 유네스코 등재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는데 적지 않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강릉 단오제의 갈등을 사후적으로 수습하려다 보니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한국은 상당히 피해를 감수해야 했다.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 신청을 하기 전에 중국과 강릉 단오제에 대한 소통을 통해 중국인의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선행될 필요가 있었다. 향후 한중 양국은 문화교류를 통해 양국의 문화를 서로 이해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derive a desirable solution by analyzing the causes and processes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In general, the anti-Korean Wave, which emerged as a reaction to the Korean Wave, was not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appeared to coexist with the Korean Wave. However, both the Chinese and the Chinese government protested when conflicts arose in China regarding the listing of the Gangneung Dano Festival. Academ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solving misunderstandings over the registration of the Gangneung Dano Festival to the UNESCO. However, Korea had to bear considerable damage until the conflict caused by the Gangneung Danoje was resolved. Before applying for the listing as a world intangible heritage,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Chinese people by increas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Gangneung Dano Festival in China. In the future, South Korea and China need to understand and develop the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through cultural exchanges.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빈곤퇴치 정책의 명과 암

        홍정륜 ( Jungryun H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중국의 빈곤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중국 정부의 빈곤퇴치 정책이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었는지 중국통계연감의 수치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 한계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 대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정부는 빈곤 대상을 조정하고 그 대상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을 통해 빈곤퇴치에 상당한 성과를 올렸다. 중국통계국이 제시하고 있는 빈곤선을 기준으로 보면 빈곤인구와 빈곤발생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절대빈곤인구 감소와 달리 상대적 빈곤의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상대적 빈곤의 문제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문제뿐만 아니라 동부와 중서부, 그리고 농촌과 도시 간의 경제적 격차 등 다층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의 빈곤퇴치 정책은 주로 정부가 중심이 되어 지원대상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왔다. 향후 정부 외에도 기업이나 민간인이 빈곤퇴치나 상대적 빈부격차 해소를 위해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a situation where China’s poverty population is rapidly decreasing, this paper specifically analyzes how much the Chinese government’s anti-poverty policy has achieved, and identifies what its limitations are by using figures from the Chinese statistical yearbook and suggests the alternatives. The Chinese government has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in eradicating poverty through policies to adjust poverty targets and expand support for them. According to the poverty line proposed by the China statistical bureau, the poverty population and poverty incidence rate continue to decline. However, unlike the decline in the absolute poverty population, the problem of relative poverty is very serious. The problem of relative poverty shows a multi- layered structure, such as not only the problem of high-income and low-income families, but also the economic gap between eastern and midwest, and the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China’s anti-poverty policy has been mainly pursu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civilians will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eradicating poverty or narrowing the relative gap between rich and poor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의 기업개혁과 사회주의 지속성 문제

        홍정륜 ( Jung Ryun Hong ) 한중사회과학학회 2005 한중사회과학연구 Vol.5 No.-

        This paper includes the process of the reform of enterprises in China in terms of planning and ownership.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China had run its economy on a basis of `socialist planning economy`. Since the policy of reform and opening in 1978, the Chinese government has executed the new economic system, `merchandise economy including planning` and has achieved the rapid economic growth thanks to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of market. China abandoned planning economy and began to perform the new economic system, `socialist market economy` in 1992. In the socialist economic system, planning has been abandoned and market established firmly. In addition, as the rate of private sector increases, the rate of state-owned and group-owned sector decreases gradually. But it cannot be said yet that private sector surpasses public sector. While China sustains socialism on a basis of public ownership, it cannot be ignored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