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공무원의 신뢰형성요인, 신뢰 및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1

        신뢰는 대인관계나 집단행동과 같은 조직학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신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경찰이 최상의 치안서비스 제공과 안전한 사회 건설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찰조직내의 신뢰형성요인과 신뢰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지방경찰청별로 각 50명씩 800명을 대상으로 첫째, 기존의 대인관계 신뢰와 조직신뢰에서 언급되었던 신뢰형성변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신뢰형성요인을 규명하고자하였다. 즉 신뢰형성요인을 조직적 요인(조직구조, 조직분위기, 조직문화,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과 상관의 개인적 행동특성(성실성, 업무능력,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신뢰가 경찰공무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신뢰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존의 신뢰관련 연구들이 신뢰의 원인 또는 결과의 한 측면만을 다루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들 간의 통합적인 모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찰공무원의 신뢰를 매개변수로 하고 그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분석하여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분석결과 조직적 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경찰공무원 신뢰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를 통하여궁극적으로 경찰공무원의 신뢰와 조직효과성의 증진방안을 도출하는 실증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rust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every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 Trust, &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 Trust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Police officer`s trust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 this study, In the influences that Organizational factors, & Lea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on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lice officer`s trust`s" moderate effect was verified.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trust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2 categories; Organizational factors, & Lea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 i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oderate variable is "Police officer`s trust.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22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41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crosstabs, anova, frequency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and AMOS 7.0.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구성원의 조직신뢰가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적 후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익성,선화,김현덕 한국항만경제학회 2023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9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of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employee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e purpose of this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a literature review and a questionnaire,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trust of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employee was found to have a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rust in the company appearedto be more important than trust in the superior, indicating trust in the institutional aspect. This means that formation has mor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izational support of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employeecan lead to active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expansionof educational compensatory support. Third, among the organizational support of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emotional support andeducational compensatory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Emotion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caring and active participation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between trust in the compan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a moderatingeffect on caring, active participation, and non-complain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trust in superi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Compensatory education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altruistic, caring, active participation,and non-complain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the company and organizationalcitizenship behavio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n active participationand non-complaining behavior. These analysis results mean that members' trust in the company further increases through thecontainer terminal operator's emotional support and educational reward support. As uncertainty grows, i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trust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organization. sense of belonging to the organization,Emotional support that can increase immersion,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provision of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ducation-compensatory support such as a fair compensation systemwill increase organizational trust and induce effecti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realizesustainable growth of the organization.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구성원의 조직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의관계에서 조직적후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설문지를 배포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구성원의 조직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에 대한 신뢰보다 회사에 대한 신뢰가 더 중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제도적측면에서의 신뢰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구성원의 조직적후원은 교육보상적지원 확대를 통해서 조직시민행동의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조직적 후원 중 정서적 지원과 교육보상적지원이 조직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지원은 회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배려적·적극적 참여 행동에 조절효과가 있으며,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배려적·적극적 참여·비불평적 행동에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보상적지원은 회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이타적·배려적·적극적 참여·비불평적 행동에 조절효과가 있으며,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배려적·적극적참여·비불평적 행동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구성원들의 회사에 대한 신뢰가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정서적 지원과 교육보상적 지원을 통해 더욱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조직에 대한소속감, 자긍심, 몰입감 등을 높일 수 있는 정서적 후원과 업무수행환경 개선 및 교육의 기회 제공, 공정한 보상시스템 등의 교육보상적 후원을 통해서 조직신뢰를 높이고 효과적인 조직시민행동을 이끌어냄으로써 조직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리더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리더동일시의 조절효과 검증

        이철우 ( Lee Chul W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현대조직에서 유연한 조직으로의 변화는 성과중심적인 경쟁을 유발시켜 조직 구성원들 간의 신뢰를 어렵게 만들기에 조직 내에서 신뢰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신뢰를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여 리더신뢰, 조직시민행동, 리더동일시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인지적 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정서적 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지적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신뢰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리더동일시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로 리더신뢰 연구에서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은 조절변수인 리더동일시를 설정하여 리더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실증한 점이며 후속연구로 조직수준에서 신뢰의 효과를 검증하는 조직신뢰,조직시민행동,조직동일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The change from a modern organization to a flexible organization leads to performance-oriented competition, making trust among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difficult, and the importance of trust research in the organization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leader identification was verified by separating leader trust into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trust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affective trust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affective trus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eader identific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process by which leader trust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establishing leader identification, a control variable that has not been addressed previously in leader trust research and the follow-up study suggest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hich verifies the effect of trus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조직내 신뢰와 조직성과간 관계 연구

        윤현석 ( Hyunseok Yo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내 신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경찰공무원의 조직내 신뢰 수준을 높이고 조직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광역시 등 경찰공무원 159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조직내 신뢰에서 조직신뢰와 상사신뢰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둘째, 동료신뢰와 조직성과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동료신뢰, 조직신뢰, 상사신뢰 등 조직내 신뢰의 하위변인 모두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찰공무원의 조직내 신뢰 수준을 제고하고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첫째, 공정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조직문화 구축, 둘째, 동료간 협력과 지원을 위한 관계 증진프로그램 마련, 셋째, 부하로 하여금 상사를 신뢰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을 특정지역의 일부 경찰공무원만 선정하여 조사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보다 많은 지역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하여 인과적으로 타당성 있는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lice officials' trust in the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trust of police officials in the organization and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this end,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on 159 police officials in K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trust and superior trust was relatively low in the trust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peer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the highest. Third, all sub-variables of trust within the organization, such as peer trust, organizational trust, and superior trust,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trust of police officials in the organization and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following measures were proposed. First, establish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values fairness and rationality, secon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for cooperation and support between peers, and third, it is a way for subordinates to trust their superiors. Since this study selected and investigated only some police officials in a specific area,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we should conduc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al and valid variables, includ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targeting more local police officials.

      • KCI등재

        경찰조직 내의 신뢰가 경찰관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유석,허용훈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1

        경찰 조직 내의 신뢰는 사회자본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경찰관들의 행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사기(morale) 등은 물론 나아가 직무성과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은 업무자체나 업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일종의 자신감으로서 경찰관의 심리적·정서적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직무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경찰관이 갖추어야 할 주요 자질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찰조직 내의 신뢰와 자아효능감이 지역치안 확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이들 두 변수간의 관계를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인 경찰조직 내의 신뢰수준의 평균값은 3.36으로 경찰관들은 경찰조직 내의 신뢰수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지표별로는 성실성, 정직성, 호의성에 대한 신뢰수준의 평균값은 3.5를 상회하고 있으나, 어려움에 처했을 경우의 조직의 지지에 대한 신뢰수준에 대한 평균값은 2.9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속변수인 자아효능감의 평균값은 3.93으로 경찰관들은 업무와 관련한 본인들의 자아효능감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경찰조직 내의 신뢰수준은 통제변수를 포함한 회귀분석에서 경찰관의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경찰조직의 성과제고를 위해서는 대인관계에 기초해서 생산의 하부구조를 구성하는 신뢰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조직 구성원들 간의 신뢰수준의 제고는 곧 구성원 개개인들의 자아효능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높여진 자아효능감은 성과제고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신뢰수준의 제고를 위해서는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참여기회의 확대, 상의하달식 의사소통구조의 개편, 동아리 활동 등의 활성화 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trust influences on their perception on self-efficacy by analyzing survey data. Organizational trust within police organizations, as a key component of social capital within organizations, is known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personal behavio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ale, and job performance.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is seen as a type of self-confidence recognized with job itself and in the process of the work. As a key indicator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ersonal well-being, self-efficacy is considered one of essential qualifications that police officers are to be equipped with since it eventually determines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measures the level of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trust and self-efficacy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trust on self-efficac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conducted on 314 police officers ser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organizational trust is 3.36, which shows that even though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trust is positive but in short of satisfaction. Second, the mean of self-efficacy is found to be 3.93 which show that police officers maintain relatively high level of confidence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ir dutie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organizational trust within police organization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trust level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long as policing is a cooperative work in natur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olice organizations can not be improved not by increasing individual competency and expertise but by cooperations among various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units. Without trust within organizations, successful cooperations among relevant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units can not be achie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police management to maintain the level of trust within police organizations to improve performance level of police organizations.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several policy means to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trust within police organizations.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공무원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09 한국경찰학회보 Vol.11 No.4

        조직몰입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들은 조직몰입이 직무만족보다 조직구성원의 이직률 등을 보다 잘 설명해주며, 조직몰입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구성원의 성과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많아지고 또한 조직몰입이 조직효과성의 유용한 지표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조직몰입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안정성을 갖고 있어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사이의 관계를 잘 설명해주는 변수이다. 경찰조직도 과거와 달리 조직중심의 운영보다는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성과 신속성이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고, 이는 조직몰입이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은 조직 구성원에게 재량권과 자율성을 주어야 일어나며, 재량권과 자율성은 조직 내에서의 신뢰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조직신뢰, 상관신뢰, 동료신뢰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하위변수로 감정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몰입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경찰공무원으로 하였으며, 전국 16개 지방경찰청별로 각 50명씩 800명을 선정하여 신뢰정도와 조직몰입을 실증적으로 측정해보고,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감정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는 동료신뢰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규범적 몰입에는 조직신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료신뢰가 감정몰입과 지속 몰입, 그리고 하위 변수 세 개를 통합한 조직몰입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찰이 조직 내 직원관리와, 직원들 간의 상호 높은 신뢰가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rust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every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olice officers` Trust &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Trus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organiz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three dimensions of Police officers` Trust was cor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trust improvement casting plan for the polic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trust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3 categories;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Peer Trust`. and Dependent variable is comprises 3 categorie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89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58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ova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In the conclusion, Peer Trust was highly influential to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Trust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항공사 종사원의 신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기은혜 ( Eun Hye Ki ),구본기 ( Bon Ki Ko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신뢰의 유형을 조직신뢰, 동료신뢰, 상사신뢰로 구분하여 항공사 종사원의 조직성과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과 연구 설계에 의해 연구모형과 3개의 가설이 도출되었고, 실증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항공사 종사원의 조직신뢰, 상사신뢰, 동료신뢰 중 조직신뢰와 동료신뢰만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신뢰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종사원의 조직신뢰, 상사신뢰, 동료신뢰 중 조직몰입에는 모든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항공사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서는 근무여건, 환경, 복지 등의 개선 이 필요하다. 항공사는 종사원의 경력사항 요구가 많으므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고, 항공사 종사원들이 전문가로서의 발전과 성취의식을 고취할 수 있도록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보상, 근무조건개선 등의 제도적 여건이 마련 되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clarify the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trust on airline employe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differentiating the types of trust into organizational trust, companion trust, and superior trust, and seek for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measure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oretical examination and study design of this study led to a study model and seven hypotheses and a few important facts were discovered regarding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First, among airlin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superior trust, and companion trust, only organizational trust and companion trust were found to have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Superior trust did not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among airlin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superior trust, and companion trust, all the variables influence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n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ir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is study result,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following suggestive points. First, for airlin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rovement in working conditions, their environment, and welfare is necessary. Airlines` demand on employees` working experiences is high and therefore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should be created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economic rewards, and improvement in working conditions so that employees can develop as specialists and have a sense of achievement.

      • KCI등재후보

        코칭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매개효과

        박주현,윤병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표본은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31일까지 서울지역 주요 제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50부를 배포하여 547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최적구조모형 도출 방법을 활용하여 코칭리더십, 신뢰,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범주에서 수행되었다. 하나는 코칭리더십(피드백, 관점변화, 인정), 신뢰(상사의 부하신뢰, 부하의 상사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다른 하나는 코칭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 중 인정은 신뢰(상사의 부하신뢰, 부하의 상사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을 설명하는 변인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피드백은 상사신뢰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관점변화는 신뢰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상사의 부하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코칭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사이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가 규명되었다. 코칭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의 피드백과 인정은 신뢰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으나, 관점변화는 신뢰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코칭리더십의 연구는 주로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신뢰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조직시민행동으로 연구범위를 확장한 의의를 지닌다. 둘째, 신뢰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차별적임을 밝힘으로써 이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코칭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간 작용하는 신뢰의 매개메커니즘을 밝혀 흥미로운 후속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defined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aching leadership,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using best structural modeling method. Firstly, it defined that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feedback, change of perspective, recognition) and trust(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subordinate’s trust in supervisors), also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ly, it defined that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ajor empirical results of analysis about established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defined that recognition is a factor which explains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eedback affect the trust in supervis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change of perspective is not. Also,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shows meaningful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ly, mediating effect of trust is identified in relationship between both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 indicates that feedback and recognition has complete mediating effects by trust in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change of perspective has no such effect. First, the old research of coaching leadership was concentrated to work-contentment, work-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trust, it has widened its research range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by revealing that segmented type of trust discriminately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earch has paved the way for researchers to have interests on such fact. Third, it has strengthened the basis in order for the research to proceed further by revealing mediating mechanism of trust which interacts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task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연구 : 안산지역 공단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김문준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4 경영컨설팅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중소기업관리자들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에 안산지역(시화 및 반월공단)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진단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의 SPSS 20.0 프로그램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 내 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학자들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리더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조직 신뢰와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를 실증분석 결과와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신뢰 사이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 개별적 배려와 지적자극의 변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둘째, 조직 신뢰와 조직몰입사이의 관계를 검증한 분석결과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신뢰와 동료신뢰를 높게 지각할수록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신뢰와 상사신뢰는 정서적 몰입을 증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적자극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관계에서 조직신뢰가 규범적 몰입에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지적자극에 있어 조직신뢰 없이는 조직몰입을 기대할 수 없음을 의미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rying to do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regarding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ME managers affect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tilized for the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diagnosis targeting the SMEs in Anshan area (Sihwa and Banwol Industrial Complex) and when it comes to analytical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and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three-step procedure of Baron & Kenny (1986)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within the organization regarding on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Meanwhile, in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results for the leadership that previous researcher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 results and major im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extracting a fact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factors of intellectual stimulation have been effectively made per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second, the analysis result which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shown that when organizational members highly perceive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trusted colleague,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ird, organizational trust and trusted supervisor were shown as important factors in proving affective commitment per the analysis result of the organizational trust’s mediating effect in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as organizational trust is showing the full mediating effect in normative commitment in effect relationship of intellectual stimul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means organization commitment cannot be expected without organizational trust in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 KCI등재

        정부기관콜센터 상담사의 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선교 ( Jeong Seon-kyo ),정기주 ( Ki-joo Jeong ),박남구 ( Nam-gu Park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3

        기업의 우선적인 과제가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조직구성원 유지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조직구성원을 유지하고 이직을 줄이는 방안으로, 조직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직무에 대한 만족감과 조직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야 하며, 직무만족과 조직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신뢰를 기본으로 한 조직운영 전략이 필요하다. 정부기관 콜센터 상담사를 대상으로 신뢰와 직무만족, 조직충성도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콜센터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신뢰를 상사신뢰, 동료신뢰, 조직신뢰라는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직무만족은 단일요인으로 조직충성도는 하위변수인 조직추천, 자기희생, 자발성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신뢰와 조직충성도 사이에 직무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구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정부기관 콜센터 4곳의 상담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신뢰 요인 중 조직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고 다음으로 동료신뢰가 영향력 있으며, 상사신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은 조직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은 신뢰와 조직충성도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기관 콜센터 상담사의 조직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직무만족은 조직신뢰와 동료신뢰가 있을 때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정부기관 상담센터는 상담사들의 소통과 협업을 통하여 동료 간 신뢰가 형성될수록, 그리고, 조직구성원과 정직한 소통과 인사·재무의 능률적 관리와 공정한 대우를 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조직신뢰도를 높일수록 업무에 대한 만족과 직업에 대한 자부심, 직무를 수행하면서 보람을 느끼게 하고 이것은 결국 조직충성도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기관 콜센터 상담사의 신뢰와 직무만족, 조직충성도의 관계 조사를 통해 상담사의 이직률을 낮추고 업무성과를 높이고 질적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priority task of the company is changing into a strategy of secur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and focusing on the maintenance of the organization members. To do this, companies need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in order to maintain organizational members and reduce turnover.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trust are need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of government agency call center counselors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all center organization operations. First, trust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pervisor trust, pee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Job satisfaction is a single factor and organizational loyalty is composed of sub - variables: organization recommendation, self - sacrifice, and spontaneity. Second, we examined whether trus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and whether job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loyalty. For this study, counselors from four government agencies’ call centers were surveyed. SPSS 22.0 was used for analysis of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organizational trust facto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loyalty, followed by peer trust, and supervisor trus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oyalty. Also,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oyalty, and job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loyalty. In other word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loyalty of the call center counselors of government agenc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organization members, and job satisfaction improves when there is organizational trust and peer trust. This means at the government agency counseling center, the more trust is formed between the counselors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 counselors, and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trust through the honest communication,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the fair treatment of personnel and finance, the more satisfaction, pride in work, and fulfillment, which in turn leads to organizational loyalt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n efficient way to manage human resources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counselors, enhance performance and improve qualit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of the call center counselors of government ag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