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지체아와 비정신지체아의 성공-실패 상황에서의 귀인성향에 대한 연구

        박현옥,장성집 한국발달장애학회 2005 발달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ttribution propens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with that of normal children in the situation of success-failure among control matters and attribution propensity factors by mental age, chronological age, and sex, and surveyed 90 children who were seven years of mental age and ten years of chronological 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ttribution propensity of the same mental age groups that mentally retarded children were attributed to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in the success situation and ability in the failure situation while normal children were attributed to effort in the success situation and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in the failure situation. These kinds of phenomena are more noticeable in the failure situation than the success situation. Second,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ttribution propensity of the same chronological age groups that normal children were attributed to the difficulty of task while mentally retarded children were attributed to their own inability in the failure situation Consequently, mentally retarded children were attributed to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in the success situation and ability in the failure situation while normal children were attributed to effort in the success situation and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in the failure situation. Third,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ttribution propensity according to sex except that female were attributed to the efforts in the failure situation than male in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ttribution propensity between sex in normal children.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와 비정신지체아의 성공-실패 상황에서의 귀인 성향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학생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 정신연령이 동일한 비정신지체 학생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 생활연령이 동일한 비정신지체 학생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귀인성향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연령이 동일한 양 집단의 귀인성향을 통제소재, 귀인요인에 따라 비교했을 때, 정신지체아는 성공을 과제 곤란도에, 실패를 능력에 귀인하며, 비정신지체아는 성공을 노력에, 실패를 과제 곤란도에 귀인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생활연령이 동일한 양 집단의 귀인성향을 통제소재, 귀인요인에 따라 비교했을 때, 비정신지체아는 실패를 과제 곤란도에, 정신지체아는 자신의 무능력에 귀인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성별간의 귀인성향은 실패상황에서 실패의 원인을 남아가 여아보다 노력부족에 높게 귀인하였을 뿐 다른 요인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비정신지체아의 성별간 귀인성향에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정신지체아의 사회적응기술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조인수 ( In Soo Cho ),한옥희 ( Ok Hee Ha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능력이 어느 정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가를 밝혀 보다 바람직한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 형성으로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양육태도를 시사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정신지체아 부모의 양육태도를 밝히고, 둘째,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능력을 밝히며, 마지막으로,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능력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정신지체아 부모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양육태도에서 가장 높고, 자율적, 거부적, 통제적 양육 순이다. 변인에 따른 양육태도는 고연령, 고학력, 고수입, 종교를 가졌을 경우, 첫째 자녀, 초등부자녀, 남자일 경우 더 애정적ㆍ자율적이다.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능력은 평균 이하로, 놀이활동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회성 일반, 규칙과 법, 대인관계, 자기존중, 자기보호, 책임감 순이다. 정신지체아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능력간에는 상관이 있다. 자율적 양육태도에서는 사회적 능력 하위영역 전반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The study is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daptive skills and rearing attitud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en is investigate factors of rearing attitud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fluencing to their social competenc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aring attitud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high in order of affective attitude, and autonomous, refusal, control attitude.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variables is more affective and autonomous in order of age, schooling, income, religion, first child, chi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schoolboy. Second, social competencies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ppear to level of subaverage. Social competencies according to sub-domains is high in order of play activities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ocial, rule and law, interpersonal skills, self-esteem, self care, and responsibility. Social competencies according to school year is high in order of middle school 3 grade group, middle school 1 grade, middle school 2 grade, elementary school 1, 2 grade group, and 3, 4 grade. In gender, schoolboy is high than schoolgirl, as well is high social, play activities, rule and law, interpersonal skills, responsibility and self care, while schoolgirl is high than schoolboy in self-esteem. Third,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aring attitud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social competencies. Especially,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at sub-domains of social competencies in autonomous rearing attitude. Therefore,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mor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autonomous, the more social competencies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improve.

      • KCI등재

        정신지체아의 발달권 증진을 위한또래갈등 해결전략 연구

        강영심,황순영,이태헌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eer-conflict solving strategie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ompared with children without mental retardation in the same age under the circumstances of peer conflict. The subject of this investigation is chosen as 3, 4, 5, 6 grad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mong 22 elementary schools and children without mental retardation with random sampling same as one with mental retardation among 2 elementary schools in B city. To find peer-conflict solving strategies, the 8 hypothetic circumstances of peer conflict were set up and showed to children and asked to answer the question with the individual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hildren without mental retardation can offer more various kinds of answers than one with mental retardation even though difference is not that big. This result shows that the order of strategy tha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prefer is self-assertive, passive, social, hostile and appeal to authority strategy and that of strategy that the children without mental retardation prefer is social, self-assertive, hostile, passive and the appeal to authority strategy. Consequently, analyzing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re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use the social strategy, the less they use the hostile one and the more they use the self-assertive strategy, the less they use the passive one.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가 일반아와 비교했을 때 또래갈등 해결전략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정신지체아의 원만한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발달권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의 초등학교 3, 4, 5, 6학년 정신지체아 35명과 이들과 생활연령이 같은 2개 초등학교 일반아 35명이다. 8가지 또래갈등 상황을 제시하여 아동의 해결전략 반응을 수집하여 집단간 또래갈등 해결전략을 비교하였고, 각 갈등상황별로 이들이 제시한 해결 전략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수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정신지체아들은 또래갈등 해결전략으로 자기주장적 전략과 수동적 전략을 많이 제시한 반면, 일반아는 친사회적 전략을 가장 많이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아가 정신지체아보다 사회적인 용어들을 사용하여 더 다양하고 폭넓게 갈등해결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지체아의 성공적인 사회적 관계를

      • 정신지체아동 방과후 지도 프로그램에 관한 어머니의 욕구 분석

        이애경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5 아동중심실천연구 Vol.2 No.1

        본 연구를 통하여 정신지체아동의 방과후 지도 실태와 정신지체아동 어머니의 방과후 아동지도에 대한 욕구를 측정하고자 한다. 항상 정신지체아동에게 매어 있어야 하는 어머니와 그 가족은 세월이 지나 갈수록 지치게 되고, 특히 특수학교에 다니는 정신지체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들은 방과후 일반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들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자녀에게 매어 지내야 하므로 정신지체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들의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분석 하고자 한다. 정신지체아동은 적절한 방과후 지도를 받음으로써 신체적, 심리적 기능 향상 및 생활안정을 통하여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정신지체아동을 둔 가족들에게는 정신지체아동의 항시 보호와 금전적 문제 등의 부담감을 해소함으로 가족의 순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대구지역 정신지체아동 중에서 방과후 아동지도 대상의 비중이 높은 특수학교 중 정신지체학교에 다니는 아동 어머니 314명 중 무작위 추출 방법으로 어머니 250명을 선정으로 하였다. 그 결과 197명이 설문지에 응답했지만 부적합하게 기재한 것을 제외한 17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FOR WINDOWS VER 10.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고, 각 변수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비용은 국가와 부모가 공동 부담하거나 저렴한 비용으로 정부가 비용을 부담하고, 전문적인 기관에서 방과후 아동을 지도하기를 희망하였다. 그 이유로는 전문적인 기관에서 정신지체아동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둘째 방과후 아동의 주 보호자는 어머니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보호자가 없을 때 복지관이나 집에서 혼자 지낸다로 응답하였다. 이는 정신지체아동을 자신의 보호 하에 두거나 믿고 맡길 수 있는 시설에 두고자 함을 알 수 있다. 방과후 비용은 월 소득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월 소득이 높을수록 방과후 비용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방과후 프로그램 실시하는 적절한 기관으로 장애인 종합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의 중요한

      • KCI등재

        정신지체아의 문자지도방법 개선을 위한 수업모형과 프로그램 구안 실제

        여광응,노창수,강미라,박현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 No.1

        이 연구는 정신지체아의 문자학습의 곤란 원인을 구명한 후, 정신지체아를 위한 문자지도 수업모형과 프로그램을 구안하려는 목적으로 정신지체아의 문자학습지도와 관련된 국내 논문 55편을 분석하였다. 정신지체아의 효과적인 문자지도 방법으로 제시된 수업모형A는 시지각 어휘훈련, 글자형태지도, 낱말지도, 문장학습, 글 읽기의 순서이며, 수업모형B는 시지각 훈련, 글자형태 파악, 낱말학습, 문장학습, 문형학습, 제재학습의 단계 순이다. 구안된 읽기 프로그램의 활동단계는 그림과 낱말 대응하기, 글자모양의 차이 구별하기, 간단한 낱말 따라 읽기, 각종 생활 표지판 및 안내판 읽기이며, 쓰기 프로그램의 활동단계는 필기도구 바르게 잡기, 주어진 자료의 범위에 그리기, 인쇄된 부분 따라 쓰기, 보기글자를 바르게 옮겨 쓰기이다. 정신지체아는 생활 속의 다양한 환경에서 문자 지도가 실시되어야 하며, 경험의 다양성을 감안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literacy model and program on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for chid with mental retadati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Primary data was analyzed papers and Iiteratures related to instruction-learning in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condary programs were developed through analytic model, which enabled the data to be organized and linked systematically for literacy activities. Developed reading program was the sequences the followings that include matching of picture and word, differential of letter shape, repeating simple word, reading board and bulletin. Furthermore, activities stages or writing program was upright grasping pens, drawing at limited line, rewriting dot line, writing sample word. Conclusions from the data suggested tha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ust be prepared for literacy activites to learn reading and writing into therir various environment. Combined teaching strategies from both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must be support each child's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and progress.

      • 정신지체아학급의 효과적인 좌석배치에 관한 교사의 인식도 조사

        국미경,김미숙 한국발달장애학회 2002 발달장애연구 Vol.6 No.1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 seat arrangement in the classrooms for the mentally retarded. The consequent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of seat arrangement types, which are effective i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in promoting their learning performance, as well as which are proper for each subjec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13 teachers of the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located in Jeollanamdo and Jeollabukdo. The consequent result is as follows: First, teachers of the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perceived that face-to-face arrangement was effective in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Especially,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eat arrangement, by which mutual imit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s were best achieved, was face-to-face arrangement. This tendency of perception was higher in the teachers with a teaching experience longer than 10 years than those with shorter than 10 years of experience. Besides,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is arrangement was best for peer teaching between the learners. This tendency was higher in the teachers with longer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ith qualifications for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han other teachers. Second, teachers of the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perceived that U-shaped arrangement was effective in their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Especially,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eat arrangement, by which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 is best achieved and that was most effective in individual learning, was U-shaped arrangement. This tendency of perception was higher in the teachers with a teaching experience shorter than 10 years than longer than 10 years. Third, teachers of the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perceived that U-shaped and face-to-face arrangements were suitable for the basic subjects; U-shaped for music subject, and; face-to-face for art and operation subjects. Especially,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face-to-face arrangement was best for art subject. Thistendency of perception was higher in the teachers with a teaching experience longer than 10 years than shorter than 10 years. A substantial number of teachers perceived that face-to-face arrangement was best for operation subj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perception of this than middle/high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정신지체학교 교사의 정신지체아학급의 효과적인 좌석배치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써 전남․북지역의 11개의 정신지체학교 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신지체 학교 교사는 정신지체아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에 대면형이 효율적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정신지체아 학습자의 학습수행에는 U자형과 대면형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과목별로 볼 때 기본교과에는 U자형과 대면형이, 음악과에는 U자형이, 미술과와 작업과는 대면형이 적합하다고 인식하였다. 즉 정신지체아를 지도하는 교사는 상황에 따른 가장 적합한 좌석배치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질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수판셈학습이 정신지체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찬웅,임동찬 한국발달장애학회 2003 발달장애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in the abacus calculation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 . 32 random subject students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belonging to the students in special classes for the education of mental retarded children in two handicapped middle schools. The studen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abacus calculation is applied to the numeral conception on the mathematical basic ability, numeral skill ability and the learning for mathematical ability investigation into the calculation ability. The research field is parted in six. The numeral conception as a basis of numeral organization is cut in two, the numeral counting and the numeral understanding. The numeral function ability as a basis of connectional thought is split in two, the numeral composition and the numeral decomposition. The calculation ability as a basic operation ability is divided into addition used for numeral composition and subtraction used for numeral decomposition. Leaning methods are like this ; the experimental group learns math applied abacus calculation learning and the comparative group learns math applied traditional method. What measure the learning results is used as data. The data are measured the learning outcomes used some experimental instruments after the research. The summarized results that abacus calculation learning effect the mental retarded children of the ability improvement go like this. The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grades of the group applied the abacus calcul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applied the traditional method. The abacus calculation learning effects the mental retarded children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Second, there was the broadest gap between the two groups in copying Design 7, which sign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with father or other dominant male. Design 6 was copied by the two groups in the second most different manner, followed by Design A, Design 3, Design 4, and Design 8 in the order named. Design 6 is looked upon as a mirror of affective state, like transient emotions and moods, and Design A signifies the experienced relationship with mother and the experienced heterosexual relationship. Design 3 is assumed to stand for ego-drive, being viewed as an index of assertiveness, motivation and the tendency toward self-expression. Design 4 elicits association about the relationship of mother or heterosexual relationship, and Design 8 facilitates the projection of the test subjects' perception of the ego or phenomenal self. Third, when the symbolic meaning and interpretative hypotheses of the BGT designs were considered, the major personality traits of the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s behavior were troubled human relations, hostility, impulsiveness, acting out, a sense of pressure, fear, a sense of inferiority and psychological withdrawal. The teacher observation results agreed to these findings in large part. 본 연구는 수판셈학습이 정신지체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특수학교 2개교에 소속된 특수학급의 정신지체아 32명을 무선으로 피험자를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대상을 구분 수학적 기초 능력인 수 개념, 수 기능 능력, 계산 능력에 대한 수학능력 탐색을 위한 학습에 수판셈학습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수판셈학습을 적용한 정신지체아 집단은 전통적인 수학학습을 적용한 집단보다 수학능력의 향상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이론적 배경을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수판셈학습은 정신지체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아의 선택적 주의집중력과 지속 행동에 미치는 효과

        마종문 한국심리협회 2009 심리행동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아의 선택적 주의집중력과 주의집중 지속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아의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탐구한다. 둘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 지속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탐구한다. 연구방법은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중이며 주의력이 결핍되고 원예활동에 흥미를 가지는 경도 정신지체아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아동을 대상으로 기초선단계, 원예치료 프로그램 중재단계 그리고 유지단계를 측정하는 실험설계인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법을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활동 전후의 표적행동의 변화를 임상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선택적 주의집중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중심우발적 주의 집중과제(CIAT)의 측정결과 중심과제에서는 기초선보다 중재시 평균 8.8점(120%)으로 향상되었으며, 유지기간에는 평균 9.3점(135%)으로 향상됨을 보였고, 우발과제에서는 기초선보다 중재시 평균 10.8점(80%)으로 향상되었으며, 유지기간에는 평균 11점(83%)으로 유지됨을 보였다. 둘째, 주의집중 지속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표적행동의 발생빈도가 기초선보다 중재시 평균 23.3회(140%)로 안정되게 증가하였으며, 유지기간에는 평균 26회(170%)로 향상됨을 보였다.

      • KCI등재

        다운증아의 촉각 및 시각 변별능력 특성에 관한 연구

        윤문숙 한국인간발달학회 1995 人間發達硏究 Vol.- No.2

        본 연구에서는 다운증아 39명, 비다운 정신지체아 39명, 정상아 39명을 대상으로 자극형태와 반응형태를 삼지선다 방법으로 촉각-촉각 변별능력, 촉각-시각 변별능력, 시각-촉각 변별능력과 시각-시각 변별능력에 있어서 정신연령이 동일한 다운증아, 비다운 정신지체아와 정상아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통계검증으로는 일원변량분석을 했고 분석결과 4개 변별검사의 득점에서 모두 집단 변인의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각 변별능력에 대해서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려고 다중비교로 Scheffe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촉각-촉각 변별능력, 촉각-시각 변별능력과 시각-촉각 변별능력에서는 다운증아가 비다운 정신지체아나 정상아보다 열등했으나 비 다운 정신지체아와 정상아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시 각-시각 변별능력 에서는 다운증아와 비다운 정신지체아는 정상아보다 열등했으나 다운증아와 비다운 정신지체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과학과 교수적 수정이 정신지체아의 과학과 의사표현력에 주는 의미

        김영한,김성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2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which explains what understands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 in science subject have on the ability of expression of science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sixth grade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in the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The program was conducted seventeen times in total(including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during spring semester in 2010. We selected two units in science subject of first semester in the 6th grade and reconstituted them considering his ability and level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 in science subject presented by Beonyoung Kim & Park Seung Hee(1997). Processing materials was obtained by three following methods: observation log in individual lessons, recording data of lessons applied by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 and daily journals of group members later coded collectively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 data. The conclusion drawn by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 in science subject improved the expression ability of the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The frequency of the questions which he asked alone and subsequently answered increased although they were made up of one or two words at most. Also, he could make a presentation in a loud voice and ask what he wanted by himself.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수적 수정이 정신지체아의 과학과 의사표현력에 주는 의미를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정신지체 3급 남학생 1명이 과학과 교수적 수정을 통해 얻어지는 과학과 의사표현력에 주는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에 정신지체아는 과학과 수정을 통해 과학과 의사표현이 역동적으로 발산해 냈고 이 과정에서 과학과 의사표현력의 다양한 하위개념들이 심화되었다. 특히, 과학과 수업에서 궁금한 것 질문하기가 활발해 졌으며, 과학과 수업에서 교사나 모둠원의 질문에 답하기 등과 같은 교사-학생 간의 상호작용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과학과 수업에서 적극적으로 발표하는 것도 향상되었고 친구들에게 도움 요청하기 등과 같은 학생-학생 간의 관계도 풍부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신지체아에게 적절한 과학과의 교수적 수정은 그 아동의 과학과 의사표현력을 역동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유의미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과학과 교수적 수정은 과학과 수업에서 의사표현력에 어려움을 겪는 정신지체아에게 과학적 의사표현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적 실천행위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