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황순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4

        Adaptation Process of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특수교사들이 처음 경험하는 교직생활을 어떻게 적응을 해 나가는지 그 적응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임 특수교사 20명을 대상으로 2004년 3월부터 10월까지 면담, 참여관찰, 내러티브 탐구, 포커스 집단 면접법 등울 실시하여 이들의 교직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는 삼각측정법을 통한 타당화 작업을 통해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실시하여 교직생활의 적응과정을 대표 종합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이 주제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즉, 초임 특수교사들은 ‘성실을 바탕으로한 현실 순응형’, ‘개척정신을 가진 탐험형’, ‘카오스상태의 혼란형’과 같이 크게 세가지 유형으로 교직생활에 적응해 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 유형별 초임 특수교사들의 실제 교직생활의 모습들을 제시하면서 교사양성기관의 역할, 학교문화와 풍토의 중요성, 초임특수교사의 지원체제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주제어> 초임 특수교사, 초임교사, 교직생활, 적응과정

      • KCI등재

        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및 요구조사

        황순영,이후희,최유정 여가문화학회 2015 여가학연구 Vol.13 No.1

        The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of leisure activity in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and leisure activity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using the way of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The target group of this research was 118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usan and Gyeongnam. This study used SPSS 21.0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types of disability and their satisfaction and attitude of leisure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64.4%. And the findings showed that leisure activity participated most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ear as ‘sports’. Second, they wishes to develop and deliver a variety of recreational programs and leisure facilities and a dedicated space for the expansion of the most common requirements. 본 연구는 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와 요구를 알아보고, 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 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1.0 프로그램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를 살펴보면 전체 장애 대학생 중 64.4%가 현재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학내여가활동 프로그램에는 80.5%가 참여하지 않았다.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장애 대학생의 주된 이유는 교통 불편과 시간문제이며, 여가활동에 참여중인 장애 대학생은 일주일에 2~3일, 1회에 2시간 이상 참여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참여기간 평균 3년 5개월로, 스포츠영역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둘째, 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 요구사항으로는 지역사회 및 학내에서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과 전용시설 및 여가공간의 확충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여가관련 서비스를 지역사회에서 지원할 경우, 어떠한 담당 기관에서 지원을 희망하는지에 대한 요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관련 행정기관에서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함께 여가활동을 함께 하고 싶은 대상으로 친구가 가장 많았으며, 방학 중 하고 싶은 여가활동으로 국내․외 여행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 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와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지역사회 및 대학 내에서는 이들을 위한 여가활동 관련시설 확충 및 서비스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시각장애 직장인의 여가활동 실태 및 선호유형 분석

        황순영,이경림,이후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5 시각장애연구 Vol.31 No.3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leisure activities of visually impaired workers by analyzing the status and preferred types of such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status and preferred types of leisure activities were surveyed on 115 visually impaired workers, and the analysis of frequency data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participation of visually impaired workers in leisure activities was shown to be high at 93.9%, and 42.6% of them were enjoying leisure activities alone without any accompanying person, indicating that they were substantially enthusiastic at leisure activities. Second, the most preferred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visually impaired workers were hobby/recreation such as napping, sauna and bathing, and cultural viewing such as watching TV, musical and play. These were mostly activities that were a passive type or could be enjoyed alone. Therefore, a ne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s in a variety of ways was suggested as an implication so that visually impaired persons could participate in more active leisure activities. 본 연구는 시각장애 직장인의 여가활동 실태 및 선호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 직장인의 여가활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 직장인 115명을 대상으로 여가활동 실태 및 선호유형을 조사하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시각장애 직장인의 여가활동 참여 비율은 93.9%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42.6%의 시각장애 직장인들은 동반인 없이 홀로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어 여가활동이 상당히 적극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시각장애 직장인들이 여가활동 시 가장 선호하는 유형에는 낮잠이나 사우나/목욕 등의 취미오락 활동과 TV시청이나 뮤지컬/연극관람 등의 문화관람 활동이었는데, 이는 주로 혼자서 하거나 수동적인 유형의 여가활동이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들이 좀 더 적극적인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여가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ADHD에 대한 유아교사와 부모의 지식과 중재 수용도 비교

        황순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3

        This study is to explores how much right knowledge on ADHD do teachers and parents have, and what are the mediation intervention acceptance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ADHD. The 118 of early childhood teachers, 98parents of infants with ADHD responded 32-item of knowledge on ADHD and mediation acceptanc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both parent group and teacher group have lower level of knowledge on the cause than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And teachers was higher in the behavioral knowledge on ADHD, but parents have higher knowledge about the cause of ADHD. Second, teachers and parents were all above average about acceptance of intervention. In conclusion, we utilize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ir confidence for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ADHD 본 연구에서는 최근 출현율이 높게 보고되고 있는 ADHD유아들의 조기발견 및 교육중재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교사와 부모들의 ADHD에 관한 지식과 중재 수용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세-6세의 ADHD유아의 부모 98명과 유아교사 118명에게 ADHD에 관한 지식(ADHD의 행동특성, 원인, 경과 및 치료)과 중재수용도(의학적, 행동적, 교육적 중재)에 대해 질문하였다. 연구결과, ADHD지식에 관해서는 교사가 부모보다 더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ADHD 원인에 관한 지식을 제외하고는 행동특성, 원인, 경과 및 치료지식 영역에서 유아교사가 더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ADHD 중재 수용도는 유아교사와 부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ADHD유아의 조기발견 가능성을 높이고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 및 부모들을 대상으로 잘못된 지식을 교정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황순영,강영심,안성우,박재국,김자경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1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provide information of required skills for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into elementary school based on early childhood parents. Questionaries to know what the critical skills to transit from early childhood to enter elementary school were carried out 114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ut emphasis with the score of over 4.0 point on 57 items out of 60 items of skills for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lso, parents put emphasis on adaptive skills to school life, adaptive skills to daily life, and social interaction skills, whereas they did not put emphasis on the items of academic skills. This findings indicate that adaptive skills to daily life and social interaction skills are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while academic skills are not taken as an essential part during this period, as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in the childhood. We need to prepare the proper curriculum based on adaptive skills to daily life and social interaction skills.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초등학교 생활에 필요한 전이기술과 필요한 요구가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장애유아를 자녀로 둔 부모 114명을 대상으로 4가지 유초전이기술인 학교생활 적응기술, 학업기술, 일상생활기술,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에 대해 설문조사하고 개방형의 질문을 통하여 초등전이에 필요한 요구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서 장애유아 부모들은 4가지 영역의 유초전이기술이 모두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그 중에서도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이 유초전이기술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한다고 하였다. 장애유아부모는 장애유아들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 전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법적인 제도개선에서 부터 개별유아의 특성과 발달에 맞는 개별화 지도, 치료교육의 지원, 교사의 자질 등의 교사, 교육기관의 변화가 필요함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유아들이 일반유아들과 함께 초등학교에 성공적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입학초기에 많은 준비와 지원이 필요함을 연구의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학 중심의 지원 방향 탐색

        황순영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혁신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학 중심의 지원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그동안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아동들에게 특수교육적 중심의 지원이 제공되고 있기는 하였 으나 그 방법이 전통적인 행동수정 방법에 치우쳐져 있어 효과적인 지원에 한계가 있었다.이에 기 존의 전통적인 행동수정 방법에서 벗어나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을 위해 기능론적인 입장으로 정서․행동의 문제를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였고,정서․행동 문제를 바라보는 인식이 결핍 패러다임 이 아닌 문제의 발생 맥락을 고려하는 생태학적 입장에서 지원해 주어야 하는 맥락중심의 패러다임 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이러한 제안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도 소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lues toward special education support methods for the emotional disturbed. There is a critical point that many teachers mostly used in traditional behavior modification techniques to change these students’ problem behaviors. It can be suggested that inter-discipline approach to overcome this. especially, medicine, psychology, mental health etc. Also, It can be utilized functional behaviors analysis focused on the individuals especially considering the context. Besides, We have a few challenges to provide special educational supports for EBD students

      • KCI등재후보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초등학생의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효과

        황순영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시지각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첫째,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둘째,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시지각 발달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생 지적장애학생 무선표집하여 3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교육활동 시간에 뉴스포츠 종목 중 플로어볼(Floorball)과 패드민턴(Padminton)을 실시하였으며, 시지각 검사는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Adolescent; K-DTVP-A)로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쨋,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시지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시지각 발달 하위항목 시각-운동탐색을 제외한 따라 그리기, 도형-배경, 시각 통합, 시각-운동 속도, 형태항상성 항목들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ew sports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new sports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of mental retardation. According to resolve the above question, 3 students who diagnosed with a mental retardation were participated in an inclusive H special-education school in Ulsan by random sampling. The experiment put into operation Floorball and Padminton of new sports on Monday to Thursday during 8 weeks after school. Development Test of Visual Perception; DTVP used to Korean development test of Visual Perception - Adolescent; K-DTVP-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in new sports program showed the positive effects about the rest of visual perception except visual-motor coordination. The result after performing in new sports program for the visual development of mental retardation. Post test score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visual development and motor skill by showing a higher score than the pre-test score. Therefore, the advantage of the new sports we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of the game deformation is free. Second, it increases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 KCI등재

        배려와 존중의 통합교육 구축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황순영,이후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form a community of caring and respect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forming a community of caring and respect for the 16 hour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review of exist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compar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ith 86 students in three class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of respect for othe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kind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easily applied at the school site and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rough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sideration and respect among disabled students and non-disabled students is raised in integrated education and it can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students and improving the atmosphere of the school.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연구와 기존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16차시 분량의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3개 학급 86명의 5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배려 척도, 타인존중 태도 검사를 사전․사후 측정 및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배려적 태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타인존중 태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고, 교육과정 내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통합교육 안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사이에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길러지고, 나아가 학생들의 인성 수준의 향상이나 학교의 분위기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