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동산업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유형과 차이에 관한 연구

        배동학(Bae, Dong hak),김승희(Kim, Seung Hee) 한국부동산학회 2020 不動産學報 Vol.8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부동산업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유형과 인식유형에 따른 전문성 발달단계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부동산업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인간의 주관성을 탐색하는데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총 5단계로 구성된 Q방법론의 과정을 거쳐, 부동산업 종사자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인식의 전문성 발달단계의 위치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부동산업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유형은 총 5유형으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상호작용의식화형, 제2유형은 전문교육추구형, 제3유형은 집중훈련화추구형, 제4유형은 교육·네트워크추구형, 제5유형은 자율성강화추구형이다. 인식유형에 따른 전문성 발달단계는 제1유형은 초보 단계, 제2유형은 입문단계, 제3유형은 숙련단계, 제4유형은 능숙단계, 제5유형은 전문화 단계로 유추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부동산업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의 유형과 유형에 따른 전문성 발달단계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부동산업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을 이해하는 기초자료와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부동산업 종사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후속연구를 통해 실제 전문가 척도에 맞춘 정량적 조사를 통해 객관적 지표를 통한 전문성과 주관적 인식을 통한 전문성의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n real estate industry and address the development stage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each type of recognit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examined concerning Q methodology which is useful for exploring human subjectivity. The research steps as follows. 1) sampling of Q state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2) selecting of Q statements through Delphi survey, 3) selecting of P samples, 4) Q sorting, 5)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using QUANL programs. (3) RESEARCH FINDINGS The 5 types of recognition from this study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interactive consciousness type, the second type is professional knowledge pursuit type, the third type is professional training pursuit type, the fourth type is educational pursuit type, and the fifth type is network pursuit type. The development stage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type can be inferred as the first level for the first type, the introductory level for the second type, the proficient level for the third type, the proficiency level for the fourth type, and the specialization level for the fifth type. 2. RESULTS In this study, the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real estate industry was categorized by using the Q methodology exploring the subjectivity of the subject. Through the type of recognition,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theor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addressed. This study present the necessity of enhancing expertis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real estate industry.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의 관계 분석

        김영한,한현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1

        The goal in this study is to strive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by identifying the impact affected by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in accordance with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ultimately by enhancing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The final 322 copie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ith the higher teaching experience, it showed the higher awareness in professionalism, and special class teachers with graduate school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an teachers graduating from university.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cognition differe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efficacy, special class teachers with graduate school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efficacy than teachers graduating from university. Second, i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higher, it showed teachers’ efficacy also was higher. And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gave a significant effect in all areas such as efficacy of self-regulation, self-confidence and degree of task difficulty, which was subareas of teachers’ efficacy. Third, if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higher, it showe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also was higher. And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gave a significant effect in all areas such as professionalism, loving of education and passion, which was sub-areas of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의 제고 및 그들의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를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학급 교사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적용하여 기수거된 설문문항을 중심으로 t 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으며 대학원 졸업의 특수학급 교사가 대학 졸업의 교사보다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다. 특수학급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대학원 졸업의 특수학급 교사가 높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으면 그들의 교사효능감도 높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사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의 모든 영역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으면 그들의 교직헌신도도 높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직헌신도의 하위 영역인 전문 의식, 교육애, 열정의 모든 영역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었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적응탄력성의 조절효과

        김영한,김재현,박지연,정한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그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응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성별, 교직경력, 학력, 담당학급이었다. 총 315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적용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전문성 인식 척도와 조직몰입 척도, 교직적응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전문성 인식을 독립변인으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인으로, 교직적응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연구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그들의 조직몰입 및 교직적응탄력성도 높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조직몰입 및 교직적응탄력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전문성 인식이 높은 특수학급 교사가 그들이 속한 학교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즉, 학교 내 어려운 상황에도 정신적 혼란이나 복잡함, 상황에 따른 부적응을 초래하지 않고 이전의 상황으로 잘 복귀하는 교사는 그들이 속한 학교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다. 넷째,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전문성 인식이 조직몰입을 높이는데 조절효과를 가진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그들이 가지는 전문성 인식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여 조직몰입을 더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켜 그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교직적응탄력성을 발휘하여 난관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얻고 궁극적인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

        김연수,이시자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0 teacher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old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K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all cases among the teacher’s happiness,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um path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technology, self-awareness, and ecological understanding,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happiness of the teach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favorable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to enhance the happiness of teachers, and to strenghten the teacher education to upgrad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인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설문지(최영옥, 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 설문지(김시연, 2014), 전문성 발달 자기평가 설문지(백은주⋅조부경, 2004)를 배부하고 그 가운데 300명의 자료가 SPSS 23.0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전문성인식의 세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의 하위 영역 간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의미 있는 정도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나아가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부분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전문성인식의 세 하위 영역 가운데 지식과 기술발달, 생태학적 발달 그리고 자기이해 발달의 순서로 부분 매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전문성 인식에 의해 매개되어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문성인식 가운데 교육과정을 계획, 수행, 평가하며 유아 및 학부모와 상호작용 하는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발달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인식을 증진하려는 방안 마련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매개효과

        문정희,송승민,한정이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보육교사가 전문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았고,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졌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어떻게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인식 수준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직업전문성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최주애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usic therapists percei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fession. A total of 98 certified music therapist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or a 46.7% response rate, and 78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usic therapists show a high level of standards for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in general. Meanwhile, the respondents gave their lowest rating on the perception of their occupation as a social service addressing the needs of societ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rated the level of their professionalism as high and they tended to identify individual competenc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the length of clinical practice and level of edu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of training may contribute to a high level of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Also, lower levels of perception on social aspects of the professionalism support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Given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in enhancing the quality of care for clients and expanding the profession,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and propose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therapists.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전체 210부의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9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미완성된 응답을 제외한 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기본 정보 10문항, 전문성 인식 27문항으로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직업전문성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는 반면, 직업전문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를 교육정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와 경력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가 전문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개인적 측면과 관련한 답변이 가장 많았다. 본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개인적 측면 외에도 조직적, 사회적 측면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과정 내에서 높은 수준의 음악치료 교육이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치료사들의 전문성 인식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 방향과 전문성 관리를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리진,홍연애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및 직무스트레 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85명의 보육교사들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ANOVA) 및 사후검증(Scheffe test), 내적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높은 편이었고, 보육교사의 보육경력이 7년 이상인 경우가 그 이하보다 보육교사 자신의 전문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및 직무스트레스는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은 정적으로, 직무스트레스 중 유아·원장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는 부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전체 변량의 56.4%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환경통제력이 높고, 유아와 원장, 그리고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전문성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tress on professional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85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Professional Recognition by Bak and Cho(2004), Ego-Resilience by Park(1997), Psychological well-being by Kim(2008), and Job Stress by Ahn(2007).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percentile rank, mean, &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α for reliability by SPSS 19.0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higher than average.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level according to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 on childcare teachers with 7-year (or more) teaching experience. Second,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ego-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Environmental mastery among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 chief and work among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job stress explained 56.4% of variance in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professional recognition in childcare teacher and suggest the basi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이석순(Lee, Seok Soon),박은미(Park, Eun Mi)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일반적 경향과 개인변인, 근무환경 변인에 따라 살펴보고,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바람직한 전문영아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개인변인에서는 연령과 근무경력, 결혼여부,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환경 변인에서는 근무기관 유형과 보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은 개인변인에서 학력과 교사연수와 재교육,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수준은 근무환경 변인으로 근무기관과 보수, 학급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근무시간과 학급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매우 긍정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의 발달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th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variables perceived. The data collected from 349 infant educare teachers in Gyunggi-Do. first of all, we check individual variabl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thei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then we calibrate correlation of 2 factors. Doing so, we willing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s tool of check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e used modified scale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made by Kim YuJin(2003), Shin JangMi(2007), Wi SookHee(2008),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we used modified sca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made by Yi KyungDon(2010) that developed by Back EunJu, Jo BuGyeong(2004). We fou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 as age, experiences, marital status,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on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s working facilities, salary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academic background, teacher training,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marital status, experienc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working facilities, salary, number of classes). 2 factors are in very close correlation and higher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timulates bett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이윤선 한국생애학회 2023 생애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질 높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위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303명의 보육교사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를 산출하였고,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문성 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아탄력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도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즉 보육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았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ego-resilience, and child interaction in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how the former two affect the latter. A total of 303 childcare teachers from nurse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 of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ego-resili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Results showed that both expertise awareness and ego-resili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Furthermor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ego-resilience positively affecte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갑순,조경희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 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조사및 본조사를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본 조사는 2019년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 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전문성인식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수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유의미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정책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 램개발에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re ar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For this study, the preliminary and main research were separately proceeded, and the target for the main research was one hundred forty-on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ollanam-do, South Korea from July 10, 2019 to August 20, 2019. Cronbach’s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s, and Pearson prob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that appeared among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lif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econ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as a found to be a significant static predictor as a variables that influences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upport of a multicultural policy, requires suitabl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ducational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