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위험 영유아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

        류혜진,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4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at-risk young children, targeting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of public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16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And using SPSS 29.0,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t public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llected information on at-risk young children through regular observation and anecdotal records, and then diagnosed them using a screening tool. Second, participants mainly recognize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as well as developmental delays a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t-risk young children. Third, participants are aware of the need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but the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lack of related knowledge and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parents and public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urth, participants requested support from special education experts, training to strengthe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reduced teacher-to-child ratio, an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institutional support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at-risk young childr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 system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at-risk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S시 G구와 K도 A시에 소재한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장애위험영유아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된 설문지는 총 116부로 SPSS 29.0을 이용하여 문항의 특성에 따라 빈도분석, 다중응답 빈도분석,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보육교사들은 정기적인 관찰 및 일화기록을 통해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뒤 선별 도구를 사용하여 진단하였다. 둘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장애위험 영유아의 행동특성으로 지연된 발달과 함께 자폐성 장애아의 행동 특성을 주로 인식하였다. 셋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관련 지식의 부족과 부모와보육 기관의 견해 차이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지원으로 특수교육 전문가의 지원, 보육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연수, 교사 대 아동 비율 축소,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제도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유아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운영 실태 및 정책적 요구

        지성화(Sung Hwa Ji),김성현(Seong Hyun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정부의 유보통합 정책에 따라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지역 교육청 이관을 고려하여 현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운영 실태와 운영상의 정책적 요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장애영유아에 필요한 요구를 충족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장애통합어린이집의 운영을 위한 정책적 요구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장애아통합 어린이집 원장 280명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운영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 대한 일반적 배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운영 실태,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정책적 요구에 대한 문항을 구성하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23년 7월 중에 수집되었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배경변인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장애전담교사 채용 방법, 어린이집 운영시 도움되는 물리적 환경, 가정과 연계하여 제공하는 정보, 어린이집 운영 시 도움이 되는 교육, 운영상의 어려움, 장애전담교사 확보를 위한 정책요구, 비용지원 정책요구, 우선지원 정책요구 등의 결과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운영 실태와 정책적 요구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적합한 장애통합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당면한 문제점을 보다 세부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또한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Considering the transfer of inclusive daycare centers for disabled children to local offices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to integrat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 sought to confirm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inclusive daycare centers for disabled children and operational policy requirements. To this end, the director was examin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isability integrated daycare center and the policy demands for the operation of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o meet the need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o this end, 280 hea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which operate inclusive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targeted. The research tool for conducting this study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he status of operation of inclusive daycare center, and the policy nee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July 2023, and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by background variable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including physical environments that are helpful in operating daycare centers, information provided in connection with homes, education that is helpful in operating daycare centers, operational difficulties, policy demands for cost support, and priority support policy deman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appropriate inclusive education by analyzing the operation status and policy needs of the disabled children's inclusive daycare center for the director of inclusive daycare center.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suggested that various studies that could solve the immediate problems in more detail should be requested.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들이 경험한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보육실습에 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진재섭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2

        The curr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ing students who conduct their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disability integrated daycare centers. To achieve this end, the authors carried out qualitative research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on ten childcare teaching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University K in City I.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and analyzed reveal that after conducting their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a disability integrated daycare center, childcare teaching students experience expectations, confusion, and trials and errors regarding their teaching practice program, as well as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in perception about this fiel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current study deduces competencies required for students engaging in their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disability integrated daycare centers. It also concludes that practicing teaching in such daycare centers offers important opportunities for childcare student teachers by preparing them to provide integrated daycare services.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finds that administrative support and guidelines are needed for teaching practice programs in disability integrated daycare centers, specifically in areas such as course requirement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pervising teaching students engaging in their teaching practice.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보육실습을 한 예비보육교사들의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시에 위치한 K대학교에 재학중인 10명의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한 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은 장애통합어린이집 보육실습에 대한 기대와 혼돈, 장애통합어린이집 실습교사로서의 시행착오, 장애통합어린이집 보육실습을 경험한 후 긍정 및 부정적인 인식의 변화 등을 경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보육실습을 할 때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가 통합보육을 준비하는 교육과정에 있어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보육실습을 위해 장애영유아와 관련된 교과목의 이수, 보육실습 지도를 위한 행정적 지원, 지침서 개발 등이 마련돼야 함이 도출되었다.

      •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조귀희(Cho, Kwi-Hee) 한국부모교육학회 2020 부모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비교하여 장애통합어린이집의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서울, 경기도 소재 장애통합어린이집의 장애전담교사 204명과 일반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통합교육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통합교육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어린이집 준비도, 통합교육의 효과성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일반교사들의 경우 개선방안,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어린이집 준비도, 통합교육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 통합교육의 효과성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장애통합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장애전담교사가 일반교사보다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 효과성, 개선방안에 높게 인식하였다. 그렇지만, 통합교육을 위한 어린이집 준비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s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of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by comparing between the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 and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and differences for integration education. This targets were used to final analyze with 204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nd 184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mong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running the handicapped child classroom located in Gangnam, seoul. The collected survey analyzed by using The SPSS 23.0 program. To sum up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alyze the results of all around awareness of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t the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it is highly recognized in this order the improvement plan for developing the integration education, attention and necessity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preparation of education center running the integr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analyze the results of all around awareness of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t the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it is highly recognized in this order the improvement plan, preparation of education center running the integration education, attention and necessity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education. Third, according to analyze the results of all around the meaningful differences to integration education between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nd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t the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the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higher than the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to the attention and necessity, effectiveness, improvement plan to the integration education. But it comes the result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reparation of childcare centers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 KCI등재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의 컨설팅 경험 분석

        김경민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3

        This study attempt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consulting experiences on the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rking in inclusive daycare cente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eight childcar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rking at an inclusive daycare center in K-City, and were selected as purpose sampl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m, and to this end, a systematic interview guide was produced and used before the interview.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transcrib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Participants' consulting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5 topics and 17 sub-topics, including the purpose, method, content, and effectiveness, resources of consulting.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ccess factor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consulting for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에 대한 컨설팅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K시 소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8명이며,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했으며, 이를 위해 면담 전 체계적인 면담 가이드를 제작하여 활용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전사 후 주제 분석법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의 컨설팅 경험은 컨설팅의 목적, 방법, 내용, 효과, 자원 이렇게 5개의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한 개별화교육계획 컨설팅의 성공 요인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 영아반 특수교사 면담을 통한 학급 운영 실태 및 지원요구 :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박연희,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classes for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based on prerequisite elements of early intervention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Method: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classes of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dividual and the group interviews in inclusive settings.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derived through qualitative-compar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managed the class as full inclusion on natural environment, family focused support, and team approach, based on prerequisite elements of early intervention. Second,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ir classes of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showed not only advantages in low peer perception on disabilities, but also difficulties of achieving a high child vs. teacher ratio. They proclaimed stresses in providing assessment and counseling for parents of at-risk children under 3 years old in their classes. Third, participants tried to administrate the IFSP(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with a focus on family support, but felt difficulties in psychological help and raising support at early identification stage of disabilities. Fourth, the team approach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rmed at the least level. Participants needed various external and professional supports for coping the needs of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proposals for revitalizing the present status and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for classes of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 영아반 담당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들이 어떻게 반영되어서 운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와 어려움 및 지원 요구를 확인함으로써, 장애통합 영아반에 대한 지원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시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 영아를 담당하는 특수교사 3명을 대상으로 개별과 집단 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 자료를 전사하고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시행 중인 장애 영아반은 완전 통합 형태로,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인 자연적인 어린이집 학급 내에서 가족 지원과 팀 접근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자연적 환경인 통합 영아 학급에서 만 2세 일반 또래들의 장애 인식이 없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주요 어려움으로 교사 대 영아 비율이 높은 것과 학급 내 장애 위험 영아에 대한 진단과 부모 상담 등의 문제도 제기되었다. 셋째, 가족중심의 IFSP를 진행하려는 노력은 하고 있으나, 장애 진단 초기여서 부모의 심리지원과 양육지원 둘 다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넷째, 어린이집 내 팀 협력은 일반교사들의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양한 장애 영아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서 외부의 전문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이러한 장애통합 영아반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통합어린이집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

        황민주,오종은 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통합어린이집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에 미치 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통합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5, 6세 유아들로, S 통합어 린이집 일반유아 10명, 장애유아 3명을 실험집단으로, Y 통합어린이집의 일반유아 10명, 장애유아 3명을 통제집 단으로 최종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실험집단에게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하여 연구 대상에게 유아용 장애 인식 및 수용 척도를 실시하였고,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 다. 그리고, 양적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보완하기 위해 관찰 및 기록을 바탕으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장애인식 및 수용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실험집단의 일반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장애수용의 하위범주별 요인인 사회적 접촉에 대한 의지, 편견에 찬 대응 행동, 장애인에 대한 실제적인 접촉 행동에서 유의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통합환경 내 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을 촉진할 수 있는 접근임을 보여주며, 일반유아의 올바른 장애인식과 장애 유아 수용도를 높이는 효과적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통합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lage on the children’s recognition and acceptance towards disabilities in normal children at an integrated dayca re cent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aged 5 and 6 attending an integrated daycare center in Gyeonggi-do, 10 normal infants and 3 disabled children at S integrated daycare center as the experi mental group, and 10 normal children and 3 disabled children at Y integrated-preschool as the control gro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lage was plan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children's awareness and acceptance towards disability. 10 sessions were cond 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Children’s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Scale was administered to the study subject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the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validity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changes in awareness and acceptance towards disabilities that appeared in the group art therapy process were described based on observations and records. As a result of this study, after group art therapy using collage, the experimental group’s normal children awareness and accepta nce towards dis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ere found in the willingness to social interactions, prejudiced response behaviors, and actual contact behaviors with the disabled, which are subcategories of acceptance towards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lage is an approach that can promote awareness and acceptance towards disability on children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also, it is significant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integrated education by suggesting effective programs to increase the correct awareness and acceptance towards disabilities on normal children.

      • KCI등재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윤영신 ( Youn Young Shin ),최승숙 ( Choi Seung Soo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경기도 지역의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된 33문항을 개발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함께 변인 간의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장애통합어린이집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시 법적 구성요소인 인적사항, 현행 학습수준, 교육목표, 교육방법, 교육내용 및 평가 계획을 대부분 작성하였으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작성 수준은 저조하였다. 둘째, 개별화교육지원팀 운영은 대부분 구성원 간의 협력이 미흡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었고 이에 실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은 특수교사가 담당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중 교육목표 작성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유는 참고할 자료 부족 및 작성에 대한 교육 미흡, 작성 내용에 대한 점검 방식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인식에서 지역 및 변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들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현황 대한 교사의 전반적인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longing to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0 teachers who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Seoul, Busan, and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33 questions related to the actual status of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the awareness of IEP.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frequency analysis along with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prepared most of the legal componen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current learning level, and educational goals etc, but the preparation of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s was written at low level. Second, most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were operated formally, and since there was no cooperation between members, special teachers were in charge of preparing the actual IEP. Third, teachers feel the greatest difficulty in writing educational goals during the preparation of IEP and the reasons for this are the lack of materials to refer to, the lack of education, and the lack of a method of checking the written content. There were also regional and variabl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by examining the overall perceptions of teachers who take car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 KCI등재후보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 현황과 보육교사의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조재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3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e condition of integrated child-care and a general recognition of integrated child-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e child-care teachers who work in the child-care centers in G province. As the result of study, there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hild-care teachers work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where children don’t have disabilities. They rare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seminars for integrated child-care. Even if they participated in it, they attended for a short time. Second, most of the child-care teachers agree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enter into general child-care centers. They answere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be better be placed in a child-care center already integr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at the integrated child-care would be of help to the normal children. Third, the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to care integrally in all fields of disability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they answered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care for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Fourth, the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as the integrated child-care is positive for all children, it would be better to start early as soon as possible and provide more education on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fth, they answered that the child-care centers where they work are badly prepared. Moreover, even child-care teachers don’t have expertise in special education. Sixth, the integrated child-care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social development, offering a chance to understand, to cooperate and to help each other. Also it can help improve the perception of normal childre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interplay between both. Seventh, the negative effects of integrated child-care were that the child-care teachers had to spend more time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parents of the normal children had reluctance for integrated child-care and also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o decrease of children in the child-care center. 본 연구는 G도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보육 현황과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영유아가 없는 일반어린이집에 대부분 근무하고 있었으며, 통합보육 연수에 참여한 적이 거의 없었으며, 참여한 경우에도 참여시간이 매우 적었다. 둘째, 장애영유아의 일반어린이집 입소에 대해 대부분 동의하였으며, 배치장소로는 장애아 통합어린이집이 적절하며, 통합보육은 영유아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종류와 정도에 관계없이 모두 통합보육이 매우 힘들 것이며, 특히 중복장애와 자폐성장애를 더 힘들 것이라고 답하였다. 넷째, 통합보육은 모든 영유아에게 긍정적이므로 가능한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반드시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현재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은 통합보육 준비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보육교사 자신도 특수교육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통합보육의 긍정적 영향으로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 확대를 통한 사회성 발달 촉진, 서로 이해하고 협동하고 도와주는 기회 제공, 장애영유아에 대한 일반영유아의 인식 개선 등이었다. 일곱째, 통합보육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보육교사가 장애영유아에게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것, 일반영유아 학부모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거부감, 어린이집 재원 원아의 감소 가능성 등이었다.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부모가 지각하는 장애아 보육서비스 이용 현황 및 요구

        송정,조윤경 육아정책연구소 2012 육아정책연구 Vol.6 No.2

        The studi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hich provided children and families of disabilities with the comprehensive services, had been mainly conducted on the side of service providers, directors and teachers. To set up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based on service receiver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ervice states, satisfaction,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in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695 parents in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ere responded to the surve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the discrimination(refusal to admittance, enforcement of quitting etc.) in spite of 「Non-discrimination Act」. To ban the discrimination, more concrete and rigid guidelines are needed. Second, above 80%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therapy at the other institutes. For parents wanted the expansion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 the increases of service by community networks should be considered. Thir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ed more communicative relationship with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more qualitative family support services. So family support connected with related centers need to be provided. Fourth, parents agreed with the positive effects of inclusion, but said the readiness of inclusion was at a low level.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o lift up the program level are demanded. Fifth,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they stressed the quantitative increases of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the neighborhood. The augment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the disabilities must be promoted to level up the service quality. 장애아와 그 가족에게 보육과 관련서비스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아보육은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장애아 보육정책의 적절한 수립을 위해서 장애아 보육서비스의 수혜자인 장애 전담과 통합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부모 695명을 대상으로 장애아 보육서비스 이용 현황과 만족도, 지원 요구사항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법률에도 불구하고 입소거부 혹은 퇴소요구 등의 차별을 경험한 부모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 이용 시 장애아동 차별을 금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규정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부모의 80% 이상이 타 기관에서 교육 및 치료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어린이집에서의 치료서 비스 확대를 시급히 보완할 사항으로 지적해,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등 보다 다양한 방식의 치료서비스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부모들은 어린이집과 활발하게 의사소통을 맺고 보다 양질의 가족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했다. 유관기관과의 연계구축 등을 통해 가족지원 서비스 실행을 지원해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많은 부모들이 통합보육의 긍정적 효과에 동의하였으나 통합보육의 준비와 질적 측면에서는 우려를 나타내, 이를 개선해 줄 행 재정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어린이집 이용에 높은 만족을 보였으나, 장애아동을 돌봐줄 어린이집 수가 부족해 양육에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했다. 장애아 보육발전을 위해 장애아 어린이집 양적확충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