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사전 개별교육을 연계한 협력교수가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윤영신(Youn, Young-shin),최승숙(Choi, Seung So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유아통합교육현장에서 협력교수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장애통합어린이집의 만 4․5세 장애유아 6명과 비장애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연령별 각 20회기씩 총 40회기의 협력교수를 실시하였고 장애유아의 경우 특수교사의 사전개별교육 후 협력교수에 참여하였다. 수학적 역량은 수학적 지식, 과정기술, 태도로 구성하였고 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변화 측정은 회기별 수업관찰의 서술기록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평정척도 결과는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비장애유아의 경우, 사전-사후 표준화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은 두 종속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협력교수 중재에 참여한 장애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태도의 역량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비장애유아는 수학적 지식의 ‘기초적인 측정하기’ 및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유아통합교육현장에서 협력교수를 활용한 장애 및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증진 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co-teaching on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6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20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elonging to a day care center.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y participated in co-teaching after receiving 1:1 teaching fro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consisted of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rocess skills and mathematical attitudes. They were applied in the co-teaching class. In order to measure the mathematical competence chang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narrative record and rating scale of each class was analyzed by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content analysis. Two dependent sample t-tests were performed on pre post scores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attitud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co-teaching interventions. Seco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measure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rocess skill, and mathematical attitud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teaching approach to improve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using co-teaching in the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윤영신 ( Youn Young Shin ),최승숙 ( Choi Seung Soo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경기도 지역의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된 33문항을 개발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함께 변인 간의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장애통합어린이집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시 법적 구성요소인 인적사항, 현행 학습수준, 교육목표, 교육방법, 교육내용 및 평가 계획을 대부분 작성하였으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작성 수준은 저조하였다. 둘째, 개별화교육지원팀 운영은 대부분 구성원 간의 협력이 미흡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었고 이에 실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은 특수교사가 담당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중 교육목표 작성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유는 참고할 자료 부족 및 작성에 대한 교육 미흡, 작성 내용에 대한 점검 방식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인식에서 지역 및 변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들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현황 대한 교사의 전반적인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longing to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0 teachers who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Seoul, Busan, and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33 questions related to the actual status of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the awareness of IEP.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frequency analysis along with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prepared most of the legal componen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current learning level, and educational goals etc, but the preparation of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s was written at low level. Second, most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were operated formally, and since there was no cooperation between members, special teachers were in charge of preparing the actual IEP. Third, teachers feel the greatest difficulty in writing educational goals during the preparation of IEP and the reasons for this are the lack of materials to refer to, the lack of education, and the lack of a method of checking the written content. There were also regional and variabl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by examining the overall perceptions of teachers who take car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